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스페셜 올림픽 로고.svg|width=720px]] >'''Giving it all you’ve got.''' >'''그대들의 실력을 마음껏 발휘해 주세요.''' > >'''- 스페셜 올림픽 모토''' >'''"Let me win. But if I cannot win, let me be brave in the attempt."''' >'''"나는 승리합니다. 그러나 만약 이길 수 없다 하더라도, [[용기]]를 잃지 않고 도전하겠습니다."''' > >'''- 스페셜 올림픽 선수 선언''' || [[한국어]] || 스페셜 올림픽 || || [[영어]] || Special Olympics[* 스페셜 올림픽 자체가 미국에서 만들어진 대회이기 때문에 영문 명칭을 그대로 쓰는 국가들이 많다.] || || [[일본어]] || スペシャルオリンピックス || || [[프랑스어]] || Jeux olympiques spéciaux || || [[독일어]] || Special Olympics || || [[중국어]] || 特殊奥林匹克运动会 || || [[러시아어]] || Специальная Олимпиада || [목차] == 개요 == [[발달장애]]인, 즉 [[지적장애]]인과 [[자폐성 장애]]인이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 2014년 이전까지 한국에서 지적자폐성 장애자/장애인 올림픽로 불려왔다. 엄밀히 말하면 '''Special Olympics'''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같은 '''국제 기구''' 이름이고, 여기서 주최하는 '''스포츠 대회'''는 '''Special Olympic World Games'''이나 실제로는 대회도 Special Olympics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이 문서에서도 대회를 위주로 설명한다. == 상세 ==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여동생이자 [[로버트 F. 케네디]]의 누나인 [[케네디 가문|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유니스의 장녀이자 둘째인 마리아 오윙스 슈라이버의 전 남편이 [[아놀드 슈워제네거]]다.]가 [[1963년]] 미국, [[메릴랜드]]에서 지적발달장애인들을 위한 일일 캠프를 개최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유니스는 많은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수준 이상으로 지적발달장애인(정신지체장애인)들이 [[스포츠]]와 신체활동분야에서 뛰어난 자질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케네디#s-2.1|조지프 P. 케네디 주니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유니스의 오빠이자 존 F 케네디의 형.] 재단의 후원을 받아 [[1968년]] [[시카고]] 솔저 필드에서 제1회 스페셜 올림픽 국제대회를 개최함으로써 스페셜 올림픽 운동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유니스의 언니인 [[케네디#s-2.1|로즈 메리 "로즈마리" 케네디]]를 기리는 뜻도 있다. 로즈마리는 [[다운증후군]]으로 IQ가 60~70에 머물렀던 정신박약이었고, 설상가상으로 [[전두엽 절제술|뇌수술]] 실패 때문에 일생을 비공개 요양시설에서 살다가 [[2005년]]에 사망했다.] 스페셜 올림픽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개인이나 단체 스포츠에 참가하여 적절한 지도를 받고 격려를 받는다면 그들도 배울 수 있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스페셜 올림픽은 [[올림픽|수많은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함께하는 스포츠 축제]]로서 장애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으며, 장애인들을 받아들이고 축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반드시 올 것이라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 [[장애인 올림픽 짤방]]과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중앙교육 《영어I》)에서 잘못 언급된 장애인 올림픽이 바로 이것. 하지만 그런 드립은 치지 말자. [[2009년]] 3월에 [[버락 후세인 오바마]] 대통령이 이 대회의 이름을 부적절하게 인용했다가 곤욕을 치르고 사과하기도 했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810118|관련기사]][* 기사를 쓴 기자도 스페셜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혼동하고 있다.] 사실 무근이긴 하지만 이게 디시인들의 장애인 비하성 개드립인 [[병림픽]]의 시초가 되었단 얘기도 있었다. [[장애인 올림픽]]([[패럴림픽]])과는 다르다. 패럴림픽은 기본적으로 운동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출전하는 대회이므로 지적장애인도 참가하지만 [[지체장애|신체적 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주로 참가하고, [[데플림픽]]은 [[청각장애인]]이 참가한다. 스페셜 올림픽은 발달장애인인 지적장애인와 자폐성장애인이 참가한다. 패럴림픽 선수도, 스페셜 올림픽 선수도, 데플림픽 선수도 모두 올림픽 선수이기 때문에 [[올림픽 메달|메달]]을 위해 일반 올림픽 선수들처럼 혹독할 정도로 훈련받는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로부터 '''올림픽'''이라는 표현을 사용해도 된다고 허락받은 유일한 대회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20107020255/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1201/h20120107023735111960.htm|@]] 기사에 의하면 '''[[패럴림픽]]조차 논란 중'''에 있으며, IOC는 기능 올림픽,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프레 올림픽 등의 표현에 모두 제동을 걸고 있는 상태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패럴림픽]], [[데플림픽]]과 더불어 주요 [[언론]]의 [[무지]]와 [[무관심]] 등으로 인해 외면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나마 패럴림픽은 올림픽 개최지에서 올림픽 폐막 직후에 열리기 때문에 인지도가 비교적 높지만 데플림픽과 스페셜 올림픽은 인지도가 처참한 상태이다. 사람들이 장애인 선수들은 전부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한국만 그렇다고 보긴 어렵고 세계적으로도 패럴림픽만 아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 경기 종목 == [include(틀: 하계 스페셜 올림픽 종목)] [include(틀: 동계 스페셜 올림픽 종목)] == 올림픽 개최지 == === 하계 스페셜 올림픽 개최 도시 === ||||||||<:> 하계 스페셜 올림픽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 1 || [[1968년]] || [[미국]] || [[시카고]] || || 2 || [[1970년]] || [[미국]] || [[시카고]] || || 3 || [[1972년]] || [[미국]] || [[로스엔젤레스]] || || 4 || [[1975년]] || [[미국]] || [[마운트 플레즌트]] || || 5 || [[1979년]] || [[미국]] || [[브락포트]] || || 6 || [[1983년]] || [[미국]] || [[배턴루지]] || || 7 || [[1987년]] || [[미국]] || [[노터데임]] || || 8 || [[1991년]] || [[미국]] || [[미니애폴리스]], [[세인트폴]] || || 9 || [[1995년]] || [[미국]] || [[뉴헤이븐]] || || 10 || [[1999년]] || [[미국]] || [[더럼]], [[롤리]], [[채플힐]] || || 11 || [[2003년]] || [[아일랜드]] || [[더블린]] || || 12 || [[2007년]] || [[중화인민공화국]] || [[상하이]] || || 13 || [[2011년]] || [[그리스]] || [[아테네]] || || 14 || [[2015년]]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 15 || [[2019년]] || [[아랍에미리트]] || [[아부다비]] || || 16 || [[2023년]] || [[독일]] || [[베를린]][* 영문 위키백과에는 [[시애틀]]과 [[고양시]]가 적혀있었으나 독일 베를린으로 결정되었다.] || || 17 || [[2027년]] || [[호주]] || [[퍼스]] || === 동계 스페셜 올림픽 개최 도시 === ||||||||<:> 동계 스페셜 올림픽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 1 || [[1977년]] || [[미국]] || [[스팀포트 스프링스]] || || 2 || [[1981년]] || [[미국]] || [[스머글러 너치]], [[스토우]] || || 3 || [[1985년]] || [[미국]] || [[파크 시티]] || || 4 || [[1989년]] || [[미국]] || [[리노]], [[타호 호]] || || 5 || [[1993년]] || [[오스트리아]] || [[잘츠부르크]], [[슐라드밍]] || || 6 || [[1997년]] || [[캐나다]] || [[토론토]], [[콜링우드]] || || 7 || [[2001년]] || [[미국]] || [[앵커리지]] || || 8 || [[2005년]] || [[일본]] || [[나가노]] || || 9 || [[2009년]] || [[미국]] || [[보이시]] || || [[2013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10]] || [[2013년]] || [[대한민국]] || [[평창군|평창]][* 여기서도 반달가슴곰이 마스코트로 쓰였다. 정확히는 파란색 반달가슴곰과 붉은색 양, 초록색 개로 이루어진 마스코트이며 이름은 순서대로 '''레인보우(Ra-In-Bow)'''이다.] || || 11 || [[2017년]] || [[오스트리아]] || [[그라츠]], [[슐라드밍]] || || - || [[2022년]] || [[러시아]] || --[[카잔(러시아)|카잔]]--[* 본래 2021년 2월에 [[스웨덴]]의 [[오레(스웨덴)|오레]]와 [[외스테르순드]]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스웨덴에서 포기하면서 러시아로 바뀌었고, 코로나19 확산을 고려하여 1년 연기하였으나 2022년 2월 24일에 발생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예카테린부르크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와 함께 아예 개최가 취소되었다.] || || 12 || [[2025년]] || [[이탈리아]] || [[토리노]] || || 13 || [[2029년]] || [[스위스]] || [[쿠어]] || == 관련 문서 == * [[올림픽]] * [[패럴림픽]] * [[데플림픽]] [[분류:스페셜 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