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신두완.jpg|width=500]] 申斗完 [[1928년]] [[12월 15일]] ~ [[2021년]] [[12월 1일]] (향년 92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주도 명예도지사이다. 본관은 [[평산 신씨|평산]](平山). == 생애 == 1928년 12월 15일 [[전라남도]] [[제주도(일제강점기)|제주도]] 제주면 [[이호동(제주시)|이호리]](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호동(제주시)|이호동]])에서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335358|태어났다]]. [[외도초등학교]], 제주농업중학교(現 제주고등학교), 제주농업고등학교(現 제주고등학교), [[홍익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 홍익대학교 졸업 후 [[신익희]]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의 비서로서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민주당(1955년)|민주당]], [[민정당]] 등에 몸담았으며,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윤보선]] 후보의 보좌역을 지내기도 했다. 1963년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에 입당해 심계분과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고, 같은 해 치러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임병수(정치인)|임병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신민당(1967년)|신민당]]으로 당적을 옮긴 뒤 초대 제주도당 부위원장을 지냈고, [[국민당(1971년)|국민당]]에 입당해 중앙당 기부위원장을 지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홍병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권당]]에 입당해 사무총장을 지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제주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현경대]] 후보와 친야 무소속 [[강보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제주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현경대]] 후보와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양정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신민주공화당]] 제주시 지구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지냈고,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고세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선거구)|종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종찬(1936)|이종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제주특별자치도지사|제주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신구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에 입당해 제주시 지구당 위원장을 지냈으며,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현경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소속으로 [[제주특별자치도지사|제주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우근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21년 12월 1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92세. == 여담 == 제주도를 제외한 타 지역에서는 인지도가 없는 편이지만, 제주도에서는 나름 인지도가 있는 편이었다. 후술 되어있는 선거 이력을 보면 알겠지만 40년 동안 단 한 번도 당선된 적이 없었으나 정계 은퇴를 선언할 때까지 꾸준히 선거 때마다 출마했다는 점이다. 처음 보는 사람이나 제주도로 이주한지 얼마 안 된 사람들은 그를 선거 때만 되면 나와서 패배하는 --[[야라레메카]]-- --[[자버]]-- 군소후보 혹은 무소속 후보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만 출마 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자신의 비전을 갖추어 열심히 설명하고 그저 도민만을 위해 일하겠다는 점은 변치 않았기에 오랜시간 동안 신두완의 행보를 본 제주도민들은 '신 선생님' 이라는 호칭과 한 편으로는 꿴당으로 대표되는 제주도의 정치문화와 함께 대한민국의 정치구조로 만들어진 [[양당 체제]]에 희생된 비운의 정치인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언더독]]-- 심지어 윤보선 대통령 1주기 행사에 참석한 전두환의 면전 앞에서 무슨 자격으로 이 자리에 왔냐면서 [[5.18 민주화운동]] 학살의 주범이라고 꾸짖어 행사장을 떠나게 만드는 등 --심지어 백담사에 있다가 내려온 전두환의 첫 공식행사 참석이었다 카더라-- 최규하는 고개를 숙인 체로 있었지만 반면에 전두환은 고개를 뻣뻣이 쳐들고 신두완을 노려보고 있었다고 한다--철면피-- 제주강정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등 소신있는 정치인이다.[[https://www.seogwip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37|@]] 자신이 은퇴할 때도 나름 구색을 맞추어 불출마 선언까지 꼼꼼히 하는등 신익희 국회의장의 비서이자 윤보선 후보의 보좌관으로 있었던 인물 답게 꿋꿋이 행동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제주도 지역 정계나 도민들에게는 마음에 와닿았는지 그동안 수고했던 그에게 '명예제주도지사'직을 수여했고, 이틀 간 도지사 업무를 봤다고 한다.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2147|#]]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제1지역구] || [include(틀:국민의당(1963년))] || 2,111표 (3.03%) || 낙선 (7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제1선거구] || [include(틀:국민당(1971년))] || 2,049표 (2.53%) || 낙선 (3위)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 ||<|2> [include(틀:민권당)] || 4,627표 (2.34%) ||<|2> 낙선 (6위) ||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서귀포시]]·북제주군·남제주군 || 2,792표 (1.20%)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172표 (2.29%) || 낙선 (5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구(선거구)|종로구]] ||<|2> [include(틀:무소속)] || 418표 (0.35%) || 낙선 (6위) ||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주도지사]] || 6,961표 (2.54%) ||<|2> 낙선 (4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제주 제주시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3,693표 (3.35%) ||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주도지사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8,373표 (3.18%) || 낙선 (3위) ||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1928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평산 신씨]][[분류:제주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무소속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