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끌별 녀석들)] [목차] == 개요 == [[시끌별 녀석들/애니메이션|시끌별 녀석들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주제가를 정리한 문서. 극장판과 OVA의 일부 OST를 제외 하고는 대부분 [[라무]]가 [[모로보시 아타루|아타루]]로 부터 사랑 받기를 원하거나 바라보는 감정에 대한 내용을 가사로 담아내고 있다. == [[시끌별 녀석들(1981년 애니메이션)|1981년 TVA]] == === 오프닝 === 4년 반 동안 방영한 애니메이션 답게, 오프닝 6개, 엔딩 9개로 꽤나 많다.[* 영상은 2013년 블루레이 리마스터링 방영분이다. 1980년대 방영분과의 차이는 화질과 음질이 더욱 개선 되었을 뿐 시청시에 별다른 지장은 없다.] ==== ラムのラブソン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1 {{{-2 (1~77화)}}}[br]ラムのラブソング[br]라무의 러브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SSandvOCwg,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Jw6exFLpEE,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마츠타니 유유코(松谷祐子) || || '''작사''' || 이토 아키라(伊藤アキラ) || || '''작곡''' ||<|2>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あんまりそわそわしないで 안마리 소와소와 시나이데 너무 안절부절 하지 말아줘요 あなたはいつでもきょろきょろ 아나타와 이츠데모 쿄로쿄로 당신은 언제나 두리번두리번 よそ見をするのはやめてよ 요소미오 스루노와 야메테요 한눈 파는건 그만둬요 私が誰より一番 와타시가 다레요리 이치바응 내가 누구보다도 가장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星達が輝く夜更け 호시타치가 카가야쿠 요후케 별들이 빛나는 깊은 밤에 夢見るのあなたの全て 유메미루노 아나타노 스베테 꿈을 꿔요 당신의 모든 것 愛しても あなたは知らんぷりで 아이시테모 아나타와 시라은푸리데 사랑해도 당신은 모르는 척하며 今頃は誰かに夢中 이마고로와 다레카니 무츄우 지금쯤이면 다른 누군가에게 빠져 ああ 男の人って 아아 오토코노 히톳테 아아 남자들은 いくつも愛を 持っているのね 이쿠츠모 아이오 못테이루노네 사랑을 몇개씩 가지고 있군요 ああ あちこちにバラまいて 아아 아치코치니 바라마이테 아아 사방에 뿌리고 다니며 私を悩ませるわ 와타시오 나야마세루와 저를 고민하게 하네요 あんまりそわそわしないで 안마리 소와소와 시나이데 너무 안절부절 하지 말아줘요 あなたはいつでもきょろきょろ 아나타와 이츠데모 쿄로쿄로 당신은 언제나 두리번두리번 よそ見をするのはやめてよ 요소미오 스루노와 야메테요 한눈팔지 말아줘요 私が誰より一番 와타시가 다레요리 이치바응 내가 누구보다도 가장 ああ 男の人って 아아 오토코노 히톳테 아아 남자들은 何人 好きな人がほしいの 난닌 스키나 히토가 호시이노 애인이 몇명이나 필요한 건가요 ああ 私だけ愛してよ 아아 와타시다케 아이시테요 아아 나만을 사랑해줘요 いつでもひとりだけを 이츠데모 히토리다케오 언제라도 한 사람만을 あんまりそわそわしないで 안마리 소와소와 시나이데 너무 안절부절 하지 말아줘요 あなたはいつでもきょろきょろ 아나타와 이츠데모 쿄로쿄로 당신은 언제나 두리번두리번 よそ見をするのはやめてよ 요소미오 스루노와 야메테요 한눈 파는건 그만둬요 私が誰より一番 와타시가 다레요리 이치바응 내가 누구보다도 가장 私がいつでもいちばん 와타시가 이츠데모 이치바응 내가 언제까지나 가장 あなたの全てが 아나타노 스베테가 당신의 모든 것을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好きよ 好きよ 好きよ… 스키요 스키요 스키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좋아해요 一番 好きよ 이치바응 스키요 제일 좋아해요 || }}}}}}}}} || * 가장 처음에 나온 오프닝의 노래. 엄청난 히트곡이며 인지도도 최상급인 유명한 노래이며 77화까지 2년간 이 노래가 사용되었다. 이후 수많은 성우, 가수가 커버해서 부를 정도로 인기 곡. 초기에는 오프닝에 가사가 표기되지 않았으나, 22화부터 가사를 표기하게 된다. * [[오렌지캬라멜]]의 일본 싱글 2집에서 이 노래를 커버했다. [[https://youtu.be/ToIlgsi25ng|#]] * [[하야미 사오리]]가 [[러브플러스]] 앨범에서 커버했으며 준수한 가창력을 자랑한다.[* 이후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2022년 애니메이션]]에서 [[오유키]]로 캐스팅된다.] [[https://youtu.be/PO1VxoqWDEs|유튜브]] * 게임 [[모모코 120%]]의 배경음악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후 [[팝픈 뮤직]]에도 수록되었었다. * 애니메이션 [[농림/애니메이션|농림]] 3화 엔딩의 초반부는 이것의 오마쥬. [[농림/패러디]] 3화 참고 * [[모로보시 아타루|아타루]], [[라무]], [[미야케 시노부|시노부]]가 중반부에 추는 춤을 팬들은 '삼각관계 춤'이라 칭하며 최근의 만화,애니들에서도 삼각관계 등장인물이 나올때마다 이를 패러디하여 영상을 만들거나 팬아트로 쓰인다. *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2022년 애니메이션]]에서도 BGM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라무]](CV. [[우에사카 스미레]])가 부른 정식 커버곡이 2023년 3월 15일에 발매된 [[Blu-ray Disc]] & [[DVD]] BOX에 수록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aJwaZKBzaFo|#]] ==== Dancing Sta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2 {{{-2 (78~106화)}}}[br]Dancing Sta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MpHiToy6N4,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Rp2e1V4voM,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2>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작곡''' || || '''작사''' || 이토 아키라(伊藤アキラ) || || '''편곡''' || 안자이 후미타카(安西史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都会が寝静まるころ 도시가 잠들 무렵에 男はさそり座に変る 남자는 전갈자리로 변하고 女は乙女座になる 여자는 처녀자리가 돼 おどれ Dancing Dancing Night 춤춰라 Dancing Dancing Night 心をくすぐる指を 마음을 간지럽히는 손가락을 ふたりはたくみにすべらせ 두사람이 능숙하게 미끄러뜨려 不思議な宇宙の果てで 신비한 우주의 끝에서 おどれ Dancing Dancing Star 춤춰라 Dancing Dancing Star もう一度あなたから 愛しているよなんて言ってよ 다시 한번 당신에게서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싶어 こんな時誰だって 嘘でも夢がほしいの 이럴 때는 누구든지 거짓일지라도 꿈을 원해 すぐ夜明けがくる 愛が消えてゆく 곧 새벽이 오고 사랑이 사라져 가 すぐひとりになる ただそれがこわいの 곧 혼자가 돼 그게 너무 무서워 短く燃えつきる夜 짧게 타오르는 밤 男は星屑に変る 남자는 별가루로 변하고 女は流星になる 여자는 별똥별이 돼 おどれ Dancing Dancing Star 춤춰라 Dancing Dancing Star 思い切り抱きしめて 帰したくないなんて言ってよ 힘껏 껴안고 돌려보내주기 싫다고 말해줘 今夜こそふたりきり くちづけだけに酔いたい 오늘 밤이야말로 단 둘이서 입맞춤에만 취하고 싶어 ほら 私の目に あなたがうつって 봐 내 눈에 당신이 비치고 ほら あなたの目に 私が美しい 봐 당신의 눈에 내가 아름다워보여 短く燃えつきる夜 짧게 타오르는 밤 男は星屑に変る 남자는 별가루로 변하고 女は流星になる 여자는 별똥별이 돼 おどれ Dancing Dancing Star 춤춰라 Dancing Dancing Star 都会が寝静まるころ 도시가 잠들 무렵에 男はさそり座に変る 남자는 전갈자리로 변하고 女は乙女座になる 여자는 처녀자리가 돼 おどれ Dancing Dancing Night 춤춰라 Dancing Dancing Night 短く燃えつきる夜 짧게 타오르는 밤 男は星屑に変る 남자는 별가루로 변하고 女は流星になる 여자는 별똥별이 돼 おどれ Dancing Dancing Star 춤춰라 Dancing Dancing Star おどれ Dancing Dancing Star 춤춰라 Dancing Dancing Star || }}}}}}}}} || * [[모로보시 아타루]]와 캐릭터들이 추는 춤은 영화 [[토요일 밤의 열기]]에 나오는 춤의 패러디이다. * 원래 77화에서 OP2로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누가 작화 스튜디오에 들어가 셀화를 훔쳐가서 새로 그리느라 1주 교체가 늦어졌다고 한다. 대부분의 작화 스튜디오는 아파트 같은 걸 임대해서 책상만 잔뜩 두고 작업하며 프리랜스로 불규칙한 시간대에 왔다갔다하는 사람들이 많아 보안 없이 24시간 열어두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간혹 이렇게 몰래 들어온 사람들이 물건을 훔쳐가는 경우가 많다. [[교토 애니메이션 제1스튜디오 방화 사건]]도 그래서 생겨난 것. 사건 이후로는 보안을 강화하는 추세라고 한다. * [[신만이 아는 세계]] 캐릭터 커버앨범에서 [[엘류시아 데 루트 이마|엘시]] 역의 [[이토 카나에]]가 커버했다. [[https://youtu.be/Te4ROoDCLuE|#]] * 이 노래를 부른 코바야시 이즈미가 부른 원곡이 있다. 제목은 'Crescent Pierce'.[[https://www.youtube.com/watch?v=ny4Jy7WNQGw|#]] [[https://www.youtube.com/watch?v=e3TFMBjrucw|#2021 리마스터]] ==== パジャマ・じゃま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3 {{{-2 (107~127화)}}}[br]パジャマ・じゃまだ![br]파자마가 방해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n_uVt0pGrI,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aVVs4bx7AY,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나리키요 카나코(成清加奈子) || || '''작사''' || 강진화(康珍化) || || '''작곡''' || 하야시 테츠지(林哲司) || || '''편곡''' || 시이나 카즈오(椎名和夫)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작화 수정''' || 후루세 노보루 || || '''파스텔톤 [[라무|{{{#fff001,#fff001 라무}}}]] 일러스트''' || [[타카다 아케미]]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夢の中まで追いかけたくて 꿈속까지 쫓아가고 싶어서 Bedの下に写真を入れた 침대 밑에 사진을 넣었어 空に浮んでイイとこなのに 날아갈듯이 좋은 잠자리였는데 キスしたとたん夢からさめた 키스하던 순간 꿈에서 깼어 ギュット 抱きしめてね キット 꼬옥하고 안아줘 꼭 ズット 待ってるから ジット 계속 기다렸으니까 가만히 はがやくなる 애달파지게 돼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眠れないのよ せつない ダーリン 잠들 수가 없어 애가 타 달링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裸の気持 感じてダーリン 벌거벗은 기분을 느껴줘 달링 Hotため息 燃えちゃいそうな 뜨거운 한숨 타버릴듯한 青い星の夜 푸른 별의 밤 あなたに彼女 いるってウワサ 당신에게 여자친구가 있다는 소문 めげたりしない すこしも私 기죽지 않아 조금도 나는 浮気な恋の翼よ早く 바람둥이 사랑의 날개야 빨리 あの人ここにさらって来てね 저 사람을 여기에 데려와 줘 モット そばにいたい ズット 좀 더 곁에 있고 싶어 계속 いつも 見つめていたい ジット 언제나 바라보고 싶어 가만히 だけど今は 하지만 지금은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ふたりの間なんにもない 두 사람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어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裸の気持 気づいてダーリン 벌거벗은 기분을 알아줘 달링 ちょっときわどい夢を見そうで 좀 외설적인 꿈을 꿀 것 같아서 眠れない夜ね 잠들 수 없는 밤이야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まくら抱いても せつないダーリン 베개를 안아도 애가 타 달링 パ パ パジャマ・じゃまだ 파 파 파자마가 방해야 裸の気持 感じてダーリン 벌거벗은 기분을 느껴줘 달링 シュット流星燃えちゃいそうな 날아가는 유성 타버릴듯한 青い星の夜 푸른 별의 밤 || }}}}}}}}} || * 다음 작품인 [[란마 1/2]]의 3번째 오프닝, [[절대! Part 2]]와 색감과 구성, 연출이 매우 흡사한데 이는 같은 애니메이터인 난케 코지가 담당하였기 때문. * 일본 애니메이션 최초로 콜라주 기법을 사용했다. ==== Chance on Lov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4 {{{-2 (128~149화)}}}[br]Chance on Lov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2MGVX8A6Ec,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oSWharzwY4,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CINDY || || '''작사''' || CINDY[br]미야하라 메바에(宮原芽映) || || '''작곡''' || 오다 유이치로(小田裕一郎) || || '''편곡''' || 호시 카츠(星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모리야마 유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My baby, what can I say 당신에게 뭐라 말해야 할까요 Show you the way that I feel 내가 느끼고 있는 걸 알려줄게요 I just wanna be with you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을 뿐이에요 Won't you give your love for me 날 사랑해주실 수 있나요 Let's take a chance on love 사랑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あなたの腕に抱かれながら 당신의 팔에 안기면서 耳もとささやいた 귓가에 속삭였어요 私をずっと離さないで 나를 계속 잡고 있어줘요 甘い夢を見せてあげるわ 달콤한 꿈을 보여줄테니까 Feel me, feel me 느껴줘요, 느껴줘요 And hold me in your arms 나를 팔로 안아줘요 And give a smile in my heart 내 마음에 미소를 지어줘요 I will love you everyday 매일매일 사랑할테니까 Nobody does like I do 나만이 이렇게 할 수 있어요 My love is so very true 내 사랑은 진심이니까 I just wanna be with you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을 뿐이에요 Won't you give your love for me 날 사랑해주실 수 있나요 Let's take a chance on love 사랑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Can't you see, I want you, love 내가 당신을 원하고 있는걸 모르나요 Want you to tell me the same. 내게 똑같은 말을 해줘요 I just wanna be with you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을 뿐이에요 Won't you give your love for me 날 사랑해주실 수 있나요 Let's take a chance on love 사랑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いつでも恋は眠りさます 언제라도 사랑은 잠에서 깨어나 時計をかくしてる 시계를 감추고 있어요 気のない腕で抱きよせると 힘 없는 팔로 안아준다면 夢はすぐにさめてしまうわ 꿈은 곧바로 끝나버려요 Feel me, feel me 느껴줘요, 느껴줘요 And hold me in your arms 나를 팔로 안아줘요 And give a smile in my heart 내 마음에 미소를 지어줘요 I will love you everyday 매일매일 사랑할테니까 Nobody does like I do 나만이 이렇게 할 수 있어요 My love is so very true 내 사랑은 진심이니까 I just wanna be with you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을 뿐이에요 Won't you let me stay with you 나와 함께 있어줘요 Let's take a chance on love 사랑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I just wanna be with you 당신과 함께 있고 싶을 뿐이에요 Won't you let me stay with you 나와 함께 있어 줘요 Let's give a chance on love. 사랑할 기회를 주세요 || }}}}}}}}} || * 시끌별 투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던 오프닝. * 최초 녹음본은 현재의 오프닝 버젼과 전체 일어 원어 버젼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일어 원어 버젼을 공개할 예정이였지만 기획 담당의 오치아이 시게카즈가 원본 버젼에 일어 버젼의 가사를 자막으로 넣고 선 공개를 하고 반응을 살펴보자 하여 결정된 곡 이다. ==== Rock the Plane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5 {{{-2 (150~165화)}}}[br]Rock the Plane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Ci5V5aEyCE,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SCChUHwdbM, width=100%)]}}} || ||<-2> '''{{{#fff001,#fff001 Liv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gOhabXTTeA,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Steffanie || || '''작사''' || Ralph McCanthy[br]마츠이 고로우(松井五郎) || || '''작곡''' || 타케카와 유키히데(タケカワユキヒデ) || || '''편곡''' || 시이나 카즈오(椎名和夫)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니시지마 카츠히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을 위해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을 위해 락을 쳐줘 輝いた銀河 빛이 나는 은하 瞳をつらぬき 눈동자를 띄워가면 あなたへと燃えた 당신에게서 불탔어 ハートがとまらない 하트가 멈춰주질 않어 On the third stone from the sun 태양의 세번째 돌로부터 You ring my bell, I bang your drum Singin' 넌 나의 종을 쳐, 나는 노래하면서 너의 드럼을 칠게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抱きしめて熱く 誰よりも強く 뜨겁게 안아주고 누구보다 강하게 愛が見えたなら 唇あずけたい 사랑이 보였다면 입술 맡기고 싶어 When the race is finally run 경기가 겨우 시작됐을 때 We're right back where we started from we can 우리는 다시 시작한데로 돌아왔어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On the third stone from the sun 태양의 세번째 돌로부터 We'll rock and roll till morning comes Singin' 우리는 아침이 올때까지 락을 칠거야 Rock the planet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baby 당신,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Rock the planet,we'll be Rockin' the planet,Baby 락을 이 행성에게 쳐줘, 우리는 행생에게 락을 칠거야 당신 Rock the plane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해 이 행성에게 락을 쳐줘 || }}}}}}}}} || * [[SHOW-YA]]의 전 멤버인 스테파니 보저스가 불렀다. * [[스타워즈]]의 패러디가 많이 보인다. 그 때문에 [[루카스아츠]]에서 태클이 들어와 3달만에 바로 교체되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오프닝의 연출은 이 오프닝 오마주. ==== 殿方ごめん遊ばせ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6 {{{-2 (166~195화)}}}[br]殿方ごめん遊ばせ[br]신사분들 송구하옵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70bNpWTI0U,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i-qkQ0ybxI,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미나미 쇼코(南翔子) || || '''작사''' || 아키 요우코(阿木燿子) || || '''작곡''' || 이즈미 츠네히로(和泉常寛) || || '''편곡''' || 미즈타니 키미오(水谷公生)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手口は見えているけど 속셈은 전부 보이지만 そこがとても可愛いわ 그런 점이 정말 귀여워 五分に張る気でいるなら 조금이라도 할 마음이 있다면 受けてあげる 上等よ 받아들여 주겠어 좋아 高く足を組みかえ 높게 다리를 고쳐 꼬고 ウィンクもうひと押しね 윙크 이제 한번이면 되겠어 眩しいでしょう 눈부시지 않니? 舞い上った微熱 끓어오른 미열 瞳が潤んでる 눈동자가 촉촉해져 そうよ 그래 You are watching me. I am watching you. 당신은 날 보고, 나는 당신을 보고 魅力的すぎたかしら 너무 매력적이었을까? 殿方ごめん遊ばせ 신사분 미안해요 あなた今夜 眠れない 당신 오늘 밤 잠 못 잘테니까 女を理解するのは 여자를 이해하는 건 ほとんど無駄な努力よ 죄다 쓸데없는 노력이야 経験なんかじゃないわ 경험 같은 게 아니야 まるで違う異星人 전혀 다른 별나라 사람 같으니까 あなた 分かっていない 당신은 모르고 있어 そこも大好きだけど 그 점도 좋아하지만 誉めると ほら 칭찬해주면 봐봐 私を見る目付き 나를 보는 눈길 いかにも好きそうよ 어지간히도 좋아하나 봐 いつも 언제나 You are watching me,I am watching you 당신은 나를 보고, 나는 당신을 보고 胸騒ぎ いかがかしら 이런 가슴설렘은 어떨까 殿方ごめん遊ばせ 신사분 미안해요 感じすぎてお気の毒 너무 느끼는게 가엽군요 そうよ 그래 You are watching me. I am watching you. 당신은 날 보고, 나는 당신을 보고 魅力的すぎたかしら 너무 매력적이었을까? 殿方ごめん遊ばせ 신사분 미안해요 あなた今夜 眠れない 당신 오늘 밤 잠 못 잘테니까 || }}}}}}}}} || * '殿方ごめん遊ばせ'라는 제목은 [[브리짓 바르도]]의 대표작 중 하나인 영화 '당신 미안해요(Une Parisiennes, 1957)'의 일본 제목이다. === 엔딩 === ==== 宇宙は大ヘン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1 {{{-2 (1~21화)}}} / 195화 삽입곡[br]宇宙は大ヘンだ![br]우주는 큰일 났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FEM6I7p6as,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J3U-BvKLz4,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마츠타니 유유코(松谷祐子) || || '''작사''' || 이토 아키라(伊藤アキラ) || || '''작곡''' ||<|2>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란마 1/2]]에서 [[샴푸(란마 1/2)|샴푸]]의 성우인 [[사쿠마 레이(성우)|사쿠마 레이]]의 데뷔곡 중에 'はみだし天使'라는 곡이 이 곡의 편곡이다. 작곡가가 코바야시 이즈미로 동일 인물.[[https://www.youtube.com/watch?v=C5iHR6rNPSg|#]] ==== 心細いな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2 {{{-2 (22~43화)}}}[br]心細いな[br]마음이 허전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9XVGHNdJTA,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rEjpcqhyA8,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헬렌 사사노(ヘレン笹野) || || '''작사''' || 치헤코 슈라이더(地恵子・シュレイダー) || || '''작곡''' ||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편곡''' || 호시 카츠(星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엔딩이 바뀐 구애니 44화(67화) 에피소드 그대 떠난후(君去りし後)[* 원작, 신구애니 통틀어 ''''명작''''으로 평가받는 에피소드로 과거 인기 에피소드투표에서 1위를 차지한적이 있다.]에서 수록되어 많은 팬들이 기억하고있다. ==== 星空サイクリン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3 {{{-2 (44화~54화, 65화~77화)}}} /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 삽입곡[br]星空サイクリング[br]별하늘 사이클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nS9_TKQ6b8,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SN2sEGQ3v0,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4> 버진 VS(ヴァージンVS)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작화 수정''' || [[엔도 아사미]] || }}}}}}}}} || * 원곡 코스믹 사이클링(コズミックサイクラー)[[https://www.youtube.com/watch?v=-Sxuy28TQAA|#]]이 37화 삽입곡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당 원곡의 반응이 좋아서 가사와 편곡을 일부 변경해 3기 엔딩으로 채용. ==== I, I, YOU & 愛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4 {{{-2 (55화~64화)}}} /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 주제가[br]I, I, YOU & [ruby(愛, ruby=사랑)][* 일종의 말장난이다. 알파벳 "I"가 자신이라는 뜻과 일본어로 사랑 애를 읽는 발음인 "아이"와 공통되었기 때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u2jkGkBxYo,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5KPB9VCcjg, width=100%)]}}} || ||<-2> '''{{{#fff001,#fff001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FoW57zoi-U,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3>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작곡''' || || '''편곡''' || || '''작사''' || 안도 요시히코(安藤芳彦)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원래는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의 주제가. 영화 홍보를 위해 4기 엔딩으로 일시적으로 사용했다. * 영화 개봉이 끝난 뒤엔 다시 별하늘의 사이클링을 엔딩곡으로 사용한다. ==== 夢はLOVE ME MOR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5 {{{-2 (78~106화)}}}[br]夢はLOVE ME MORE[br]꿈은 [ruby(LOVE ME MORE, ruby=나를 더 사랑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FilOCMex4E,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5QDRC_IbH4,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2>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작곡''' || || '''작사''' || 안도 요시히코(安藤芳彦) || || '''편곡''' || 카와시마 유지(川島裕二)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恋のメビウ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6 {{{-2 (107~127화)}}}[br]恋のメビウス[br]사랑의 뫼비우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2S-9pofnLg,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eYtudDmss,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리츠(リッツ) || || '''작사''' || 지츠카와 쇼우(實川翔)[br]쿠보타 사치오(久保田さちお) || || '''작곡''' || 하야카와 히로츠구(早川博二) || || '''편곡''' || 버진 VS(ヴァージンVS)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OPEN INVITATI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7 {{{-2 (128~149화)}}}[br]OPEN INVIT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JkUZQydIEY,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tQ23OhiUGI,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CINDY || || '''작사''' || Ralph McCanthy[br]미야하라 메바에(宮原芽映) || || '''작곡''' || 미키 요시노(ミッキー吉野) || || '''편곡''' || 호시 카츠(星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모리야마 유지]] || }}}}}}}}} || ==== エヴリデ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8 {{{-2 (150~165화)}}}[br]エヴリデイ[br]EVERY D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zdBFBmoujs,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I7KjAozgQs,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Steffanie || || '''작사''' || Ralph McCanthy || || '''작곡''' || 미키 요시노(ミッキー吉野) || || '''편곡''' || 시이나 카즈오(椎名和夫)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아베 츠카사 (阿部司) || }}}}}}}}} || * [[SHOW-YA]]의 전 멤버인 스테파니 보저스가 불렀다. ==== GOOD LUCK 〜永遠より愛をこめて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9 {{{-2 (166~195화)}}}[br]GOOD LUCK 〜永遠より愛をこめて[br]GOOD LUCK ~영원보다 사랑을 담아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zDlQcGt1dw,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AAYY51Sl_Q,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미나미 쇼코(南翔子) || || '''작사''' || 아키 요우코(阿木燿子) || || '''작곡''' || 이즈미 츠네히로(和泉常寛) || || '''편곡''' || 미즈타니 키미오(水谷公生)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난케 코지]] || }}}}}}}}} || === OVA === [[시끌별 녀석들]]의 OVA는 총 11개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지만 오프닝과 엔딩은 굉장히 오락가락했다. 아예 오프닝과 엔딩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첫번째 오프닝과 엔딩을 사용하거나 마지막 오프닝과 엔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유는 제작된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서이다. 그리하여 공식 OVA 오프닝과 엔딩은 아래의 3곡 뿐 이다. ==== モノトーンの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꿈의 설비사, 이나바군 등장! 라무의 미래는?|{{{#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꿈의 설비사, 이나바군 등장! 라무의 미래는?}}}]] OP[br]モノトーンの夏[br]모노톤의 여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CdMYSSyZs4, width=100%)]}}} || ||<-2> '''{{{#fff001,#fff001 OVA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YCiQyceIxI,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마츠타카 카나코(松永夏代子) || || '''작사''' || 모리 유키노죠(森雪之丞) || || '''작곡''' || 츠지하야 테츠지(辻畑鉄也) || || '''편곡''' || 모리 히데하루(森英治)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도키테 츠카사]] || }}}}}}}}} || * [[시끌별 녀석들]]의 오프닝과 엔딩 곡들 최초로 2분을 넘어가는 곡. ==== SOR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꿈의 설비사, 이나바군 등장! 라무의 미래는?|{{{#fff001,#fff001 시끌별 녀석들: 꿈의 설비사, 이나바군 등장! 라무의 미래는?}}}]] ED[br]SOR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1YcgQUKlzk, width=100%)]}}} || ||<-2> '''{{{#fff001,#fff001 OVA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H0l8tXQFrA,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마츠타카 카나코(松永夏代子) || || '''작사''' || 모리 유키노죠(森雪之丞) || || '''작곡''' || 츠노타☆히로(つのだ☆ひろ) || || '''편곡''' || 쿠보타 미츠마사(久保田光政)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코바야시 유카리(小林ゆかり) || }}}}}}}}} || ==== うる星やつら STARS 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VA4 ~ OVA7 OP/ED[br]うる星やつら STARS ON[br]시끌별 녀석들 STARS 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fpWUtPQTo, width=100%)]}}} || ||<-2> '''{{{#fff001,#fff001 OVA OP ver. {{{-2 (1절 구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HtnLpOV35k, width=100%)]}}} || ||<-2> '''{{{#fff001,#fff001 OVA ED ver. {{{-2 (후렴 구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i8QqinMjuo,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사토미(さ・と・み)[* 본명은 이시나베 사토미(石鍋さとみ)] || || '''편곡''' || 안자이 후미타카(安西史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애니메이션''' || - || }}}}}}}}} || * 들어봐도 알겠지만 기존의 1981년 TVA 시리즈의 오프닝과 엔딩 곡들을 기반으로 전부 편곡하고 다시 커버하였다. === 해외 === 한국에서도 일부 에피소드가 더빙 방영되긴 했으나 주제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 lam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이탈리아판 OP {{{-2 (1~195화)}}}[br]lamù[br]라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guZ5rJOALk,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치로 다미코(Ciro Dammicco)[br]노암 카니엘(Noam Kaniel) || || '''작사''' || 미상 || || '''작곡''' || 미상 || || '''편곡''' || 미상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ARA' UN AMORE STRANO, QUESTO QUA CHE BRUCIA FUORI, DENTRO, QUA E LA' UNO SGUARDO SOLAMENTE E LA FIAMMA E' ACCESA GIA' SCAPPO, RESTO, FUGGO, TORNO, CHI LO SA? COM'E' DIFFICILE STARE AL MONDO [x3] SE NON POSSIAMO SBAGLIARE MAI MI PIACEREBBE SCAPPARE DAL MONDO FINISCO POI PER RESTARE, IO NON ME NE ANDRO' TANTO GIA' LO SO CHE POI VINCI SEMPRE TU NEL MIO DESTINO PACE NON CE N'E' NESSUNA AL MONDO E' MATTA COME TE TU MI GUARDI SORRIDENTE E IO TREMO PERCHE' SO SCAPPO, RESTO, FUGGO, TORNO, CHI LO SA? || }}}}}}}}} || ==== La chanson de Lam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프랑스판 OP {{{-2 (1~195화)}}}[br]La chanson de Lamu[br]라무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f5LLjTNPNE,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Francine Chantereau || || '''작사''' || Patrick Boutot[br]Jean Claude Darnal || || '''작곡''' || 미상 || || '''편곡''' || 미상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l était un jour sur la Terre Une petite extra-terrestre Qui découvrit que son cœur, l'étoile de l'amour Brillerait pour toujours Toi tu n'es pas extra-terrestre Ton prénom à toi c'est Ronnie Depuis toujours je t'ai rêvé Et puis je t'imaginais tendre et tout plein d'amour Mon nom est Lamu, Lamu, je viens du fin fond de l'espace Mon nom est Lamu, Lamu, je ne suis pas de votre race Mon nom est Lamu, Lamu et je ne manque pas d'audace Mon nom est Lamu, Lamu Et j'oublie tout quand tu m'embrasses Mon nom est Lamu, Lamu, je viens du fin fond de l'espace Mon nom est Lamu, Lamu, je ne suis pas de votre race Mon nom est Lamu, Lamu et sur la Terre j'ai rencontré Mon nom est Lamu, Lamu, l'amour et je veux le garder Comme Roméo et Juliette Mon petit cœur est partagé Entre l'amour et l'honneur Mes sentiments pour toi sont un peu mélangés Arrêtons de nous faire du mal Il est grand temps de s'amuser En route vers l'aventure Avec toi je suis sûre Que tout va s'arranger Mon nom est Lamu, Lamu, je viens du fin fond de l'espace Mon nom est Lamu, Lamu, je ne suis pas de votre race Mon nom est Lamu, Lamu et je ne manque pas d'audace Mon nom est Lamu, Lamu Et j'oublie tout quand tu m'embrasses Mon nom est Lamu, Lamu et sur la Terre j'ai rencontré Mon nom est Lamu, Lamu, l'amour et je veux le garder || }}}}}}}}} || ==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2022년 TVA]] == === 오프닝 === ==== アイウエ feat. 美波, SAKURAmot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1[br]アイウエ feat. 美波, SAKURAmoti[br]아이우에 feat. [[미나미(싱어송라이터)|{{{#fff001 미나미}}}]], SAKURAmot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EVhv4eB8Q8,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wzRR6Bsro4, width=100%)]}}} || ||<-2> '''{{{#fff001,#fff001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80D5OWdcTE,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MAISONdes|[[파일:MAISONdes_logo.png|height=40]]]] || || '''작사''' ||<|2> SAKURAmoti[br][[미나미(싱어송라이터)|미나미]] || || '''작곡''' || || '''편곡''' || SAKURAmoti[br]마후네 카츠히로(真船勝博)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야마시타 신고]] || || '''연출''' || || '''작화감독''' || [[치카오카 스나오]] || || '''원화''' || [[카리야 히토미]], [[오자와 카즈노리]], [[카토 후미]], [[스도 아키히토]], [[사카즈메 타카히토]], [[스튜디오 콜로리도]] 등 || || '''촬영''' || [[요다 노부타카|10GAUGE]] || || '''일러스트 협력''' || [[타카하시 루미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TV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 아, 오에오 아, 에, 아, 에, 오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 아, 오에오 아, 에, 아, 에, 오 ねえ その 君はさ 私に ちょっと興味ないの? 네에 소노 키미와사 와타시니 춋토 쿄오미나이노 저기, 혹시 넌 말이야 나에게 조금도 관심이 없어? あぁ そう じゃあ いいから 아아 소오 쟈 이이카라 아, 그래? 그럼 됐으니까 忘れて いや やっぱ 忘れないで… 와스레테 이야 얏파 와스레나이데 잊어버려 아니, 역시 잊어버리지 마 あぁ もう どうして こんなに君推しなのに 아아 모오 도오시테 콘나니 키미 오시나노니 아아, 난 이렇게 너를 좋아하는데 왜 너는 気づかれない ほんともどかしいわ! 키즈카레나이 혼토 모도카시이와 눈치를 못 채니 너무 답답해 죽겠어! え、そんな 에 손나 뭐? 그런 건 聴いてないって 知らないって 키이테나잇테 시라나잇테 들은 적 없어 진짜로 몰라 私 全部全部をわかっていたいの 와타시 젠부 젠부오 와캇테타이노 난 너의 전부 전부를 알고 싶을 뿐이야 ダメだよって?そんなこと言われても 다메다욧테 손나 코토 이와레테모 뭐, 안된다고? 그런 말은 하나도 意味わかんないじゃん! 이미 와칸나이쟝 못 알아듣겠는걸! 「不可解現象」「異常上昇」 후카카이겐쇼오 이조오조오쇼오 불가해한 현상, 이상 상승 「どこがいいの?」なんて よく聞かれるけどさ 도코가 이이노 난테 요쿠 키카레루케도사 대체 어디가 좋냐는 말을 자주 듣는데 말이야 わからないでいいよ 와카라나이데 이이요 몰라도 난 상관없어 愛で 溢れて溢れてああ触れて止まらないだけ 아이데 아후레테 아후레테 아아후레테 토마라나이다케 사랑이 넘치고 넘쳐서 더는 멈추지 않을 뿐이야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 아, 오에오 아, 에, 아, 에, 오 わからないよ これなんだろう 와카라나이요 코레 난다로오 잘 모르겠어 이게 뭘까? なんて説明しよう 난테 세츠메이시요오 어떻게 설명하지?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 아, 오에오 아, 에, 아, 에, 오 とりあえず私だけ見ててよ ねえ!! 토리아에즈 와타시다케 미테테요 네에 아무튼 넌 나만을 바라봐줘, 응?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 아, 오에오 아, 에, 아, 에, 오 心キョロキョロ許さない 코코로 쿄로쿄로 유루사나이 한눈파는 건 절대 용서 못 해 一瞬でも 一秒でも 잇슌데모 이치뵤오데모 찰나라도 1초라도 ソワソワしていたい 소와소와 시테이타이 두근두근 설레고 싶어 だから一緒にいて 다카라 잇쇼니 이테 그러니 곁에 있어 줘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Full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아・오 - 에오・아・에・아・에・오 -)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아・오 - 에오・아・에・아・에・오 -) ねえ その 君はさ 私に ちょっと興味ないの? 네에 소노 키미와사 와타시니 춋토 쿄오미나이노 있잖아, 그게 너는 나한테 조금도 관심 없는거야? あぁ そう じゃあ いいから 아아 소오 쟈 이이카라 아, 그래 그러면 됐으니까 忘れて いや やっぱ 忘れないで… 와스레테 이야 얏파 와스레나이데 잊어줘 아니 역시 잊지 말아줘... あぁ もう どうして こんなに君推しなのに 아아 모오 도오시테 콘나니 키미 오시나노니 아 정말 어째서야 이렇게나 너를 제일 좋아하는데 気づかれない ほんともどかしいわ! 키즈카레나이 혼토 모도카시이와 눈치채지 못하다니 정말 답답해! え、そんな 에 손나 에, 그런거 聴いてないって 知らないって 키이테나잇테 시라나잇테 못 들었다고, 모른다고 私 全部全部をわかっていたいの 와타시 젠부젠부오 와캇테타이노 나는 전부 전부를 알고 싶은걸 ダメだよって?そんなこと言われても 다메다욧테 손나 코토 이와레테모 안 된다고? 그런 말을 들어도 意味わかんないじゃん! 이미 와칸나이쟝 무슨 뜻인지 모르겠잖아! 「不可解現象」「異常上昇」 후카카이겐쇼오 이조오조오쇼오 「불가해현상」「이상상승」 「どこがいいの?」なんて よく聞かれるけどさ 도코가 이이노 난테 요쿠 키카레루케도사 「어디가 좋아?」라는 말 자주 듣는데 말야 わからないでいいよ 와카라나이데 이이요 몰라도 괜찮아 愛で 溢れて溢れてああ触れて止まらないだけ 아이데 아후레테 아후레테 아아후레테 토마라나이다케 사랑으로 넘치고 넘치고 너무 치고 멈추지 않을 뿐이야 [* 원문에서는 넘친다는 뜻의 '아후레테(溢れて)'와 닿는다 또는 들어온다라는 뜻의 '후레테(触れて)'의 발음이 일치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 본문서에서는 각각 '넘치고', '너무 치고' 정도로 번역했다.] (ア・ア・アイウエ・ア・エ・ア・エ・オー) (아・아・아이우에・아・에・아・에・오 -) あ”ー!つまらないド星☆論 아 츠마라나이 도 세이론 아―! 시시한 완전 성☆론 飽きない超恋愛論 아키나이 초오렌아이론 질리지 않는 초연애론 さあ、どうする?ダーリン?ねえ? 사아 도오스루 다링 네에 자, 어떡할래? 달링? 응? (嗚!呼!愛飢え…) 아 아 아이우에 (아! 아! 사랑이 고파...) ああ もう 君はさ 아 모오 키미와사 아아 정말 너는 말야 僕に愛飢えちゃってしょうがない 보쿠니 아이우에챳테 쇼오가나이 나에게 사랑이 고파서 어쩔 수 없어 いつも抜き足差し足するのは忍びないけど 이츠모 누키아시사시아시스루노와 [[미야케 시노부|시노비]]나이케도 항상 살금살금 다가오는건 참을 수 없지만 心行ったり、来たり 코코로 잇다리 키타리 마음이 왔다가, 갔다가 泣きつかれちゃっても困っちゃうし 나키츠카레챳테모 코맛챠우시 울고 매달려도 곤란해지고 いつまで待ったって応えらんないからさ 이츠마데 맛테탓테 코타에란나이카라사 언제까지 기다려도 받아줄 수 없으니까 僕は今日も逃げるのさ 보쿠와 쿄오모 니게루노사 나는 오늘도 도망칠거야 フラ・フラ 危機一髪 후라 후라 키키잇파츠 어질・어질 위기일발 あなたは僕の運命の人 아나타와 보쿠노 운메이노 히토 당신은 나의 운명의 사람 許してよ、こんなの、あんまりじゃーん! 유루시테요 콘나노 안마리쟝 용서해줘, 이런건 너무하잖아! や、そんな 야 손나 야, 그런거 決めれないって 選べないって 키메레나잇테 에라베나잇테 정할 수 없다고 고를 수 없다고 僕は全部全部を[ruby(好, ruby=あい)]していたいの 보쿠와 젠부 젠부오 아이시테타이노 나는 전부 전부 [ruby(좋아, ruby=사랑)]하고 싶어 サイテーだよってそんなこと言われても 사이테에다욧테 손나 코토 이와레테모 최악이라고 그런 말을 들어도 別に、重々承知 베츠니 주우주우 쇼오치 딱히, 잘 알고 있어 ラブソングに 라부송구니 [[라무의 러브송|러브송]]에 冗談※要相談 조오단 요오소오단 농담※중요한 상담 「何がダメなの?」なんてよく問われるけどさ 나니가 다메나노 난테 요쿠 토와레루케도사 「뭐가 안되는거야?」라고 자꾸 물어보는데 他人事もいいところ 히토고토모 이이 토코로 남 일이라고 좋을 대로야 愛にあたって、くらっても、直ぐに立ち上がるだけ 아이니 [[모로보시 아타루|아탓테]] 쿠랏테모 스구니 타치아가루다케 사랑에 크게 데이고, 당해도, 금방 다시 일어날뿐이야 奇想天外!分かっているのかい? 키소오텐가이 와캇테이루노카이 기상천외! 알고 있어? 皆してあーだの、こーだの言っちゃって 미나시테 아아다노 코오다노 잇챳테 다들 이거다, 저거다 말해버려서 愛know味?チェリー味? 아이 노우 아지 [[사쿠란보(시끌별 녀석들)|체리]] 아지 사랑know맛? 체리 맛? テンでダメね [[텐(시끌별 녀석들)|텐]]데 다메네 열로 안되네 女の子、面倒結構! 온나노코 [[멘도 슈타로|멘도]]오켓코오 여자애, 귀찮아! 桜花爛漫 猛吹雪ても 오오카란만 모오후부키테모 [[사쿠라(시끌별 녀석들)|벚꽃]]낭만 맹[[오유키|눈보라]]라도 天真爛漫 冷静になれど [[벤텐(시끌별 녀석들)|텐]]신[[란(시끌별 녀석들)|란]]만 [[레이(시끌별 녀석들)|레에]]세에니 나레도 천진난만 냉정하게되지만 不運を祓っても 후운오 하랏테모 불운을 쫓아내도 難アリなやつらさ! 난아리나 [[시끌별 녀석들|야츠라]]사 어려운 녀석들이야! 半信/半疑 한신 한기 반신/반의 ご愛心、大惨事? 고아이신 다이산지 애정, 대참사? 止めどないこの愛のアイウエを 토메도나이 코노 아이노 아이우에오 끝없는 이 사랑의 아이우에를 教えて 오시에테 알려줘 一途だって、ズルくたって 이치즈닷테 즈루쿠탓테 일편단심이라고, 치사하다고 え? 에 에? 聴いてないって 知らないって 키이테나잇테 시라나잇테 못 들었다고, 모른다고 私 もっと 全部全部をわかっていたいの 와타시 못토 젠부 젠부오 와캇테타이노 나는 좀 더 전부 전부를 알고 싶은걸 ダメだよって?そんなこと言われても 다메다욧테 손나 코토 이와레테모 안 된다고? 그런 말을 들어도 意味わかんないじゃん! 이미 와칸나이쟝 무슨 뜻인지 모르겠잖아! 「不可解現象」「異常上昇」 후카카이겐쇼오 이조오조오쇼오 「불가해현상」「이상상승」 まったく、どうしようもない君に天罰を! 맛타쿠 도우시요오모나이 키미니 텐바츠오 정말, 어쩔 도리 없는 너에게 천벌을! だらしないくらいがちょうどいい 다라시나이 쿠라이가 쵸오도 이이 칠칠치 못한 정도가 딱 좋아 愛が 溢れて溢れてああ触れて止まらない 아이가 아후레테 아후레테 아아후레테 토마라나이 사랑이 넘치고 넘치고 너무 치고 멈추지 않아 飛ばっちり、罰っチリ…もう、いい加減にして! 토밧치리 밧치리 모오 이이 카겐니 시테 설치고, 벌칙...이제 됐어, 적당히 해!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아・오 - 에오・아・에・아・에・오 -) わからないよ これなんだろう 와카라나이요 코레 난다로오 모르겠어, 이건 뭘까 なんて説明しよう 난테 세츠메이시요오 뭐라고 설명해야 할까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아・오 - 에오・아・에・아・에・오 -) とりあえず私だけ見ててよ ねえ!! 토리아에즈 와타시다케 미테테요 네에 일단 나만을 바라봐줘 저기!! (ア・ア・オーエオ・ア・エ・ア・エ・オー) (아・아・오 - 에오・아・에・아・에・오 - ) 心キョロキョロ許さない 코코로 쿄로쿄로 유루사나이 마음이 힐끔힐끔하는 건 용서 못해 一瞬でも 一秒でも 잇슌데모 이치뵤오데모 한 순간이라도, 일 초라도 ソワソワしていたい 소와소와 시테이타이 두근두근 하고 싶어 だから一緒にいて 다카라 잇쇼니 이테 그러니까 같이 있어줘 || }}}}}}}}} || * 2020년대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조연들이 무대에서 춤을 추는 라무를 응원봉을 들고 [[오타게]]를 추는 장면이 나온다. 단, 이는 오프닝 한정 연출로 본편은 원작 그대로 1970년대 말이다. 오프닝 끝 부분을 잘 보면 오프닝 내용은 전부 [[모로보시 아타루]]의 [[개꿈]]이고 1970년대의 현실로 돌아간다.[* 이때 아타루가 스마트폰을 찾으려다 주변을 둘러보더니 라무를 째려보자 라무는 시선을 피하는데, 이 장면을 두고 오프닝 속 상황은 사실 라무가 무슨 장치를 써서 미래 체험을 시킨 것이며, 이번 오프닝은 라무와 아타루의 관계 뿐만 아니라 시끌별 녀석들의 플롯(라무와 아타루의 밀당, 라무가 일으킨 소동 등)을 요약한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 * [[라무]]의 댄스는 구작 1기 오프닝 '라무의 러브송'의 오마주이다. 일부 가사들도('쿄로쿄로','소와소와') 라무의 러브송을 연상시킨다. * [[라무]] 가족의 모델이 된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오마주도 있다. * 중간에 나오는 고전 게임 영상은 [[패밀리 컴퓨터]]용 게임 [[모모코 120%#시끌별 녀석들 - 라무의 웨딩벨|'시끌별 녀석들 라무의 웨딩벨']], [[PC 엔진]]용 게임 '시끌별 녀석들 STAY WITH YOU', [[게임보이]]용 게임 '시끌별 녀석들 미스 토모비키를 찾아라'이다. 실존하는 게임이고 실제 게임화면을 사용했다. 다만 [[스페이스 인베이더]]같은 영상과 최신 게임같이 보이는 영상[* [[연애 시뮬레이션]]같은 게임으로, 시노부의 모습이 지직거리며 라무로 변하는 특유의 연출을 보면 [[두근두근 문예부]]의 오마주로 보인다.]은 애니용으로 새로 그린 것이다. * 의외로 오프닝을 만든 스태프는 20~30대의 젊은 애니메이터이다. 애니메이터 [[스도 아키히토]] 말로는 시끌별 작화를 했다니까 어머니가 좋아하셨다고. * 이전 시리즈의 감독인 [[오시이 마모루]] 연출에 대한 오마주로 볼 수 있는 장면이 있다. 라무가 나오는 꿈에 아타루가 고통받는다는 설정은 [[시끌별 녀석들 2 Beautiful Dreamer]]의 내용이며, 나선 계단 장면은 [[천사의 알]], 회전하는 [[정글짐]][* 그루브 정글(グローブジャングル), merry go round 등으로 불린다.]은 [[시끌별 녀석들 1 Only You]]의 그림자 밟기의 왈츠 장면의 오마주로 볼 수도 있다. * 제목의 아이우에는 한국어로 치면 '가갸거겨' 같은 의미이지만 [[라무|'사랑에 굶주리다([ruby(愛, ruby=アイ)][ruby(飢え, ruby=ウエ)]).']]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 풀버전의 가사에는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말장난식으로 끼워넣은 것을 볼 수 있다. * 1절의 가사는 라무의 시점, 2절의 가사는 아타루의 시점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 TV Size와 Full 버전의 음 높낮이 차이가 조금씩 있다. 예시 1 気づかれない ほんともどかしい「'''わ'''」! (0:32) 예시 2 ダメだよって?そん「'''な'''」こと言われても (0:42) ==== アイワナムチュー feat. asmi, すりぃ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OP2[br]アイワナムチュー feat. asmi, すりぃ[br]아이 워너 무츄 feat. [[asmi|{{{#fff001 asmi}}}]], [[스리이|{{{#fff001 스리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tb-BpPpJ7U,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ROi9sNCVKs, width=100%)]}}} || ||<-2> '''{{{#fff001,#fff001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IhNdAFaWTY,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MAISONdes|[[파일:MAISONdes_logo.png|height=40]]]] || || '''작사''' ||<|3> [[스리이|[[파일:three_logo.svg|height=15]]]]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소에지마 야스후미(ソエジマヤスフミ) || || '''연출''' || || '''작화감독''' || [[치카오카 스나오]]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TV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止まらない 토마라나이 멈추지 않아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걸려서 よそ見ダーリンダメダメよ 요소미 다-린 다메다메요 한눈 파는 달링 안돼 안돼 痛いの飛んでけ残るの愛だけ 이타이노 톤데케 노코루노 아이다케 아픈 건 날아가라 남은 건 사랑뿐 キュンと私の恋心 큥토 아타시노 코이고코로 심쿵한 나의 연심 独りは嫌い触れるだけで 히토리와 키라이 후레루다케데 혼자는 싫어, 닿는 것만으로도 繋がるようじゃん 好きな感じじゃん 츠나가루요-쟌, 스키나 칸지쟌 이어지는 것 같잖아, 좋아하는 것 같잖아. 周りの嫌な意見関係ない 마와리노 이야나 이켄 칸케-나이 주위의 불쾌한 의견은 관심 없어 いわゆるあの盲目なの 이와유루 아노 모-모쿠나노 이른바 '○○바라기'야 最高なファッションセンス私になれない 사이코-나 홧숀센스 와타시니 나레나이 최고의 패션센스 나는 될 수 없어 羨ましい?悲しい?この話 우라야마시이? 카나시이? 코노하나시 부러워? 슬퍼? 그런 이야기 メンションで伝え気持ち 멘숀데 츠타에루 키모치 멘션으로 전해지는 기분 ほら言葉で伝えて 호라 코토바데 츠타에테 저기, 말로 직접 전해줘 欲しいの 호시이노 원한다고 止まらない 토마라나이 멈추지 않아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걸려서 よそ見ダーリンダメダメよ 요소미 다-린 다메다메요 한눈 파는 달링 안돼 안돼 痛いの飛んでけ残るの愛だけ 이타이노 톤데케 노코루노 아이다케 아픈 건 날아가라 남은 건 사랑뿐 これも辛いけど 코레모 츠라이케도 이것도 괴롭지만 騙して夢夢に溺れ 다마시테 유메유메니 오보레 가만히 꿈에서 꿈속으로 빠져서 もう等身大の愛はないよ 모- 토오신다이노 아이와 나이요 이젠 사람만한 사랑은 없어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걸려서 キュンと私の恋心 큥토 아타시노 코이고코로 심쿵한 나의 연심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病的アイニージュー 뵤-테키 아이니-쥬- 병적인 I need you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孤独は病 코도쿠와 야마이 고독은 병이야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盲目アイニージュー 모오모쿠 아이니-쥬- 맹목적인 i need you ずっとあなたにアイワナムチュー 즛토 아나타니 아이와나무추우 계속 당신에게 i wanna muchu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Full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止まらない 토마라나이 멈추지 않아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걸려서 よそ見ダーリンダメダメよ 요소미 다-린 다메다메요 한눈 파는 달링 안돼 안돼 痛いの飛んでけ残るの愛だけ 이타이노 톤데케 노코루노 아이다케 아픈 건 날아가라 남은 건 사랑뿐 キュンと私の恋心 큥토 아타시노 코이고코로 심쿵한 나의 연심 独りは嫌い触れるだけで 히토리와 키라이 후레루다케데 혼자는 싫어, 닿는 것만으로도 繋がるようじゃん 好きな感じじゃん 츠나가루요-쟌, 스키나 칸지쟌 이어지는 것 같잖아, 좋아하는 것 같잖아. 周りの嫌な意見関係ない 마와리노 이야나 이켄 칸케-나이 주위의 불쾌한 의견은 관심 없어 いわゆるあの盲目なの 이와유루 아노 모-모쿠나노 이른바 '○○바라기'야 最高なファッションセンス私になれない 사이코-나 홧숀센스 와타시니 나레나이 최고의 패션센스 나는 될 수 없어 羨ましい?悲しい?この話 우라야마시이? 카나시이? 코노하나시 부러워? 슬퍼? 그런 이야기 メンションで伝え気持ち 멘숀데 츠타에루 키모치 멘션으로 전해지는 기분 ほら言葉で伝えて 호라 코토바데 츠타에테 저기, 말로 직접 전해줘 欲しいの 호시이노 원한다고 止まらない 토마라나이 멈추지 않아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사로잡혀서 よそ見ダーリンダメダメよ 요소미 다-린 다메다메요 한눈 파는 달링 안돼 안돼요 痛いの飛んでけ残るの愛だけ 이타이노 톤데케 노코루노 아이다케 아픈 건 날아가라 남은 건 사랑뿐 これも辛いけど 코레모 츠라이케도 이것도 괴롭지만 騙して夢夢に溺れ 다마시테 유메유메니 오보레 가만히 꿈에서 꿈속으로 빠져서 もう等身大の愛はないよ 모- 토오신다이노 아이와 나이요 이젠 사람만한 사랑은 없어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 없이 사로잡혀서 キュンと私の恋心 큥토 아타시노 코이고코로 심쿵한 나의 연심 私は地雷?指を差され 아타시와 지라이 유비오 사사레 나는 지뢰? 라며 손가락질 받고 触れると危険 恋しちゃ事件 후레루토 키켄 코이시챠 지켄 건드리면 위험하고 사랑이란 사건이고 あなたは今 誰の為に 아나타와 이마 다레노 타메니 당신은 지금 누굴 위해서 愛を語る 私でしょ 아이오 카타루 아타시데쇼 사랑한다 말하는 건 나잖아 天才なファッションセンス大人じゃ無理よ 텐사이나 홧숀센스 오토나쟈 무리요 천재적인 패션센스 어른으로서는 무리야 エナドリにストロー付けたリボン 에나도리니 스토로- 츠케타 리본 에너지 드링크에 리본을 단 빨대 超ナンセンス外野のメロディー 초- 난센스 가이야노 메로디- 초 넌센스 외야의 멜로디 その心は心臓から 소노 코코로와 신조-카라 그 마음은 심장에서부터 落下っか中 랏캇카츄- 낙하중 縛り合いたいなお互いに 시바리아이타이나 오타가이니 묶이고 싶어 서로 アザないと不安定に 아자나이토 후안테-니 멍이 없다면 불안정하게 形にしなきゃダメダメよ 카타치니 시나캬 다메다메요 형태를 잡지 않으면 안돼 안돼요 二人は従順に若さは牢獄に 후타리와 쥬-쥰니 와카사와 로-고쿠니 두 사람은 순종적으로 미숙함은 감옥으로 乙女度倍で行こう 오토메도바이데 이코- 소녀성을 두 배로 하자 満たして辛い辛いの世界 미타시테 츠라이 츠라이노 세카이 만족시켜 줘 괴롭고 괴로운 세계를 もう何千回と耐えた夜へ 모- 난젠카이토 타에타 요루에 이미 몇천 번이나 견딘 밤에 愛はお互いに分からず夢中に 아이와 오타가이니 와카라즈 무츄-니 사랑은 서로 모르는 사이 빠져들고 きっと涙のアイワナムチュー 킷토 나미다노 아이와나무추우 분명 눈물의 I wanna muchu 愛されたいけど愛したいね 아이사레타이케도 아이시타이네 사랑받고 싶지만 사랑하고 싶어 やっぱりどーにか愛されたいよ 얏파리 도-니카 아이사레타이요 역시 어떻게든 사랑받고 싶어 人ってそうゆうもんじゃないの 히톳테 소- 유- 몬쟈 나이노 사람이란 게 원래 그런 거 아니야? アイマイミーマインやっばいね 아이 마이 미이 마인 얏바이네 I my me mine 위험하네 自己中上等でしょ 지코츄- 죠-토-데쇼 자기중심적이잖아 説教はNo 셋쿄-와 No 설교는 NO 止まらない 토마라나이 멈추지 않아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없이 사로잡혀서 よそ見ダーリンダメダメよ 요소미 다-린 다메다메요 한눈 파는 달링 안돼 안돼요 痛いの飛んでけ残るの愛だけ 이타이노 톤데케 노코루노 아이다케 아픈 건 날아가라 남은 건 사랑뿐 これも辛いけど 코레모 츠라이케도 이것도 괴롭지만 騙して夢夢に溺れ 다마시테 유메유메니 오보레 가만히 꿈에서 꿈속으로 빠져서 もう等身大の愛はないよ 모- 토-신다이노 아이와 나이요 이젠 사람만한 사랑은 없어 恋の罠に虜ね夢中に 코이노 와나니 토리코네 무츄-니 사랑의 함정에 정신없이 사로잡혀서 キュンと私の恋心 큥토 아타시노 코이고코로 심쿵한 나의 연심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病的アイニージュー 뵤-테키 아이니-쥬- 병적인 I need you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孤独は病 코도쿠와 야마이 고독은 병이야 ラララララ 라라 라라라 盲目アイニージュー 모오모쿠 아이니-쥬- 맹목적인 I need you ずっとあなたにアイワナムチュー 즛토 아나타니 아이와나무추우 계속 당신에게 I wanna muchu || }}}}}}}}} || * 제목의 아이 워너(アイワナ)는 영어의 'I wanna'라는 의미와 [[라무|'사랑 함정([ruby(愛罠, ruby=アイワナ)]).']]라는 의미로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 현대적 요소들을 많이 반영한 1쿨 오프닝과 달리 고전 애니메이션 연출이 많은 편인데, 애니메이터들 말로는 원작이 연재되던 70~80년대의 느낌을 내고자 당대의 인기 애니메이터 [[카나다 요시노리]]의 작품을 오마주했다고 한다. === 엔딩 === ====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feat. 花譜, ツミ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1[br]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feat. 花譜, ツミキ[br]도쿄 섄디 랑데부 feat. [[카후(버츄얼 유튜버)|{{{#fff001 카후}}}]], [[츠미키|{{{#fff001 츠미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pXy3_NdVEc,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FMmSOWPj_k, width=100%)]}}} || ||<-2> '''{{{#fff001,#fff001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1xBm10MkgA,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MAISONdes|[[파일:MAISONdes_logo.png|height=40]]]] || || '''작사''' ||<|3> [[츠미키]]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카메이 타카히로(亀井隆広) || || '''연출''' || || '''작화감독''' ||<|2> 하마구치 쇼헤이(浜口頌平) || || '''원화''' || || '''총 작화감독''' || [[아사노 나오유키]]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TV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電波テンポアップして絶賛感電中! 덴파텐포앗푸시테 젯산칸덴추우! 전파 템포 업해서 절찬 감전중! あなたにもわすれたいことかなしいこと 아나타니모 와스레타이 코토 카나시이 코토 당신에게도 잊고 싶은 일 슬픈 일 あるのかしらね 아루노카시라네 있지 않을까나 識らない映画なのに涙をながすのは 시라나이 에에가나노니 나미다오 나가스노와 모르는 영화인데도 눈물이 나는 건 ドラマチックが足りていないからよ 도라마칫쿠가 타리테이나이카라요 드라마틱이 부족해서 그런 거야 そんな愚にも付かないことくだらないこと 손나 구니모 츠카나이 코토 쿠다라나이 코토 그런 바보같은 짓 쓸데없는 짓 考えてばかりね 칸가에테바카리네 생각만 하잖아 雨が上がれば愛もその横顔も 아메가 아가레바 아이모 소노 요코가오모 비가 그치면 사랑도 그 옆모습도 誰かのものになるのでしょう 다레카노 모노니 나루노데쇼오 누군가의 것이 되는 거겠지 嘘っぱちのファンデーションも全部 우솟파치노 환데에숀모 젠부 거짓투성이의 파운데이션도 전부 今夜のためよ 콘야노 타메요 오늘 밤을 위해서야 なのに一体全体如何して何故? 나노니 잇타이 젠타이 도시테 도시테 나제 나제 하테나? 그런데 당최 도대체 어째서 왜? 不安定なカンテラ何処まで行くの 후안테에나 칸테라도코마데 이쿠노 불안정한 칸델라 어디까지 가는 거야 あなた一切合切放り去ってもう 아나타 잇사이 갓사이 호오리삿테 모오 당신은 일절 모두 내팽개치고 정말 冗談じゃあないないわ 조오단자아 나이나이와 농담이 아니 아니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曖昧な本当なんてメランコリ化するだけ 아이마이나 혼토오난테 메란코리카스루다케 애매한 진심 따윈 멜랑콜리해질 뿐 あたしをさあ掻攫って今テイクオンミー 아타시오 사아 캇사라테 이마 테이쿠온미이 나를 자 낚아채 지금 Take on me あいやいや 아이아이야 아이아이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曖昧な本当なんてメランコリ化するだけ 아이마이나 혼토오난테 메란코리카스루다케 애매한 진심 따윈 멜랑콜리해질 뿐 あたしをさあ掻攫って今テイクオンミー 아타시오 사아 캇사라테 이마 테이쿠온미이 나를 자 낚아채 지금 Take on me Yes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Full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電波テンポアップして絶賛感電中! 덴파텐포앗푸시테 젯산칸덴추우! 전파 템포 업해서 절찬 감전중! あなたにもわすれたいことかなしいこと 아나타니모 와스레타이 코토 카나시이 코토 당신에게도 잊고 싶은 일 슬픈 일 あるのかしらね 아루노카시라네 있지 않을까나 識らない映画なのに涙をながすのは 시라나이 에에가나노니 나미다오 나가스노와 모르는 영화인데도 눈물이 나는 건 ドラマチックが足りていないからよ 도라마칫쿠가 타리테이나이카라요 드라마틱이 부족해서 그런 거야 そんな愚にも付かないことくだらないこと 손나 구니모 츠카나이 코토 쿠다라나이 코토 그런 바보같은 짓 쓸데없는 짓 考えてばかりね 칸가에테바카리네 생각만 하잖아 雨が上がれば愛もその横顔も 아메가 아가레바 아이모 소노 요코가오모 비가 그치면 사랑도 그 옆모습도 誰かのものになるのでしょう 다레카노 모노니 나루노데쇼오 누군가의 것이 되는 거겠지 嘘っぱちのファンデーションも全部 우솟파치노 환데에숀모 젠부 거짓투성이의 파운데이션도 전부 今夜のためよ 콘야노 타메요 오늘 밤을 위해서야 なのに一体全体如何して何故? 나노니 잇타이 젠타이 도시테 도시테 나제 나제 하테나? 그런데 당최 도대체 어째서 왜? 不安定なカンテラ何処まで行くの 후안테에나 칸테라도코마데 이쿠노 불안정한 칸델라 어디까지 가는 거야 あなた一切合切放り去ってもう 아나타 잇사이 갓사이 호오리삿테 모오 당신은 일절 모두 내팽개치고 정말 冗談じゃあないないわ 조오단자아 나이나이와 농담이 아니 아니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曖昧な本当なんてメランコリ化するだけ 아이마이나 혼토오난테 메란코리카스루다케 애매한 진심 따윈 멜랑콜리해질 뿐 あたしをさあ掻攫って今テイクオンミー 아타시오 사아 캇사라테 이마 테이쿠온미이 나를 자 낚아채 지금 Take on me Yes ちゃんちゃらおかしな法度ばっかで 찬차라 오카시나 핫토밧카데 같잖고 이상한 법도뿐이라 食指がびくともしないわ 쇼쿠시가 비쿠토모 시나이와 마음이 꿈쩍도 하지 않는 걸 実態の無い感情放っておいたって 짓타이노 나이 칸조오 홋테 오이탓테 실태가 없는 감정 가만히 내버려둬도 策略なんてありゃあせんのに何故 사쿠랴쿠난테 아랴아센노니 나제 책략 따위 있지도 않은데 어째서 ああもう懲り懲りよ 아아 모오 코리고리요 아아 정말 지긋지긋해 あたしの喝となる気質もじっと堪えて取り繕っては 아타시노 캇토 나루 키시츠모 짓토 코라에테 토리츠쿠롯테와 나의 욱해지는 기질도 꾹 참고 얼버무리다가 とうとう臨界点 토오토오 린카이텐 결국엔 임계점 年がら年中リップサービス鈍感カマしては辟易 넨가라 넨주우 릿푸사아비스 돈칸카마시테와 헤키에키 일년내내 연중 립 서비스를 둔감하게 굴다가는 곤란해 どんがらがっしゃんフィールガールは涙の目にも鬼 돈가라갓샨 휘이루가아루와 나미다노 메니모 오니 우당탕탕 필 걸은 흐르는 눈물도 비정해 今や頭の中のミュージックのせいで 이마야 아타마노 나카노 뮤우짓쿠노 세에데 이제 머릿속의 뮤직 때문에 あなたの話は一向に聴き取れない 아나타노 하나시와 잇코오니 키키토레나이 당신의 이야기는 전혀 들리지 않아 少しは真当なこと言って 스코시와 맛토오나 코토 잇테 조금은 제대로 된 말을 해 봐 回り出すターンテーブル 마와리다스 타아테에부루 돌아가는 턴테이블 ねえ全部忘れさせてよ 네에 젠부 와스레사세테요 있잖아 전부 잊어버리게 해 줘 だけど一体全体如何して何故? 다케도 잇타이 젠타이 도시테 도시테 나제 나제 하테나? 하지만 당최 도대체 어째서 왜? 不安定なカンテラ消えない儘ね 후안테에나 칸테라 키에나이 마마네 불안정한 칸델라 사라지지 않은 채로 あなた一口両舌食い違ってもう 아나타 잇코료제츠 쿠이치갓테 모오 당신 일구양설 틀어지고 정말 冗談じゃあないないわ 조오단자아 나이나이와 농담이 아니 아니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曖昧な本当なんてメランコリ化するだけ 아이마이나 혼토오난테 메란코리카스루다케 애매한 진심 따윈 멜랑콜리해질 뿐 あたしを今‥ 아타시오 이마‥ 나를 지금‥ 冗談じゃあないないわ 조오단자아 나이나이와 농담이 아니 아니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不甲斐ないわ 후가이나이와 볼품 없잖아 感情なんてランドリーで落とすだけ 칸조오난테 란도리이데 오토스다케 감정 따윈 런드리에서 떨어뜨릴 뿐 あたしと確かめ合ってイエローマジック 아타시토 타시카메앗테 이에로오 마짓쿠 나랑 확인해 보자 옐로우 매직 あいやいや 아이아이야 아이아이야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토오쿄오 샨디 란데부 도쿄·샌디·랑데부 その時が来たって如何にもならないぜ 소노 토키가 키탓테 도니모 나라나이제 그때가 오더라도 어찌할 도리가 없잖아 曖昧な本当なんてメランコリ化するだけ 아이마이나 혼토오난테 메란코리카스루다케 애매한 진심 따윈 멜랑콜리해질 뿐 あたしをさあ掻攫って今テイクオンミー 아타시오 사아 캇사라테 이마 테이쿠온미이 나를 자 낚아채 지금 Take on me Yes || }}}}}}}}} || * 구판의 오프닝, 엔딩 영상 연출의 오마주이다. * 제목에서의 '섄디'는 칵테일 종류 중 하나인 [[샌디 개프]]를 의미한다. * 풀버전과 TVA 버전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 '''あるのかしらね''' 부분에서 TVA 버전은 '''ら''' 부분을 약간 늘여부른다.] ==== アイタリナイ feat. yama, ニ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24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36deg, #e60024 4%, transparent 4%), linear-gradient(72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88deg, #eb3350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216deg, #eb335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44deg, #eb3350 7.5%, transparent 7.5%); background-color: #e60024; background-position: -70px 43px, 30px 43px, 30px 43px, -70px 43px, -70px 23px, 30px 23px, -20px 93px, 80px 93px, 80px 93px, -20px 93px, -20px 73px, 80px 73px; background-size: 100px 100px;" '''{{{#fff001,#fff001 ED2[br]アイタリナイ feat. yama, ニト。[br]사랑이 부족해 feat. [[yama|{{{#fff001 yama}}}]], 니토。}}}'''}}}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BCIuVopaGA, width=100%)]}}} || ||<-2> '''{{{#fff001,#fff0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Oagc0RUFlg, width=100%)]}}} || ||<-2> '''{{{#fff001,#fff001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4arsL1H5dE, width=100%)]}}} || ||<-2> '''{{{#fff001,#fff001 Full ver.}}}''' || || '''노래''' || [[MAISONdes|[[파일:MAISONdes_logo.png|height=40]]]] || || '''작사''' ||<|3> 니토。(ニト。)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러스트''' ||<|2> 케이고 이노우에(ケイゴイノウエ) || || '''애니메이션 제작'''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TV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まだ[ruby(足, ruby=た)]りない[ruby(愛, ruby=あい)]してたいやいや 마다 타리나이 아이시테타이야이야 계속 부족한 사랑을 하는 건 싫어 싫어 あなた[ruby(以, ruby=い)][ruby(外, ruby=がい)][ruby(考, ruby=かん)]えられないや 아나타 이가이 칸가에라레나이야 당신 말고는 생각할 수 없단 말이야 あたしを[ruby(好, ruby=す)]いて あたしだけ[ruby(見, ruby=み)]て 아타시오 스이테 아타시다케 미테 나를 좋아해줘 나만을 봐줘 もうあなたの[ruby(髄, ruby=ずい)]まで[ruby(愛, ruby=あい)]してる 모- 아나타노 즈이마데 아이시테루 이미 당신을 뼛속까지 사랑하는 걸 [ruby(瞳, ruby=ひとみ)]の[ruby(奥底, ruby=おくそこ)] 히토미노 오쿠소코 눈동자 속 깊은 곳 [ruby(誰, ruby=だれ)]を[ruby(待, ruby=ま)]ってるの? 다레오 맛테루노? 누구를 기다리고 있는 거야? あなたは[ruby(横顔, ruby=よこがお)]しか[ruby(見, ruby=み)]せてないわ 아나타와 요코가오시카 미세테나이와 당신은 옆모습만 보여주잖아 [ruby(教, ruby=おし)]えて[ruby(欲, ruby=ほ)]しいの 오시에테 호시이노 알려줬음 해 give me love give me love だけ 다케 만을 どんな[ruby(惑星, ruby=ほし)]よりも 돈나 호시요리모 어떤 별보다도 この[ruby(地, ruby=ち)][ruby(球, ruby=きゅう)][ruby(上, ruby=じょう)]に 코노 치큐- 죠-니 이 지구상에 あなたがいたから 아나타가 이타카라 당신이 있기에 [ruby(吸, ruby=す)]い[ruby(落, ruby=お)]ちて[ruby(来, ruby=き)]たの 스이오치테키타노 내려온 걸 [ruby(応, ruby=こた)]えて[ruby(欲, ruby=ほ)]しいの 코타에테 호시이노 대답해줬으면 해 [ruby(曖昧, ruby=あいまい)]を 아이마이오 애매함을 [ruby(I need you, ruby=アイニージュー)]を 아이 니- 쥬- 오 [ruby(I need you, ruby=당신이 필요하단 것)]를 アイタイ[ruby(難解, ruby=なんかい)]シタイ 아이타이 난카이시타이 만나고 싶어 난해했으면 해 [ruby(愛, ruby=あい)]シアイタイ 아이시 아이타이 사랑해 보고 싶어 ねぇねぇダーリンダーリン 네- 네- 다-린 다-린 저기 저기, 달링 달링 [ruby(宇, ruby=う)][ruby(宙, ruby=ちゅう)]の[ruby(果, ruby=は)]てまで 우츄-노 하테마데 우주의 끝까지 ねぇねぇダーリンダーリン 네- 네- 다-린 다-린 있지 있지, 달링 달링 [ruby(離, ruby=はな)]れた[ruby(恋, ruby=こい)]も 하나레타 코이모 멀어진 사랑도 [ruby(星, ruby=ほし)]と[ruby(月, ruby=つき)]を[ruby(縫, ruby=ぬ)]って[ruby(巻, ruby=ま)]いて 호시토 츠키오 눗테 마이테 별과 달을 꿰매고 감아서 [ruby(抱, ruby=だ)]き[ruby(寄, ruby=よ)]せてよ 다키요세테요 안아줘 だって 닷테 그치만 まだ[ruby(足, ruby=た)]りない[ruby(愛, ruby=あい)]してたいやいや 마다 타리나이 아이시테타이야이야 계속 부족한 사랑을 하는 건 싫어 싫어 あなた[ruby(以, ruby=い)][ruby(外, ruby=がい)][ruby(考, ruby=かん)]えられないや 아나타 이가이 칸가에라레나이야 당신 말고는 생각할 수 없단 말이야 あたしを[ruby(好, ruby=す)]いて あたしだけ[ruby(見, ruby=み)]て 아타시오 스이테 아타시다케 미테 나를 좋아해줘 나만을 봐줘 もうあなたの[ruby(髄, ruby=ずい)]まで[ruby(愛, ruby=あい)]してる 모- 아나타노 즈이마데 아이시테루 이미 당신을 뼛속까지 사랑하는 걸 まだダメダメどこにも[ruby(逃, ruby=に)]げちゃいや 마다 다메다메 도코니모 니게챠이야 아직 안돼 안돼 어디로도 도망치지 마 あなたと[ruby(言, ruby=い)]う[ruby(星, ruby=ほし)]で[ruby(回, ruby=まわ)]りたいの 아나타토 이우 호시데 마와리타이노 당신이라는 별에 있고 싶은 걸 ねぇこっち[ruby(向, ruby=む)]いて またそっぽ[ruby(向, ruby=む)]いて 네- 콧치 무이테 마타 솟포 무이테 저기, 이쪽을 봐줘 또 다른 곳을 봐도 それでもただあなたが[ruby(好, ruby=す)]きだから 소레데모 타다 아나타가 스키다카라 그래도 그저 당신을 좋아하니까 [ruby(絶対, ruby=ぜったい)][ruby(絶対, ruby=ぜったい)] 젯타이 젯타이 완전 완전 ビリビリしちゃうの 비리비리시챠우노 찌릿찌릿해버리는 걸 [ruby(限界, ruby=げんかい)][ruby(限界, ruby=げんかい)] 겐카이 겐카이 한계야 한계 [ruby(アイタリナイ, ruby=愛 足りない)] 아이타리나이 사랑이 부족해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Full ve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まだ[ruby(足, ruby=た)]りない[ruby(愛, ruby=あい)]してたいやいや 마다 타리나이 아이시테타이야이야 계속 부족한 사랑을 하는 건 싫어 싫어 あなた[ruby(以, ruby=い)][ruby(外, ruby=がい)][ruby(考, ruby=かん)]えられないや 아나타 이가이 칸가에라레나이야 당신 말고는 생각할 수 없단 말이야 あたしを[ruby(好, ruby=す)]いて あたしだけ[ruby(見, ruby=み)]て 아타시오 스이테 아타시다케 미테 나를 좋아해줘 나만을 봐줘 もうあなたの[ruby(髄, ruby=ずい)]まで[ruby(愛, ruby=あい)]してる 모- 아나타노 즈이마데 아이시테루 이미 당신을 뼛속까지 사랑하는 걸 [ruby(瞳, ruby=ひとみ)]の[ruby(奥底, ruby=おくそこ)] 히토미노 오쿠소코 눈동자 속 깊은 곳 [ruby(誰, ruby=だれ)]を[ruby(待, ruby=ま)]ってるの? 다레오 맛테루노? 누구를 기다리고 있는 거야? あなたは[ruby(横顔, ruby=よこがお)]しか[ruby(見, ruby=み)]せてないわ 아나타와 요코가오시카 미세테나이와 당신은 옆모습만 보여주잖아 [ruby(教, ruby=おし)]えて[ruby(欲, ruby=ほ)]しいの 오시에테 호시이노 알려줬음 해 give me love give me love だけ 다케 만을 どんな[ruby(惑星, ruby=ほし)]よりも 돈나 호시요리모 어떤 별보다도 この[ruby(地, ruby=ち)][ruby(球, ruby=きゅう)][ruby(上, ruby=じょう)]に 코노 치큐- 죠-니 이 지구상에 あなたがいたから 아나타가 이타카라 당신이 있기에 [ruby(吸, ruby=す)]い[ruby(落, ruby=お)]ちて[ruby(来, ruby=き)]たの 스이오치테키타노 내려온 걸 [ruby(応, ruby=こた)]えて[ruby(欲, ruby=ほ)]しいの 코타에테 호시이노 대답해줬으면 해 [ruby(曖昧, ruby=あいまい)]を 아이마이오 애매함을 [ruby(I need you, ruby=アイニージュー)]を 아이 니- 쥬- 오 I need you를 アイタイ[ruby(難解, ruby=なんかい)]シタイ 아이타이 난카이시타이 만나고 싶어 난해했으면 해 [ruby(愛, ruby=あい)]シアイタイ 아이시 아이타이 사랑해 보고 싶어 ねぇねぇダーリンダーリン 네- 네- 다-린 다-린 저기 저기, 달링 달링 [ruby(宇, ruby=う)][ruby(宙, ruby=ちゅう)]の[ruby(果, ruby=は)]てまで 우츄-노 하테마데 우주의 끝까지 ねぇねぇダーリンダーリン 네- 네- 다-린 다-린 있지 있지, 달링 달링 [ruby(離, ruby=はな)]れた[ruby(恋, ruby=こい)]も 하나레타 코이모 멀어진 사랑도 [ruby(星, ruby=ほし)]と[ruby(月, ruby=つき)]を[ruby(縫, ruby=ぬ)]って[ruby(巻, ruby=ま)]いて 호시토 츠키오 눗테 마이테 별과 달을 꿰매고 감아서 [ruby(抱, ruby=だ)]き[ruby(寄, ruby=よ)]せてよ 다키요세테요 안아줘 だって 닷테 그치만 まだ[ruby(足, ruby=た)]りない[ruby(愛, ruby=あい)]してたいやいや 마다 타리나이 아이시테타이야이야 계속 부족한 사랑을 하는 건 싫어 싫어 あなた[ruby(以, ruby=い)][ruby(外, ruby=がい)][ruby(考, ruby=かん)]えられないや 아나타 이가이 칸가에라레나이야 당신 말고는 생각할 수 없단 말이야 あたしを[ruby(好, ruby=す)]いて あたしだけ[ruby(見, ruby=み)]て 아타시오 스이테 아타시다케 미테 나를 좋아해줘 나만을 봐줘 もうあなたの[ruby(髄, ruby=ずい)]まで[ruby(愛, ruby=あい)]してる 모- 아나타노 즈이마데 아이시테루 이미 당신을 뼛속까지 사랑하는 걸 まだダメダメどこにも[ruby(逃, ruby=に)]げちゃいや 마다 다메다메 도코니모 니게챠이야 아직 안돼 안돼 어디로도 도망치지 마 あなたと[ruby(言, ruby=い)]う[ruby(星, ruby=ほし)]で[ruby(回, ruby=まわ)]りたいの 아나타토 이우 호시데 마와리타이노 당신이라는 별에 있고 싶은 걸 ねぇこっち[ruby(向, ruby=む)]いて またそっぽ[ruby(向, ruby=む)]いて 네- 콧치 무이테 마타 솟포 무이테 저기, 이쪽을 봐줘 또 다른 곳을 봐도 それでもただあなたが[ruby(好, ruby=す)]きだから 소레데모 타다 아나타가 스키다카라 그래도 그저 당신을 좋아하니까 [ruby(絶対, ruby=ぜったい)][ruby(絶対, ruby=ぜったい)] 젯타이 젯타이 완전 완전 ビリビリしちゃうの 비리비리시챠우노 찌릿찌릿해버리는 걸 [ruby(限界, ruby=げんかい)][ruby(限界, ruby=げんかい)] 겐카이 겐카이 한계야 한계 [ruby(アイタリナイ, ruby=愛 足りない)] 아이타리나이 사랑이 부족해 [ruby(I, ruby=あい)][ruby(多, ruby=た)][ruby(Re, ruby=り)]な[ruby(ight, ruby=いっ)] 아이타리나잇 사랑이 부족해 Calling now そんな[ruby(lonely night, ruby=ロンリーナイト)] 손나 론리- 나이토 그런 lonely night あああたしが[ruby(持, ruby=ま)]ってるのは 아아아타시가 맛테루노와 아아 내가 기다리고 있는 건 [ruby(一, ruby=ひと)]つだけの[ruby(愛, ruby=あい)]に[ruby(限, ruby=かぎ)]るのに 히토츠다케노 아이니 카기루노니 하나뿐인 사랑에 한하는데 [ruby(期, ruby=き)][ruby(待, ruby=たい)]しちゃうわダーリン 키타이시챠우와 다-린 기대된다구 달링 ねぇあなたから[ruby(言, ruby=い)]われてみたいの 네- 아나타카라 이와레테미타이노 있지, 당신에게서 들어보고 싶은 걸 また[ruby(会, ruby=あ)]えない[ruby(夜, ruby=よる)]に[ruby(星, ruby=ひし)]を[ruby(見, ruby=み)]るの 마타 아에나이 요루니 호시오 미루노 다시 만날 수 없는 밤에 별을 볼 거야 あなたみたく[ruby(愛, ruby=あい)]が[ruby(散, ruby=ち)]り[ruby(散, ruby=ち)]りなの 아나타미타쿠 아이가 치리치리나노 당신처럼 사랑이 흩어진 거야 今に[ruby(堕, ruby=お)]として[ruby(星, ruby=ひし)]を[ruby(振, ruby=ふ)]らして 이마니 오토시테 호시오 후라시테 지금이 무너지더라도 별을 흩날리며 ただあなたの[ruby(夢, ruby=ゆめ)]で[ruby(眠, ruby=ねむ)]りたいの 타다 아나타노 유메데 네무리타이노 그저 당신이 나오는 꿈을 꾸며 자고 싶은 걸 まだ[ruby(足, ruby=た)]りない[ruby(愛, ruby=あい)]してたいやいや 마다 타리나이 아이시테타이야이야 계속 부족한 사랑을 하는 건 싫어 싫어 あなた[ruby(以, ruby=い)][ruby(外, ruby=がい)][ruby(考, ruby=かん)]えられないや 아나타 이가이 칸가에라레나이야 당신 말고는 생각할 수 없단 말이야 あたしを[ruby(好, ruby=す)]いて あたしだけ[ruby(見, ruby=み)]て 아타시오 스이테 아타시다케 미테 나를 좋아해줘 나만을 봐줘 もうあなたの[ruby(髄, ruby=ずい)]まで[ruby(愛, ruby=あい)]してる 모- 아나타노 즈이마데 아이시테루 이미 당신을 뼛속까지 사랑하는 걸 まだダメダメどこにも[ruby(逃, ruby=に)]げちゃいや 마다 다메다메 도코니모 니게챠이야 아직 안돼 안돼 어디로도 도망치지 마 あなたと[ruby(言, ruby=い)]う[ruby(星, ruby=ほし)]で[ruby(回, ruby=まわ)]りたいの 아나타토 이우 호시데 마와리타이노 당신이라는 별에 있고 싶은 걸 ねぇこっち[ruby(向, ruby=む)]いて またそっぽ[ruby(向, ruby=む)]いて 네- 콧치 무이테 마타 솟포 무이테 저기, 이쪽을 봐줘 또 다른 곳을 봐도 それでもただあなたが[ruby(好, ruby=す)]きだから 소레데모 타다 아나타가 스키다카라 그래도 그저 당신을 좋아하니까 それでもただあなたが[ruby(好, ruby=す)]きだから 소레데모 타다 아나타가 스키다카라 그래도 그저 당신을 좋아하니까 || }}}}}}}}} || === OST === 2023년 3월 1일 발매. == [[리듬 게임]] 수록 == === [[시끌별 녀석들/애니메이션/주제가#ラムのラブソング|ラムのラブソング]] ===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include(틀:Pastel*Palettes의 음악 일람)] ||||
{{{#!wiki style="margin:-5px -10px auto;margin-bottom:-6px;max-width:400px;display:table" [[파일:assets-star-forassetbundle-startapp-musicjacket-musicjacket340-336_ramu_love_song-jacket.png|width=100%]]}}} || ||||<#3da> '''ラムのラブソング'''[br]{{{-1 '''라무의 러브송'''}}} || || '''작사''' || 이토 아키라(伊藤アキラ) || || '''작곡''' || 코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 || '''편곡''' || [[Elements Garden]]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96px" ||
'''BPM''' || '''시간''' || '''카테고리''' || || 180 || 1:45 || '''커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e2f1ff,#001061> [[파일:BanGDream_Easy.png|height=36px]] 9[br](162) ||<#f0fff0,#006100> [[파일:BanGDream_Normal.png|height=36px]] 14[br](279) ||<#ffffed,#603d00> [[파일:BanGDream_Hard.png|height=36px]] 18[br](449) ||<#ffe4e1,#610000> [[파일:BanGDream_Expert.png|height=36px]] 25[br](641) ||}}} || || '''밴드''' || [[Pastel*Palettes|[[파일:Pastel*Palettes 로고.svg|width=50%]]]] || || '''노래''' || [[마루야마 아야]](CV: [[마에시마 아미]]) || || '''수록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11일 || || '''해금[br]방법''' || CiRCLE의 음악 상점에서 교환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TWXpRY5e2I, width=100%)]}}} || |||| '''{{{#fff EXPERT ALL PERFECT 영상}}}''' || 베이스 담당 [[시라사기 치사토]]를 담당한 [[우에사카 스미레|성우]]는 이후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2022년판]]의 [[라무|주인공]]을 연기하게 되었다. [clearfix] ==== [[D4DJ Groovy Mix]] ==== * [[D4DJ Groovy Mix/수록곡]] ||||<:><#48d1cc,#004c4c>{{{+1 {{{#4b0082,#violet ラ}}}ムのラブソング}}}[br]라무의 러브송{{{#!wiki style="margin: -10px -10px auto;margin-top:-9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 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18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 float:right" {{{#373a3c,#afeeee 2:12}}}}}} ||}}}{{{#!wiki style="margin: 0px -12px -16px" | {{{#!wiki style="margin: 0px 2px" [[파일:라무의러브송마리카.jpg|width=100%]]}}}|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2)] 167 [br] (SCR)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7)] 343 [br] (DNG)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1+)] 558 [br] (EFT)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3+)] 767 [br] (EFT) ||}}} || ## 노트수가 1000이상일 경우 '''볼드체''' 처리합니다.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3년 4월 22일 || || 유닛 || [[미즈시마 마리카]] || || 해금 방법 ||<:> 상점 구입 || || 카테고리 || 커버 || || 기타 || || ##{{{#!folding [역대 단위인정] ##[[D4DJ Groovy Mix/단위인정/'nn season|'nn season n단]] 과제곡(난이도)}}}[* 단위인정에 사용된 적이 없다면 지워줍니다.] || ||||<^|1><:>{{{#!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hi-low ||}}}}}}}}} || [[미즈시마 마리카]]의 솔로 커버곡으로 수록. ===== 채보 ===== [youtube(ZMgWf9t0Abw)] HARD 채보 캡처 영상. [youtube(pLXkptXl_vE)] EXPERT 이론치(JPFC) 영상. === アイウエ ===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
{{{#!wiki style="margin:-5px -10px auto;margin-bottom:-6px;max-width:400px;display:table" [[파일:방도리아이우에.png|width=100%]]}}} || ||||<#ffc02a> '''アイウエ''' || || '''작사''' ||<|2> SAKURAmoti / 美波 || || '''작곡''' || || '''편곡''' || 시모타 코타로 {{{-2 ([[Elements Garden]])}}}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96px" ||
'''BPM''' || '''시간''' || '''카테고리''' || || 150 || 1:29.2 || '''커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e2f1ff,#001061> [[파일:BanGDream_Easy.png|height=36px]] 7[br](105) ||<#f0fff0,#006100> [[파일:BanGDream_Normal.png|height=36px]] 13[br](213) ||<#ffffed,#603d00> [[파일:BanGDream_Hard.png|height=36px]] 21[br](436) ||<#ffe4e1,#610000> [[파일:BanGDream_Expert.png|height=36px]] 26[br](669) ||}}} || || '''밴드''' || [[헬로, 해피 월드!|[[파일:Hello_happy_world_logo_kr.png|width=50%]]]] || || '''노래''' || [[츠루마키 코코로]](CV: [[이토 미쿠]]) || || '''수록일''' || 2023년 5월 3일(일본) || || '''해금[br]방법''' || CiRCLE의 음악 상점에서 교환 || || '''특이[br]사항''' || 악곡 길이가 가장 짧은 곡 || 뱅드림 전 곡을 통틀어 재생시간이 1분 20초대를 기록한 곡으로, 기존의 최단시간이였던 [[SAVIOR OF SONG(feat. MY FIRST STORY)|SACIOR OF SONG]]의 1분 30초보다 0.8초가량 더 짧으며, 곡 효율도 전체 7위[* 단일 곡으로만 볼 경우 6위.]를 차지했다. === トウキョウ・シャンディ・ランデヴ === ==== [[태고의 달인]] ====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 [[유비트 시리즈]] ==== [[https://twitter.com/kanatan0w0/status/1704324131804840345|kanata.n]]의 커버 버전으로 수록. [[ちゅ、多様性。]]와 달리 애니메이션 카테고리에서 선곡이 불가능했으나, 2023년 10월 11일 버전에서 수정.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 ==== [[월드 다이 스타 꿈의 스텔라리움]] ==== [[분류:시끌별 녀석들/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분류:Pastel*Palettes/음악]][[분류:헬로, 해피 월드!/음악]][[분류:Poppin'Party/음악]][[분류: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