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파일:쉐보레 로고.sv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에피카.png|width=100%]]}}} || || {{{#ffffff '''Epica'''}}} || [목차] '''Chevrolet / [[홀덴 에피카|Holden Epica]]'''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사라진 브랜드인 [[GM대우]]에서 [[쉐보레]]로 판매했던 [[중형차]] 라인업이다. 두 세대 차량 모두 주로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GM대우]] 부평공장에서 제조됐다. == 상세 == === 1세대 (2004~2006) === || [[파일:2004 쉐보레 에피카.png|width=100%]] || || '''{{{#fff 국제 사양}}}''' || || [[파일:쉐보레 에피카 캐나다 사양.png|width=100%]] || || '''{{{#fff [[캐나다|{{{#fff 캐나다}}}]] 시장 사양}}}''' || [[GM대우 매그너스|매그너스]]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으로 [[캐나다]] 및 [[콜롬비아]] 시장 등지에서 판매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쉐보레 말리부|말리부]]의 존재로 인해 [[스즈키 베로나]]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거쳐 판매했다. || [[파일:external/file.ebn.co.kr/23_33942_1.jpg|width=100%]] || || '''{{{#fff [[중국|{{{#fff 중국}}}]] 사양인 징청 에피카}}}''' || 2005년에는 [[대만]]에만 수출되던 매그너스의 수출 라인을 확대해 대만의 포모사와는 별개로 중국 본토에서 쉐보레 징청 에피카라는 이름으로 수출했다. 2,500cc 엔진 한정으로 대만에서 소량 생산되던 L6 엔진은 중국 생산분에서 배제됐고[* 자사의 [[GM대우 마티즈|마티즈 1세대]]를 카피한 [[체리자동차]]의 '[[체리 QQ|QQ]]'의 예를 들며 기술 유출 우려로 인해 GM 측이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대신해 국내의 초기 생산분에 장착된 [[홀덴]] C20SED 엔진을 장착했다. 한편으로 매그너스의 금형 및 설계도를 중국의 [[상하이자동차]](上海汽車工業總公司, SAIC)[* 2004년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를 인수했다가 쌍용차에 투자하기는 커녕 기술유출 후 기업 지분을 매각한 먹튀 사태로 유명한 회사. 2002년 [[GM대우]] 출범 당시 지분 10%를 소유하고 있었고 [[GM 한국사업장|한국GM]]으로 재출범한 현재까지도 지분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가 유출해 매그너스의 디자인과 상당히 유사한 [[체리 이스타]]라는 차를 생산했다는 논란이 있다. 다행히 XK 엔진의 금형 및 설계도는 유출이 되지 않아서 기술 유출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2002년 GM에 인수되기 전에는 대우 매그너스로 수출됐고, 북유럽 시장에선 대우 에반다로 판매됐다. 그러다 2002년 [[대우자동차]]가 GM에 인수된 이후 GM이 보유하고 있는 세계 각국 네트워크를 통해 GM 산하의 여러 브랜드를 통해 판매됐다. 대표적으로 동유럽에선 쉐보레 에반다, 중동/캐나다/남미에선 위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등 다양한 이름으로 판매돼 [[유럽]] 및 [[캐나다]]에서 판매되던 [[올즈모빌 알레로]]를 대체하는 역할을 했다. === 2세대 (2007~2011) === || [[파일:2006 쉐보레 에피카.png|width=100%]] || || '''{{{#fff 국제 사양}}}''' || GM은 [[GM대우 토스카|토스카]]를 쉐보레 에피카(Chevrolet Epica)라는 수출명으로 아시아와 유럽 시장에 출시했으며 자사의 글로벌 중형차 대표 모델로 밀었으나 기대보다는 미적지근한 반응을 얻었다. 해외에서는 이전 모델에 이어서 같은 이름으로 판매됐다. 이래저래 [[배지 엔지니어링]] 신세. 다만 별도로 [[오세아니아]] 일대는 현지 브랜드인 [[홀덴]]이 강세였기에 [[홀덴 에피카|홀덴 브랜드]]로 팔렸으며, [[아이슬란드]]에서는 쉐보레 브랜드를 제외하면 국내와 같이 토스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다.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공장과 2007년 6월부터 [[우즈베키스탄]]에서도 현지생산을 한 바 있었다. 세계 금융 위기 후 파산 위기를 간신히 넘긴 GM은 각 [[차급]]별로 모델을 단일화하는 구조조정을 실시했는데, 대체로 북미지역의 모델들로 통일되면서 [[쉐보레 말리부|말리부]]가 그 후속으로 대체됐다. [[싱가포르]]에서는 [[현대 쏘나타/5세대|NF 쏘나타(페이스리프트 모델인 트랜스폼 포함)]], [[기아 K5|K5]], [[현대 i40|i40]] 및 [[르노 래티튜드]]와 함께 [[2010년대]] [[택시]]로 많이 판매되어 돌아다녔다. ==== 중국형 (2007~2015) ==== || [[파일:징청 에피카 초기형.jpg|width=100%]] || [[파일:징청 에피카 후기형.jpg|width=100%]] || ||<-2> '''{{{#fff [[중국|{{{#fff 중국}}}]]형 징청 에피카}}}''' || 중국에서는 전량 가솔린 엔진만 생산했다. 초기에는 [[홀덴]]의 2.0L급 4기통 SC-1 엔진[* 매그너스 초기형에 달린 그 엔진 맞다.]을 얹은 모델과 1.8L 모델, 1.6L 모델이 병행 생산됐으나, 2013년식으로 모델 체인지되며 1.6L 4기통 D-TEC 엔진[* [[대우 레간자|레간자]]와 [[대우 누비라|누비라]]에 달렸던 그 엔진 맞다.(...) ~~어째 엔진이 가면 갈수록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으로 일원화되면서 배기량이 줄어들었다'''(...)''' --진정한 다운사이징-- 이전 세대처럼 차량의 이름은 징청 에피카로 판매했으며, 한국 공장에서 생산하지 않고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만 제작됐다. 다행히도(?) 한국의 ~~속이 문드러 터지는~~ 1.8L 모델과 달리 상대적으로 마력이 높아 주행 성능은 나름 쓸 만했다. 게다가 이쪽은 나름 말 많은(...) [[6기통]] 엔진이 적용됐지 않고, 전부 [[4기통]]이라 오히려 품질 문제는 그다지 없었고, 국내 경쟁 모델들 대비 제법 품질이 준수했었는지 아니면 쉐보레 이름값인지는 모르겠으나 연간 판매량에서는 [[현대 미스트라]]가 나올 때까지 '''[[현대 쏘나타|쏘나타]]를 매년 이겼다!''' 또 외관이 크게 변경되지 않는 선에서 약간의 패밀리 룩을 집어넣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계속 생산했다. 원가절감이 시작된 이후로는 주로 저가시장을 공략했다. 중국 쉐보레의 인기모델이었으며 [[http://m.etoday.co.kr/view.php?idxno=1177511#cb|현지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알리바바와도 연계하여 판매를 한 이력이 있다.]] == 호주 사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홀덴 에피카)]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include(틀:SAIC-GM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GM대우 토스카, version=595)]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GM대우/생산차량]][[분류:SAIC-GM/생산차량]][[분류:2004년 출시]][[분류:2015년 단종]][[분류:중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