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의 역사)] ||<-2>
'''{{{+1 {{{#white 싱가포르주}}}}}} [br] {{{#white Negeri Singapura | State of Singapore [br] 新加坡州 | சிங்கப்பூர் மாநிலம்}}}''' || ||<-2><#f5f5f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70%]] || ||<-2> '''{{{#white 주기}}}''' || ||<-2><#e81b2c> {{{#ffffff '''Majulah Singapura'''}}}[br]{{{#ffffff '''전진하는 싱가포르'''}}} || ||<-2> {{{#ffffff ''' 정보'''}}} || || '''{{{#ffffff 주가}}}''' ||[[전진하는 싱가포르]] [br] ([[말레이어]]: Majulah Singapura) || || '''{{{#ffffff 면적}}}''' ||670 km²[* [[1964년]] 기준] || || '''{{{#ffffff 인구}}}''' ||1,841,600명^^(1964년)^^ || || '''{{{#ffffff 민족 구성}}}''' ||[[중국인]], [[말레이인]], [[인도인]], [[유럽인]] 등 || || '''{{{#ffffff [[수도(행정구역)|{{{#ffffff 수도}}}]]}}}''' ||[[싱가포르]] || || '''{{{#ffffff 국가 원수}}}''' ||[[유솝 빈 이샥]] (Yusof Ishak, يوسف بن إسحاق) || || '''{{{#ffffff [[총리|{{{#ffffff 총리}}}]]}}}''' ||[[리콴유]] (Lee Kuan Yew, 李光耀) || || '''{{{#ffffff [[공용어|{{{#ffffff 공용어}}}]]}}}''' ||[[영어]] || || '''{{{#ffffff 국어}}}''' ||[[말레이어]] || || '''{{{#ffffff 종교}}}''' ||[[기독교]], [[불교]], [[도교]], [[이슬람교]] 등 || || '''{{{#ffffff [[화폐|{{{#ffffff 화폐}}}]]단위}}}''' ||[[말레이시아 링깃]](RM) || || '''{{{#ffffff 존속 기간}}}''' ||[[1963년]] [[9월 16일]] ~ [[1965년]] [[8월 9일]][* 강제 독립]|| [목차] [clearfix] == 개요 ==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에 편입되어 [[1965년]] 반강제 독립[* 일방적인 축출은 아니고 말레이시아 측에서 싱가포르 축출을 논의하려 하자 리콴유와 유수프 빈 이삭이 알아서 독립을 염두에 두고 선수를 쳤으며 축출 형식으로 독립을 승인받았다. 쫓겨나기 전 알아서 나간 것이다.] 이전까지 존재했던 [[말레이시아]]의 일개 주(州)이던 시절의 싱가포르다. [[1963년]]에 [[리콴유]]와 유수프 빈 이삭이 지도자인 싱가포르는 [[말라야 연방]]에 가입을 하였고 연방의 가맹국으로서 연방에 가입한 다른 구 [[해협식민지]]들인 [[페낭]], [[이포]], [[말라카]]와 마찬가지로 즉시 말레이시아의 일개 주로 승격되었다. 싱가포르는 과거 [[해협식민지]]의 일부였던 [[페낭]]주나 [[말라카]] 주 등처럼 사실상 하나의 도시가 주 전체를 아우르는 작은 주였고 [[영국]] 식민지가 되면서 [[쿨리]]로 [[청나라]] 남방에서 들어온 화교 [[중국계 싱가포르인|중국인]] 인구가 매우 많았다. 이에 따라 독립 후 [[중국계 싱가포르인|중국인]]들을 식민 잔재라 여겼던 [[말레이인]]들과 중국인들 간 갈등이 발생했다. 결국 [[1964년]] 7~8월에 걸쳐 말레이인과 중국인이 함께 많이 사는 지역인 칼랑(Kallang)/겔랑(Geylang) 등 동부 지역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들은 싱가포르가 [[중국계 싱가포르인|중국인]]이 다수인 주라는 걸 안 좋게 보고 언젠가는 싱가포르의 중국인들을 추방하거나 싱가포르 주를 말레이시아에서 축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싱가포르에서도 말레이시아에 가입하면서 생길 인종갈등, 자유항으로서의 지위 박탈, 그리고 싱가포르와 중앙 정부와의 경제적 정치적 갈등을 우려하였다.[* 그리고 이라한 우려는 추후 현실화되었다.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가입 당시 조인한 조약에서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의 단일 시장에 편입되는 조건으로 세수의 40%를 말레이시아 중앙정부로 납부하고 동부의 낙후된 [[사바]]와 [[사라왁]] 주들에 대부분 무이자로 대출을 주는 것으로 합의하였으나 [[1965년]] 7월 말레이시아 경제부 장관이 싱가포르가 중앙정부에 납부하는 세수를 60%로 늘릴 것을 요구하였다] 철저한 말레이시아의 애국자였던 [[리콴유]]는 도시국가는 나라 구실을 못 하는 만큼 당연히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 잔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결국 말레이시아 본토와 싱가포르 주 간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이 시점에서 '''싱가포르가 더 이상 말레이시아에 잔류할 수 없었다''' 특히 잘못하다 싱가포르를 찍어 누르기라도 하면 페낭과 말라카 등 타 해협식민지 형제들이 반발로 독립을 시도할 수 있었으며 [[브루나이]]도 말레이시아 가입을 희망해 더욱 일이 꼬여버렸다. 그리고 [[1965년]] 8월 9일 말레이시아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중국인]]들이 힘을 잡아[* 당시에도 그렇지만 지금도 말레이시아 전역에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인구는 상당하며 이들은 말레이시아 경제를 사실상 좌지우지하고 있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곳곳에 흩어져 산다. 어떻게 보면 마냥 [[제노포비아]]에 의거한 선동은 아닌 것인게 말레이인들의 경제력이 너무나 낮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를 장악하는 것을 우려했으며 결국 [[리콴유]]는 더이상 말레이시아 잔류가 불가능함을 알고 홀로서기를 준비한 끝에 싱가포르 독립을 선언했으며 본국에서는 싱가포르 주를 말레이시아에서 축출한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서 독립해 싱가포르 공화국으로 출범하여 아시아 유일의 [[도시국가]]가 되었다. 독립국가 싱가포르는 부미푸트라 정책에 의해 억압당하던 수많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과 역시 미움받던 [[인도네시아]] 곳곳의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의 싱가포르 이주 장려 정책[* 특히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인 우대정책 [[부미푸트라]] 정책 시행된 탓에 유독 말레이시아 곳곳의 중국인들이 싱가포르로 이주했다.]으로 [[싱가포르]]의 인구를 불린다. 이후 역사는 [[싱가포르]] 항목 참고. [[분류:폐지된 행정구역]][[분류:싱가포르의 역사]][[분류:말레이시아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