[include(틀:V-리그 남자부 클럽 하우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heon89563.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heon89564.jpg|width=100%]]}}}|| ||<-2> '''{{{+1 송림체육관}}}[br]松林體育館[br]Songnim Gymnasium''' || || '''개장''' || [[2013년]] || || '''위치''' ||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염전로 30 || || '''좌석 규모''' || 5,002석 || || '''운영 주체''' || [[인천시설공단|[[파일:인천시설공단 로고.svg|height=25]]]]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송림체육관, 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송림동(인천광역시 동구)|송림동]]에 건립된 [[체육관]]이다. [[인천시설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6번 국도]]와 인접해 있으며,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산업단지와 인접해 있다. ==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동인천역]]에서 2km 떨어져 있으며 걸어서는 30분 걸린다. 버스 이용시 [[인천 버스 9|9번]]과 [[인천 버스 16|16번]]이 송림체육관 앞에 정차한다. 주차장은 유료이다. 추후 건설될 [[인천 도시철도 3호선]]의 송림역이 이 체육관 주변에 지어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계획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라 먼 미래를 지켜봐야 한다. == 시설 == 지하 2층 지상 3층 규모이며, 건축 면적은 22,734.51㎡이다. 주경기장 면적은 2,450㎡이며, 관람석은 고정식 3,178석과 수납식 1,824석으로 총 5,002석이다. 3층에는 스카이박스가 있으며, 조명, 전광판, 음향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지하 2층에는 1,699㎡ 면적의 보조경기장이 있다. 관람석은 372석 규모이다. 지하 1층에는 스포츠센터(수영장,헬스장)가 있다. 1층에는 경기운영시설이 있고, 어린이집이 입주해 있다. == 특징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경기 운영을 위해 신축한 체육관 중 한 곳이다.[* 이 당시 아시안 게임을 위해 지어진 체육관으로는 이곳 외에도 [[계양체육관]](배드민턴), 남동체육관(체조), [[선학국제빙상경기장|선학체육관]](핸드볼), 강화고인돌체육관(태권도) 등이 있다.] 대회 당시 [[배구]]전용 경기장으로 운영됐고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금메달을 딴 역사적인 경기장이다.[* 남자 배구는 동메달을 기록하였다.] 현재 주경기장은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배구단에서 훈련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훈련장으로만 이용되기 아까운 대형 체육관이지만 교통이 안좋은 변두리 공장지대에 위치하여 관중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배구단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선택을 받지 못하였다.[* 배구 전용 경기장을 놔두고 배드민턴 전용경기장인 [[계양체육관]]을 택하였다. 희한한 것은 송림체육관이 개장하던 날 대한항공과 흥국생명 선수들이 사인회를 했다는 점이다.] [* 대한항공 점보스는 [[계양체육관]],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삼산월드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쓰고 있다. 정작 이 두 팀의 클럽하우스는 [[용인시]]에 있다.]한 명이 엉덩이를 흔들면 한 줄 전체가 흔들리는 것으로 유명한 계양체육관에서 다른 곳으로 체육관을 옮겨보자는 얘기가 나오면 배구팬들 사이에서 도원체육관과 함께 가끔 언급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교통 문제 때문인지 그냥 언급만 되고 있다. 보조경기장과 스포츠센터는 주민체육시설로 이용되고 있다.--인천 연고팀의 클럽하우스는 [[용인시|다른 시]]에 있는데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타지역 연고팀]]이 인천에 클럽하우스가 있는 희한한 상황-- ==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의 훈련장 == 당초 우리카드는 [[장충체육관]]의 리모델링으로 3년간의 [[아산시|아산]] 임시 연고 생활을 청산하고 2015년 서울로 복귀할 당시 과거 [[창원 LG 세이커스]]가 숙소 겸 연습체육관으로 사용했던 서울 방이동 LG전자 체육관을 사용하려 했다. 그러나 우리카드가 배구단 운영과 해체 문제를 두고 갈팡질팡하는 사이 LG전자가 방이동 체육관을 매각하고 그 자리에 주택이 세워지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되자 형편상[* 서울 연고 프로스포츠 팀 중에서 서울에 클럽하우스를 둔 팀은 없는데 서울에 두기 싫어서 안 둔 것이 아니라 형편상 못 둔 것이다. 서울시내에 대형 체육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부지가 마땅치 않고 설령 서울시내에 부지를 마련한다고 해도 살인적인 서울의 땅값을 고려한다면 토지 매입 단계에서부터 기업들이 주저할 수 밖에 없다. 다만 모두 서울에서 멀지 않은 수도권 지역에 클럽하우스를 두고 있다.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는 [[이천시]], [[키움 히어로즈]]는 [[고양시]], [[서울 삼성 썬더스]]와 [[서울 SK 나이츠]]는 [[용인시]], [[FC 서울]]은 [[구리시]], [[서울 이랜드 FC]]와 [[GS칼텍스 서울 KIXX]]는 [[가평군]]에 클럽하우스가 있다.] 부득이하게 인천에 숙소를 잡게 되었다. 훈련장 시설은 신축한지라 상당히 좋고 선수들의 숙소는 [[청라국제도시]]에 아파트를 얻어 생활하게 하고 있다. 우리카드 위비 유튜브 채널의 컨텐츠는 대부분 숙소가 아니라 이 송림체육관에서 진행된다. 송림체육관도 신식 시설이긴 하지만 [[장충체육관]]을 같이 쓰는 서울 남매 [[GS칼텍스 서울 KIXX]]가 청평에 [[청평 GS칼텍스 클럽하우스|새로운 클럽하우스]]를 짓자 상대적으로 좀 초라해졌다. [[분류:대한민국의 체육관]][[분류:인천광역시]][[분류:동구(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