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1년 출생]] [[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분류:대한민국의 평론가]]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 [[분류:환일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시카고 타자기(드라마)에 대한 등장 인물, rd1=유진오(시카고 타자기))] ||<-2> [[파일:1144AC124AA785882C.jpg|width=300]] || || '''이름''' ||신율 || || '''생년월일''' ||1961년 11월 16일 ([age(1961-11-16)]세) || || '''신체''' ||182cm || || '''가족''' ||배우자, 딸 2명[* 명지대학교 강의 도중 언급했던 부분이다. 딸 2명 모두 본인의 독일 유학 중 출생했다.] || || '''학력''' ||[[환일고등학교]] {{{-1 ([[졸업]])}}}[br][[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생명과학대학|농과대학]] {{{-1 ([[원예학]]·[[정치외교학]][*A 복수전공] / [[학사]])}}}[br][[프라이부르크 대학교]] {{{-1 (정치학 / [[석사]])}}}[br][[프라이부르크 대학교]] {{{-1 (정치학 / [[박사]])}}} || || '''현직''' ||[[명지대학교]] 교수 || || '''약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세계지역학회 부회장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평론|정치평론가]], 대학 교수. 현재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다. == 생애 == 1961년에 태어나서 [[환일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원예학·정치외교학[*A] 학사,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박사를 졸업하였다. 그 이후, 1995년에는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을 맡았다. 2013년에는 한국세계지역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을 맡았다. 1996년부터, 지금까지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 정치 성향 == [[이명박 정부]] 초중반 때까지는 비교적 중도적 성향의 정치평론가로 알려져 있었지만, 2012년 4월의 [[제19대 총선]]과 [[박근혜]]가 당선된 2012년 12월 [[제18대 대선]] 즈음부터는 확연한 [[보수주의|보수 성향]]으로 굳혀졌다는 것이 중평이다. 이후부터 꾸준히 국내의 대표적인 보수 우파 성향 정치평론가로 분류된다. 이후 지상파 토론 프로그램, [[채널A]], [[TV조선]], [[MBN]] 등 보수 성향 종합편성채널 뉴스는 물론이고, [[연합뉴스TV]]나 [[YTN]] 같은 뉴스 전문 채널 등에서 보수 우파 측 패널 역할로 주로 출연했다. 당시만 해도 [[중도]] 성향의 언론으로 알려져있던 [[YTN]]에서도, 그가 진행했던 프로그램인 [[신율의 시사탕탕]]에서 만큼은 보수 우파적인 성향을 띈 발언을 자주 보였던 터라, YTN의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비판과 지적을 받는 단골 프로그램이었다. 방송 뿐만이 아니라 일반 기사의 정치 보도에서도 신율의 코멘트가 꽤 자주 등장하는데, 정치적으로 [[보수주의|보수]] [[우파]]적인 관점의 정치 평론 코멘트가 필요할 때 여러 기자들이 주로 김형준 교수나 신율 교수에게 전화해서 코멘트를 따기 때문.[* 공교롭게도 두 사람 모두 [[명지대학교]] 교수 출신이다. 김형준 교수의 경우 2023년에 명지대학교에서 정년 퇴임한 후, [[배재대학교]] 석좌교수 직으로 옮겼다.] 심지어 선거 시즌 즈음에는 신율 교수의 온갖 이런저런 코멘트나 주장이 실린 기사가 하루에 무려 3~40건 씩 무더기로 쏟아지기도 한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는 YTN 라디오에서 저녁 시간대 시사 프로그램인 [[뉴스! 정면승부|신율의 뉴스 정면승부]]를 진행하고 있는데, 직전 진행자인 [[이동형]] 정치평론가와는 정치적 성향이 정반대인 것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아무튼 본인 프로그램에 패널로 자주 출연하는 엄경영 정치평론가와 함께, 방송을 통해 ''''[[2024년 총선]] 때 국민의힘이 170석을 얻을 것''''이라는 주장을 꾸준히 설파하고 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305311902195574|#]] [[https://www.ytn.co.kr/_ln/0101_202309271948099155|#]] == 연이은 예측 실패 == 예측마다 결과가 '''정반대'''가 되는 한국 정치평론계의 [[펠레의 저주]]로 유명하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2022년 [[제8회 지방선거]]까지 총 다섯 차례의 전국단위 선거를 앞두고 주장한 선거 예측을 보면, 놀랍게도 '''단 한번도 맞춘 적이 없다. 심지어 비슷하지도 않았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3925315|관련 내용]] 가히 '''[[펠레]]급의 선거 예측'''을 보여 주는 수준인데, 이 때문에 정치평론을 빙자하여 보수 정당의 선거 승리를 바라는 본인의 희망사항을 주장하거나, 보수 정당의 선거 승리를 위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많이 받는다. 아래는 핵심적인 주요 선거들에 대한 신율의 예측이 빗나간 사례들이다.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예측 >"새누리당 140~145석, 민주당 100석 확보를 예상한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국민의당#호남 지지기반 확보|민주당이 호남에서 다수의 의석을 잃는다면]] 확실한 패자는 이미 존재하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민주당이 호남에서 의석수를 잃는다면, 100석을 얻어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라고 했다.] [[https://www.ajunews.com/view/20160410151456519|#]]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123석, [[새누리당]]이 122석을 확보하면서 근소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1당이 되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호남에서 많은 의석을 잃은 것만은 사실이었는데[* 그야말로 전제는 참인데 결론이 거짓인, 부당한 논증의 교과서적 사례이다.], 그러나 4년 후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호남 의석을 모조리 되찾아 옴과 동시에 계파 갈등의 원인이던 호남 중진들에 대한 물갈이까지 성공하여, 결론적으로 '아무런 소용이 없는 일'이 아니게 되었다. *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예측 >"사람들은 대부분 문재인 후보가 될 것이라 예상하는데 아직 결과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본다.", "투표율이 올라가면 확장성이 높은 후보에게 유리하다", "해외 언론들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선전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는데, 여론조사와 결과가 다르게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https://www.news1.kr/articles/?2988121|#]] 선거 결과 [[문재인]] 후보가 대선 1·2위 후보간 역대 최다 득표차로 대통령에 당선됐고 [[안철수]] 후보는 3위에 그쳤다. 그리고 시중의 대선 여론조사는 정확했던 것으로 증명됐다. *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측 >"드루킹 사건으로 정부 여당이 상당히 곤혹스러울 수 있다."[[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8/04/257521/|#]] 선거 결과 광역단체장 17곳 중 14곳을 [[더불어민주당]]이 싹쓸이, 압도적 승리를 거둔 반면 보수정당인 [[자유한국당]]은 참패가 아닌 몰락 수준으로 급추락했다. *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예측 > "투표율이 65~70% 안팎이면 [[미래통합당|야당]]이 이길 것이고, 60~65%면 [[20대 총선]]처럼 1~2석 차이로 원내 1당이 갈릴 것이다. 투표율 50~60%면 [[더불어민주당|여당]]이 이길 것."[[https://www.newspim.com/news/view/20200413000928|#]] > "투표율이 높을 때는 정치적 효능감이 클 때와 분노가 높을 때인데, 정치적 효능감이 커서 투표율이 높아질 확률은 매우 적다". "유권자의 분노가 야당보단 힘있는 [[더불어민주당|여당]]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래통합당|야당]]이 이길 확률이 높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49686625736448&mediaCodeNo=257|#]] > "지금같은 상황에서 본다면,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을 더해 [[미래통합당|야당]] 의석이 과반이 될 수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00413000928|#]]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비례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의석을 포함하여 총 180석을 획득하며 역대 최대 수준의 압승을 거두었고, [[미래통합당]]은 비례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의석을 합쳐 총 103석 획득에 그쳤다.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의 획득 의석도 겨우 3석에 불과했다. 투표율 또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최고 투표율인 66.3%를 기록했다. *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측 > "투표율이 낮으면 [[더불어민주당]]이 유리하고, 투표율이 높으면 [[국민의힘]]이 유리할 것."[[https://www.ajunews.com/view/20220529163822761|#]] 투표율이 50.9%로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최저 수준이었지만, 결과는 국민의힘의 승리. 결과적으로 보면 그냥 [[아무 말 대잔치]]였다. 이런 엉터리 예측이 계속되는 것은 객관적인 상황이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않고, 단순히 보수 정당이 이기기를 바라는 [[확증편향|자신의 희망사항을 투영해서]] 예측을 하기 때문이다. 2020년 [[제21대 총선]] 예측 실패로 단단히 망신을 당한 후, "이번 총선에서 여당의 압승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며 "40년 넘게 정치학을 연구해왔으나 이념지형 변화에 둔감했다. 처절하게 반성했다"고 밝혔으며, 이 발언 직후에도 "민주당은 친문 적통 후보를 내려 할 것이기 때문에 이낙연이 대선에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측했는데[[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90166625736776&mediaCodeNo=257|#]], [[민주당 경선|이건 절반만 맞췄다.]] 결국 이낙연이 못 나왔던 것은 맞지만 민주당은 적통 친문 후보[* 아마도 [[김경수]]를 염두에 두고 언급한 것으로 보이는데, 경선이 진행되던 도중에 유죄 선고로 감옥에 가버렸다.]가 아닌 [[비문재인]]인 [[이재명]]을 후보로 내보냈다. 2022년 [[20대 대선]] 국면에서는 본인의 보수 성향과는 별개로, 자기가 그동안 예측을 많이 틀린 이력을 의식해서인지, 선거 판세를 예측하는데 상당히 신중하게 접근하는 행보를 보였다. 대선 막판까지 누가 이길지 모르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개표 당일까지 해당 스탠스를 유지했다. 그리고 대선 직후에 곧바로 열린 2022년 [[제8회 지방선거]] 때는 앞서 서술된 대로 ''''또 선거 예측이 거하게 틀려버렸다.'''' *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예측 > "제가 볼 때는 30% 투표율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본다", "사전투표가 정착된 만큼 투표할 정당을 이미 정한 사람들은 대부분 사전투표를 했을 것이기 때문에, 막상 당일 투표율은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829630?sid=100|#]] 전국적으로 상당히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킨 선거였던 탓에, 결과적으로 기초자치단체 단일 보궐 선거로써는 매우 높은 투표율인 48.67%가 나왔다. 특히 사전투표율인 22.64% 보다도 본투표 투표율이 26.03%로 더 높게 나온 바람에, 전체적인 투표율까지 상당히 끌어올렸다. 결론적으로 또 신율의 예측이 완전히 틀린 셈. == 방송 == * [[신율의 시사탕탕]] * [[출발 새아침|신율의 출발! 새아침]] * 통일로 가는 길 * 신율의 시사열차[*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프로그램명이 "신율의 대선열차"였다.] * [[뉴스! 정면승부|신율의 뉴스! 정면승부]] 이 밖에도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선거방송인 [[MBC 선택]]의 객원논설위원으로 출연한 적도 있다. == 여담 == * 명지대학교 강의 도중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안면인식장애]]라는 발언을 하여 논란을 빚은 일이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794|#]] * 미디어 업계에서 나름 이름이 알려진 정치 평론가 겸 논객이긴 하지만, 방송 진행 실력이나 발음, 발성 등은 예나 지금이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단발적인 출연을 하는 패널의 경우에는 이런 지점이 양해가 될 수도 있지만, 방송의 메인 MC로서는 상당히 불리한 부분. 특히 [[TV조선]]에서 진행을 맡았던 시사 프로그램인 [[신율의 대선열차]], YTN의 [[신율의 시사탕탕]] 등에서도, 그의 정치적 성향과는 별개로 방송 진행 실력에 대한 지적을 상당히 많이 받곤 했다. 자세한 내용은 [[신율의 시사탕탕|해당 항목]] 참조. 이런 영향은 라디오 방송에도 이어지는데, 그가 메인 MC를 맡은 YTN 라디오 프로그램인 [[뉴스! 정면승부]]의 경우에도 라디오 청취율이 거의 순위권에도 잡히지 않을 정도로 잘 나오지 않는다. * 보수 우파적 정치적 성향 덕인지, 2021년 [[국민의힘]]에서 직접 주관하는 서울시장 경선후보자, 당대표 후보자, 대선 경선후보자 토론회, '국민시그널 공개면접'에서 사회자를 맡기도 했다. * 키가 생각보다 많이 크다. 180은 충분히 될 거 같은 [[장신]]이다. 시사 프로그램에선 주로 앉아있다 보니, 키가 크다는 인식은 별로 없다. 앉은키가 작아서 그렇다. 매우 롱다리인편. 참고로 전임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의에서 본인 키가 182cm라고 직접 언급한 적이 있다. * [[환일고]] 재학시절, [[체육]]담당 교사가 고 [[하일성]] 전 야구해설위원이었다고 한다.[* 하일성은 [[환일고]] 교사시절부터 방송사에서 야구 객원해설을 맡았었다. 이후 교사직을 그만두고 완전히 해설위원으로 전업한다.] 당시 [[하일성]]은 정말 무서운 선생님이었다고 [[신율]] 본인은 회상했다. *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주로 대규모의 인원이 들을 수 있는 강의를 개설한다. 시험도 객관식으로 낸다. 이런 이유로 좋은 학점을 받기에 유리한데다, 말빨 덕에 강의 시간에 지루하지는 않기 때문에 대규모 강의인데도 수강신청이 빡센 편.[* 하지만 수강신청 정정기간 때 "교수님, 더 열어주세요"라고 부탁을 하면 거의 다 수용해주는 편이다.] 농담까지도 시험에 출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같은 농담을 여러 강의에서 몇 해에 걸쳐 비슷하게 하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MBC 선택/역대 진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