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스펜서}}}''' (2021) [br] ''Spencer''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펜서 2차포스터.jpg|width=100%]]}}}|| || '''장르''' ||[[드라마]], [[전기물|전기]], [[실화]] || || '''감독''' ||[[파블로 라라인]]|| || '''각본''' ||스티븐 나이트[*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 각본]|| || '''제작''' ||[[파블로 라라인]][br]후안 데디오스[br]요나스 도른바흐[br]야닌 야코프스키[br]폴 웹스터|| || '''기획''' ||마이클 블룸 [br] 제프 더치맨 [br] 라이언 헬러 [br] 톰 퀸 [br] 크리스티나 지사 [br] 마리아 주커만 || || '''음악''' ||[[조니 그린우드]]|| || '''촬영''' ||클레르 마통[*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촬영] || || '''편집''' ||세바스찬 세풀베다 || || '''미술''' ||가이 다이어스[* [[인셉션]] 미술] || || '''의상''' ||재클린 듀란[* [[작은 아씨들(2019)|작은 아씨들]] 의상] || || '''조명''' ||에르네스토 지올리티 || || '''시각 효과''' ||패디 이슨 [br] 세바스찬 바커 || || '''출연''' ||[[크리스틴 스튜어트]] [br] [[샐리 호킨스]] ,,외,,||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슈박스 필름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콤플리첸 필름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패뷸러||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eon|네온 토픽 스튜디오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특별시 SMC||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그린나래미디어|[[파일:gnm_new_logo.jpg|width=25]] 그린나래미디어]]|| || '''촬영 기간''' ||[[2021년]] [[1월 28일]] ~ [[2021년]] [[4월 27일]]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16일]] || || '''상영 타입''' ||'''2D''' || || '''상영 시간''' ||116분 (1시간 56분)|| || '''제작비''' ||'''2,000만 달러'''[* [[https://www.screendaily.com/features/making-spencer-producer-paul-webster-on-the-most-difficult-shoot-of-his-career/5162874.article|출처]]] || || '''북미 박스오피스''' ||'''$7,086,632'''|| || '''월드 박스오피스''' ||'''$24,901,028'''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2536294/?ref_=bo_se_r_1|최종]])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83,152명'''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in/main.do|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e2d7cc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 12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width=26]]]] || [목차] [clearfix] == 개요 == [[다이애나 스펜서]] 왕세자비를 주인공으로 한 실화 소재의 영화. 시간적 배경은 1991년 크리스마스로, 다이애나는 이듬해인 1992년 남편인 [[찰스 3세]]와 공식 별거했다. == 개봉 전 정보 == * 2020년 6월 17일, [[파블로 라라인]]이 감독을 맡고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주연을 맡는다고 발표했다. [[https://deadline.com/2020/06/kristen-stewart-princess-diana-pablo-larrain-film-spencer-diana-rejects-fairy-tale-ending-1202961395/amp/|#]] * 2021년 1월, 추가 캐스팅 보도와 함께 독일에서 촬영이 시작되었다. [[https://deadline.com/2021/01/kristen-stewart-princess-diana-first-look-timothy-spall-sally-hawkins-1234681276/|#]] * 북미는 2021년 11월 5일로 극장개봉이 결정되었다. [[https://variety.com/2021/film/global/kristen-stewart-princess-diana-spencer-venice-film-festival-1235017419/|#]] * 2021년 9월 3일에 [[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으로 초청되어 선공개될 예정이다. * 이전의 [[다이애나 스펜서]]를 다뤘던 작품들과는 다르게 1991년에서 1992년 사이를 배경으로 하며, 그중 총 3일을 다룰 예정이라고 한다. 주로 다이애나의 치열한 결혼생활과 이혼을 결심하는 계기, 두 아들에 대한 사랑을 다룰 예정이라고 한다. [[https://youtu.be/Xig-qHAeVl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펜서 스틸컷.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펜서 스틸컷2.jpg|width=100%]]}}} || * 주인공 [[다이애나 스펜서]]를 맡은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펜서 포스터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니퍼 로렌스 아카데미 계단.jpg|width=100%]]}}} || * 첫 포스터가 공개되고 호평을 받았다.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오르기도 하는 등 간만에 좋은 포스터가 나왔다는 반응이다. 포스터가 화제가 되면서 [[제니퍼 로렌스]]의 이 사진과 여러모로 비슷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해당 드레스는 주연인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뮤즈로 있는 [[샤넬]]에서 제작했으며 자세한 비하인드를 보그에서 [[https://www.vogue.fr/fashion/article/chanel-haute-couture-dress-kristen-stewart-spencer-poster-biopic|볼 수 있다.]] * 10월 5일, 캐릭터 포스터를 공개했다. [[https://twitter.com/AwardsDaily/status/1445393757826920467?t=3HOOJhKtieS_PvAieuC67g&s=19|#]]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펜서 포스터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펜서 한국티저포스터.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국내 티저 포스터''' || == 시놉시스 == >1991년, 왕실 가족이 샌드링엄 별장에 모여서 보내는 크리스마스. 연휴 3일간 이뤄지는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감정 변화에 집중한다. 스펜서는 직접 운전을 하다가 뒤늦게 별장에 도착한다. 모두가 그의 지각을 마뜩잖게 생각하고, 그 순간부터 통제는 시작된다. 다이애나는 3일 동안 의심과 결심 사이를 오가며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되는데... == 출연진 == * [[크리스틴 스튜어트]] : [[다이애나 스펜서]] 역[* 1961년생이므로, 극중 시점인 1991년에는 만 30세이다.] * [[샐리 호킨스]] : 매기 역.[* 익명의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다.] [[영국 왕실]]의 의상담당자. * [[티모시 스폴]] : 앨리스터 그래고리 소령 역 * [[숀 해리스]] : 대런 맥그래디 역. [[영국 왕실]]의 수석셰프. * 토마스 더글라스 : 존 스펜서 백작. 다이애나의 아버지. * 잭 파딩 : [[찰스 3세|찰스 왕세자]] 역. 다이애나의 남편. * 잭 니얼런 :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윌리엄 왕세손]] 역. 다이애나의 첫째 아들. * 프레디 스프리 : [[해리 왕자]] 역. 다이애나의 둘째 아들. * 스텔라 고넷 : [[엘리자베스 2세]] 역. 다이애나의 시어머니. * 리차드 새뮤얼 : [[필립 마운트배튼]] 역. 다이애나의 시아버지. * 엘리자베스 베링턴 : [[앤 공주]] 역. 다이애나의 시누이. * 니콜라스 코흐트 : [[앤드류 왕자]] 역. * 올가 헬싱 : [[사라 퍼거슨]] 역 * 에이미 맨슨 : [[앤 불린]] 역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7xKmJkqez4)]}}}|| || {{{#e2d7cc '''▲ 티저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5BwplCEkQ)]}}}|| || {{{#e2d7cc '''▲ 메인 예고편'''}}} || == 줄거리 == == OST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lm-SlJOhwg)]}}} || || {{{#e2d7cc '''Mike & The Mechanics - All I Need Is A Miracle'''[* 극중 다이애나가 해방감을 만끽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이 곡이 최초 발표된 시점은 1985년인데, 이 영화의 배경이 1991년이므로 가능한 설정.]}}} || 감독이 3가지 곡을 준비했는데 [[크리스틴 스튜어트]]와 왕자들 역할을 맡은 배우들이 상의해서 선택된 곡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윌리엄 왕자]]가 인터뷰에서 추억을 이야기하면서 "학교 갔다가 데리고 올때 차에서 Tina Turner의 The Best라는 노래를 틀어주고 따라불렀다. 그때 엄마가 주로 선곡하고 따라 불렀던 노래인데 그래서 지금도 어디에선가 이노래가 나오면 자기도 모르게 따라부르면서 엄마 생각을 하게 된다"라고 밝혔다고 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spencer, critic=76, user=6.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spencer_2021, tomato=83, popcorn=52)]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536294, user=6.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spencer-2021, user=3.8)]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84654, presse=3.7, spectateurs=2.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435413, user=6.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8667, user=4.0)]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7829, user=6.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101435, user=6.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gjGVz,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8689, light=96.8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7921, expert=7.38, audience=7.54, user=7.6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5181, user=8.1)] [include(틀:평가/CGV, code=85035, egg=87)]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8458, user=7.5)]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1065900, user=8.4)]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spencer-m100137739, user=73)] [include(틀:평가/TMDB, code=716612-spencer, user=72)]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spencer, user=6.8)]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spencer-movie-review-2021, user=3.0)] >'''마침내 인형의 집을 나서는, 거꾸로 쓴 신데렐라 이야기''' >---- >[[이동진]] (★★★★) == 흥행 == == 수상 및 후보 == '''수상''' * 팜 스프링스 국제영화제 스포트라이트 여배우 부문 ([[크리스틴 스튜어트]]) * 시카고 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크리스틴 스튜어트), 의상상(자클린 듀란) * 보스턴 비평가협회상 음악상([[조니 그린우드]]) * 워싱턴 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크리스틴 스튜어트) '''후보''' * [[골든 글로브]] 드라마 여우주연상(크리스틴 스튜어트) *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여우주연(크리스틴 스튜어트), 음악상(조니 그린우드)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크리스틴 스튜어트) == 기타 == * 한국의 디자이너가 의상제작에 참여했다. [[https://blog.naver.com/tutqqq/222185490695|#]] * 원래는 [[다이애나 스펜서]]의 25주기인 2022년에 개봉 예정이었으나 앞당겨졌다. 2021년 상반기에 촬영을 가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영화의 후반작업 기간을 생각했을 때 2022년 칸 영화제를 노릴 것 처럼 촬영 스케줄이 짜여져있었으나, 후반작업 도중 아카데미 레이스로 계획을 변경하고 당해 베니스 영화제를 노렸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2022년 연말에 개봉하고 2023년 아카데미 레이스를 노리기엔 개봉이 너무 늦는다는 점도 한 몫했다.[* 영화 개봉이 늘어지고 후반 작업이 길어지면 그에 따른 마케팅 비용과 융자가 미친듯이 나가게 된다.] *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6개월 간 악센트 트레이닝을 받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HsXR_C7Or2A|#]] * 전국 8만 3천명을 동원하면서 2022년 예술영화 개봉작 중에 히트작 반열에 들어섰다. * 스펜서 [[이동진]] 해설 [[https://youtu.be/36xecncyRNg|#]] == 둘러보기 == [include(틀:아티스트 굿즈)] [[분류:Neon]][[분류:2021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전기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