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3 수능까지 수리 영역으로 불렸던 수학능력시험의 응시 영역, rd1=수학 영역)] [목차] == 개요 == [[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하나인 수리 영역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상세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과 함께 직업기초능력평가의 주요 3대 영역의 하나로 대다수의 기업에서 출제하는 영역이다. '''[[타임 어택]]으로''' 수험자들이 가장 애먹는 영역이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kin&query=ncs+%EC%88%98%EB%A6%AC%EC%98%81%EC%97%AD&nso=so:r,a:all,p:all&sm=tab_nmr&qdt=0|어떻게 해야 빨리 풀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네이버 지식 IN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이다. 수리 영역에는 아래와 같은 총 4개의 세부 유형이 있다. * 기초 연산 능력 * 기초 통계 능력 * 도표 분석 능력 * 도표 작성 능력 고등학교 수학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수학 영역]]과는 달리, 여기서는 순수 [[적성검사]] 같은 유형으로 낸다. 말 그대로 '''수리력'''을 평가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 사실상 수능 초창기 수리 영역은 이 시험이 대체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문제1.''' A, B, C 부서로 구성된 OO공사의 부서별 전체 직원 수는 같다. A 부서 여직원 수는 B 부서 남직원 수와 같고, C 부서 여직원 수는 OO공사 전체 여직원 수의 [math( \frac {2}{5} )]이다. C 부서 여직원 수가 OO공사 전체 직원 수의 [math( \frac {a}{b} )]일 때, [math( a+b )]의 값을 고르면? (단, [math( a )], [math( b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 >NCS 수리 영역 기출 문제[*답 11] [[분류:수학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