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위트홈(드라마)]][[분류:2020년 드라마]][[분류:10부작 드라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 rd1=스위트홈, other2=전체 시리즈, rd2=스위트홈(드라마))] [include(틀:스위트홈(드라마))] ||<-3>
'''[[넷플릭스|{{{#ffffff NETFLIX}}}]]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s-2|{{{#ffffff 시리즈}}}]][br]{{{+1 스위트홈}}}''' (2020)[br]Sweet Home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언어별 제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7em" {{{#ffffff 한국어}}}}}}]] 스위트홈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7em" {{{#ffffff 영어}}}}}}]] Sweet Home [[일본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7em" {{{#ffffff 일본어}}}}}}]] Sweet Home -俺と世界の絶望- [[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7em" {{{#ffffff 태국어}}}}}}]] สวีทโฮม}}} || ||<-2> '''장르''' ||[[호러물|공포]], [[스릴러]], [[다크 판타지]], [[괴수물|괴수]], [[크리처물|크리처]], [[재난물|재난]], [[액션]], [[느와르]], [[서스펜스]] || ||<-2> '''공개일''' ||[[2020년]] [[12월 18일]] || ||<-2> '''공개 회차''' ||10부작 || ||<-2> '''러닝 타임''' ||497분 || ||<-2>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스튜디오N]] || ||<|3> '''제[br]작[br]진''' || '''연출''' ||[[이응복]], [[장영우(PD)|장영우]], 박소현 || || '''극본''' ||홍소리, 김형민, 박소정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PD''' ||김민정, 박진형, 강희욱, 정효진 || || '''촬영''' ||김천석, 표상우 || || '''미술''' ||이목원 || || '''음악''' ||[[개미(음악감독)/드라마 음악|개미]] ||}}} }}} }}} || ||<-2> '''원작''' ||[[네이버 웹툰]] - [[김칸비]] 〈[[스위트홈]]〉 || ||<-2> '''출연'''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外 || ||<-2> '''촬영 기간''' ||[[2019년]] [[8월 16일]] ~ [[2020년]] [[2월 29일]] || ||<-2> '''독점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061734|▶]]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시청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2> '''링크'''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L1qZqiuec_RsTcgEUCO1PRAjlzdpK04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tv.naver.com/playlist/65659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2]]]] | [[https://instagram.com/netflixk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 크기=22)] | [[https://post.naver.com/my/series/detail.naver?memberNo=25425763&seriesNo=625436|[[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2]]]]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qr-se75wgspkyugMeumRv8QDhWCy_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instagram.com/netflixkconte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content, 크기=22)] {{{-3 Netflix K-Content}}}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모션 아트.gif|width=100%]]}}} || || '''죽어버리거나, 괴물로 살아남거나'''[*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의 명대사("You either die a hero, or you live long enough to see yourself become the villain")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 은둔형 외톨이 고등학생 현수가 가족을 잃고 이사 간 아파트에서 겪는 기괴하고도 충격적인 이야기 || [[2020년]] [[12월 18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동명의 웹툰 《[[스위트홈]]》을 원작으로 한다. ==# 공개 정보 #== 오리지널 캐릭터의 추가로 인해 원작과 흐름이 다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10부작으로 제작되었기에 분량 삭제가 있을 수도 있다. 영상물등급위원회 등급분류결과 및 넷플릭스 웹페이지에서는 시즌1이라고 표기되어 있어 차후 시즌제로 제작될 여지가 있는데, 실제 후속작 제작 여부와 관계 없이 넷플릭스에서는 극소수의 리미티드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이렇게 표시한다. [[김칸비]] 작가 인터뷰에 따르면 드라마의 결말은 원작과는 다르다고 한다. 결말부터 다른 만큼 많은 요소가 원작과는 상이할 것으로 보인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0&aid=0000043325|#]]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s3Qqp5LD2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5IQqZDSRjk)]}}} ||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GdmCqV--3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ynLWB0Svu8)]}}} || || '''모션 아트''' || '''스위트홈 | 오늘 공개'''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메인 포스터.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메인 포스터(가로).jpg|width=100%]]}}} || ||<-2> '''메인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캐릭터 포스터 차현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캐릭터 포스터 편상욱.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트홈(시즌 1) 캐릭터 포스터 서이경.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5px" [[차현수/드라마|{{{#ffffff {{{-1 '''차현수'''}}}}}}]]}}} || {{{#!wiki style="margin: -3px -5px" [[편상욱(스위트홈)/드라마|{{{#ffffff {{{-1 '''편상욱'''}}}}}}]]}}} || {{{#!wiki style="margin: -3px -5px" [[서이경|{{{#ffffff {{{-1 '''서이경'''}}}}}}]]}}} || ||<-3> '''캐릭터 포스터''' ||}}}|| === 스틸컷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height=20]]]] '''스틸컷'''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제목''' || '''링크''' || || {{{-2 2020. 11. 19.}}} || {{{-1 이들의 시선이 향하는 곳에는 과연 무엇이 도사리고 있을까요? 우리의 일상 공간인 ‘스위트홈’은 대체 어떻게 변해버린 걸까요? 12월 18일, 비밀을 품은 <스위트홈>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 [[https://www.instagram.com/p/CHwGJWfh8q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29213972357103617, 크기=20)] || || {{{-2 2020. 12. 01.}}} || {{{-1 사진만 봤는데, 이 숨 막히는 긴장감 뭐죠?🥶 일촉즉발의 대치, 각기 다른 욕망. ‘그린홈’ 속 고립된 사람들을 만날 시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어요.}}} || [[https://www.instagram.com/p/CIPGYlbFzK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33576547765248000, 크기=20)] || || {{{-2 2020. 12. 23.}}} || {{{-1 완성도 높은 비주얼, 압도적 미장센, 화재부터 폭우까지, 그야말로 ‘물불’ 가리지 않고 촬영하는 배우들의 열연이 담긴 #스위트홈 비하인드 스틸 공개⚡스위트홈 속 피땀눈물🧟‍♀️이란 바로 이런 것…?}}} || [[https://www.instagram.com/p/CJHiFR7DxJ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1518883073761281, 크기=20)] || || {{{-2 2020. 12. 29.}}} || {{{-1 저거슨 괴물이 아니여, 괴물 분장을 한 사..사람이여…😱 제일 궁금했어요. <스위트홈>의 괴물들. 김설진 안무가의 분장 과정부터 이도현 배우의 종을 초월한(?) 친화력까지👏 현장 비하인드 보고 가세요. (왜 때문에 비하인드 컷마저 오금 저리는 걸까요?)}}} || [[https://www.instagram.com/p/CJXFsrlH-0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3708448370802688, 크기=20)] || }}} }}} }}} || === 메이킹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height=20]]]] '''메이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제목''' || '''링크''' || || {{{-2 2020. 12. 16.}}} || {{{-1 스위트홈의 문을 열다}}} || [[https://youtu.be/M738oS60_9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1725108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0. 12. 22.}}} || {{{-1 스위트홈을 완성하다}}} || [[https://youtu.be/6bMl5t94HW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1738587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1. 01. 09.}}} || {{{-1 이분들 그대로 시트콤 하나 찍으면 안 되나요? 살벌한 <스위트홈>과는 다르게 살가움 넘치는, 쏘- 스위트한 현장! 함께 보시죠🎬}}} || [[https://www.instagram.com/p/CJz8zTkjuSj/|[[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7770073574989825, 크기=20)] || }}} }}} }}} || === 콘텐츠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height=20]]]] '''콘텐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분류''' || '''제목''' || '''출연''' || '''링크''' || || '''제작 발표회''' ||{{{-2 스위트홈 | 제작발표회 생중계}}} ||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김남희]], [[고민시]], [[박규영]], [[고윤정]]}}} || [[https://www.youtube.com/live/7o2gkcEocw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 '''화보''' ||{{{-2 The cast of Sweet Home, before the monster-pocalypse.}}} ||<|3>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 [[https://www.instagram.com/p/CI1_lk2pcvX/|[[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괴물과 사람, 과연 어느 쪽이 선이고 악인가. 어디까지가 괴물과 인간의 경계일까. 우리에게 익숙한 배우들이 그리는 전혀 새로운 세계. 드디어 이틀 뒤, 12일 18일 <스위트홈>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 [[https://www.instagram.com/p/CI1_e8MjDC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39050102804029440, 크기=20)] || ||{{{-2 이분들 얼굴, 이 분위기 뭐죠?👀 화보 맛집, 넷플릭스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표정부터 포즈까지 범상치 않은 <스위트홈> 배우들의 화보 보고, <스위트홈> 본편 보러 가시죠.}}} || [[https://www.instagram.com/p/CJAWDEFnbk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0507215791353856, 크기=20)] || ||<|8> '''키워드 인터뷰''' ||{{{-2 우리 현수, 송강이랑 영상 통화하는 기분! 너무 달콤해💕}}} || {{{-2 [[송강(배우)|송강]]}}} || [[https://www.instagram.com/p/CJPsDJdJP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2666445532983296, 크기=20)] || ||{{{-2 무섭지만 날 구해줄 것 같은 편상욱 아니, 무섭진 않지만 날 구해줄 것 같은 이진욱! 자타공인 등장장인의 멜로 눈빛 보고 가세요❤}}} || {{{-2 [[이진욱]]}}} || [[https://www.instagram.com/p/CJSefnyln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3059031997366273, 크기=20)] || ||{{{-2 그린홈 아파트 액션+카리스마+멋짐 1등은? 말해 뭐해, 어차피 대장은 이시영🔥}}} || {{{-2 [[이시영(배우)|이시영]]}}} || [[https://www.instagram.com/p/CJiP5xAgbSj/|[[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5278659150667776, 크기=20)] || ||{{{-2 가만히 있으면 고양이 웃으면 강아지! 우리 리더 이은혁, 아니 #이도현 왜 이렇게 섹시하고 스윗해?💕}}} || {{{-2 [[이도현]]}}} || [[https://www.instagram.com/p/CJktx9KhY6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5625943805546496, 크기=20)] || ||{{{-2 다들 기다린 거 알고 있었어요💕 #김남희 배우 니꼬자나⤵ 계속 봐주길 바래⤵}}} || {{{-2 [[김남희]]}}} || [[https://www.instagram.com/p/CJxsp0GlhB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7453006908850177, 크기=20)] || ||{{{-2 “오빠, 내가 잘할게.” 사약남매 응원길, 오늘 여기에 열립니다🌟}}} || {{{-2 [[고민시]]}}} || [[https://www.instagram.com/p/CJ0YXszHLf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7830471967834112, 크기=20)] || ||{{{-2 전지적 지수 시점에서 본 ‘제 뜻입니다’ 어땠을까요?🙈 1초만에 아련한 눈빛 발사한 지수의 키워드 인터뷰👏🏻}}} || {{{-2 [[박규영]]}}} || [[https://www.instagram.com/p/CJ22PCVFcv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48177762423513089, 크기=20)] || ||{{{-2 고윤정 배우 너무 멋있지 않습니까? 알람으로 저장하고 싶은 목소리 & 걸크러쉬한 매력은 바로 이런 겁니다. 스위트홈의 힐러, 유리에게 지금 또 한 번 반했습니다💙}}} || {{{-2 [[고윤정]]}}} || [[https://www.instagram.com/p/CKGTKahhk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status/1350352088413339653, 크기=20)] || ||<|6> '''기타 콘텐츠''' ||{{{-2 Cast of Sweet Home tells us what they really think of each other | Who, Me?}}} ||<|4>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 [[https://youtu.be/hoc8ObncQ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Song Kang, Lee Jin-uk, Lee Si-young, and Lee Do-hyun play charades}}} || [[https://youtu.be/2n_MW9dOK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스위트홈'의 달콤살벌한 TMI 현장!}}} || [[https://youtu.be/itgW2YqeO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이거시 ‘찐’리액션이다! '스위트홈' 비하인드썰}}} || [[https://youtu.be/DpsHS3I2p8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지금까지 이런 승부욕은 없었다 스위트홈 TMI 퀴즈}}} || {{{-2 [[김남희]], [[고민시]], [[박규영]], [[고윤정]]}}} || [[https://youtu.be/Ts3OoVUcQ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스위트홈에서는 넷플릭스 뭐 보나?}}} ||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 [[https://youtu.be/2vH4uJ344u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 {{{-2 2020. 12. 13.}}}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2 [[런닝맨]]}}} ||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 [[https://youtu.be/hUBM3cOJIi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0. 12. 18.}}} ||<|5> [include(틀:씨네21 로고)] ||{{{-2 '스위트홈' 송강·이도현·고민시·박규영, <씨네21> 커버 촬영}}} || {{{-2 [[송강(배우)|송강]], [[이도현]], [[고민시]], [[박규영]]}}} || [[http://cine21.com/news/view/?mag_id=96796| ]] || ||<|4> {{{-2 2020. 12. 31.}}} ||{{{-2 [인터뷰] '스위트홈' 송강 - "이젠 넷플릭스 로고만 봐도 반갑다"}}} || {{{-2 [[송강(배우)|송강]]}}} || [[http://cine21.com/news/view/?mag_id=96826| ]] || ||{{{-2 [인터뷰] '스위트홈' 이도현 - 진짜 연기를 알아가는 중}}} || {{{-2 [[이도현]]}}} || [[http://cine21.com/news/view/?mag_id=96827| ]] || ||{{{-2 [인터뷰] '스위트홈' 고민시 - "성별에 국한되지 않는 역할 맡고 싶다"}}} || {{{-2 [[고민시]]}}} || [[http://cine21.com/news/view/?mag_id=96828| ]] || ||{{{-2 [인터뷰] '스위트홈' 박규영 - "지수의 욕망이 변하면 '눈물괴물'이 될 것"}}} || {{{-2 [[박규영]]}}} || [[http://cine21.com/news/view/?mag_id=96829| ]] || || {{{-2 2021. 01. 04.}}} || {{{-2 [[네이버 나우|[[파일:네이버 나우 로고.svg|width=40]]]]}}} ||{{{-2 [[일기(네이버 나우)|헤이즈 일기]]}}} || {{{-2 [[고민시]], [[박규영]]}}} || [[https://navernow.onelink.me/o5cK/tnr03isa| ]] || ||<|2> {{{-2 2021. 01. 07.}}} ||<|2> [include(틀:엘르(잡지) 로고)] ||{{{-2 이시영, 이진욱, 이도현, 송강의 '다크' 스위트 홈}}} ||<|2> {{{-2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 [[https://www.elle.co.kr/article/51144| ]] || ||{{{-2 '스위트홈'의 송강, 이진욱, 이시영, 이도현의 릴레이 인터뷰! Mission Ellepossible with team 'SWEET HOME'}}} || [[https://youtu.be/MGe2xfQiV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1. 01. 09.}}} || {{{-2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2 [[전지적 참견 시점]]}}} || {{{-2 [[이시영(배우)|이시영]]}}} || [[https://youtu.be/LqjYzJSne6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1. 01. 13.}}} || {{{-2 [[파일:씨네플레이 로고.png|width=40]]}}} ||{{{-2 '스위트홈' 박규영x고민시가 고른 괴물 룸메이트는?🫀 (feat. 현수는 쓸모가 없어요...?!!?) | '스위트홈' 빙고 인터뷰}}} ||<|3> {{{-2 [[고민시]], [[박규영]]}}} || [[https://youtu.be/VSfM5VsH0s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2 2021. 01. 27.}}} ||<|2> [include(틀:1st Look 로고)] ||{{{-2 sweet memories}}} || [[https://blog.naver.com/firstlook_b/222221420058| ]] || ||{{{-2 #스위트홈 고민시(GO MIN SI)&박규영(PARK GYU YOUNG)! 넷플릭스 딸들의 추천작은?📺| 1stLook TV}}} || [[https://youtu.be/RFor6vxQBu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 || == 시놉시스 == >끔찍한 사고로 가족을 모두 잃은 외톨이 고등학생 현수는 그린 홈이라는 낡은 아파트 단지로 이사한다. >절망에 빠진 그는 점차 그린 홈에 관한 비밀을 깨닫는다. >왜곡된 인간 욕망을 여러 가지 형태로 투영하면서 인류를 몰아내려는 괴물이 그린 홈을 둘러싸고 있으며, 자신을 포함해 그린 홈 주민들은 그 괴물들에 갇혀있다는 사실을. >---- >– [[https://media.netflix.com/ko/press-releases/netflix-building-home-of-best-in-class-stories-from-korea|넷플릭스 미디어 센터 소개]] >세상을 차단하고 방 안에 틀어박힌 10대 소년. 현수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인간이 괴물로 변했다. 그래도 살아야 한다. 아직은 사람이니까. 이웃들과 함께 싸워야 한다. >---- >– 넷플릭스 소개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fff 등장인물}}}]] 생존 여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등장인물''' || '''배우''' || '''1화''' || '''2화''' || '''3화''' || '''4화''' || '''5화''' || '''6화''' || '''7화''' || '''8화''' || '''9화''' || '''10화''' || ||<-12> '''{{{#fff 주요 인물}}}''' || || [[차현수/드라마|차현수]] || {{{-1 [[송강(배우)|송강]]}}} ||<-10> {{{-1 생존}}} || || [[서이경]] || {{{-1 [[이시영(배우)|이시영]]}}} ||<-10> {{{-1 생존}}} || || [[편상욱(스위트홈)/드라마|편상욱]] || {{{-1 [[이진욱]]}}} ||<-9> {{{-1 생존}}} || {{{-1 '''사망'''}}}[* 마지막에 다시 살아난다. 액체 괴물이 몸을 차지한 것인지 본인이 괴물화 한 것인지는 불명. 괴물화가 된 것이라면 '유리를 지키는 것'이 욕망의 가능성일 수도 있다.] || ||<-12> '''{{{#fff 그린 홈의 거주자}}}''' || || [[이은혁/드라마|이은혁]] || {{{-1 [[이도현]]}}} ||<-9> {{{-1 생존}}} || {{{-1 '''불명'''}}}[* 괴물화가 진행 중인 상태였다. 현수처럼 반괴물 상태로 살아남았을 수도 있고, 완전히 괴물화가 이루어졌을 수도 있으며, 괴물화가 진행 되기 전인 [[골든 타임]] 때 인간인 상태로 무너지는 그린 홈 속에서 사망했을 수도 있다.] || || [[이은유(스위트홈)/드라마|이은유]] || {{{-1 [[고민시]]}}} ||<-10> {{{-1 생존}}} || || [[윤지수(스위트홈)/드라마|윤지수]] || {{{-1 [[박규영]]}}} ||<-10> {{{-1 생존}}} || || [[정재헌(스위트홈)/드라마|정재헌]] || {{{-1 [[김남희]]}}} ||<-7> {{{-1 생존}}} || {{{-1 '''사망'''}}} ||<-2> || || [[안길섭/드라마|안길섭]] || {{{-1 [[김갑수]]}}} ||<-9> {{{-1 생존}}} || {{{-1 '''사망'''}}} || || [[박유리(스위트홈)/드라마|박유리]] || {{{-1 [[고윤정]]}}} ||<-9> {{{-1 생존}}} || {{{-1 '''사망'''}}} || || [[한두식/드라마|한두식]] || {{{-1 [[김상호(배우)|김상호]]}}} ||<-9> {{{-1 생존}}} || {{{-1 '''사망'''}}} || || [[김석현(스위트홈)/드라마|김석현]] || {{{-1 [[우현(배우)|우현]]}}} ||<-5> {{{-1 생존}}} || {{{-1 '''사망'''}}} ||<-4> || || [[안선영(스위트홈)/드라마|안선영]] || {{{-1 김현}}} ||<-8> {{{-1 생존}}} || {{{-1 '''사망'''}}} || || || [[차진옥]] || {{{-1 [[김희정(1970)|김희정]]}}} ||<-10> {{{-1 생존}}} || || [[김수영(스위트홈)/드라마|김수영]] || {{{-1 [[허율(배우)|허율]]}}} ||<-10> {{{-1 생존}}} || || [[김영수(스위트홈)/드라마|김영수]] || {{{-1 최고}}} ||<-10> {{{-1 생존}}} || || [[최윤재]] || {{{-1 [[고건한]]}}} ||<-4> {{{-1 생존}}} || {{{-1 '''사망'''}}} ||<-5> || || [[임명숙(스위트홈)/드라마|임명숙]] || {{{-1 이봉련}}} ||<-3> {{{-1 생존}}} || {{{-1 '''사망'''}}} ||<-6> || || [[손혜인/드라마|손혜인]] || {{{-1 [[김국희]]}}} ||<-10> {{{-1 생존}}}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이수웅|이수웅]] || {{{-1 안동구}}} ||<-2> {{{-1 생존}}} || {{{-1 '''사망'''}}} ||<-7>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노병일|노병일]] || {{{-1 임수형}}} ||<-9> {{{-1 생존}}} || {{{-1 '''사망'''}}} || || [[강승완]] || {{{-1 우정국}}} ||<-10> {{{-1 생존}}} || || [[류재환/드라마|류재환]] || {{{-1 이준우}}} ||<-10> {{{-1 생존}}}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김지은|김지은]] || {{{-1 [[정하담]]}}} ||<-8> {{{-1 생존}}} || {{{-1 '''사망'''}}} ||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박민주|박민주]] || {{{-1 박진수}}} ||<-2> {{{-1 생존}}} || {{{-1 '''사망'''}}} ||<-7> || ||<-12> '''{{{#fff 그 외 인물}}}'''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경비원|경비원]] || {{{-1 신문성}}} ||<-7> {{{-1 생존}}} || {{{-1 '''사망'''}}} ||<-2>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신중섭|신중섭]] || {{{-1 허준석}}} ||<-9> {{{-1 생존}}} || {{{-1 '''사망'''}}}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정의명|정의명]] || {{{-1 [[김성철(배우)|김성철]]}}} ||<-9> {{{-1 생존}}} || {{{-1 '''사망'''[* 그린홈 거주민들을 죽이려다가 이를 막으려는 현수에게 죽임을 당하지만, 정의명의 신체를 사용하고 있던 본체는 살아남아 이동한다. 이 몸 저 몸으로 옮겨 다닐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특수 감염체로 보인다.]}}}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한유진|한유진]] || {{{-1 [[김지은(1988)|김지은]]}}} ||<-10> {{{-1 생존}}} || }}}}}}}}} || == 설정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괴물|괴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괴물)] === [[그린 홈/드라마|그린 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린 홈/드라마)] == [[스위트홈(드라마)/줄거리#시즌 1|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위트홈(드라마)/줄거리, 앵커=시즌 1)] == [[스위트홈(드라마)/음악#시즌 1|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위트홈(드라마)/음악, 앵커=시즌 1)] [include(틀: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OST)] == 에피소드 목록 ==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height=20]]]] '''에피소드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회차''' || '''내용''' || '''러닝 타임''' || || '''1화''' ||{{{-1 철거 직전의 아파트, 그린홈으로 이사 온 지 일주일. 집에만 틀어박혀 지내던 현수는 무섭게 돌변한 주민을 목격한다. 내가 먼저 사라지려고 했는데, 세상이 먼저 망했다.}}} || 50분 || || '''2화''' ||{{{-1 전염병일까? 국가재난경보가 발령되자 긴장하는 주민들. 괴물에게 물린 상욱을 가둬버린다. 현수는 위험에 처한 아이들을 모른 척할 수 없다. 그래, 나가보자. 집 밖으로.}}} || 56분 || || '''3화''' ||{{{-1 도와줘요. 약속했어요. 지수와 재헌과 함께 아이들을 구하러 가는 현수. 무섭게 덤벼드는 괴물을 처치하고 1408호까지 갈 수 있을까. 놀랍게도 뜻밖의 구세주가 나타난다.}}} || 46분 || || '''4화''' ||{{{-1 욕망 때문에 괴물이 된다.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 된다. 그게 사실이라면 현수란 아이를 어떻게 하나. 주민들의 의견이 갈리자 은혁이 투표를 제안한다. 추방을 할지 말지.}}} || 46분 || || '''5화''' ||{{{-1 14층까지 갈 수 있을까. 두식 아저씨를 데려와야 하는 위험한 임무. 현수는 망설이지 않는다. 그리고 위로 올라간 또 한 사람. 상욱은 시작한 일을 끝내려 한다. 어떻게든.}}} || 44분 || || '''6화''' ||{{{-1 내가 해야 할 일이 있다. 기어이 상원의 사무실로 향하는 이경. 현수는 주민들의 부탁이 무엇이든 거절하지 않는다. 선영은 혼자서 괴물과 마주한다. 그녀의 몫이니까.}}} || 53분 || || '''7화''' ||{{{-1 저 아이를 괴물이라 할 수 있는가. 자신들을 구해준 현수에게 미안한 마음이 드는 사람들. 은혁은 식량이 떨어져 가자 앞으로의 계획을 발표한다. 밖으로 나갈 시간이다.}}} || 49분 || || '''8화''' ||{{{-1 이대로 죽는다고 해도 어쩔 수 없다. 견디는 수밖에. 지수는 선택한다. 그린홈으로 돌아온 이경은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망설인다. 주민들에겐 또다시 위기가 찾아온다.}}} || 52분 || || '''9화''' ||{{{-1 얼마나 더 잃어야 하나. 슬픔에 잠긴 이들 앞에 나타난 불청객들. 사람 목숨을 하찮게 여기는, 괴물보다 더 잔혹한 그들을 어떻게 상대해야 할까. 기다려야 한다, 기회를.}}} || 55분 || || '''10화''' ||{{{-1 안전을 보장한다니, 군대에서 뿌린 전단지를 믿어도 될까. 그사이 현수의 마음이 흔들린다. 그의 말처럼 이곳을 떠나는 게 맞는가. 괴물은 사람들 속에 있으면 안 되는가.}}} || 59분 || }}} }}} }}} || == 흥행 == 한국 드라마 사상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 TOP 10 안에 진입했다.[[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united-states/2020-09-10/|#]] 스위트홈의 미국 넷플릭스 최고 순위는 '''종합(Overall) 9위''', '''TV 쇼 부문 3위'''이다.[[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united-states/2020-12-23/|#]] [[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united-states/2020-12-25/|#]] 한국 넷플릭스 TOP 10에서도 1위를 차지한 이후 오래 유지했다. [[플릭스패트롤]] 기준 넷플릭스 TV 쇼 부문 '''전 세계 순위 3위를''' 기록했다.[[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0-12-25/|#]] [[2020년]] [[넷플릭스]] [[4분기]]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공개 후 28일간 2200만 가구가 시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 계정당 한 가구로 집계되며 중복 시청은 제외된 것이다.[[https://www.cnet.com/google-amp/news/netflix-lupin-is-its-most-popular-original-show-in-more-than-a-year-english-french/|#]] 넷플릭스 분기 발표에서 한국 드라마의 구체적인 시청자 수가 공개된 건 스위트홈이 최초이다.[* 넷플릭스는 평소에 시청 기록을 공개하지 않지만, 괜찮은 성과를 낸 콘텐츠들은 마케팅을 위해 종종 공개한다. 즉, 구체적인 지표를 공개했다는 건 그만큼 많이 봤다는 뜻이다. 이후 넷플릭스 시청 시간이 공식적으로 집계되며 이를 대체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이 세계적으로 대흥행을 하기 이전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중 처음으로 월드 3위까지 진입'''하며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로튼토마토=sweet_home, 로튼토마토_tomato=83, 로튼토마토_popcorn=7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1612120, IMDb_user=7.3,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weet-home-2020, 레터박스_user=3.9, 알로시네=27780, 알로시네_presse=3.8, 알로시네_spectateurs=, 키노포이스크=1331277, 키노포이스크_user=7.0, Filmarks=10075/14128, Filmarks_user=4.0, 도우반=34858078, 도우반_user=7.8, 왓챠=tEQkroK, 왓챠_user=3.5,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6545, 키노라이츠_light=80.53, 키노라이츠_star=3.1,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96648, TMDB_user=86, 무비파일럿=sweet-home, 무비파일럿_user=6.6, MyDramaList=34064-sweet-home, MyDramaList_user=8.7, JustWatch=seuwiteuhom, JustWatch_user=51, )] === 비판 === [include(틀:스포일러)] ||
'''※원작과의 비교가 아닌 드라마 자체의 비판을 주로 서술합니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 원작과 드라마의 비교/비판, rd1=스위트홈(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 초반부와 후반부의 오리지널 스토리의 평은 꽤 좋다.[* 다만 결말의 경우 시즌 2를 염두에 둔 것인지 몇몇 장면들에 대한 설명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는데 이 때문에 결말이 더 난해해졌다는 평이 주축이다.] 하지만 늘어지는 중반부에 대해서는 비판이 많다. 초반부의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에 기대를 높였던 시청자들은 갈수록 괴물과 한 공간에서 지내는 데에서 오는 공포감과 스릴이 대폭 감소한 점을 혹평하고 있다. 우선 주요 등장인물들이 퇴장할 때 [[신파]]가 상당히 강조되었는데[* 이는 감독이 "한국적인 요소를 담고 싶었다."는 인터뷰에서도 밝힌 바 의도적인 연출로 보인다.--식상해지면 거르고 싶다는 걸 모르나--] 이것이 시간을 많이 잡아먹으면서 텐션이 늘어지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극중 등장인물들이 마치 이런 일이 벌어질 줄 알았던 것처럼 무감각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긴장하던 시청자들을 맥 빠지게 하기도 한다. 너무나 전형적인 한국적 설정의 신파조 캐릭터 설정과 연기, 대사톤 등은 넷플릭스여서 가능했던 신선한 소재를 그야말로 또 다른 평범한 "한국영화"로 만들어 버린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괴물이 곳곳에 돌아다니는데도 아무 걱정 없이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작중 경비원 괴물이 단신으로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정원을 초과할 정도면 최소 1t 가량의 무게를 가질 것으로 보이나 정작 팔이 잘린 치명상을 입은 성인 남성이 오른팔 하나와 부서진 칼 한자루로 개싸움을 시작하자 맥없이 밀려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정작 경비괴물이 쓰러져 깔렸음에도 딱히 무거워하는 묘사가 없다. 이럴 거면 차라리 정원초과가 되는 장면을 삭제하는 게 나았을 지경.] 심지어 홀로 오토바이를 타고 그린홈을 떠나기까지 하는 등 긴장감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소들도 지적받고 있다. 장르가 [[크리처]] 공포물인데도 불구하고 긴장감과 공포 요소가 크게 떨어지는 연출 또한 주 비판점 중 하나이다. 음향과 구도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영상 매체'로 왔음에도 '[[스위트홈|그림 매체]]'보다도 긴장감이 떨어지는 부분은 원작에서 느낀 긴장감과 전율을 기대했던 팬들에게는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색감과 컷 전환, 서체만으로도 시시각각 좁혀오는 괴물들의 위협과 공포적인 분위기를 잘 살려낸 원작과 다르게, 드라마의 연출은 대부분이 그저 여타 좀비/호러 영화에서 흔히 보던 '갑자기 놀래키기' 수준에 그친다. 예를 들어, 1화에서 차현수가 처음 옆집 여자 괴물과 마주하는 장면을 보면 원작에서는 고양이 방울을 보고 공포에 질린 차현수와 이어지는 괴물의 음성, 옆집에서 걸어나와 차현수 집 앞까지 움직이는 괴물을 색감과 의성어만으로 살려냈지만, 드라마에서는 세세한 묘사 없이 순식간에 지나가며 원작이 처음 선사했던 긴장감의 절반도 조성하지 못했다는 평이 많다.][* 그래도 제작비로 인한 한계는 감안을 해야 한다. 한화 300억 원, 미화 2750만 달러 정도인데, 할리우드 영화계에서는 제작비가 1억 달러를 넘지 않으면 블록버스터로 대우받지 못한다. 물론 할리우드 영화에서는 스타 배우들의 출연료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그것을 고려하더라도 500분 분량의 크리처 드라마를 찍기 빠듯한 예산은 맞다.] 문어체 대사와 많은 인물들에게 서사가 분배된 [[군상극]]적인 요소, 괴물과의 전투 양상(누군가 위험 → 다른 사람이 개입/희생해서 몰아냄)은 원작과 동일한 부분. 하지만 위와 같이 긴장감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있다 보니 드라마에서는 장르가 모호해졌다, 서사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며 중구난방으로 흘러간다 등의 단점으로 부각이 되는 불상사가 벌어져버렸다. 크리처 공포물로 보기에는 중후반부 괴물들의 활약이 밋밋하며[* 여기엔 불규칙한 CG의 퀄리티가 이러한 단점을 더욱 부각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언급된 신파적인 면이 더욱 부각이 되면서 괴물은 그저 전개를 위한 도구에 불과해졌다. 반면 이러한 점이 다채롭고 편집 또한 속도감 있다며 후반으로 갈수록 재밌다는 반응도 있다. 여타 넷플릭스 드라마처럼 [[클리프행어]]를 적절히 사용해 뒷 이야기가 궁금하게 만드는 매력 역시 느낄 수 있다는 평도 존재한다. 원작에선 차현수가 원탑 주인공인데 드라마에선 분량이 대폭 줄어 주연 세 명의 비중이 비등하다. 이에 대한 불만도 일부 있는 듯. 조단역 배우들에게도 골고루 서사를 줬다. 그린홈의 주민 모두가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응복 감독이 인터뷰에서 시즌2가 만들어진다면 멀티 주인공을 통해서 소재를 더 확장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시즌2를 기대하게 하는 결말을 보면 편상욱 캐릭터의 활약상이 기대된다. 음악은 혹평하는 의견이 매우 많다. [[Imagine Dragons]]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s-6.3|Warrio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삽입곡이었던 Warriors에 대한 평가의 경우는 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유저들의 혹평이 특히 심하다. 그러나 리그 오브 레전드를 모르는 Warriors를 처음 듣는 사람들은 호평하는 의견도 있다.]나 [[비와이]]의 '나란히' 같은,[* 의외로 '나란히'는 기괴한 배경과 어우러져 분위기가 있다며 호평하는 의견이 많다.]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음악이 자주 삽입되어 오히려 작품의 긴장감을 떨어뜨렸다는 얘기가 많다. 음악의 배치 역시 과하게 극단적이거나 장면에 어울리지도 않아 더 작위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지적. 이어지는 비판에 이응복 감독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반성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음악 선곡에 더 주의를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https://www.mk.co.kr/star/movies/view/2020/12/1311826/|#]] 의도적으로 쨍하게 연출된 [[컬러 그레이딩|색감]]으로 인해 배경이 더욱 현실과 동떨어져 보이며, 오히려 드라마보다는 게임 트레일러와 흡사해 보인다는 의견 역시 있다. 원작은 칙칙한 핏빛 색감을 유지하며 분위기를 한층 더 살렸는데 도대체 무슨 연유로 반대되게 쨍한 연출을 선택했는지 의문. 미술 면에서 분장, 소품 및 세부적인 디테일은 호평받고 있으나,[* 다만, 총기 디테일이 매우 아쉽다. 당장 등장하는 K2만 봐도 비비탄 총에서 보이는 펌프 부분이 그대로 보인다. 청테이프라도 감았다면 좋았겠지만.] 배경을 원작의 평범한 오피스텔에서 홍콩 슬럼가에 있을 법한 아파트로 변경한 것은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 대한민국 건국 이전에 건립된 아파트인 [[충정아파트]]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15/2021011502222.html|#]]] 요약하자면, 뛰어난 원작과 '이응복'이라는 스타 연출가의 참여로 인한 높은 기대치와는 달리, 공개 이후 비판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국내 제작 장편 크리처 드라마가 최초인데다 생소했던 장르를 통해 기존 한국 드라마의 장르적 한계를 벗어나려고 시도한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작품의 완성도를 떠나 한국형 아포칼립스 크리처물이라는 소재부터가 매우 흥미롭고 신선했다는 점 역시 다수가 공감한다. 원작팬들의 아쉬운 비판도 있지만 그럼에도 전세계적으로 흥행한 요인은 크리처물이긴 하지만 한국적 정서가 잘 녹아있는, 인간애가 넘치고 재미와 감동이 같이 살아있는 작품이란 점이 글로벌적으로 통한 것으로 보인다. == 수상 == ||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5> 2021년 ||<|3> 제3회 [[아시아 콘텐츠 어워즈]] || 인기상 || [[송강(배우)|송강]] || || 신인상 || [[고민시]] || || 기술상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스위트홈]] || ||<|2> 2021 Asian Academy Creative Awards || 남우조연상 || [[이도현]] || || 감독상 || [[이응복]] || == [[스위트홈(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시즌 1|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위트홈(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 앵커=시즌 1)] == 기타 == === 드라마 관련 === * 회당 제작비가 '''30억 원'''[* 제작비와 관련해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한국 드라마)|킹덤]]과 비교하는 글이 자주 올라오는데 아무래도 둘 다 제작비가 높고 각각 크리처, 좀비라는 비슷한 공포물이라는 점 때문인 듯하다. 굳이 분당 제작비로 비교하자면 킹덤 (350억, 575분)이 스위트홈 (300억, 497분)보다 50만원(...) 선에서 조금 더 많기는 하다. 즉, 제작비는 별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된다.]에 달해 화제를 모았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684400|#]] 넷플릭스의 자본력을 실감할 수 있다. * 촬영 기간은 8개월 정도로, 2019년 여름에 촬영을 시작하여 2020년 2월 말 무렵에 촬영을 마쳤다. [[https://www.google.com/amp/s/m.mk.co.kr/star/hot-issues/view-amp/2020/03/218171/|#]] * 드라마에 등장하는 크리처들의 시각효과는 [[퍼시픽 림]], [[어벤져스]], [[만달로리안]] 등 헐리우드 유수의 블록버스터 제작에 참여한 미국의 시각효과 전문업체인 레거시 이펙트가 담당했다.[[https://www.legacyefx.com/sweethome|#]] * [[15세 이용가]]인 [[스위트홈|원작]]과 다르게 [[청소년 관람불가]] 판정을 받았다. 유혈 묘사나 욕설 등의 연출이 원작보다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영등위 등급 분류 결과 주제, 폭력성, 공포는 '높음'으로 같은 청불 등급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인 [[킹덤(한국 드라마)|킹덤]] 시즌 2와 동일하다. 대사, 약물, 모방위험, 선정성은 [[킹덤]]보다 한 단계 높다. 이로 미루어 보아 전반적으로 [[킹덤]] 시즌 2보다는 수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4월 30일]], [[하나금융투자]]에서 공개한 자료를 통해 [[2021년]]에 '''시즌 2'''가 예정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https://m.sedaily.com/NewsVIew/1Z1OD8S4HV|#]] 제작발표회에서 '기회가 있으면 원작 후반부의 크리쳐도 구현하고 싶다'는 언급이 있었던 점, 최종화에서 후속작 떡밥을 뿌린 점을 고려했을 때 제작진 측에서는 차기 시즌을 어느 정도 구상하기는 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시즌 2]]가 확정되었다. * [[2020년]] [[12월 16일]], [[넷플릭스]] 한국 [[유튜브]] 채널에서 제작 발표회가 생중계되었으며,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서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이응복 감독을 비롯해 [[송강(배우)|송강]], [[이진욱]], [[이시영(배우)|이시영]], [[이도현]], [[김남희]], [[고민시]], [[박규영]], [[고윤정]] 총 8명의 배우가 함께했다. * 일본어판 번역은 준수한 편이지만, 문화 사정을 고려해 옮기기 까다로운 부분이 의역된 것으로 보이는 장면들이 있다. 가령 에피소드 4에서 음성 더빙 기준으로 유리의 "제가 오래 사시라고 속으로 열심히 욕하고 있습니다"라는 대사는 "せっかく長生きするように祈ってあげてますから(오래 사시라고 제가 일부러 기도 드리고 있으니까요)"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욕 먹으면 오래 산다]]."는 속담이 일본에는 없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유머러스한 장면이 진중한 장면으로 바뀌어버린 사례. 또한 영수와 수영의 이름을 이용한 썰렁한 말장난인 '[[국영수]]' 부분이 삭제되었다. * 넷플릭스를 통해 드라마를 감상한 외국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호평일색이다. 호불호가 갈리는 분위기였던 공개초반 일부 국내팬들의 반응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줄 정도로 사뭇 다른 수준. 특히 개인별 K드라마 진입시점/장르 취향에 따라 선호도가 일정부분 비례하는 흐름이 흥미롭다. * K드라마라면 남다른 애정을 보이는 기존 열성팬 이외 [[킹덤(한국 드라마)|킹덤]]/[[사랑의 불시착]] 등을 통해 팬데믹 이후 처음 접하게 된 신규유입층이거나, 장르에 대한 아무런 사전 인지정보 없이 무작정 뛰어든 랜덤 시청층, 아니면 애초에 호러/크리쳐물 매니아가 아닌 평범한 --잡식성-- 드라마 소비층일 수록 반응이 더 좋았다. 한마디로, '''별다른 기대감 없이 무심코 '스위트홈'을 시청하게 된 K드라마 라이트 팬층에게 신선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해석이 가능한 부분. * 해외팬들은 현재 작중에서 나온 [[근육 괴물]]을 토머스 기차, [[연근 괴물]]을 도비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아마 근육 괴물의 얼굴이 토머스 기차와 비슷하고, 연근 괴물의 몸이 도비랑 비슷해서 그렇게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http://todayhumor.com/?humorbest_1644039|#]] * 김수영의 동생 김영수가 [[인도미누스 렉스]] 장난감을 들고 다닌다.[* 그러나 작중에서 김영수가 [[티라노사우루스|티라노]]라고 지칭한다.] * 북미에서도 더빙되어 방영된다. [[https://www.imdb.com/title/tt11612120/fullcredits?ref_=tt_cl_sm#cast|출처]] [[매튜 양 킹]], [[스테파니 코무레]], [[페오도르 친]], [[오버워치]]의 [[한조]]를 맡은 폴 나카우치, [[에코(오버워치)|에코]]역을 맡은 지니 볼렛 등이 캐스팅됐다. * [[컴투스]]의 게임인 [[https://youtu.be/t046r6V4g3w|서머너즈 워 : 백년전쟁]]의 광고에서 또다른 넷플릭스 작품인 [[승리호]]와 함께 패러디 되었으며, 송강이 연기한 차현수가 드라마에서의 모습 그대로 등장한다(!). 차현수가 괴물의 기척을 느끼고 어느 집문을 걷어차자 그 안에는 타이거 박과 꽃님이가 기다리고 있었고 그렇게 셋이서 재밌게 게임을 하며 끝. [[https://youtu.be/7IQ_YvCxx-o|두번째 버전]]의 내용은 [[병맛|다른 의미로 더 가관]]인데, 차현수가 침입하는 집에 [[할미넴]], [[줄리엔 강]], 심지어는 '''[[존 윅]](...)'''이 기다리고 있다. * 한 [[공구왕황부장|공구전문 유튜버]]가 공구인의 시각에서 이 드라마의 고증오류를 짚은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dEtgUWSu300|영상]] === 배우 관련 === * [[송강(배우)|송강]]과 [[고민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좋아하면 울리는(드라마)|좋아하면 울리는]]〉 이후 재회한다. * 공개 당시 라이징이거나 신인이었던 [[송강(배우)|송강]], [[이도현]], [[김성철(배우)|김성철]], [[고민시]], [[박규영]], [[고윤정]] 6명은 2023년 기준 3년 만에 전부 주목받는 주연 배우로 자리잡았다. [[https://theqoo.net/square/2990692920|#]] == 둘러보기 == [include(틀: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2019~2020))] [include(틀:스튜디오드래곤 제작(2016~2020))] [include(틀:스튜디오N/드라마(2019~2020))]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위트홈, version=473, paragraph=7.1)][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위트홈, version=606, paragraph=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