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2> {{{+2 '''수서~광주 복선전철 건설사업'''}}} [br] 水西廣州線 / Suseo-Gwangju L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DI 예타보고서 수서광주선.png|width=100%]]}}} || ||<-2> {{{-1 KDI '''예비타당성보고서상의 노선도'''}}} || || '''사업명''' || 수서광주선 || || '''관리기관''' || [[한국철도공사]] || || '''총 길이''' || 19.2㎞ || || '''운행할 차량''' || [[KTX-이음]] || || '''총연장''' || [[수서역]]~[[경기광주역]] || || '''개통''' || [[2030년]] 예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앙선]] 청량리 - 용문 구간의 용량 포화 해소방안으로 제시된 수서광주선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과 [[경기도]] [[광주시]] [[경기광주역]]을 잇는 총 연장 19.2㎞의 노선이다. [[수서역]]부터 [[삼동역]]까지는 노선 신설[* 이 구간은 지하터널로 건설될 예정이다.], [[삼동역]]에서 [[경기광주역]]까지는 기존 [[경강선]]을 활용할 예정이다. 사업상 포함된 역은 [[수서역]], [[모란역]], [[경기광주역]] 3곳이다. 언론이나 지역 정치권에서는 비공식 약칭인 '''수광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연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수서용문선 계획노선도.jpg|width=100%]]}}} || || '''수서용문선'''의 계획노선도. 하늘색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 * 2011년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수서용문선(수서~용문 복선전철)이 포함되었다. [[KDI]]의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는 해당 노선을 수서광주선의 시초로 보고 있다. * 201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확정됐다.[[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15322|기사]] * 2016년 2월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포함되었다. * [[2019년]] [[7월 10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0&sid2=265&oid=001&aid=0010942884|기사]] B/C는 1.24, [[AHP]]는 0.695로 기준선인 B/C 1.0, AHP 0.500을 모두 넉넉하게 넘어섰다. * 2019년 9월 [[이재명]] 도지사, [[은수미]] 성남시장, [[신동헌(정치인)|신동헌]] 광주시장은 업무협약식를 맺고 조기 추진하기로 했다. 수서광주선의 기본예산설계를 [[국토부]]와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하였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20190916010005334#rs|#]] * 2021년 1월,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가 있었다. [[삼동역]] 정차가 화두가 되었다고 한다. [[https://www.gj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0652|#]] 하지만 [[http://ctnews.co.kr/sub_read.html?uid=33724§ion=sc9§ion2=%BB%E7%C8%B8|비슷한 시기에 나온 기사]]에 따르면 [[삼동역]]은 정차하지 않아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수서광주선은 광역철도가 아닌 간선철도의 서울 진입 목적으로 건설되는 노선이기에 거시적으로는 삼동역 정차는 하지 않고 [[경기광주역]]에서 일대 수요를 처리하는 쪽이 옳기는 하다.] * 2023년 2월 24일, 국토교통부가 기본계획을 고시하였다.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77061006893000&tocId=I0000000000000001676871227493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3-102%25ED%2598%25B8(%25EC%2588%2598%25EC%2584%259C~%25EA%25B4%2591%25EC%25A3%25BC%25EB%25B3%25B5%25EC%2584%25A0%25EC%25A0%2584%25EC%25B2%25A0%25EA%25B1%25B4%25EC%2584%25A4%25EC%2582%25AC%25EC%2597%2585%25EA%25B8%25B0%25EB%25B3%25B8%25EA%25B3%2584%25ED%259A%258D)|고시]] 총 사업비는 1조 157억원이며,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된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5ngyFV8psQ)]}}} || || ''''제2의 허브' 수서역''' || * 수서 정거장은 SRT [[수서역]] 옆에 3면 6선[* 남부내륙선 개통시 주박 유치선 4선, 인상선 1선 추가 설치 예정]으로 건설되는 것으로 계획, 모란 정거장은 [[모란역]] 수인분당선 승강장 아래[* 최소 지하 4층 이하]에 2면 2선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 설계속도 250㎞/h의 수서-광주선을 건설하면 [[수서역]]에서 [[경강선]]([[강릉선 KTX]]), [[중앙선]], [[중부내륙선]] 열차 취급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기광주~부발 구간]]은 통근형 전동차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개량 공사가 뒤따라야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수서역]]을 출발해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으로 운행하는 [[SRT]]가 향후 [[강릉선]], [[중부내륙선]]으로도 운행이 가능하며 [[남부내륙선]] 역시 운행이 가능하다.[[http://cafe.daum.net/kicha/ANm/20827|#]] * 여기서 이 사업은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수서역]] ~ [[용문역(중앙선)|용문역]] 간 44.1㎞를 250㎞/h급 노선으로 신설하는 것으로 반영됐지만, 추진되지 않은 사업이었다. 하지만 3차계획에서 수서 ~ 용문 간을 신설하는 내용이 수서 ~ 광주 간 신설로 축소되었지만, [[수서역]]을 제2의 철도 허브로 키운다는 기사가 난 것으로 보아 추진 전망은 밝다.[[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3&news_seq_no=2773289|기사]] == 효과 및 의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수서광주선EMU운행계획.png|width=100%]]}}} || || '''운행 노선 개요도''' || 짧은 길이의 노선이지만, [[KTX]]를 통해 강남권의 관문으로 떠오른 수서역과 지방 각지를 연결할 수 있는 노선이다. [[경강선]]으로 합류하기에 경강선, 중앙선 운행계통의 수서역 진입이 가능해진다. 즉, [[강남 3구]] 같은 서울 동남부 또는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용인시]] 지역에서[* 수서평택고속선상의 SRT 정차역인 [[동탄역]], 좀 더 나아가 [[평택지제역]] 연선 지역도 수서역 환승을 통해 수혜를 볼 수 있다. 참고로 동탄역에서 수서역까지는 1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평택지제역은 동탄역 정차시 25분, 통과시 20분이 걸린다.] [[청량리역]]까지 올라가거나 [[동서울터미널]]이나 [[고속터미널]], [[남부터미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강원 [[영서]], [[영동]] 지방이나 경북 북부, 내륙지방에 갈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부발역]]에서 끝나는 [[중부내륙선]]의 경우 본 계획 노선만으로는 서울 진입이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충주시]], [[문경시]] 등 중부내륙선 연선지역에서 서울로 바로 들어오려면 수서광주선 건설이 꼭 필요한 상태다. 이 과정에서 광주시가 교통의 요지로 떠오를 것이라는 지역 언론의 주장도 있다. [[http://www.ctnews.co.kr/33237|#]] 상단 공청회 자료에 따르면 수서-강릉, 수서-부전, 수서-충주(-거제)와 같은 다양한 운행계통이 명시되어 있다. [[GTX-D]]와 이 노선을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환승노선''' || '''소재지''' || || 0.0 || [[수서역|수 서]] || 水 西 || R || ─ || ⊙ || [[수서평택고속선]] || {{{#fe5b10 ●}}}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ffb300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 || 6.8 || [[모란역|모 란]] || 牡 丹 || T || ─ || ● || ─ || {{{#ffb300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br]{{{#f14c82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 || 19.2 || [[경기광주역|경기광주]] || 京畿廣州 || t || ─ || ⊙ || [[경강선]] || {{{#0054a6 ●}}}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 [[경기도]] [[광주시]] || == 논란 == === [[용인시]] 측 연장 제안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d702fb1f0a944daa8a81874318eb5974_99_20170308173602.jpg|width=100%]]}}} || || '''용인시 연장 제안 노선도''' || * [[경기도]] [[용인시]], [[광주시]]는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전대·에버랜드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밝혔다. [[정찬민(정치인)|정찬민]] 용인시장, [[조억동]] 광주시장은 [[2017년]] 3월 8일 용인시청 파트너스룸에서 '수서~에버랜드 복선전철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경기도 용인시, 광주시는 [[위례신사선]] 연장보다는 수서~광주 복선전철 연장이 서울 접근성이나 사업비 절감 등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191627|출처]] 그리고 이 노선을 남사면과 동탄신도시까지 연장하려고 용인시에서 추진중이다. 다만 이 노선이 수도권 전철로 운행할지, 아니면 일반철도로 운행할지는 미지수다. 만약 일반열차가 들어온다고 가정할 경우 속도는 느릴 지언정, 노선 구조상 중부내륙선과 남부내륙선을 통해 수서역과 부산광역시를 이어줄 수가 있기에 '경-부'축선 철도의 바이패스 노선 기능을 할 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부내륙선은 진주에서 부산방면으로 연결선을 건설할 계획인데다가 경부선의 혼잡 구간인 수원과 대전, 동대구를 피해서 가기 때문에 장거리 이용객이 조금이나마 좌석을 확보하기가 쉬워진다.] * 제안안에서 [[삼동역]]을 추가 정차하도록 표시하였다. 삼동역은 경기도 광주시 관할인데, [[광주시]]도 해당 계획을 통해 철도 요충지로 발돋움하고자 하려는 모양새다. [[http://www.ctnews.co.kr/33237|#]] 광주시도 반대할 이유가 없는 것이, 교통체증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태전지구를 지나가게 해서 교통문제를 완화할 수 있고, 인구가 많은 편인 오포동 등에도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도중에 용인시가 버려짐에 따라 한동안은 용인까지 연장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발등에 불떨어진 [[용인시]]는 연장에 실패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뜬금없이 경강선 연장안을(광주-용인-안성) 들고 나타났다. 남사를 거쳐 동탄까지 잇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는 말이 있다. 다만 [[용인시]] 구간에 대한 용역결과는 2020년 7월에 나올 예정이며 21대 총선 공약에도 조금씩 모습을 비추는 것을 보면 여러 상황에 대비하려는 것 같다. * 현재는 사실상 [[수도권 전철 경강선/연장 #s-2.2|경강선 지선 계획]]으로 대체되었다. 용인시 측에서 주장하는 노선은 아래와 같다.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환승노선''' || '''소재지''' || || || [[한국외대]] || 韓國外大 || ─ || ─ || || || ||<|3> [[경기도]] [[용인시]] || || || [[전대에버랜드역|전대 · 에버랜드]] || 前垈·에버랜드 || ─ || ─ || || || {{{#4ea346 ●}}}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 || || 남 사 || 南四 || ─ || ─ || || || || || [[동탄역|동 탄]] || 東灘 || ─ || ─ || || || [[SRT]] [br] [[동탄인덕원선]] || [[경기도]] [[화성시]] || === [[성남시]] [[도촌동]] 역 추가 요구 === 삼동역 경유하는 계획선형 중 곡선반경이 넓고 회전수가 적은 최적안(현재 확정된 안)의 경우 도촌지구와 야탑동 주거지구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놀랍게도 이 수서광주선이 건설될 부지가 이미 현재 공원부지로 확보되어 있다. 바로 인근에 2003년 준공된 아파트가 철도 선형에 정확히 맞게 절개되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단지의 부지 확보 시점을 감안하면 이 노선의 건설을 위해 빠르면 2001년 즈음부터 토지 계획을 해 두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으나, 늦어도 2007년부터 시작된 도촌동 개발 때 계산해 두지 않았다면 이러한 형태로 부지를 확보할 수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남시의 경우 이런 식으로 미리 확보한 케이스가 몇몇 군데[* 가장 많이 알려진 케이스로는 경강선 판교역~서판교역 사이 부지. 이 부지는 판교신도시 계획 때 확보되었다.] 있는데, 수서광주선 관련 부지는 특히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이로 인해 최근 이 지역에서 해당 부지에 도촌사거리역(가칭)을 신설해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으며, 성남시에서도 교통기획과 주관 하에 추진할 것을 골자로 하는 보고서도 작성한 것이 확인된다.[[https://www.seongnam.go.kr/contents/down/pledge/11058_122.pdf|#]] 또한 지난 2020년 총선에서 [[성남시 중원구(선거구)|중원구]] 윤영찬, [[성남시 분당구 갑|분당구 갑]] 김병관 후보의 총선 공동 공약으로 등장해 더욱 여론몰이가 된 상황이다.[[http://m.kyeongin.com/view.php?key=20200402010000479|#]][* 윤영찬은 당선, 김병관은 낙선했다.] 도촌동은 여수동, 성남동, 상대원동 등 [[중원구]]의 다른 지역과는 떨어져있으며 둔촌터널([[공원로(성남)|공원로]]), 대원터널([[희망로(성남)|희망로]]), 도촌지하차도([[돌마로]])을 이용해야 [[성남 본시가지|중원구 본시가지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산으로 가로막혀 있는 동네라 섬과 같은 지형을 띠고 있다. 그러다 보니 기존에는 야탑동을 거쳐 이동해야 했던 모란역까지는 단 한 정거장, 야탑역을 거쳐 분당선을 탔어야 했던 수서역까지는 단 두 정거장 정도면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 될 수 있으니 역 추가를 요구하고 나선 것. 일단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안3'에 가칭 '여수도촌역'으로 반영은 되었으나, 여수도촌역이 빠진 '대안1'이 채택됨으로써 일단은 '''무산'''되었다. 만일 지하철 같은 도시철도였다면 여수도촌역과 삼동역 모두 정차가 강력하게 검토되었을지 모르나 이 철도는 도시철도가 아니라 기차(일반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 기타 == 해당 사업이 지지부진함에 따라 [[중부내륙선]]이 개통후 2년동안이나 반쪽짜리 노선의 오명을 써서 결국 2023년 12월부터 [[경강선]] [[판교역(성남)|판교역]]까지 [[KTX-이음]] 연장 운행을 할 예정이다. == 관련 문서 == * [[중부내륙선]] * [[남부내륙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