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實寫版 Live action [[미디어 믹스]]의 한 종류.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게임]] 등을 [[영화]], [[드라마]], [[뮤지컬]], [[연극]] 같이 [[실사|실제]] 인물들이 배역을 맡은 작품. 독일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로는 Realfilm이라 한다. == 특징 == === 대한민국 === 한국의 실사화는 [[할리우드]] 쪽에 가깝다. 1980-90년대 아동 관객층을 대상으로 한 실사화 작품들[* 당시 [[어린이 영화]]라고 불렸다.]은 저예산이 많아서 무시당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일반 영화나 드라마는 어린이 영화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작품이 만들어졌으며 극적 허용도 되도록이면 그럴싸하게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로 [[이청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서편제(영화)|서편제]], [[김성환(만화가)|김성환]]의 만화를 실사화한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등이 있다. 2010년대의 웹툰 실사화 작품도 원작 재현보다는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2000년대에는 강풀의 [[강풀의 순정만화|순정만화]], [[아파트(웹툰)|아파트]], [[바보(웹툰)|바보]], [[다세포 소녀]] 등의 영화판.[* 바보를 제외하면 원작 재현도가 낮은 편이다.]이 줄줄이 혹평을 받으며 한동안 외면당했다 이후 시행착오를 겪다가 점차 감을 잡으면서 미국처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게 되었다. 원작의 설정은 어디까지나 '원작'으로서 극의 바탕에 두고 최대한 원작 팬이 아닌 관객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재구성하는데 집중했다. 관객 역시 억지스러운 원작 구현보다는 '극 영상물'로서의 퀄리티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설정과 캐릭터를 대대적으로 수정하고도 호평받고 흥행한 [[이웃사람(영화)|이웃사람]]이나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신과 함께]]가 대표적 사례. 결과적으로 한국은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영화 자체에 집중함으로써 흥행에 성공한 실사화 작품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웹툰의 실사화 편중이 독이 되어 애니메이션이 성장할 기회를 빼앗아 갈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 미국 === [[할리우드]]의 자본력과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상당히 높은 퀄리티의 실사판이 제작되곤 한다. 거기에다 미국의 코믹스 그림체가 실사에 가깝게 그려지기 때문에 실사화를 하여도 위화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나 [[DC 확장 유니버스]]의 경우엔 배우 캐스팅이나 캐릭터 디자인이 워낙 잘 되어서 만화에 나온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해도 단순 코스프레물이 되지 않고 만화를 찢고 나온 듯한 싱크로율을 보여준다. 미국의 실사판 영화에 대한 문화는 굉장히 오래 전인 1975년의 [[원더우먼(TV 시리즈)|원더우먼 시리즈]], 1978년 [[슈퍼맨(영화)|슈퍼맨]], 1966년 [[배트맨(1966년 영화)|배트맨]]까지 올라간다. 당시는 히어로 만화의 최전성기로 현대의 미국 만화는 물론 일본 만화 시장보다도 더 거대한 시장을 이룩해냈고 이런 상황에서 추가적인 수익을 위해 마블 디씨 할 것 없이 실사화 시장에 뛰어들었다. [[두 얼굴의 사나이 헐크]]나 1979년 캡틴 아메리카 영화, 더 올라가면 1944년 캡틴 아메리카까지 있을 정도로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모두 성공적이진 않았으나 성공한 몇몇은 그대로 대중들의 인식에 안착했고, 20세기 중후반부터 이뤄진 꾸준한 실사화와 함께 계속된 디자인의 변화는 미국의 실사화가 일본의 실사화와 달리 코스프레 쇼를 넘어서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일본 실사물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원작의 디자인과 설정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적절히 현실적으로 각색하는 작품들이 많다는 것.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이 그 예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캡틴 아메리카와 아이언맨만 봐도 일목요연하다. 원작에서 캡틴 아메리카는 파란색 쫄쫄이 위에 팬티를 껴입고 전형적인 옛날 히어로 패션을 하고 있었지만 영화들을 몇 차례 찍고 점점 [[스티브 로저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슈트|밀리터리 색채가 많이 가미된, 좀 특이한 전투복]]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까지 디자인이 달라졌다. 또한 아이언맨은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슈트|원작에서는 그냥 깡통로봇이었지만, 영화에서는 섹시하다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디자인을 리파인]]하였다.[* 다만 이 리파인된 디자인들도 사실 원작에 있던 디자인들이다. 자세한 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s-9.2.2|문서]] 참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sphero&no=879325|#]]] 그 외에 [[스콧 필그림 시리즈|스콧 필그림]]이라는 정신나간 만화 또한 천재 B급 감독 [[에드가 라이트]]가 실사화를 했는데 특유의 센스있는 편집, 고퀄리티의 그래픽, 일본 애니나 만화처럼 어색한 연출이 아닌 자연스러운 연출로 호평을 받은 사례가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일본과 달리 할리우드는 실사화 소식이 나와도 큰 반발은 그리 없는 편이다. 그렇다고 모든 실사영화들이 성공하는 건 아니다.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처럼 코스튬 디자인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도 있다. 이쪽 영화들은 대부분 작품성이 좋은 편이다. --[[엑스맨: 다크 피닉스|그것도 이제 옛말이 됐다.]]-- DC 확장 유니버스, 트랜스포머 실사화의 경우엔 뛰어난 비주얼과 별개로 영화 자체의 완성도에 대한 평가는 매우 나쁘다. 다만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나 [[범블비(영화)|범블비]]같은 경우는 호평받는 부분이 극과 극이긴 하지만 기존 유니버스의 작품들에 없던 부분들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굉장히 큰 호평을 받았다. 반면 해외 시리즈 원작, 특히 [[일본 만화]]나 게임 등을 헐리우드가 실사화 할 때는 이런 원작 존중이 덜해서 대체로 평이 좋지 않다. 대표적으로 [[드래곤볼 에볼루션]]이 있다. 심지어 이건 '''[[토리야마 아키라|원작자]]도 드래곤볼이라고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스피드 레이서(영화)|마하 고고의 실사판]] 또한 호불호가 갈리지만 이쪽도 만만치 않은 수준. 드물게 성공한 [[All You Need Is Kill]]의 할리우드 버전인 [[엣지 오브 투모로우]]가 있긴하다. 원작의 난해한 설정과 스토리들은 모두 걸러낸 후에 [[루프]]와 외계 종족의 침공, 그리고 강화외골격에만 초점을 맞춰 시나리오를 바꿨고, 등장인물들도 [[톰 크루즈]]와 [[에밀리 블런트]]란 액션계의 대배우들을 데려다 놓았고 디자인들 역시 단순 바디슈트와 우주복을 연상케하는 강화복이 아닌 군복 위에 입는 할리우드식 날것 감성이 가득한 강화복으로 크게 뒤바꿨고, 이로 인해 흥행이 굉장히 크게 성공했다. 그리고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은 비주얼과 설정만 재현했을 뿐 스토리 자체는 오리지널에 가까우며, 엣지 오브 투모로우와 달리 평가도 좋지 않다. [[알리타: 배틀 엔젤]]은 흥행에 성공한 적이 있다. 그리고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처럼 처럼 해외 만화의 실사화 또한 원작의 비주얼을 재현하려 노력하는 케이스도 존재하며, 이 경우 당연하게도 많은 CG가 동원되는 편이다. 오죽하면 2021년 5월달에 일본인 1000명을 대상으로 헐리우드 실사화를 해줬으면 하는 작품 순위를 뽑았는데 '''"없으니까 제발 그런 건 좀 하지 좀 마라."'''가 전체 표수의 절반인 456표라는 표수를 차지하며 독보적 1위에 오를 정도였다.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143/read/52381003|#]][[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143/read/52141303|#]] 게임 시리즈 원작 또한 대체로 평이 좋지 못한 편으로, 최초의 게임 원작 영화지만 대차게 말아먹은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부터 시작하여 [[스트리트 파이터(영화)|스트리트 파이터]], [[툼 레이더(영화 시리즈)|툼 레이더]], [[레지던트 이블(영화)|레지던트 이블]], [[하우스 오브 데드]], [[DOA]], [[워크래프트(영화)|워크래프트]], [[어쌔신 크리드(영화)|어쌔신 크리드]] 등의 게임 원작 영화가 꾸준히 나오고는 있지만 대체로 완성도 면에서의 평가는 좋지 않다. 하지만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와 [[수퍼 소닉 시리즈]]과 [[모탈 컴뱃(2021)]]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이러한 인식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일본 === >일본애니: 일본인들의 이상향 >일본영화: 일본인들의 현실 >실사영화: 현실과 이상간의 괴리 >---- >도쿄구울 실사판 리뷰 영상에 작성된 댓글 [[https://www.youtube.com/watch?v=96ymqucqZeQ|#]] [[만화]], [[소설]] 시장이 크게 발달한 일본답게 실사화 또한 자주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연극, 뮤지컬 등 다른 매체에서는 대체로 괜찮은 타율을 보이는 것과 달리 영화화는 유독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이다. 물론 예외적으로 [[소년탐정 김전일/드라마|소년탐정 김전일]], [[바람의 검심(영화)|바람의 검심]], [[은혼 실사영화 시리즈|은혼]]처럼 실사판도 좋은 평을 받는 사례가 있긴 하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극히 일부 케이스일 뿐 십중팔구는 흥행과 평가 모두 말아먹는 작품들이기 때문에 특정 작품이 실사화된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팬들도 덮어놓고 걱정부터 하고 볼 정도다. 이렇게 일본 만화의 실사영화가 혹평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머리스타일이나 머리색, 의상과 같은 원작의 만화적으로 과장된 비주얼 포인트를 그대로 구현하는 데 지나칠 정도로 집착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일본 만화]], [[일본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디자인은 [[데포르메]] 기반의 작화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멀다. 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헤어스타일, [[눈 색깔]]로 대표되는 디자인 또한 비현실적이어서, 실질적으로 이들의 비주얼을 현실에서 그대로 구현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때문에 디자인 개편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원작 팬층을 의식해 캐릭터의 비주얼 포인트를 그대로 구현하는 데에만, 그것도 참 애매한 수준[* [[진격의 거인(2015년 영화)|진격의 거인]], [[강철의 연금술사(영화)|강철의 연금술사]] 등 서양인으로 설정된 캐릭터를 일본인 배우들이 맡는 작품들이 상당하다. 사실 서양인을 캐스팅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도 아닌 것이, 그나마 만화에서 동양인과 서양인을 특징지어 구분할 수 있는 것도 옛날 옛적인 70~80년대 스타일의 작화라 여럿 유행과 변화를 거치면서 2000년대 이후 유행하는 일본 만화의 그림체는 작가에 따라 개인차는 있을지언정 사실상 현실의 어느 인종과도 흡사점을 찾기 힘들 정도로(오히려 사람이 아니라 '''[[고양이]]'''와 흡사하다는 의견도 있다.[[https://www.dogdrip.net/467629513|#]]) 현실적인 생김새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에 재해석 없이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는 시도 자체가 무모하다.]으로 힘을 쓰다 보니 그저 유치한 코스프레물이 되어 버린다. 그나마 [[은혼]]처럼 [[제4의 벽]]을 마음대로 넘나드는 코미디 장르라면 오히려 이런 부분을 좋게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진지한 작품에서도 코스프레식 실사화 일색으로 만들어 대다 말아먹으니 문제인 것이다. 또 다른 원인은 예산 문제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좀 스케일 크다 싶은 일본 만화들은 [[할리우드]]급 예산과 기술력이 있다고 가정해도 원작의 재현이 가능할까 싶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설정들을 가진 경우가 많다. 그런 작품들을 팍삭 쪼그라든 현재의 일본 영화 시장에서 저예산에 날림으로 만들었으니 당연히 조악한 CG에다 싸구려 코스프레까지 마구잡이로 뒤섞인 괴작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여담으로 이 때문인지 예산과 연관지어서 본편 대신에 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핀오프, 외전작이나 프리퀄 같은 독자적인 스토리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일단 상기된 두 가지 문제만으로도 일본의 실사영화화 산업이 망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고도 남는다. 미국/한국에서 성공한 작품들을 보면 원작과 실사화의 중간 단계를 잘 타협하여 각색한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웹툰 [[신과함께]]를 원작으로 한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신과함께 영화화]]는 등장인물 디자인은 완전히 바뀌었지만, 원작의 세계관 속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저승|저승]]과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지옥|지옥]]을 충실히 구현하는 것을 넘어 더욱 그럴듯하고 그로테스크하게 구현해냈다.[* 물론 이 쪽은 이 쪽대로 각색이 지나치게 과해서 원작의 주제의식을 망가뜨렸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원작을 보지 않은 관객들 기준으로는 생동감 있는 사후세계 CG를 인상깊게 보여주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렇게 일본 만화 실사영화화의 평가가 좋지 않은데도 계속 생산이 되고 또 그것들이 일본 내수시장을 장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작의 두터운 팬층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수익성이 보장된다는 점, 그리고 판권비가 '''굉장히''' 싸다는 점이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867190|#]][[https://www.youtube.com/watch?v=8D5wuWa_vF0|#]] 상술되었듯 일본의 실사화 영화들은 대부분 저렴한 예산으로 만들어서 "대박치면 좋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 제작된다. 그렇기에 비싼 특수분장이나 특수효과, CG 등이 거의 필요 없는 로맨스물, 청춘물, 요리물[* 대표적인 사례로 [[고독한 미식가]]. 이 만화는 실사 드라마가 시즌 8까지 방영되었다. 단, 성의없이 날림으로 만든 작품은 절대 아니고 원작을 충분히 존중함과 더불어 드라마판만의 매력도 살려냈으므로 상술된 졸작 실사영화화 작품들과는 도매금으로 엮을 수 없는 케이스.]은 나름대로 원작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성공할 확률도 그만큼 높다. 이에 비해 연극이나 뮤지컬로 실사화할 경우에는 논란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매체의 특성상 영화나 드라마 등 현실성을 중요시하는 영상물의 연기와 달리 비교적 과장되고 거창한 연기 스타일을 지향하고, 마찬가지 관점에서 과잉된 의상과 연출 또한 크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는 편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양풍 작품을 원작으로 한 동아시아의 연극과 뮤지컬에 동아시아인 배우들이 출연한다고 크게 문제되는 것도 아니다. 이 경우 실사영화판과 구분짓기 위해 [[2.5차원]]이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 최근에는 [[https://kotaku.com/ai-also-makes-manga-and-anime-characters-look-human-1847596217|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연스러운 실사화 또한 연구 중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작품 목록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뮤지컬, rd1=애니컬, anchor1=작품 목록)] 문서가 작성된 작품만 등재하며 별도 문서로 분리되지 않았으면 등재하지 않는다. 애니메이션보다 먼저 만들어진 실사판은 ☆표시. === 대한민국의 실사영상물 === '''실사영화''' * [[캔디캔디]](1981) * [[O달자의 봄]](1983) * [[이장호의 외인구단]](1986) * 이장호의 외인구단 2(1988) * [[영심이|0심이]](1990)☆ * [[드래곤볼(영화)|드래곤볼]](1990) * [[정신나간 유령]](1992) * [[불꽃슛 통키]](1993) * [[북두의 권(실사한국판)|북두의 권]](1993) * [[올드보이(2003)|올드보이]](2003)[* 아마 일본 만화를 실사화한 작품 중 전 세계에서 가장 평가가 좋은 작품일 터다. 오죽하면 '''2차''' 리메이크인 [[올드보이(2013)|올드보이]]가 나왔을 정도이니.] * [[미녀는 괴로워(한국 영화)|미녀는 괴로워]](2006) * [[타짜(영화)|타짜]](2006) * [[타짜: 신의 손]](2014) * [[타짜: 원 아이드 잭]](2019) * [[식객(영화)|식객]](2007) * [[식객: 김치전쟁]](2009) *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영화)|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2008) * [[너는 펫]](2011) * [[은밀하게 위대하게(영화)|은밀하게 위대하게]](2013) * [[설국열차(영화)|설국열차]](2013) *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 * [[신과함께-죄와 벌]](2016) * [[신과함께-인과 연]](2018) * [[신비아파트 시리즈]] * [[신비아파트 외전: 기억, 하리]]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2018) * [[인랑(영화)|인랑]](2018)[* 특이하게도 일본 애니메이션 원작 영화를 한국에서 실사화하는 보기 드문 사례다.] * [[잠은행]](2019) * [[머니게임(영화)|머니게임]] * [[부활남(영화)|부활남]](2024) '''실사 드라마''' * [[일곱 개의 숟가락]](1996) * [[미스터Q(드라마)|미스터Q]](1998) * [[풀하우스(드라마)|풀하우스]](2004) * [[궁(드라마)|궁]](2006) * [[궁S]](2007) * [[아이 엠 샘(드라마)|아이 엠 샘]](2007) * [[식객(드라마)|식객]](2008) * [[꽃보다 남자(2009년 드라마)|꽃보다 남자]](2009) * [[탐나는도다(드라마)|탐나는도다]](2009) * [[공부의 신(드라마)|공부의 신]](2010) * [[장난스런 키스(드라마)|장난스런 키스]](2010) *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2011) * [[아름다운 그대에게(드라마)|아름다운 그대에게]](2012) * [[각시탈(드라마)|각시탈]](2012) * [[닥터 진]](2012) * [[예쁜 남자(드라마)|예쁜 남자]](2013-14) * [[내일도 칸타빌레]](2014) * [[라이어 게임(tvN)|라이어 게임]](2014) * [[미생(드라마)|미생]](2014) * [[밤을 걷는 선비(드라마)|밤을 걷는 선비]](2015) * [[마음의 소리(시트콤)|마음의 소리]](2016) * [[마음의 소리 리부트]](2018) *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드라마)|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2017) * [[경이로운 소문(드라마)|경이로운 소문]](2020) * [[여신강림(드라마)|여신강림]] (2020) * [[스위트홈(드라마)|스위트홈]](2020) * [[유미의 세포들(드라마)|유미의 세포들]](2021)[* 이쪽은 드라마와 애니메이션을 혼합해서 제작했다.] * [[안나라수마나라(드라마)|안나라수마나라]](2022) * [[D.P.]](2021) * [[D.P. 2]](2023) * [[지옥(드라마)|지옥]](2021) *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지금 우리 학교는]](2022) * [[돼지의 왕(드라마)|돼지의 왕]](2022) * [[신병(드라마)|신병]](2022) * [[팬티의 계절]](2022) * [[머니게임(웹툰 원작 드라마)|머니게임]](2023) * [[스터디그룹(드라마)|스터디그룹]](2024) '''기타''' * [[TV 문학관]] * [[TV로 보는 원작동화]] * [[괜찮아 달마과장#s-6.1|TV 만화 달마과장]](2010) * [[머니게임(웹예능)|머니게임]](2021) * [[공범(웹예능)|공범]](2021) === 일본의 실사영상물 === [[https://ja.wikipedia.org/wiki/%E3%82%A2%E3%83%8B%E3%83%A1%E3%83%BB%E6%BC%AB%E7%94%BB%E3%81%AE%E5%AE%9F%E5%86%99%E6%98%A0%E7%94%BB%E5%8C%96%E4%BD%9C%E5%93%81%E4%B8%80%E8%A6%A7|일본 위키 백과에서 목록을 볼 수 있다.]] 보면 심지어 나무위키에 조차 못 올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의 실사화 영화들이 있다. ==== 실사영화 ==== * [[타츠노코 프로덕션]] 애니메이션 원작 영화 * [[캐산(영화)|신조인간 캐산]](2004) * [[얏타맨]](2009) * [[갓챠맨|독수리 오형제]](2013) * [[허리케인 포리마]](2017) * [[사자에상]](1956) * 속·사자에상(1957) * 사자에상의 청춘(1957) * 사자에상의 약혼 여행(1958) * 사자에상의 결혼(1959) * 사자에상의 신혼가정(1959) * 사자에상의 탈선주부(1959) * 사자에상의 아기 탄생(1960) * 사자에상과 에이프런 아줌마(1960) * 복의 신 사자에상 일가(1961) * [[내일의 죠]](1970) * 내일의 죠(2011) * [[블랙 잭(만화)|눈동자 속의 방문자]](1977)☆[* [[블랙 잭(만화)|블랙 잭]]의 하루이찌방(春一番)편을 영상화한 작품.] * [[루팡 3세 염력진작전]](1974) * [[루팡 3세(2014년 영화)|루팡 3세]](2014) * [[맨발의 겐]](1976) *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1977)☆ *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베르사이유의 장미]](1979) * [[세일러복과 기관총]](1981) * [[메종일각]](1986) * [[스케반 형사]](1987) * 스케반 형사: 카자마 세자매의 역습(1988) * 스케반 형사: 코드네임 아사미야 사키(2006) * [[맛의 달인]](1996) * [[도키메키 메모리얼/실사 영화|도키메미 메모리얼]](1997) * [[코로시야 이치#s-3.1|이치 더 킬러]](2001)☆ * [[마잇칭구 마치코 선생님]](2003) * [[소녀검객 아즈미 대혈전]](2003) * [[큐티하니]](2004) * 큐티하니 Tears(2016) * [[데빌맨(영화)|데빌맨]](2004) * [[철인 28호]](2005) * [[크로마티 고교]](2005) * [[최종병기 그녀(만화)|최종병기 그녀]](2005) * [[나나(영화)|나나]](2005) * 나나 2(2006) * [[테니스의 왕자님]](2006) * [[데스노트/영화|데스노트]](2006) * 데스노트 - 라스트 네임(2006) * [[데스노트 L: 새로운 시작]](2008) * [[데스노트: 더 뉴 월드]](2016) * [[충사]](2007) * [[도로로(만화)|도로로]](2007) * [[크로우즈 제로]] (2007) * [[크로우즈 제로 2]] (2009) * [[타쿠미군 시리즈]] (2007) * [[쓰르라미 울 적에]](2008) * 쓰르라미 울 적에 서(2009) *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2009) * [[카이지(영화)|카이지]](2009) * [[카이지 2 - 인생탈환게임]](2011) * 카이지 파이널 게임(2020) * [[발라드 이름없는 사랑 노래]](2009)[* 짱구 극장판 10기인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를 실사화 했다. 평은 크게 나쁘진 않은 편.] * [[고쿠센(드라마)|고쿠센 더 무비]](2009) * [[피안도]](2010) * 피안도 디럭스(2016) * [[괴물군]] 극장판(2011) * [[반쪽 달이 떠오르는 하늘(영화)|반쪽 달이 떠오르는 하늘]](2010) * [[라이어 게임: 더 파이널 스테이지]](2010) * [[라이어 게임 -재생-]](2012) * [[간츠]](2010) * [[SPACE BATTLESHIP 야마토]](2010) * [[와일드 세븐]](2011) * [[거짓말쟁이 미 군과 고장 난 마짱]](2011) * [[버니드롭]](2011) * [[오란고교 호스트부]](2012) * [[우리들이 있었다]] 전편(2012) * 우리들이 있었다 후편(2012) * [[아라카와 언더 더 브리지]](2012) * [[역전재판(영화)|역전재판]](2012) * [[바람의 검심(영화)|바람의 검심]](2012) * 바람의 검심: 교토 대화재편(2014) * 바람의 검심: 전설의 최후편(2014) *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파이널(2021) *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비기닝(2021) * [[우주 형제]](2012) * [[비밀의 아코짱]](2012) * [[변태가면(실사영화)|변태가면]](2013) * 변태가면 2: 잉여들의 역습(2016) * [[테르마이 로마이 실사영화 시리즈|테르마이 로마이]](2013) * 테르마이 로마이 2(2014) * [[남자 고교생의 일상]](2013) *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영화)|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2013) * [[나는 친구가 적다]](2014) * [[최근 여동생의 상태가 조금 이상한 것 같다만(영화)|최근 여동생의 상태가 조금 이상한 것 같다만]](2014) * [[넥스트 제네레이션 패트레이버]](2014) * [[흑집사|흑집사: 악마와의 계약]](2014) * [[아오오니/영화|아오오니]](2014) * [[신이 말하는 대로]](2014) * [[기생수]] 파트1(2014) * 기생수 파트2(2015) * [[아오하라이드]](2014) * [[신주쿠 스완]](2015) * [[신주쿠 스완2]](2017) * [[예고범]](2015) * [[진격의 거인(2015년 영화)|진격의 거인]](2015) * [[모두가 초능력자]](2015) * [[히로인 실격]](2015) * [[바쿠만(영화)|바쿠만]](2015) * [[내 이야기!!(영화)|내 이야기!!]](2015) * [[암살교실(영화)|암살교실]](2015) * 암살교실: 졸업편(2017) * [[오키테가미 쿄코의 비망록(드라마)|오키테가미 쿄코의 비망록]](2015) * [[콥스파티 시리즈|콥스파티]](2015) * [[콥스파티 Book of Shadows(영화)|콥스파티 북 오브 섀도우]](2016) * [[orange(만화)|orange]](2015)☆ * [[노부나가 콘체르토(영화)|노부나가 콘체르토]](2016) * [[쿠로사키군의 말대로는 되지 않아]](2016) * [[아이 엠 어 히어로(영화)|아이 엠 어 히어로]](2016) * [[치하야후루]] 상편(2016) * 치하야후루 하편(2016) * 치하야후루 끝맺음(2018) * [[나만이 없는 거리(영화)|나만이 없는 거리]](2016) * [[테라포마스]](2016) * [[물에 빠진 나이프]](2016) * [[하루치카]](2017) * [[나는 마리 안에(드라마)|나는 마리 안에]](2017) * [[은혼(2017)|은혼]](2017) * [[은혼2: 규칙은 깨라고 있는 것]](2018) * [[사쿠라다 리셋 -전편-]](2017) * [[사쿠라다 리셋 -후편-]](2017) * [[3월의 라이온]] 전편(2017) * 3월의 라이온 후편(2017) * [[죠죠의 기묘한 모험: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제1장]](2017) * [[무한의 주인(영화)|무한의 주인]](2017) * [[아인(영화)|아인]](2017) *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2017)|마음이 외치고 싶어해]](2017) * [[강철의 연금술사(영화)|강철의 연금술사]](2017) * [[강철의 연금술사 완결편: 복수자 스카]](2022) * [[강철의 연금술사 완결편: 최후의 연성]](2022) * [[ReLIFE]](2017) * [[이누야시키]](2017) * [[빙과(2017)|빙과]](2017) * [[도쿄 구울(2017)|도쿄 구울]](2017) * 도쿄 구울 S(2019)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2017) * [[미성년이지만 어린애는 아냐]](2017) * [[아우의 남편]](2018) * [[언덕길의 아폴론(영화)|언덕길의 아폴론]](2018) * [[옆자리 괴물군]](2018) * [[마멀레이드 보이(2018)|마멀레이드 보이]](2018) * [[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영화)|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2018) * [[나한테 XX해!]](2018) * [[무지개빛 데이즈(2018)|무지개빛 데이즈]](2018) *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2018)|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2018) * [[블리치(영화)|블리치]](2018) * [[3D 그녀 리얼 걸]](2018) * [[니세코이(영화)|니세코이: 가짜 사랑]](2018) * [[학교생활!(영화)|학교생활!]](2019) * [[날아라 사이타마]](2019) * [[영화 도검난무]](2019) * [[공모 이부키(영화)|공모 이부키]](2019) * [[마치다군의 세계(영화)|마치다군의 세계]](2019) * [[페이블(2019)|페이블]](2019) * 페이블 죽이지 않는 킬러(2021) * [[파타리로]](2019) * [[아르키메데스의 대전]](2019)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2019) * [[악의 꽃(만화)|악의 꽃]](2019) * [[킹덤 실사영화 시리즈]] * [[킹덤(2019년 영화)|킹덤]](2019) * [[킹덤2: 아득한 대지로]](2022) * [[킹덤: 운명의 불꽃]](2023) * [[지옥소녀]](2019) * [[카케구루이(영화)|카케구루이]](2019) * 카케구루이 절체절명 러시안 룰렛(2021) * [[오전 0시, 키스하러 와줘(영화)|오전 0시, 키스하러 와줘]](2019) * [[오타쿠에게 사랑은 어려워(영화)|오타쿠에게 사랑은 어려워]](2020) * [[시그널 100]](2020) * [[내가 인기 있어서 어쩌자는 거야]](2020) * [[그랑블루(만화)/영화]](2020) * [[겁쟁이 페달]](2020) * [[약속의 네버랜드]](2020) * [[삼각창의 밖은 밤]](2021) * [[라이어X라이어]](2021) * [[호문쿨루스(만화)|호문쿨루스]](2021) * [[쇼콜라의 마법]](2021) * [[도쿄 리벤저스(영화)|도쿄 리벤저스]](2021) * [[도박마]](2022) * [[오소마츠 상/미디어 믹스|오소마츠 상]](2022) * [[체리마호: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2022) * [[사랑은 빛]](2022) * [[마이 브로큰 마리코(영화)|마이 브로큰 마리코]](2022) * [[블랙 나이트 퍼레이드(영화)|블랙 나이트 퍼레이드]](2022) * [[귀를 기울이면]](2022) * [[보스의 두얼굴]](2000, 2009, 2023) * [[키시베 로한 루브르에 가다(영화)|키시베 로한 루브르에 가다]](2023) ==== 실사드라마 ==== * [[마그마 대사]](1966-67) * [[블랙 잭(만화)|블랙 잭]](1981, 1996, 2000, 2011) * [[세일러복과 기관총]](1982, 2006) * [[캣츠 아이(만화)|캣츠 아이]](1988) * [[맛의 달인]](1994-99) * [[보스의 두얼굴]](1994, 1995, 1996) * [[소년탐정 김전일/드라마|소년탐정 김전일]](1995-97, 2001, 2005, 2013-14, 2022)☆[* 1대 드라마, 흡혈귀 전설 살인사건, 홍콩 구룡 재보 전설 살인사건, 고쿠몬 학원 살인사건, 게임관 살인사건, 김전일 소년의 결사행, 장미 십자관 살인사건, 세이렌섬 살인사건, 백사 도가 살인사건 한정.] * [[유리가면]](1997-99) * [[GTO(만화)/드라마|GTO]](1998, 2012) * [[고쿠센(드라마)|고쿠센]](2003, 2005, 2008)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드라마|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2003-04) * [[너는 펫(2003년 드라마)|너는 펫]](2003) * [[너는 펫(2017년 드라마)|너는 펫]](2017) * [[에이스를 노려라!]](2004) * [[H2 ~너와 있던 날들~]](2005) * [[노다메 칸타빌레]](2006)☆ * [[지옥소녀(드라마)|지옥소녀]](2006) * [[마루코는 아홉살]](2006) * [[원한 해결 사무소]](2006) * [[명탐정 코난/드라마|명탐정 코난]](2006-09) * [[탐정학원Q]](2007) * [[라이어 게임(드라마)|라이어 게임]](2007, 2009-10) * [[메종일각]](2007) * [[맨발의 겐(드라마)|맨발의 겐]](2007) * [[아름다운 그대에게 미남 파라다이스]](2007) * [[아름다운 그대에게 미남 파라다이스 2011]](2011) * [[엘리트 건달]](2007) * [[전원 옥쇄하라!]](2007) * [[큐티하니 THE LIVE]](2007-08) * [[탐정 갈릴레오]](2007-10, 2013) * [[블러디 먼데이]](2008) * [[오센]](2008) *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2009) * [[괴물군]](2010) * [[오란고교 호스트부|오란고교 꽃미남클럽]](2011) * [[이 세상의 한구석에/드라마|이 세상의 한구석에]](2011, 2018)☆ * [[란마 1/2]](2011) * [[IS - 남자도 여자도 아닌 성]](2011) * [[고독한 미식가]](2012-18) * [[미래일기]](2012) * [[에키벤(만화)|에키벤]](2012) * [[하나 씨의 간단요리]](2012) * [[모두! 초능력자야!]](2013) * [[야마다와 7명의 마녀(드라마)|야마다와 7명의 마녀]](2013)☆ * [[메시바나 형사 타치바나]](2013) * [[노부나가 콘체르토(드라마)|노부나가 콘체르토]](2014) * [[데스노트(드라마)|데스노트]](2015) * [[옆자리 세키군|옆자리 세키군과 루미짱의 사상]](2015) *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2015)☆ * [[와카코와 술]](2015)☆ * [[감옥학원]](2015) *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2015) * [[엔젤하트(드라마)|엔젤하트]](2015) * [[사키(드라마)|사키]](2016) * [[쓰르라미 울 적에]](2016) *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드라마)|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2016) * [[쓰레기의 본망]](2017) * [[사쿠라코 씨의 발밑에는 시체가 묻혀 있다]](2017) * [[나만이 없는 거리(드라마)|나만이 없는 거리]](2017) * [[모브사이코 100]](2018) * [[오늘부터 우리는!!]](2018) * [[세인트☆영멘]](2018) * [[심야의 유감천만 사랑도감]](2018)☆ * [[행복색 원룸(드라마)|행복색 원룸]](2018)☆ * 래퍼에게 물리면 래퍼가 되는 드라마(2019) * [[백 스트리트 걸즈]](2019) * [[새내기 자매와 두 사람의 식탁]](2019) * [[어제 뭐 먹었어?]](2019, 2020)☆ * [[여고생의 낭비(드라마)|여고생의 낭비]](2020) * [[유루캠]](2020) * [[괴짜가족]](2020) * [[극주부도]](2020)☆ * [[갸루와 공룡]](2020) * [[키시베 로한은 움직이지 않는다(드라마)|키시베 로한은 움직이지 않는다]](2020-22) * [[아리스 인 보더랜드]] * [[호리미야]](2021) * [[아이카츠 플래닛]](2021) * [[차를 마시자]](2021)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드라마)|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2021) * [[코타로는 1인 가구]](2021) * [[결혼한다는 게, 정말인가요]](2022) * [[땀과 비누(드라마)|땀과 비누]](2022)☆ * [[붉은 사과]](2022)☆ * [[사랑 잡담]](2022)☆ * [[소년의 어비스(드라마)|소년의 어비스]](2022)☆ * [[여친, 빌리겠습니다(드라마)|여친, 빌리겠습니다]](2022) * [[원나잇 모닝]](2022) * [[잘되지 않는 두 사람]](2022)☆ * [[정직 부동산]](2022)☆ *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드라마)|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2022) * [[친구게임 R4]](2022) * [[하렘 혼(드라마)|하렘 혼]](2022)☆ * [[liar]](2022)☆ * [[#이자카야신칸센#]](2022)☆ *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드라마)|마이코네 행복한 밥상]](2023) * [[바라카몬(드라마)|바라카몬]](2023) * [[시가테라]](2023) * [[유유백서(드라마)|유유백서]](2023)☆ * [[쿨하고 바보 같은 남자]](2023)☆ * [[18세 새댁, 불륜합니다(드라마)|18세 새댁, 불륜합니다]](2023)☆ ==== 실사뮤지컬 ==== [[애니컬]]항목 참고. === 미국의 실사영상물 === * [[DC 확장 유니버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실사영화''' * [[강식장갑 가이버#s-6|가이버]](1991) * 가이버 2(1994) *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1994) *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2(2000) * [[가필드]](2004) * 가필드 2(2006) * [[개구쟁이 데니스]](1993) *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2017) * [[메리 포핀스(영화)|메리 포핀스]](1964) * [[메리 포핀스 리턴즈]](2018) * [[뽀빠이]](1980) * [[마스타 돌프]](1987) * [[크라잉 프리맨]](1995) * [[101 달마시안]](1996) * [[102 달마시안]](2000) * [[스쿠비 두 시리즈|스쿠비 두]](2002) * 스쿠비 두 2: 몬스터 대소동(2004) * [[이온 플럭스(영화)|이온 플럭스]](2005) * [[벤10 시리즈|벤10: 과거로의 질주]](2007) * 벤10: 에일리언 스웜(2009) * [[라스트 에어벤더]](2007) * [[스피드 레이서(영화)|스피드 레이서]](2008) * [[드래곤볼 에볼루션]](2009)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10) *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티미의 못말리는 무비: 티미가 커졌어요]](2011) * 티미의 못말리는 크리스마스(2012) * 티미의 못말리는 파라다이스(2014) * [[말레피센트(영화)|말레피센트]](2014) * [[말레피센트 2]](2019) * [[엣지 오브 투모로우]](2014) * [[카이트(애니메이션)|카이트]](2014) * [[캐스퍼#s-2|캐스퍼]](1995) * [[신데렐라(2015년 영화)|신데렐라]](2015) * [[정글북(영화)|정글북]](2016) * [[데스노트(미국 영화)|데스노트]](2017) *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2017) * [[덤보(영화)|덤보]](2019) * [[라이온 킹(영화)|라이온 킹]](2019) * [[레이디와 트램프(영화)|레이디와 트램프]](2019) * [[알라딘(영화)|알라딘]](2019) * [[알리타: 배틀 엔젤]](2019) * [[킴 파서블#s-3.1|킴 파서블]](2019) * [[도라와 잃어버린 황금의 도시]](2019) * [[뮬란(2020)|뮬란]](2020) * [[형사 가제트(영화)|형사 가제트]](1999) * 형사 가제트 2(2001) * [[크루엘라]](2021) * [[정글 크루즈(영화)|정글 크루즈]](2021) * [[인어공주(2023)|인어공주]](2023) * [[바비(영화)|바비]](2023) * [[기동전사 건담(영화)|기동전사 건담]](202?) '''실사드라마''' * [[페이트: 윙스의 전설]](2021) * [[카우보이 비밥(드라마)|카우보이 비밥]](2021) * [[원피스(드라마)|원피스]](2023) * [[아바타 아앙의 전설(드라마)|아바타 아앙의 전설]](예정) === 중화권의 실사영상물 === '''실사영화''' * [[드래곤볼|신칠용주]](1991) * [[성룡의 시티헌터]](1992) * [[이니셜D/극장판|이니셜 D]](2006) * [[동물세계]](2018) * [[장난스런 키스(2018)|장난스런 키스]](2018) * [[진삼국무쌍(영화)|진삼국무쌍]](2021) '''실사드라마''' * [[유성화원]](2001) * 유성화원(2018) * [[장난스런 키스(만화)|악작극지문]](2005) * 악작극지문 2016(2016) * [[테니스의 왕자]](2008) * 파이팅! 테니스의 왕자(2009) * 분투하라, 소년이여!(2019) * [[히카루의 바둑|기혼]](2020) * [[월간 순정 노자키군|개화! 소녀만]](2022) === 기타 === * [[FMV]], [[인터랙티브 무비]] 전반 * [[극장판 요괴워치: 하늘을 나는 고래와 더블세계다냥!]][* 실사 합성방식 촬영이다.] * [[콥스파티 Book of Shadows(영화)]] * [[실사판 타요 버스]] * [[스콧 필그림 vs 더 월드]] * [[반교: 디텐션]] * [[반교: 디텐션(드라마)]] * [[시티헌터#니키 라슨 (2019) (프랑스)|니키 라슨]] * [[틴맘#s-7|틴맘]] * [[하트스토퍼(드라마)|하트스토퍼]] == 인식 == 썩 좋은 편은 아니다. 글이나 그림, 애니메이션 등이면 온갖 것을 다 표현할 수 있지만, 실사화는 원작과 싱크율이 높은 배우를 찾아야하고, 출연료는 논외로 치더라도 현실의 물리 법칙 등 당연한 과학적 현상을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 보려면 CG 등의 온갖 기법을 다 사용해야 한다. 제작 후원을 일론 머스크 같은 인물이 하는 게 아닌 이상, 제작비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고, 손익분기점은 화성을 가는 상황에 직면한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갈수록 막장이 된 대표적 케이스가 그놈의 [[마블]]이다(...)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처럼 잘된 경우에는 엄청난 호평이 뒤따르지만 2023년 기준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인어공주나 각종 애니메이션들의 실사화등은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특히나 원작이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인 경우엔 그걸 실사로 만들기는 더 어려우며 원작의 감성을 그대로 표현한다는게 쉬운게 아닌지라 적게 잡아도 절반 이상은 원작훼손 이라는 혹평이 뒤따르는지라 원작 팬들은 실사판이 나온다고 하면 나오기도 전부터 학을떼는 경우도 상당하다. == 관련 문서 == * [[실사]] * [[미스캐스팅]][* 망한 실사화들 대부분 이게 원인에 꼭 들어간다. 실사화란게 원작 팬층이 대다수 보고있는건데 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이기도 하다.] [[분류:영화화]][[분류:드라마화]][[분류:연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