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오닉스 플러스.png|width=100%]]}}} || || {{{#ffffff '''ONIX'''}}} || [목차] '''Chevrolet Onix / Prisma / Onix Plus[* 2세대 세단 사양]''' '''Chevrolet Joy / Joy Plus'''[* [[아르헨티나]] 시장 1세대 한정] '''雪佛兰 科沃兹'''[* 2세대 중국명칭]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쉐보레]]에서 남미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하는 전략 차종이었다가 2세대부터 [[중국]] 등 [[개발도상국]] 시장으로 확대된 전략 차종이다. == 상세 == === 1세대(2012~2019) === ||[[파일:1세대 오닉스.png|width=450]]||[[파일:1세대 프리즈마.png|width=450]]|| || 쉐보레 오닉스 || 쉐보레 프리스마 || [[오펠 코르사|쉐보레 코르사]]와 [[쉐보레 셀타]]를 대체하는 소형차로 [[2012년]] 상파울루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5도에 해치백 차량은 오닉스로 세단 차량은 [[2013년]] 2월부터 프리스마로 판매되고 있다.[* 트럼크 볼륨은 500L라고 한다.] 판매 국가는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남미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쉐보레 아베오]] 등에 사용되는 GM 감마 플랫폼이 적용되었으며, 사양은 LS, LT, LTZ가 있었으며, 77마력의 가솔린/79마력의 에탄올 방식의 GM 패밀리 1 계통의 1.0L SPE/4형 I4 엔진과 가솔린 97마력, 에탄올 105마력을 내는 1.4L SPE/4형 I4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변속기는 5단, 6단 수동변속기와 GM 6T40 변속기 계통의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이며, 전면부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이 후면부는 트위스트 빔 서스펜션이 적용되었다. 1.0L 엔진 차량은 14인치 휠이 1.5L 엔진 차량은 15인치 휠이 적용되었다. 이외에도 안전 장비로 이중 에어백, [[ABS]], [[파워 스티어링]]이 적용되었다. 전장은 초기형이 3,930mm, 2017년형이 3,933mm, 액티브 사양이 3,958mm, 프리스마 세단 전기형이 4,275mm, 후기형이 4,282mm, 전폭은 모든 사양이 1,705mm, 액티브 사양이 1,737mm, 전고는 초기형 오닉스가 1,480mm~1,484mm, 후기형은 1,474mm~1,478mm, 액티브 사양은 1,497mm, 휠베이스는 모든 사양이 2,528mm였다. 공차중량은 초기형이 1,008kg~1,091kg, 2017년형이 1,011kg~1,074kg, 액티브 사양이 1,062kg~1,092kg, 프리스마 세단 전기형이 1,021kg~1,119kg, 후기형이 1,028kg~1,085kg이었다. 생산은 [[히우그란지두술 주]] 그라바타이 공장과 [[브라질]] [[상파울루]] 주 상카에타누두술 공장에서 생산된다. [[2017년]] [[우루과이]], [[브라질]] 시장에서 베스트셀링카가 되기도 했다. 2017년형 차량은 이전에 생산된 차량에 비해 3~5mm 정도 길이가 길어졌다. ||[[파일:오닉스.png|width=450]]||[[파일:프리즈마 페리.png|width=450]]|| || 쉐보레 오닉스(2018년형) || 쉐보레 프리스마(2018년형) || [[2017년]]에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며,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가 연동되는 터치스크린 내비게이션이 탑재되었다. 기존에 판매되던 오닉스와 프리스마의 LS 사양은 '오닉스 조이'와 '프리스마 조이'라는 이름으로 병행 판매되었으며, LT 사양이 기본형으로 판매되었다. [[파일:오닉스 페리.png|width=700]] 오닉스 액티브(2018년형) 또한, 같은 시기에 일부 상승된 서스펜션, 플라스틱 차체 클래딩, 루프 랙이 추가된 크로스오버 사양인 '오닉스 액티브' 역시 추가되었다. [[파일:브라질 오닉스 라인업.png|WIDTH=700]] [[브라질]], [[아르헨티나]] 시장에서는 [[2019년]] 말에 2세대 오닉스가 출시되면서 프리스마는 '오닉스 플러스'로 판매되면서 기존의 오닉스와 프리스마는 쉐보레 조이 및 쉐보레 조이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병행 판매되고 있다. 현재는 [[멕시코]], [[아르헨티나]] 시장에만 판매되고 있는 상태. ==== 안전성 ==== [[2014년]] 12월에 실시된 라틴-[[NCAP]] 테스트 결과, 성인의 경우 62.76%로 3성급을 받았으며, 17점 만점에 10.67점을 획득했다. 그리고 어린이의 경우 41.10%로 2성급을 획득했으며, 49점 만점에 20.14점을 획득했다. 이후 [[2017년]] 5월에 재평가가 진행되었을 때에는 성인의 경우 34점 중 0점을 획득했으며, 어린이는 55.88%로 3성급을 획득하고 49점 만점에서 27.38점을 획득했다. === 2세대(2019~현재) === ||[[파일:쉐보레 오닉스 플러스.png|width=450]]||[[파일:쉐보레 오닉스.png|width=410]]|| || [[2020년]]형 오닉스 플러스(세단 사양) || 쉐보레 오닉스 해치백 || [[2019년]] 4월에 [[중국]] 시장에 출시됐으며, [[쉐보레 아베오|쉐보레 소닉]]과 [[쉐보레 카발리에(2016)|쉐보레 카발리에]]의 후속 차종[* 중국명 역시 '커워즈(科沃兹)'로 카발리에의 이름을 계승하였다.]으로 판매되는 중이다. [[브라질]]에서 개발된 1세대 오닉스 및 프리스마와는 별도 모델이며, 크기도 더욱 큰 편이다. 플랫폼은 2세대 [[뷰익 엑셀]], [[쉐보레 트랙커]] 등에 적용되는 [[GM GEM 플랫폼|GEM 플랫폼]]이 적용된다. [[브라질]] 시장에는 같은 해 9월에 출시되었고 '오닉스 플러스'가 같은 해 11월부터 해치백인 '오닉스'가 판매되었다. 상술했듯, 1세대 역시 '조이' 및 '조이 플러스'로 병행 판매 중이다. 생산은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 그라바타이 공장, [[멕시코]] 산루이스포토시 주 공장, [[중국]] [[옌타이|옌타이 시]] '둥웨기차'(Dong Yue Motors)를 통해 위탁 생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파일:중국형 오닉스.png|width=700]] 2020년형 중국형 오닉스 레드라인 사양 [[중국]] 시장에 먼저 나온 오닉스는 '레드라인' 사양인데, 검은색 외장, 빨간색 악센트와 투톤 컬러가 적용된다. 중국형의 [[파워트레인]]의 경우, 1.0L 에코텍 325T형 가솔린 I3 엔진을 탑재했으며, 123마력과 180Nm의 최대 토크를 낸다. 연비는 약 20.4km/L이며 [[브라질]] 사양은 포트 분사 터보 차저 및 자연 흡기 사양의 엔진이 탑재된다. 안전성 역시 보강되어 라틴 [[NCAP]]에서 별점 5점을 획득하였다. [[멕시코]] 시장에는 [[쉐보레 카발리에(2016)|쉐보레 카발리에]]와 [[쉐보레 아베오]]로 판매되는 [[쉐보레 세일|세일]] 사이의 포지션으로 판매되며, [[2020년]]에 출시가 이루어졌다. 안전 장비로는 6개의 에어백, [[ABS]] 브레이크, 전자식 안전성 제어 장치가 있으며, 편의 장비로는 7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온스타 서비스, 카메라가 적용된 역방향 센서, 실내 가죽 트림이 적용된다. [[중국]] 및 [[브라질]]형과 다르게 2개의 [[파워트레인]]으로 판매되는데, LT와 LS 사양은 114마력의 1.0L 에코텍 325T 엔진이 그대로 탑재되며, 6단 [[자동변속기]]가 딸려 오지만, 최고급 사양인 프리미어에서는 130마력의 1.2L 엔진이 탑재된다. 전장은 4,474mm, 전폭은 1,730mm, 전고는 1,471mm, 휠베이스는 2,600mm, 공차중량은 1,120kg이다. [[2019년]]까지 5년 동안 268,066대를 판매해 [[브라질]] 시장에서 베스트셀링카 지위를 놓치지 않고 있으며, 많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국가군에서도 베스트셀링카로 뽑히고 있다.[* 다만, [[파나마]]나 [[도미니카 공화국]]쪽은 [[현대자동차]] 혹은 [[기아자동차]]가 강세인 지역이라 예외.] 2022년부터 우즈베키스탄의 [[우즈오토 모터스]] 공장에서도 생산된다. 현지에서 아직 코발트와 라세티의 인기가 뜨거운만큼 상당한 판매량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include(틀:SAIC-GM의 차량)]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SAIC-GM/생산차량]][[분류:201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