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흑집사'의 등장인물, rd1=윌리엄 T. 스피어즈)] [include(틀:나롱이 시리즈)] ||<-2>
{{{#373a3c,#dddddd '''{{{+1 스피어즈}}}''' (2003~2004)[br]Spher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스피어즈/Example.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판타지]], [[모험]] || || '''{{{#373a3c,#dddddd 총감독}}}''' ||[[변영규]] || || '''{{{#373a3c,#dddddd 시나리오}}}''' ||김은지[br][[스튜디오 카브]] || || '''{{{#373a3c,#dddddd 콘티}}}''' ||[[변영규]] [br]아리토미 코지(有冨興二)[br]코데라 카츠유키(こでらかつゆき)[br][[카와무라 켄이치]][br]서성종[br]유재운[br]이충복[br]김금수[* 이후 뚜루뚜루뚜 나롱이에서는 감독을 맡았는데,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부터 등장하는 수달의 이름(우꺄)은 이 사람의 닉네임에서 따온 것. 이후 카브를 나와 일본으로 이직했는데, 2017년 2월 5일에 부고가 올라왔다.]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변영규]][br]김금수 || || '''{{{#373a3c,#dddddd 미술 설정}}}''' ||[[변영규]][br]박효진[br]박종민 || || '''{{{#373a3c,#dddddd 미술보드}}}''' ||한문중[br]강승찬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한문중 || || '''{{{#373a3c,#dddddd 작화 감독}}}''' ||김금수 || || '''{{{#373a3c,#dddddd 배경}}}''' ||나무 프로덕션 || || '''{{{#373a3c,#dddddd 색지정}}}''' ||변영규[br]고일준[br]김대현 || || '''{{{#373a3c,#dddddd 동화 작감}}}''' ||임종열 || || '''{{{#373a3c,#dddddd 동화}}}''' ||몬스터 프로덕션 || || '''{{{#373a3c,#dddddd 디지털 채색}}}''' ||[[한호흥업]] || || '''{{{#373a3c,#dddddd 디지털 촬영}}}''' ||디엔에이 프로덕션[br]에이브람 엔터프라이즈 || || '''{{{#373a3c,#dddddd 편집출력}}}''' ||김영호 || || '''{{{#373a3c,#dddddd OP, ED, 예고편 편집}}}''' ||김예나 {{{-2 ([[MBC]])}}} || || '''{{{#373a3c,#dddddd 플래시 애니메이션[br]프로모션}}}''' ||안숙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인규 || || '''{{{#373a3c,#dddddd 음향 조감독}}}''' ||고광현 || || '''{{{#373a3c,#dddddd 음향 효과}}}''' ||라이브톤[br]폴리사운드 || || '''{{{#373a3c,#dddddd 음악 감독}}}''' ||김준석 || || '''{{{#373a3c,#dddddd 음악 작곡}}}''' ||엠엔에프씨 || || '''{{{#373a3c,#dddddd 더빙 감수}}}''' ||조정란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안성은[br]김미령[br]천채정 || || '''{{{#373a3c,#dddddd 책임 프로듀서}}}''' ||김신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카브]] || || '''{{{#373a3c,#dddddd 제작}}}''' ||[[MBC]][br][[스튜디오 카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3년 7월|2003. 07. 30.]] ~ 2004. 02. 25.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MBC]] / (수) 16:3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6화 || ||<|2>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모든 연령 시청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튜디오 카브]]가 [[MBC]]와 공동제작한 첫번째 애니메이션[* [[클로버 4/3]]과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므로 제외.]이자 2003년 7월 30일부터 2004년 2월 25일까지 [[MBC]]에서 방영한 [[TV 애니메이션]]. 한국콘텐츠문화진흥원이 2003년 스타 프로젝트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 프롤로그 == 고대 초능력 문명인 '''스피어즈 왕국(Spheres Kingdom)'''이 멸망할 당시 두 살의 아기 상태로 냉동되었다가 21세기에 우연히 남극 빙하 밑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소녀, 나연. 그런 자신의 비밀을 모른 채 시골마을에서 열 살의 평범한 소녀로 성장한다. 그러던 어느 날, 외할아버지가 교장선생님으로 계시는 서울의 영재학교로 갑자기 전학을 가게 되고, 그 곳에서 자신처럼 초능력 스피어를 지닌 아이들의 비밀 동아리 뉴 스피어의 호준, 리아, 서동, 공주를 만나게 된다. 한편, 10대 아이돌 스타 그룹인 '에스파'의 소년 진과 나이를 먹지 않는 로봇 틸라는 스피어 유니온의 일원으로, 나연의 비밀을 캐내기 위해 영재학교로 전학 온다. 바로 뉴 스피어와 대립하며 세계정복을 꿈꾸는 스피어 유니온의 회장 아스텐이 이들을 영재학교로 보낸 것이다. 세계정복을 위해 필요한 절대 에너지의 집합체인 고대 '스피어즈' 왕국의 세가지 유물을 손에 넣으려는 아스텐과 진의 위협 속에, 나연이는 애완동물 나롱이, 뉴 스피어 친구들과 함께 모험을 계속한다.[* 그러나 이야기 구성이 세계관 배경을 중점으로 흘러가기에 세계관 전체와 매우 밀접하게 있는 악역들과 선역의 선생님들이 (특히 안일환) 오히려 주인공과 친구들보다 더 비중있게 비춰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이 애니의 아쉬운 점일지도.] == 등장인물 == [[파일:attachment/스피어즈/Example.Example.jpg|width=400&align=center]] (해당 이미지는 초창기 파일럿 시절 이미지이다.) === '''[[뉴 스피어즈]]''' === ==== 주역 멤버 ==== * [[한나연(스피어즈)|한나연 / 텔시아]] * [[이호준(스피어즈)|이호준]] * [[공주(스피어즈)|공주 / 티오스니아 우코니오 비사에르]] * [[리아(스피어즈)|리아]] * [[유서동]] ==== 인솔교사 ==== * [[안일환(스피어즈)|안일환]] * [[주아라]] * [[이태백]] === '''[[스피어 유니온]]''' === * [[아스텐]] - 총수 * [[진(스피어즈)|진]] * [[틸라]] * [[카로핀]] {{{#!folding 스포일러 ▼ [[곤즈(스피어즈)|곤즈]]}}} === 그 외 인물 === * [[나롱이]] * [[우꺄]][* 여기서는 스피어 유니온의 실험동물로 등장. 공주가 지어준 이름 '프린스' 외에 다른 이름도 없었다.] * [[앙가라(스피어즈)|앙가라]] * [[로버트]] 수상 * [[포포미오]] 재상 * 키로아: 앙가라의 남편이자 초고대문명의 과학자 중 한명. 나연의 친아버지이다. 곤즈의 계략에 휘말려 아내와 함께 살해당했다. == 설정 == === 스피어윙 === 스피어윙은 고대 스피어즈인들이 사용했던 초능력을 증폭시키는 도구이다. 기를 모아서 분출시키는 형태로, 남을 도울 수도 있지만 악하게 사용하고자 한다면 남을 해칠 수도 있다. 당시의 쓰임도 형태도 가지가지였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스피어윙은 초능력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없는 어린 시절에 사용하며 자신의 몸 안에 넣어둘 수 있다. 또한 어른이 되어 스스로 능력을 조절하게 되면 스피어윙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다.[* 즉 능력 조절이 힘든 어린아이들 한정의 부스터 + 컨트롤 보조장치 = 스피어윙이라 보면 된다. 어른이 되면 능력의 증폭과 제어 모두 자유롭게 되므로 스피어윙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자동적으로 사라지게 되는듯.] * 나연 : 스피어 피닉스(Sphere Phenix) 나연이가 영재학교의 지하에 있는 고대 스피어즈 유적터에서 발견. 고대 스피어즈인인 나연이만이 이를 다룰 수 있으며,[* 고대 스피어즈인이 아닌 현인류의 경우 쓸 수 없게 되어있는 걸 보면 유전자 감별이라도 하는게 아닌가 싶다.(...)] 사용자의 능력과 의지를 증폭하여, 그 파워를 빛 덩어리 모양으로 비쥬얼화시켜 날려보낸다. 피닉스는 태양, 불멸, 재생을 상징한다. 또한 나연의 스피어 윙은 마지막엔 고대 스피어즈 유적으로 들어서는 열쇠 역할을 하게 된다. * 호준 : 스피어 스톰(Sphere Storm) 호준의 스피어 윙은 호준의 성격을 닮아 공격적이고 거친 파워를 발휘한다. 비주얼적인 효과는 나연이가 거대한 빛은 쏜다면, 호준이는 빛이 살아 움직이듯 휘감으며 적을 공격한다. 스톰이 폭풍을 상징하는 걸 보면 폭풍의 이미지가 공격연출에 반영된듯. * 공주 : 스피어 플라워(Sphere Flower) 공주의 스피어 봉은 자신의 섬나라 왕국에 전해져 내려오는 고대 스피어즈의 유물. 위기를 감지하는 능력이 있으며, 위기의 종류에 따라 발하는 소리와 빛이 각각 틀리며, 모양도 그때그때 변하지만, 그게 어떠한 위험인지를 몰라 아이들을 황당하게 한다. 공주 자신도 그 기능을 다 알지 못해서 공주가 어떤 식으로 그 봉을 쓰는지가 늘 아이들에게는 호기심의 대상이다. 보통 들고 다닐 때의 사이즈는 50센티 미만. 다른 스피어윙에 비해 마법사의 지팡이스러운 느낌이 강하다. * 리아 : 스피어 파워 브레인(Sphere Power Brain) 천재 소녀인 리아가 늘 가지고 다니는 PDA나 휴대폰 사이즈의 휴대용 만능 컴퓨터와 연동하여 적을 분석하고 약점을 찾아내는 역할을 한다. 스피어 윈드와 함께 유이하게 서포터계 스피어윙. * 서동 : 스피어 윈드(Sphere Wind) 서동의 스피어 윙은 팀 내에 나침반 역할을 한다. 서동의 타고난 예지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어떠한 선택의 상황에서 아이들의 길안내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공주처럼 서동의 능력도 불완전하기 때문에 예언이 틀려 가끔 아이들이 골탕을 먹기도 한다. 편안한 바람과 같은 서동이의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가 특징이다. * 진 : 스피어 썬더(Sphere Thunder) 진의 스피어 윙은 <스피어 유니온>의 과학 기술력을 통해 일반적인 스피어 윙에 기계적이고 인위적인 힘이 조합되어 더 큰 파괴력을 가진다. 진의 필살기인 스피어 썬더의 공격은 번개와 같은 프라즈마를 발사하여 가공할 위력을 지닌다. 그 외에 고대 스피어즈의 사악한 유물들의 봉인을 해제하여 봉인 속에 갇힌 금지된 스피어 기운을 사용하여 스피어즈들 중 어느 누구보다도 자신이 원하는대로 악한 힘을 콘트롤하는 능력을 가진다. == 음악 == === 주제가 === ||<-2>
'''{{{#373a3c,#dddddd OP[br]You And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16042933,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2px" [youtube(ITTR-Y2EYzo, width=100%)]}}} || ||<-2> '''{{{#373a3c,#dddddd Short ver. {{{-2 (스튜디오 카브 공식 축소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h74o3Cb_Dg,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콜라(가수)#박준희|박준희]] || || '''작사''' || 김성근 || || '''작곡''' || 김준석 || || '''편곡''' || 김준석[br]정세린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You and Me 너와 나의 꿈으로 행복한 세상 만들 거야 혼자만으론 할 수 없을지도 몰라 우리의 사랑이 없다면 무엇이라도 난 피하지 않을거야 내게 커다란 힘을 줘 내 손을 잡아 하늘 높이 날아올라 우리에게 희망이 있다면 힘들다 해도 포기하지 않을 거야 아름다운 너의 꿈을 줘 누구라도 자신만의 갈 길이 있는 거야 소중한 미래를 원한다면 용기를 내 You and Me 너와 나의 꿈으로 행복한 세상 만들 거야 Just You and Me 우리의 사랑을 위해서 우정을 위해서 You and Me 너와 나의 힘으로 새로운 세상 만들 거야 Just You and Me 우리의 희망을 위해서 미래를 위해서 || }}}}}}}}} || ---- ||<-2>
'''{{{#373a3c,#dddddd ED[br]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16042988,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2px" [youtube(Nc4S3pqUz3c, width=100%)]}}} || ||<-2> '''{{{#373a3c,#dddddd Short ver. {{{-2 (스튜디오 카브 공식 축소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NdfIpP7CFw,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김효수 || || '''작사''' || 김금수[br]김용 || || '''작곡''' || 김용 || || '''편곡''' || 남궁기찬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매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 맛있는 도토리를 냠냠냠 기분 좋게 배 두드리며 통통(나롱 라라) 뭉게 구름에(나롱이) 하늘이 보여(나롱이) 두둥실 풍선처럼 날고 싶어요 포기는 안돼 울어서도 안돼 내 친구 나롱이의 이야기 가장 높은 나무에서 저 높이 펼쳐있는 하늘로 작은 날개를 활짝 펴고 파란 하늘에서 만나요 꿈을 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 나롱 나롱 나롱이 날고 싶어 작은 날개 활짝 펴고 나롱이 나롱나롱 나롱이 || }}}}}}}}} || 원래 스피어즈 제작 중 만들어진 플래시 애니메이션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의 주제가지만[* 2002년 5월 21일 나롱랜드 홈페이지를 통해 선공개되었고 29일 플래시 애니메이션(작은 날개 나롱이 9화)으로 공개되었다.[[http://web.archive.org/web/20020606134521/http://www.studiokaab.com/ttboard/ttboard.cgi?act=view&code=21&bname=FREEBOARD&page=1&admin_notice=1|과거의 스튜디오 카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자동 다운로드)]]] 본작의 엔딩으로도 사용되었다. 작은 날개 나롱이 버전 주제가에 비해 음질도, 가창력도 좋은 편. 참고로 나롱랜드 홈페이지에서는 공식 율동도 있다고 한다. [[https://flasharch.com/archive/play/a0de4739640b617c6e35994bbbd3a4d1|율동 첫번째]] [[https://flasharch.com/archive/play/94704f258fe3c4970c9493a1e63f0490|율동 두번째]] === 삽입곡 === ||<-2>
'''{{{#373a3c,#dddddd 삽입곡[br]St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6lxEVI1-r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진(스피어즈)|진]] {{{-2 (CV. [[강성]])}}}[br][[틸라]] {{{-2 (CV. 홍민정)}}} || || '''작사''' || 홍민정 || || '''작곡''' ||<|2> 김준석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음악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Guitar''' || 함춘호 || || '''chorus''' || 홍민정 || || '''programming''' || 김준석 || || '''Mixing Engineer''' || 박찬민 || || '''recording Engineer''' || 전수민 || || '''assistant Engineer''' || 박경민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저 푸르른 하늘은 언제나 같아 알 수가 없어 외로움도 슬픔들도 모두 숨기고 있는 듯이 바삐 지나는 거리에 나에 웃음은 어디 있는지 들려오는 음악 소리 속에 나를 묻어 가는지 어릴적 꿈꾸던 나는 지금 그 어디에 저 멀리 하늘 위에서 헤메고 있는 걸까 저 하늘 흰 구름은 언제나 달라 그대와 같아 따스함도 기쁨도 언젠가 모습을 바꿔 가겠지 거짓 미소를 알 때 쯤 나의 얼굴도 변해 있을까 현실이란 말들 속에 묻혀 빛을 잃어가는지 어릴적 꿈꾸던 나는 지금 그 어디에 저 멀리 구름 뒤에서 울고 있는 걸까 STAY 내 마음 속 깊은 곳 파라다이스 푸른빛의 날개를 바람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STAY 숨겨왔던 영원의 파라다이스 하얀 빛의 노래를 사랑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간주중) STAY 내 마음 속 깊은 곳 파라다이스 푸른빛의 날개를 바람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STAY 숨겨왔던 영원의 파라다이스 하얀 빛의 노래를 사랑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STAY 내 마음 속 깊은 곳 파라다이스 푸른빛의 날개를 바람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STAY 숨겨왔던 영원의 파라다이스 하얀 빛의 노래를 사랑을 No matter what I do I wanna set m dream || }}}}}}}}} || === OST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kanz4AQHKTfd1KHwb6rR3UpjqgMf5Q5t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스피어즈 OST]] == 회차 목록 == || 회차 || 에피소드명 || 방영일자 || || 1화 || 나만의 능력 || 2003.07.30 || || 2화 || 새로운 친구들 || 2003.08.06 || || 3화 || 서동의 등장 || 2003.08.13 || || 4화 || 스피어윙 || 2003.08.20 || || 5화 || 공주는 못말려 || 2003.08.27 || || 6화 || 친구들을 구하라 || 2003.09.03 || || 7화 || 스타는 피곤해 || 2003.09.17 || || 8화 || 사이버월드 || 2003.09.24 || || 9화 || 비밀의 성궤 || 2003.10.01 || || 10화 || 마음을 열어라! || 2003.10.08 || || 11화 || 믿음 || 2003.10.15 || || 12화 || 나는 나롱이! || 2003.10.29 || || 13화 || 슈퍼 스피어 || 2003.11.05 || || 14화 || 라스트 콘서트 || 2003.11.12 || || 15화 || 밝혀지는 비밀 || 2003.11.19 || || 16화 || 영재학교의 위기! || 2003.11.26 || || 17화 || 피파오 왕국 || 2003.12.03 || || 18화 || 레드 스피어 스톤 || 2003.12.10 || || 19화 || 진의 비밀 || 2003.12.24 || || 20화 || 블루 스피어 스톤 || 2004.01.07 || || 21화 || 치파야 마을의 소녀 || 2004.01.14 || || 22화 || 전설의 나스카 || 2004.01.28 || || 23화 || 나는 누구죠? || 2004.02.04 || || 24화 || 바이칼 시스템 || 2004.02.11 || || 25화 || 스피어즈 문명의 부활 || 2004.02.18 || || 26화 || 우리는 하나 || 2004.02.25 || == 기타 == * [[스튜디오 카브]]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orea_ani&no=25786&exception_mode=recommend|22억을 들여 만든 애니메이션]]. 이례적으로 이후 만화영화 방영시간이 [[MBC]]의 이 작품 방영을 시작으로 [[암흑 시간대|4~5시대 방영]]이 고정화되기도 하였다. 사족으로 [[기동전함 나데시코]],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등의 음악을 가져다 쓸 만큼 스튜디오 카브의 [[오타쿠|덕력]]을 보여준 작품. * 아이러니하게도 먼저 TVA로 제작된건 스피어즈지만[* 스피어즈의 프리 프로덕션인 꿈꾸는 작은날개 나롱이로 따지면 세계관 형성은 나롱이 시리즈가 더 빠르긴 했다.] 나롱이가 주인공인 [[나롱이 시리즈]]의 흐름상 나롱이가 말도 못하는 애완동물로, 우꺄, 타조리가 엑스트라로 등장하는 스피어즈는 정사가 아니라 별개의 세계관인 외전에 해당된다. 설정이 완전히 다른 별개의 세계관이나 나롱이 비중이 크고 일부 인물은[* [[한나연]] - [[나롱이]]: 착한 성격, 스피어즈에서 같이 붙어다니는 애완동물/ [[공주(스피어즈)|공주]] - [[우꺄]]: 깍쟁이 성격, 우정신 성우, 같은 베개를 씀, 스피어즈에서 연관관계 보유/ [[진(스피어즈)|진]] - 그리드: 미형 악역, 파란 머리, 김영선 성우] 스피어즈 인물의 몇몇 성격을 이어받은 캐릭터가 있는 등 나롱이 시리즈와 아예 관계가 없다고 보기도 어렵다. *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초능력자라는 설정을 과감하게 내세운 작품은 별로 없었고 그에 걸맞는 설정들, 즉 초능력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스피어윙이라는 도구나 초 고대문명같은 흥미진진한 모험요소들을 깔아 놓는데는 성공해 스튜디오 카브의 데뷔작으로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스토리라인은 당시 한국 애니메이션치고는 드문 설정에다가 거창한 시도였지만, 역량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부실한 연출력으로 엄청난 아쉬움을 준 작품이다.[* 18화에서의 학교 붕괴 에피소드 이후 예산에 한계가 찾아온 티가 확 나기 시작한다.(...)] [youtube(vgKFhG8jzP8)] * 스피어즈 제작 초기 파일럿 영상으로 이 당시 초기 제목은 『초능력학원: 그린스피어』였다. 원래 본 기획 설정은 주인공들이 중학생이었으나, 초등학생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학교 구조나 학생들이 교복을 입는 등 초등학교보다는 중학교에 가까워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또한 [[https://web.archive.org/web/20020220030432/http://www.studiokaab.com/project/spheres/character.html|스튜디오 카브의 초기 캐릭터 구상]]에서는 원래 초능력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연예인 활동을 하다가 스피어 유니온에 합류한 마르라는 남자 캐릭터도 등장시킬 계획이었으나 취소되었다. * 스피어즈 에피소드: 나롱이의 대모험이라는 게임도 발매되었는데 정작 이 작품과는 관계가 없다.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가 스피어즈의 프리 프로덕션이라 스피어즈를 넣은듯 하다. * [[한나연(스피어즈)|한나연]]이라는 캐릭터도 매력적이었지만 한나연의 애완동물로 보조 출연했던 [[나롱이]]를 재발견할 수 있었던 작품이다. 스튜디오 카브의 마스코트였던 나롱이는 스피어즈 제작 시절부터 플래시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의 주인공으로 등장했으며 스피어즈가 방영할 때에도 인기가 매우 좋았고 그 후 방영된 [[뚜루뚜루뚜 나롱이]], [[쾌걸롱맨 나롱이]], [[그린세이버]]에서도 주연을 맡으며 승승장구했다.[* 스피어즈 이후에 나롱이 플래시가 제작된 줄 아는 사람들이 있지만 '''나롱이가 처음 창작된 것은 2001년 9월 2일, 플래시 제작은 2002년 초로 스피어즈 방영 한참 전이다.''' [[주객전도|이미 스튜디오 카브의 마스코트였던 나롱이를 이용해 스피어즈를 만든 거지 스피어즈 먼저 만들고 나중에 나롱이를 추가한 게 아니다.]]] * 앞서 언급되었듯 허무맹랑해 보이는 빈약한 설정들, 지루하거나 유아틱한 중간 에피소드, 후반부의 전투복 등 부족한 점은 정말 많았지만 막판의 반전이나 마무리 부분은 호평을 받았다. * 일본 웹에서는 이 작품을 가리켜 '''한국계 [[모에]] 애니메이션'''이라며 칭송하는 글이 많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 2005년 4월 4일부터 월, 화 오후 4:30~17:00에 MBC에서 재방영된 적이 있다. 단, 도중 조기종영되어 5월 10일까지 방영했다. * [[대만]]과 [[이탈리아]]에서 [[DVD]]가 발매되었다. 삽입곡 Stay는 한국 애니메이션 삽입곡 추천에 늘 들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한국에서 아직 [[IPTV]]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 해외 채널 KidsCo에서 [[뚜루뚜루뚜 나롱이]]와 스피어즈가 방영되고 있는 게 목격됐다. * 2022년 8월부터 네이버 웹툰 도전만화에 "[[https://comic.naver.com/challenge/list?titleId=798877|스피어즈 일상툰]]라는 작품이 연재되고 있는데 유튜버 나롱이 박사가 스튜디오 카브의 허가를 받아 기존 스피어즈를 각색한 작품이라고 한다.[[https://www.youtube.com/@nalong1018/community]] [[분류:스피어즈]][[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