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낙타속]] ||<-2> '''{{{#FFF {{{+1 쌍봉낙타}}}[br]Bactrian came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국 낙타.jpg|width=100%]]}}} || || {{{#000 '''학명'''}}} || '''Camelus bactrianus'''[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우제목]](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낙타과(Camel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낙타속(''Camel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쌍봉낙타'''(''C. bactrianus'')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쌍봉낙타 || || '''[[영어]]''' || Bactrian camel || || '''[[중국어]]''' || 双峰骆驼 || || '''[[일본어]]''' || フタコブラクダ || || '''[[몽골어]]''' || Тэмээ[* 몽골에선 낙타과 동물을 테메(Тэмээ)라고 한다. 굳이 표현하면 쌍봉낙타는 'Хоёр бөхт тэмээ'라고 표현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막 낙타.jpg|width=100%]]}}}|| 소목 [[낙타]]과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이다. == 특징 == 영문 명칭인 'Bactrian Camel'은 '박트리아 낙타' 라는 뜻인데, [[박트리아]]는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을 부르던 고대 지명이다. 쌍봉낙타의 서식지 중 가장 서쪽이라고 할 수 있는 곳으로 유럽인들이 쌍봉낙타를 처음 접한 것이 이 지역이라 그런 이름이 붙었다. [[단봉낙타]](Dromedary camel)의 경우도 비슷하게 'Arabian camel'이라는 다른 이름이 존재한다. [[중앙아시아]] 및 [[몽골]]의 [[사막]], [[스텝(지리)|스텝]], 초원에 서식한다. 중앙아시아 사막에서 유용한 가축으로 170~270㎏이상의 화물을 평균시속 4km로 1일 47km나 운반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특성 덕분에 전세계에 1,000,000여 마리가 가축으로 길러지고 있다. [[단봉낙타]]보다 몸집이 더 크며 몸길이 2.2 ∼ 3.5m, 몸높이 1.8 ∼ 2.1m, 몸무게 450kg ~ 1t이다. 털은 갈색으로 단봉낙타보다 털이 길고 빽빽하게 자란다. 겨울에는 털이 더욱 밀집되고 길게 자라며 여름에는 턱과 어깨, 뒷다리를 제외하고는 짧아진다. 다른 동물보다도 장시간 물을 먹지 않아도 견디며, 등의 혹은 지방질이 가득차 체내 영양 공급원이 되며 이 혹이 시들거나 넘어져 있을 때는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이 혹을 육봉(肉峰)이라고 한다. 영양 공급을 다시 해주면 육봉도 복원된다. 천적으로는 [[늑대]], [[눈표범]] 등이 있다. 근연종으로 야생쌍봉낙타(''Camelus ferus'')가 있으며, 이들은 자연적 야생 개체가 존재하지만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급' 단계로 등재된 [[멸종 위기 동물]]이다. == 보유 현황 == === 국내 === 국내에선 [[서울동물원]]과 [[대전 오월드]], [[에버랜드 주토피아]] [[로스트 밸리]]에 보유 중이며 보유 개체 전원 4마리다.[* 합치면 서울동물원의 개체 1마리, 대전 오월드 개체 1마리, 에버랜드 개체 2마리가 있다.] 과거에 보유한 곳은 우치공원[* 이곳의 마지막 개체인 '봉봉이'의 사연은 몇몇 도서에 실리기도 했다.], 삼정더파크, 진양호동물원 등이 있다. === 해외 === 미국의 경우 콜로라도 주 [[덴버]] 동물원과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동물원, 미네소타 주 미네소타 동물원, 위스콘신 주 밀워키 카운티 동물원, 뉴욕 주 브롱스 동물원 등지에서 쌍봉낙타를 사육 및 전시하고 있다. == 여담 == * [[만부교 사건]]에서 희생된 동물이다. [[거란]]이 [[고려]]에게 선물로 가져다 준 낙타이므로 쌍봉낙타임이 확실하다. * 몽골의 고비 사막 지역에서는 낙타젖으로 만든 [[아이락]]을 마신다. * 낙타 중에서도 혹이 2개가 있는 생김새인 데다가 지방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비슷해서 그런지 [[유방(신체)|여성의 그곳]]에 자주 비유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