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유업계 슈퍼메이저)] ||<-3> {{{+1 {{{#white '''쉐브론'''}}}}}}[br]{{{#white '''Chevron'''}}} || ||<-3> [[파일:쉐브론 로고.svg|width=50%]] || ||<-2> '''정식 명칭''' ||Chevron Corporation || ||<-2> '''기업''' ||[[주식회사]] || ||<-2> '''분야''' ||[[석유]]/[[천연가스]] || ||<-2> '''창립''' ||[[1879년]] [[9월 10일]] || ||<-2> '''전신''' ||스탠더드오일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본사''' ||[[캘리포니아]] 샌라몬 || ||<-2> '''이사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1528; font-size: 0.75em" {{{#fff '''의장'''}}}}}} 마이클 워스 {{{-2 (2018년~ )}}} || ||<-2>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1528; font-size: 0.75em" {{{#fff '''CEO'''}}}}}} 마이클 워스 {{{-2 (2018년~ )}}} || ||<|7> '''회사 규모''' || '''시가 총액''' ||3,182억 달러 ^^(2023년 10월)^^ || || '''매출액''' ||1,624억 6,500만 달러 ^^(2021년)^^ || || '''영업 이익''' ||223억 5,100만 달러 ^^(2021년)^^ || || '''순이익''' ||156억 2,500만 달러 ^^(2021년)^^ || || '''자산 총액''' ||2,395억 3,500만 달러 ^^(2021년)^^ || || '''자본 총액''' ||1,390억 6,700만 달러 ^^(2021년)^^ || || '''인원''' ||약 45,000명 ^^(2019년)^^ || ||<-2> '''링크''' ||[[https://www.chevron.com/|[[파일:쉐브론 로고.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Chevr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evron,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chevr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user/Chevr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linkedin.com/company/chevron|[[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파일:chevron houston1.jpg|width=100%]]|| ||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쉐브론 빌딩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석유]] 및 [[천연가스]] 관련 기업. 스탠더드오일 분할 당시 자회사 중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였던지라 [[엑슨모빌]]만큼이나 스탠더드오일의 후계자라는 자부심이 강한 기업이다. == 역사 == [[1879년]]에 퍼시픽 코스트 오일 회사(Pacific Coast Oil Company)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장 큰 석유 회사였으나 [[1900년]]에 [[존 데이비슨 록펠러]]의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이 당시 시가 76만 1,000달러에 인수해서 스탠더드오일의 자회사인 캘리포니아 스탠더드가 되었다. 하지만, [[1911년]]에 스탠더드 오일이 [[반독점법]]의 철퇴를 맞으면서 34개 회사로 강제 분할되었고 캘리포니아 스탠더드 오일은 캘리포니아 스탠더드 오일 회사('''S'''tandard '''O'''il '''C'''ompany of C'''al'''ifornia, SOCAL)로 명칭을 변경했다. 분할된 이후 [[1936년]]에 [[텍사스]]주에 기반한 텍사스 연료 회사(Texas Fuel Company)[* 現 텍사코(Texaco)]와 조인트벤처인 ~~뭔가 이름이 익숙한~~ 칼텍스를 설립해서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지역 석유 시추권을 획득하는 등 이 시기부터 텍사코와 긴밀한 관계를 이어갔고,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에 캘리포니아-아라비아 스탠더드 오일 회사(California-Arabian Standard Oil Company)를 만드는데 이 회사의 지분을 [[1980년]]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전부 매입했고 현재의 [[사우디 아람코]]가 된다. SOCAL이 반독점법 판결 결과로 서부 지역에서만 스탠더드 오일 명칭 사용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SOCAL이 다른 지역으로 확장하면서 '''쉐브론'''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46년부터 55년까지는 Calso라는 명칭도 사용했다.] 그리고, [[1984년]]에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있는 [[걸프 오일]](Gulf Oil)[* 앤드루 멜런(Andrew Mellon)이 1901년 설립한 석유회사. 게티(Getty)와 함께 미국의 대형 석유회사들 중 몇 안되던 처음부터 몇 안되던 스탠더드 오일 계열이 아닌 회사였다. 1962~1980년까지 [[대한석유공사]]와 합작한 업체였다.]을 인수합병하는 과정에서 '스탠더드 오일'이라는 회사명이 [[반독점법]]에 저촉되어서 당시 [[걸프 오일]]이 가지고 있던 정유시설 상당수를 매각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SOCAL은 같은 해에 자사의 브랜드인 '''쉐브론으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2000년]]에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텍사코를 450억 달러에 인수합병해서 쉐브론 텍사코(ChevronTexaco)로 회사명을 변경했고, 2005년에 유니온오일(유노칼)[* '76'이란 휘발유 브랜드로 유명하며, 주유소 간판이 풍선 모양이었다. 1983년까지 한국 [[경인에너지]]와 합작투자 관계였다.]을 합병하고 회사명을 다시 쉐브론으로 되돌렸다. 2019년 8월 주식 : 현금 = 75 : 25 비율로 아나다코 인수 합의에 이르렀으나,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이 부채 포함 570억 달러라는 더욱 높은 금액을 제시하고 주식교환 비중을 줄이면서 10억 달러 계약파기금을 지급받고 인수에 최종 실패했다. 2020년에 원유·가스 생산업체인 노블 에너지(Noble Energy)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58043?sid=104|#]] 2023년 10월 530억 달러 규모의 주식교환 방식으로 석유 탐사 기업 헤스(Hess Corp)를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주당 인수가는 전날 종가인 163달러에다 5% 프리미엄을 더한 171달러. 경쟁사 [[엑슨모빌]]이 600억 달러에 [[셰일 가스]] 기업인 PNR을 인수하겠다고 선언한지 얼마 지나지 않고 보도된 일이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020년대 들어서 화력발전과 내연기관 자동차가 하락세를 맞는 등 [[탄소중립]]이 가속화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미국 내 에너지 업계는 높은 수익성을 내고 있는 소수의 거대 업체 위주로 다시 한 번 개편되는 추세다. == [[대한민국]]과의 관계 == 걸프에 이어 한국에 두 번째로 진출한 미국 석유사로[* 사실 엄밀히 따지면 스탠더드 오일은 대한제국 시절에 이미 서울에 진출해 있었다. 물론 정유시설을 설립한 것이 아니라 판매망이 있었던 것이다.], 1967년 자회사 칼텍스를 통해 락희화학과 합작으로 호남정유를 설립해 한국 진출을 이루었다. 창립 이래 칼텍스도 [[럭키금성]]과 함께 대표이사를 한 명씩 선임했으나, 1986년 합작투자계획을 수정해 럭키금성이 독자경영하는 쪽으로 위상을 바꿨다. 2005년 [[GS|GS그룹]]으로 합류한 뒤에도 쉐브론과 오랜 기간 동안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쉐브론이 [[GS칼텍스]] 지분을 50% 소유하고 있다. 호남정유 시절 휘발유 브랜드로 사용됐던 '테크론'(Techron)도 원래는 쉐브론의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현재는 미국 등지에서 연료 첨가제 브랜드로 사용된다. == 산하 브랜드 == ||[[파일:Chevron station.jpg|width=100%]]||[[파일:Texaco station.jpg|width=100%]]||[[파일:Caltex station.jpg|width=100%]]|| [[미국]]과 [[캐나다]][* 그러나 캐나다에서는 서부지역에서만 영업한다. [[BC주]]와 [[앨버타]] 2개주빼고는 캐나다에선 쉐브런 주유소를 볼수없다.] 지역에서는 '''쉐브론'''과 '''텍사코''' 브랜드로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휘발유]]는 테크론(Techron)[* 대한민국에서는 상술했듯 호남정유/LG정유 시절 당시였던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테크론 브랜드를 사용한 적이 있었다. 1999년 가을에 시그마 6라는 휘발유 브랜드로 바뀌었으며 GS칼텍스 분리 이전인 2005년까지 시그마 6 브랜드를 사용했다.]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 해외 각지에서도 쉐브론 브랜드로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뉴질랜드]]에서는 별개로 '''칼텍스'''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1984년]]에 쉐브론이 인수한 걸프 오일은 쉐브론에서 직접 사용하지 않고 [[1986년]]에 브랜드 상표권을 매각했다. 주유소 이외에도 [[엔진오일]] 브랜드로 Havoline, Delo, Ursa[* 유럽 및 라틴아메리카 전용이다.]를 가지고 있다. == 지배구조 ==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 [[버크셔 해서웨이]] || 8.70% || || [[뱅가드그룹]] || 8.22% || || [[블랙록]] || 7.00% || || [[스테이트 스트리트]] || 6.61% || ||<-2> 2023년 4월 공시 기준.[[https://chevroncorp.gcs-web.com/static-files/d4b0938b-8c9a-492d-9cec-bf82de4017cb|#]] || == 기타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본사 규모와 비슷한 지사를 두고 있는데, 휴스턴 지사로 사용하고 있는 빌딩 두 개가 다름이 아닌 [[엔론]]이 본사로 사용한 건물이었다. 특히나, 빌딩 하나는 엔론이 본사 확장을 목적으로 [[1999년]]부터 짓기 시작해서 [[2002년]]에 입주하려고 했지만, [[2001년]]에 [[분식회계]] 사태로 새로운 건물을 사용하지도 못하고 망해버렸다. 이 빌딩은 [[2004년]]에 쉐브론이 매입해서 입주했고, 비어있던 기존 [[엔론]] 본사[* 1983년에 건설]도 2006년에 쉐브론이 임대한 이후 [[2011년]]부터 통째로 매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쉐브론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빌딩 옆에 비어있는 공터에 새로운 마천루를 지어서 확장할 예정이다. 1993년 [[심시티 시리즈]]로 유명한 [[맥시스]]에 의뢰해 '심리파이너리(SimRefinery)'라는 이름의 게임을 만들었던 적이 있다. 이는 맥시스의 다른 인기 게임이었던 [[심팜]]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석유 시추 시설을 건설하는 게임이었는데, 사내 교육용으로만 쓰였고 일반 판매는 되지 않았기 때문에 [[심 시리즈]] 중에서도 환상의 로스트 넘버였지만 2020년에 비로소 디스켓이 발굴되며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분류:미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분류:1879년 기업]][[분류:전범기업/나치 독일/비독일계]][[분류:주유소]][[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