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명일방주)] [include(틀:명일방주/사이드 스토리)] ||<-2> {{{+1 '''시라쿠사인''' }}}[br]'''(叙拉古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시라쿠사인.png|width=100%]]}}} || ||<-2> {{{#fff '''서버별 명칭''' }}} || ||{{{#fff 중국 서버 }}} || 叙拉古人 || ||{{{#fff 한국 서버 }}} || 시라쿠사인 [* 한국 서버는 보통 글로벌 명칭을 따르나, 이번엔 중국어 원판을 따라 시라쿠사인으로 번역되었다. 자세한 건 아래 기타 항목을 참고. ] || ||{{{#fff 글로벌 서버 }}} || IL Siracusano || ||{{{#fff 일본 서버 }}} || シラクザーノ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NLGTzHcik)]}}} || || {{{#fff 메인 트레일러}}} ||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텍사스]]와 [[라플란드(명일방주)|라플란드]]를 중심으로 [[시라쿠사(명일방주)|시라쿠사]]에 대한 스토리를 다룬다. == 개방 기간 == || '''{{{#ffffff 개방 기간}}}''' || || 중국 서버: 2022년 11월 01일 ~ 2022년 11월 22일 요스타 서버: 2023년 5월 23일 ~ 2023년 6월 13일 || *신규 오퍼레이터로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페넌스]], [[루나컵]], [[비질(명일방주)|비질]]이 추가되었다. '''비질'''은 배포 오퍼레이터다. 한편, 같은 시기에 구매증명서 상점에 [[카니팔라트]], [[쿼츠(명일방주)|쿼츠]]가 추가되었다. * 신규 스킨으로 [[니어 더 래디언트 나이트]], [[로즈몬티스]], [[패신저]], [[허니베리]], [[소라(명일방주)|소라]], [[퀘르쿠스]] 스킨이 추가되었다. 퀘르쿠스 스킨은 기간 한정 출석 이벤트 보상으로 제공된다. * 신규 한정 가구 세트로 『시라쿠사 옛이야기』, 『시라쿠사 정의 법원』이 추가되었다. * 공개모집에 [[위디]], [[엘리시움(명일방주)|엘리시움]], [[츠키노기]], [[아스베스토스(명일방주)|아스베스토스]]가 추가되었다. || '''{{{#ffffff,#dddddd 재개방 기간}}}''' || || 중국 서버: 미정 요스타 서버: 미정 || == 진행 방식 == ||<-3> '''{{{#ffffff 주요 교환 상점 보상}}}''' || || ''' 헤드헌팅 허가증''' || '''모듈 데이터 칩''' || '''D32강''' || || 바이폴라 나노플레이크 칩 || 개량 장치 || 결정 회로 || || 이철 팩 || RMA70-24 || 고급연마석 || || 정제된 용제 ||<-2> 가구 세트 일부 || 주요 아이템 파밍 대상은 IS-8의 원암 번들, IS-9의 중합 절삭유, IS-10의 열합금이다. 배포 캐릭터인 [[비질(명일방주)|비질]]과 비질의 증표 획득 방식이 그간 사이드 스토리와 다소 다른데, 진행하다 보면 퀘스트가 주어지고 퀘스트 보상으로 비질 및 증표가 제공되는 식이다. 모든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훈장도 있다. == 등장하는 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적/2022년)] ||<-4> '''등장하는 적들''' || || [[명일방주/적/2022년#s-2.26|[[파일:enemy_1277_sgman.png|width=50%]][br]패밀리 병사]] || [[명일방주/적/2022년#s-2.26|[[파일:enemy_1277_sgman_2.png|width=50%]][br]패밀리 정예 병사]] || [[명일방주/적/2022년#s-2.27|[[파일:enemy_1279_sgbdg.png|width=50%]][br]패밀리 공갈자]] || [[명일방주/적/2022년#s-2.27|[[파일:enemy_1279_sgbdg_2.png|width=50%]][br]잔혹한 패밀리 공갈자]] || || [[명일방주/적/2022년#s-2.28|[[파일:enemy_1282_sgelder.png |width=50%]][br]패밀리 리더]] || [[명일방주/적/2022년#s-2.28|[[파일:enemy_1282_sgelder_2.png|width=50%]][br]강경한 패밀리 리더]] || [[명일방주/적/2022년#s-2.29|[[파일:enemy_1281_sgcar.png |width=50%]][br]패밀리 전용 세단]] || [[명일방주/적/2022년#s-2.29|[[파일:enemy_1281_sgcar_2.png|width=50%]][br]패밀리 럭셔리 세단]] || || [[명일방주/적/2022년#s-3.23|[[파일:enemy_1278_sgbow.png|width=50%]][br]패밀리 석궁병]] || [[명일방주/적/2022년#s-3.23|[[파일:enemy_1278_sgbow_2.png |width=50%]][br]패밀리 정예 석궁병]] || [[명일방주/적/2022년#s-3.24|[[파일:enemy_1280_sgmag.png |width=50%]][br]패밀리 캐스터]] || [[명일방주/적/2022년#s-3.24|[[파일:enemy_1280_sgmag_2.png|width=50%]][br]패밀리 정예 캐스터]] || || [[명일방주/적/2022년#s-3.25|[[파일:enemy_1283_sgkill.png|width=50%]][br]패밀리 멸살자]] || [[명일방주/적/2022년#s-3.25|[[파일:enemy_1283_sgkill_2.png|width=50%]][br]패밀리 어둠의 멸살자]] || [[명일방주/적/2022년#s-3.26|[[파일:enemy_1284_sgprst.png|width=50%]][br]아제니르 신부[* 시라쿠사인 이벤트의 등장인물이자 중간 보스. 자세한 설정은 [[시라쿠사(명일방주)#s-3.1.2|항목]] 참고.]]] || [[명일방주/적/2022년#s-7.7|[[파일:enemy_1535_wlfmster.png|width=50%]][br]'''자로, '늑대 군주\''''[*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텍사스]]가 시라쿠사로 오게 된 원인이자 이벤트의 보스. 자세한 설정은 [[시라쿠사(명일방주)#s-3.2.1|항목]] 참고.]]] || * 패밀리 멸살자 계열은 일부 스테이지를 제외하면 스테이지 기믹인 '''퍼지 타임'''이 발동되었을 때에만 하나씩 등장한다. == 새로 등장하는 기믹 == > '''피의 장부''' > 초당 3씩 자연적으로 증가. 500까지 증가할 시 35초 동안 퍼지 타임에 돌입하고, 즉시 패밀리 멸살자 계열 적 소환 > '''퍼지 타임''' > 모든 적의 공격력 +20%, 방어력 +15% UI 상단에 '''피의 장부'''라는 거대한 게이지가 나타난다. 피의 장부는 초당 3씩 자연적으로 증가하며, 적들의 특수능력에 의해 더 빨리 차오를 수도 있다. 전장에 중립 유닛인 '시라쿠사 평민'이 존재할 시 피의 장부가 서서히 감소하지만, 시라쿠사 평민이 적에게 처치될 시 오히려 피의 장부가 증가한다. 만약 피의 장부가 500까지 증가해서 게이지가 꽉 차게 되면 '''퍼지 타임'''에 돌입하며, 즉시 적 거점으로부터 '''패밀리 멸살자 계열 적'''이 등장한다. 퍼지 타임 도중에는 모든 적이 공격력 +20%, 방어력 +15% 버프를 받고, 일부 적들은 퍼지 타임 동안 특수 능력이 강화되기도 한다. 퍼지 타임은 35초 동안 지속되며, 퍼지 타임이 종료되면 피의 장부가 0으로 초기화된다. == 훈장 세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영광의 길/2022년 이벤트)]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라쿠사(명일방주) )] ||<-4> '''등장 오퍼레이터''' || ||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파일:명일방주텍사스디오메르토사아이콘.webp|width=50%]][br]텍사스]] || [[라플란드(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라플란드아이콘.png|width=50%]][br]라플란드]] || [[비질(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비질아이콘.webp|width=50%]][br]비질]] || [[페넌스|[[파일:명일방주페넌스아이콘.webp|width=50%]][br]페넌스]] || || [[소라(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소라아이콘.png|width=50%]][br]소라]] || [[엑시아(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엑시아아이콘.png|width=50%]][br]엑시아]] || [[크루아상(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크루아상아이콘.png|width=50%]][br]크루아상]] || == 스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스토리/2023년)] ||<-2> '''{{{#ffffff,#dddddd 한국서버 공식 번역}}}'''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event/act21side|#]] || || IS-ST-1 [br] 지병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st01|브릿지]] || || IS-1 [br] 소리 없는 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1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1_end|작전 후]] || || IS-2 [br] 명예로운 자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2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2_end|작전 후]] || || IS-3 [br] 공공의 적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3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3_end|작전 후]] || || IS-4 [br] 괴로운 밤의 천둥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4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4_end|작전 후]] || || IS-ST-2 [br] 절개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st02|브릿지]] || || IS-5 [br] 불변의 법칙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5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5_end|작전 후]] || || IS-6 [br] 과거의 수치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6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6_end|작전 후]] || || IS-7 [br] 망각 불가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7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7_end|작전 후]] || || IS-8 [br] 위여누란 [* 몹시 위태롭고 위험한 상황을 의미한다. 비공식의 [[누란지위|누란지세(累卵之勢)]] 역시 비슷한 의미.]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8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8_end|작전 후]] || || IS-ST-3 [br] 뼈를 깍는 고통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st03|브릿지]] || || IS-9 [br] 문명의 거짓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9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09_end|작전 후]] || || IS-10 [br] ‘늑대 군주’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10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10_end|작전 후]] || || IS-ST-4 [br] 봉합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ko_KR/content?f=activities/act21side/level_act21side_st04|브릿지]] || 스토리 간단 요약 [[https://gall.dcinside.com/m/mibj/4340836|#]], 스토리 요약 영상 (19분) [[https://www.youtube.com/watch?v=DoE0vfwgugA|#]] == 기타 == *본래 이 이벤트의 비공식 명칭은 이 이벤트의 이탈리아어 원어명칭이자 글로벌명인 [[일 시라쿠사노]](IL Siracusano)였으나,한국어판에서는 중국어 원판(叙拉古人)과 같이 시라쿠사인으로 번역되었다. 일본어판은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シラクザーノ(시라쿠사노)라 쓰고 시라쿠사인으로 읽는 식]]으로 번역되었다. 그간 상당수의 이벤트가 영어를 음차한 제목으로 등장했던 반면[* 특히 [[골든글로우]] 미니 이벤트의 경우 'A Light Spark in Darkness'를 그대로 음차한 '어 라이트 스파크 인 다크니스'로 출시되어 상당한 비판을 받았다. 다만 2023년 이후로는 이상적인 도시: 엔드리스 카니발, 도로시의 비전, 무명의 방랑자 등 번역을 한 이벤트도 많은데, 애매하게 부제를 채용한 이상적인 도시를 제외하면 평가가 괜찮다.] 오랜만에 사이드 스토리에서 번역명이 돌아온데다 이탈리아어가 더 분위기에 어울린다는 이유로 오역 논란이 생기기도 했다. *[[잠실역]]에 시라쿠사인 출시 기념 스크린 광고가 게재되었는데, 유저들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지만 '''패밀리를 위하여'''라는 문구가 다소 오글거린다는 평이다. [[https://m.dcinside.com/board/mibj/4320035|#]] 아이러니하게도 광고에 나온 등장인물들 중 시라쿠사인 스토리에서 진짜로 패밀리를 위해 싸운 사람은 한명도 없다. *[[5월 23일]]에 이벤트가 시작된 것에 대해서는 이 날이 [[이탈리아]]에서 법의 날(Giornata della Legalità)로 지정되어 있으며, 마침 오퍼레이터 [[페넌스]]의 모티브가 된 [[지오반니 팔코네]] 검사의 기일이기도 해서 이를 기려 요스타가 5월 23일을 시라쿠사인 이벤트 개시일로 했다는 추측도 있다. 다만,같이 온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를 왜 계속 미뤘는지는 설명되지 않는다. * 이벤트 화면에서 시라쿠사인 주역들이 연극에 대해 남긴 리뷰를 볼 수 있는데, <텍사스의 죽음> 외에는 전부 평점테러를 날린 라플란드와 텍사스 계정을 도용해서 리뷰를 남긴 엑시아가 상당히 인상적이다. [[https://m.dcinside.com/board/hypergryph/1292989|#]] * IS-S-1에서 [[명일방주/적/2022년#s-2.29|패밀리 럭셔리 세단]]을 2대 이상 '''저지하지 않고''' 폭파시키는 미션이 있는데, 저지하지 않고란 말만 빠지고 폭파만 적혀 있어서 많은 유저들이 [[https://gall.dcinside.com/m/mibj/4386563|오역]]이라 생각했다. 이 미션을 오해하고 몇 번이나 같은 맵을 돌았던 유저까지 있었을 정도. 그러나 중섭 [[https://gall.dcinside.com/m/mibj/4386613|역시도]] 저지하지 않고란 말이 빠져 있어 오역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세단을 저지하지 않고 처치시 폭파하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bj&no=4386795|사망모션]]이 있어 오역은 아니긴하다. --미션마저 아방가르드-- == 관련 영상 == === 애니메이션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CVEfp2gqGk)]}}} || || {{{#fff 3D 애니메이션 PV [* 라플란드가 벽을 뚫자 영상의 화면비가 바뀌는 연출(1분 38초)이 호평받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PrcDROa5_Y)]}}} || || {{{#fff 2D 애니메이션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vFHA4gZ4Eg)]}}} || || {{{#fff 한국어 더빙 PV [* 한국어 외에도 [[https://www.youtube.com/watch?v=dYWnlnyGuvY|일본어 버전]]과 [[https://youtu.be/mtK8f6-U1U0|영어 버전]]으로 더빙되었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UQ-oc3I9l0)]}}} || || {{{#fff 기념 PV ‘Lo Scontro’[* Lo Scontro는 이탈리아어로 싸움이란 뜻이다.]}}} || === 특별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jbOdLcvuUs)]}}} || || {{{#fff 이탈리아어 더빙 [* 정황상 목소리의 주인공은 [[시라쿠사(명일방주)#s-3.5.2|텍사스의 아버지]]로 추측된다.] PV}}} || === E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u8P2m-7FVc)]}}} || || {{{#fff 텍사스 EP ‘Thorns In You’[* 오퍼레이터 중에서 이미 [[쏜즈]]가 있어서 관련 드립들이 쏟아지고 있다(...)--네 안의 쏜즈--] }}} {{{#!folding [ 가사 ] {{{#ffffff,#dddddd There's a threshold you cross 넘어야 할 경계가 있어요. when the book starts to turn. 책장이 넘겨질 때 It's a rook 까마귀가 cheating your present of peace. 평화의 선물을 앗아가네요. Stories rewrite, 이야기가 다시 쓰여지고 stars flee the night. 별들은 밤을 떠나죠. Judging the cover by look.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네요. There's a dusty old line 케케묵은 선이 in the sand 모래 속에 있어요. blown to bits 산산조각난 채 by my past, 나의 과거는 no longer tempting the muse. 더 이상 뮤즈의 사랑을 받지 못하네요. People can change... 사람은 변할 수 있어요... ...a promise I made. ...내가 약속했듯이. Flight over fight, I'll refuse. 싸움에서 도망치진 않겠어요. Give and take 주고 받는 것, the ties that you break. 당신이 끊어 버린 유대. Why, you can't say. 어째서 말하지 않은 건가요. You don't think that way. 당신은 동의하지 않는다고. Come and go, 오고 가는 것, no longer abide. 더는 참지 않겠어요. Blood on your hands won't do. 당신 손에 묻은 피는 Judge not, the thorns in you. 심판하지 않겠죠, 당신 속 가시를. At the end of the road 이 길의 끝에서 in the dark, 어둠 속에선 lies in wait 거짓이 기다리죠. like a shark. 마치 상어처럼. Teasing temptation and greed, 유혹과 욕망을 지분거리며 narrow my focus, 나의 시야를 좁히고 staying my course 나의 길을 죽이며 not for lust, only to feed. 욕망이 아닌, 포식을 위해. Give and take 주고 받는 것, the ties that you break. 당신이 끊어 버린 유대. Why, you can't say. 어째서 말하지 않은 건가요. You don't think that way. 당신은 동의하지 않는다고. Come and go, 오고 가는 것, no longer abide. 더는 참지 않겠어요. Blood on your hands won't do. 당신 손에 묻은 피는 Judge not, the thorns in you. 심판하지 않겠죠, 당신 속의 가시를.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lIiS8VSvQw)]}}} || || {{{#fff 페넌스 EP ‘Sentenced’ [* 원형인 Sentence가 선고하다란 뜻이 있으므로, Sentenced는 '''선고받다'''란 뜻을 지닌다. 스토리를 다 읽고 노래를 들으면 의미가 남다르다. ]}}} {{{#!folding [ 가사 ] {{{#ffffff,#dddddd I couldn't follow our distorted old rubric. 난 우리의 일그러진 옛 규칙을 따를 수 없었어. I tried so hard to be the one who improves it,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but the harder I fought, the worse we got. 맞서 싸울수록 상황은 더 나빠져만 갔어. I got lost and I let my morals get diluted. 난 길을 잃고 도덕은 희미해져버렸어. A gavel strike can end a life, 내려치는 법봉은 하나의 삶을 끝낼 수 있지. but still my gavel falls like endless cannonballs. 그래도 내 법봉은 무수히 많은 대포알처럼 떨어져. The sounds echo back and haunt my dreams. 그 소리는 내 꿈속에서 메아리치고, They're taunting me, 나를 조롱하며 말해. telling me that I'm the one who will be sentenced, 그대야말로 선고받을 사람이라고. sentenced today. 오늘의 법정에서 How did my own code get so fragile and fluid? 내 법이 어떻게 나약하고도 유연해졌을까? Isn't it obvious that my conscience has bruises? 내 양심이 멍투성이란 건 뻔하지 않은가? I just wanna come clean, don't you see? 나도 솔직해지고 싶지만, 네게도 보이지 않니? My hands are tied by an institution in ruins. 파탄난 제도에 묶여 버린 내 손이. All the weight on my shoulder 내 어깨의 짐들은 replaced by monsters. 괴물로 대체되었지. The face in the mirror, 거울 속 얼굴과 I barely know her. 흐릿해진 인상. I became a foot soldier who swings for the ones that hold power. 난 권력자를 위해 무기를 휘두르는 꼭두각시라네. A gavel strike can end a life, 내려치는 법봉은 하나의 삶을 끝낼 수 있지. but still my gavel falls like endless cannonballs. 그래도 내 법봉은 무수히 많은 대포알처럼 떨어져. The sounds echo back and haunt my dreams. 그 소리는 내 꿈 속에서 메아리치고 They're taunting me, 나를 조롱하며 말해. telling me that I'm the one who will be sentenced. 그대야말로 선고받을 사람이라고. Sentenced to a lifetime of nightmares. 평생 악몽에 시달리는 벌을 받으라고. (Oo-oh, oo-oh.) (Oo-oh, oo-oh.) In another life, 또다른 삶에서 I would pay the price 나는 대가를 치르겠지. of a million crimes 수없이 많은 죄에 대해 unti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날 때까지.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8boMXrxcNU)]}}} || || {{{#fff 비질 EP ‘Go My Way’}}} {{{#!folding [ 가사 ] {{{#ffffff,#dddddd Winding roads by way of selfless means. 굽이진 길들이 가르키는 사심 없는 수단들. Free hearts are never broken. 자유로운 마음은 결코 부서지지 않네. Keep your monsters, 'cuz my banner's clean. 그대의 괴물은 넣어 둬, 내 깃발은 깨끗하니까. Truer words have never been spoken. 더 진실된 말은 아직 내뱉지 않았으니. It's a cut above the life you lead. 그대의 삶을 뛰어넘는 것이었네. All the risk was worth the gamble. 걸어 볼 만한 도박이었지. Like a wolf, I hunt down what we need. 늑대처럼, 나는 사냥을 하네. Crumbled walls and empty castles. 무너진 벽과 비어버린 성들에서.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on my own. 오래 되었지, 오랜 시간 홀로 있었지. Breaking the family ties to build a home. 집을 만들기 위해서 가족과 유대를 끊었어. We ride, calm and cool. 우린 달리네, 차분하고 침착하게. Play the fool when kings all lie. 왕들이 거짓을 말할 때 바보 행세를 하네. We ride, 우린 달리네, for the peace that we've killed to bring to life. 우리가 죽여서 되살려낼 평화를 위해. We ride, 우린 달리네, on a chance that things will finally go my way. 내 뜻대로 일이 풀려갈 날을 위해. We ride for a new flag, 우린 달리네, 새로운 깃발을 향해, with no guarantee. 보장이 없더라도. Winding roads can lead your path astray. 굽이진 길들은 그대의 길을 망쳐놓을 수도 있지. Don't walk with waning motive. 흐릿한 결심으로 길을 나서지 마. They'll push no matter what you say. 그대가 무엇을 말하든 그들이 밀어붙일 테니까 Keep your dragons locked and loaded. 그대의 용은 항상 장전해 둬.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on my own. 오래 되었지, 오랜 시간 홀로 있었지. Breaking the family ties to build a home. 집을 만들기 위해서 가족과의 유대를 끊었어. We ride, calm and cool. 우린 달리네, 차분하고 침착하게. Play the fool when kings all lie. 왕들이 거짓을 말할 때 바보 행세를 하네. We ride, 우린 달리네, for the peace that we've killed to bring to life. 우리가 죽여서 되살려낼 평화를 위해. We ride, 우린 달리네, on a chance that things will finally go my way. 내 뜻대로 일이 풀려갈 날을 위해. We ride for a new flag, 우린 달리네, 새로운 깃발을 향해, with no guarantee. 보장이 없더라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2x6jtA_GHo)]}}} || || {{{#fff 일본서버 콜라보 EP ‘Laters’[* 두 캐릭터의 일본 성우인 [[타도코로 아즈사]]와[[이마이 아사미]]가 부른 듀엣곡.]}}} {{{#!folding [ 가사 ] {{{#ffffff,#dddddd ( 흰색: 텍사스, {{{#FF8000 주황색: 라플란드}}}, {{{#FF0000 붉은색: 코러스}}} ) この身を盾にして 影は背中に迫っていた 이 몸을 방패삼아 그림자가 뒤에서 다가오네 {{{#FF8000 自由を縛ったのは 自分か世界のせいか }}} {{{#FF8000 자유를 구속한 건 자신인가 세상인가 }}} 境界を踏み越えて満ちる 騒がしさを知っ 경계를 넘어 차오르는 소란스러움을 알고 {{{#FF8000 狂乱を巻き込んだ力 戦いで示すだけEasy }}} {{{#FF8000 광란에 휘말린 힘은 싸움으로 보여줄 뿐 Easy }}} 昨日に追い付かれるのか 어제에 쫓길 것인가 {{{#FF8000 明日を追い駆けるのか }}} {{{#FF8000 내일을 쫓을 것인가 }}} {{{#FF0000 Which one do you like? }}} {{{#FF0000 さよなら 告げるために此処にいる }}} {{{#FF0000 작별을 고하기 위해 여기에 있어 }}} {{{#FF0000 最初から 揺らがない覚悟を持って }}} {{{#FF0000 처음부터 흔들리지 않을 각오를 갖고 }}} 打ち砕けSink or swim 때려부숴 Sink or swim {{{#FF8000 逃さないよ Stop bugging me }}} {{{#FF8000 놓치지 않아 Stop bugging me }}} {{{#FF0000 Fight to the last 速度を上げるStory }}} {{{#FF0000 Fight to the last 속도를 높이는 Story }}} {{{#FF0000 追憶を振り切って }}} {{{#FF0000 추억을 떨쳐버리고 }}} {{{#FF8000 何の因果が結んだ 聞こえない振りは止めてよね }}} {{{#FF8000 무슨 인과가 꼬인건지 안들리는 척은 말아줘 }}} 重く感じた刃に 縋り付くのは記憶 무겁게 느껴지는 칼끝에 매달린 것은 기억 {{{#FF8000 愛憎の重なった玩具(おもちゃ)ぶつけ合えばいいよ }}} {{{#FF8000 애증이 겹친 장난감 부딪치면 돼 }}} 退路は塞がったままで 信じた道を歩んでくJourney 퇴로가 막힌채로 믿었던 길을 걸어가 Journey {{{#FF8000 受け入れて楽しもうか }}} {{{#FF8000 받아들이고 즐겨볼까 }}} 掻き消して進もうか 잊어버리고 나아갈까 {{{#FF0000 Which one do you like? }}} {{{#FF0000 さよなら 高くついた代償は }}} {{{#FF0000 안녕 비싸게 받은 대가는 }}} {{{#FF0000 これから 斬り伏せて払えばいい }}} {{{#FF0000 지금부터 베어가며 갚으면 돼 }}} {{{#FF0000 Live in this world }}} {{{#FF0000 過去から地続きの夢を見た }}} {{{#FF0000 과거부터 계속된 꿈을 꿨어 }}} {{{#FF0000 未来へと 臨むため現在(いま)を行こう }}} {{{#FF0000 미래로 가기 위해 현재를 나아가자 }}} {{{#FF0000 いつかは… }}} {{{#FF0000 언젠가는... }}} ありがとう 次を描きたいから 고마워 다음을 그리고 싶으니까 {{{#FF8000 応えよう 剣先に触れる音で }}} {{{#FF8000 대답해줘 칼끝에 부딪히는 소리로 }}} {{{#FF0000 さよなら 告げるために此処にいる }}} {{{#FF0000 작별을 고하기 위해 여기에 있어 }}} {{{#FF0000 最初から 揺らがない覚悟を持って }}} {{{#FF0000 처음부터 흔들리지 않을 각오를 갖고 }}} {{{#FF8000 忘れないで Be the light }}} {{{#FF8000 잊지 말아 Be the light }}} 夜明けまで Slash the darkness 새벽까지 Slash the darkness {{{#FF0000 Fight to the last }}} {{{#FF8000 速度を上げて行け }}} {{{#FF8000 속도를 높여 나가 }}} もう止められない程 더는 멈출 수 없을 정도로 {{{#FF0000 追憶を振り切って }}} {{{#FF0000 추억을 떨쳐버리고 }}} }}}}}} || === 테마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44IRAYFadw)]}}} || || {{{#fff 보스 테마곡 ‘Signore dei Lupi(늑대 군주)’ }}} {{{#!folding [ 가사 ] {{{#ffffff,#dddddd You're tough, but it's never been about you. 넌 강하지만, 네 얘기는 없었지 You're free, but cement your feet, a statue. 넌 자유롭지만, 동상처럼 멈춰 있지 Your rules, but you'd rather make up something. 네 규칙이 있지만, 넌 뭘 더 만들고 싶지 You're dead, you were never good for nothing. 넌 끝났어, 이 쓸모없는 놈 Double negatives leading me in circles, 이중 부정이 날 이끌어, 빙글빙글 돌아서 twist infinity. 무한을 비틀어 You drive me insane! 넌 날 미치게 해 Hit hard, a broken wall. 부딪혀, 벽을 부숴 Hit hard, I gave it all. 부딪혀, 내 전부를 걸었어 Hit hard, a family tie, oh, 부딪혀, 이 가족애(愛)에 but you'd rather just fight. 근데 넌 싸우는 편이겠지 Your dirt never washed off in an April shower; 네 치욕, 4월의 봄비에도 씻기지 않지 you're crushed by the weight of those you can't devour. 넌 삼키지 못한 것들에 짓눌려 버렸지 You're armed, but the plan never executed; 넌 무장했지만 계획은 실행된 적 없지 you're shocked that you'd hold a gun and never shoot it! 넌 총을 들었는데 쏘지 못해서 충격 받았겠지 Regulating when the rules are simply saturated. 규칙이 점령한 사회를 통제해보겠다니 Is it everything or is it just that I'm insane? 다들 미친 건가, 아니면 그냥 내가 미친 건가? Hit hard, a broken wall. 부딪혀, 벽을 부숴 Hit hard, I gave it all. 부딪혀, 내 전부를 걸었어 You tried and failed and fell, wo-oah. 넌 시도했고 실패했고 추락했지, 오. All of this to say you lost it all to gain some power, 이게 전부 권력을 약간 얻겠다고 다 내준 거라고 All of this to say you plant a seed and kill the flower, 이게 전부 씨앗을 심어 그 꽃을 죽이는 이치라고 All of this to say you talk your way into your silence, 이게 전부 묵비권을 위해 설득해온 거라고 All of this is just a ploy to force your hand to violence! 이게 전부 폭력을 행사하기 위한 책략이라고 It's a waste of time, thinking you got tough. 네가 강해졌다고 믿는 건 시간낭비였어 When it's never really been enough. 충분히 강해진 적도 없었는데 Am I insane? 내가 미친 걸까? Hit hard, a broken wall. 부딪혀, 벽을 부숴 Hit hard, I gave it all. 부딪혀, 내 전부를 걸었어 You tried and failed and fell, wo-oah. 넌 시도했고 실패했고 추락했지, 오 가사 출처 [[https://dokhak.postype.com/post/13461020|#]] }}} }}} || [[분류:명일방주/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