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채소)] ||||||||||<#00CC00> '''[[쑥|{{{#black 쑥}}}]]''' || |||||||| [[파일:쑥.jpg|width=100%]] || ||||||mugwort, wormwood||||이명: '''-'''|| ||||||||||<#BDFF12> ''' ''Artemisia princeps'' '''pamps. || ||<|8><#D7FFCE>분류|| ||[[계]]||||||'''식물계'''|| ||[[문]]||||||속씨식물문(Angiosperms)|| ||[[강]]||||||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목]]||||||국화목(Asterales)|| ||[[과]]||||||국화과(Asteraceae)|| ||[[속]]||||||쑥속(''Artemisia'')|| ||[[종]]||||||'''쑥(''A. princeps'')'''||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 초목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다년생 [[식물]]. 100 g당 열량이 약 18 kcal이다. 60 cm에서 최대 120 cm까지도 자란다. 쑥속에 속한 식물 중 쑥과 겉모습이 비슷한 식물을 모두 쑥이라고 부르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식물이 다 그렇듯 쑥도 꽃이 핀다. 꽃이 필 정도로 다 자라면 키도 크고 흔히 국 끓여 먹는 쑥과 생김새가 많이 다른 데다, 꽃 또한 풍매화라서 별로 사람 눈에 띄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꽃이 안 피는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다. 그나마 쑥꽃이 피는 계절에 쑥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눈치를 채는 정도. 제3기 중기 시절인 3400만 년 전 북극에서 발견된 쑥 꽃가루 화석이 분석되기도 했다.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7550870802331912|영어 논문1]] [[https://pubmed.ncbi.nlm.nih.gov/3331271/|영어 논문2]]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9771319_On_the_origin_and_development_of_Artemisia_Asteraceae_in_the_geological_past|영어 논문3]] == 쑥의 종류 ==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Artemisia''속에 속한, 국명으로 '◯◯쑥'이라고 불리는 식물은 모두 40종이 있다. 그 중 민간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약재 등으로 이용되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쑥 ''A. princeps'' * 개똥쑥 ''A. annua''. * 이 쑥 안에는 말라리아 치료제 중 하나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투유유]]가 연구한 바 있다. * 인진쑥(사철쑥) ''A. capillaris'' * 참쑥 ''A. dubia'' * 황해쑥 ''A. argyi'' * '강화약쑥'이라고도 불리는 사자발쑥이나 싸주아리쑥은 유전적으로 그냥 황해쑥이다. 싸주아리쑥은 황해쑥을 강화도에서 키운 것일 뿐이고, 사자발쑥은 강화도에서 자라는 황해쑥의 일부 변이체를 선별해서 키운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출처: Korean J. Pl. Taxon. (2012) Vol. 42 No. 2, pp.161-166. <<강화약쑥의 분류학적 실체>>, 박명숙 등 3인,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이외에도 해외의 유명한 쑥으로는 타라곤이라고도 불리는 용쑥 ''A. dracunculus'', [[압생트]]의 원료인 향쑥 ''A. absinthium''이 있다. == 특징 == 척박한 환경에서도 이름처럼 쑥쑥 잘 자란다. 생명력도 강해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식용, 약용으로 널리 쓰이며, 고대부터 [[서민]]에게 가장 대중적인 [[약초]]로 노릇하였다. 약간 쓴 독특한 향과 맛이 나는데, 5월에 수확한 어린 쑥순이 가장 향과 맛이 우수하다고 한다. 여름을 지나 가을까지도 무성하게 자라긴 하는데, 이쯤 되면 너무 억세고 향도 지나치게 진해서 음식으로 먹기는 적합하지 않다. 어린 순은 [[된장국]]에 넣거나, [[떡]]이나 [[쑥차|차]] 만드는 데 썼고, 말려서 [[뜸]]을 뜨는 데 사용하기도 하고, 태워서 [[모기]]를 쫓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산에서 상처가 났을 때 쑥을 찧어 상처에 발라 초기감염을 막는 민간요법도 있다. 또한 따뜻한 성질로서 수족냉증을 완화할 때 쓰이기도 한다. 어떤 의미로 식물계의 [[완전체]]로, [[한국인]]의 생활 곳곳에 밀접한 식물이다. 다만 [[꽃가루]]를 날리는 식물이란 점이 흠이다. 자란 것은 약용으로 쓴다고 한다. 특히 개똥쑥의 잎의 추출성분은 [[말라리아]] 치료에 효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투유유]] 문서 참고. 인진쑥의 잎의 추출 성분은 위염 치료에 효능이 있다. 위염 치료제인 베아렌투엑스정, 스티렌정, 오티렌정은 쑥 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한다. 성분명으로는 Artemisia Herb 95% Ethanol Soft Ext.(20→1) 애엽95%에탄올연조엑스(20→1) 이런 식으로 표기한다. === 채취 시 주의점 === 차가 많이 지나가는 도로가에 자란 것은 절대 뜯지 말 것. 쑥이 토양에 있는 온갖 [[중금속]]을 다 흡수하기 때문에[* 이런 특성 때문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데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국내에선 봄철만 되면 쑥 캐는 사람들 때문에 연구가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왕왕 있어서 실성이 별로 없다고 한다(...)] 공기 좋고 자연적인 장소에서 캐는 것이 좋다. 게다가 독초 [[투구꽃]]의 모습이 쑥과 비슷하기 때문에 구분을 잘하자. 쑥하고 비슷하게 생겼지만 쑥향이 안 나면 일단 무시해야 안전하다. == 기타 == [[중세 한국어]]로는 앞에 초성 ㅂ이 추가로 적용되어 ᄡᅮᆨ으로 불렸다. [[능엄경언해]]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체르노빌은 현지어로 쑥[* 의역상 쑥이고 직역을 하자면 검은(cherno) + 풀(byl). 여담으로 슬라브어 어근 chern- 또는 czern-은 검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카를 체르니]]의 체르니와 체르노빌은 어원이 같다.]을 뜻하는데, 쑥이 많이 자라는 지역이라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그리고 1986년에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정말로 쑥대밭이 되었다]]'''.[* 여담으로 방사능으로 인한 [[붉은 숲]]과 연관지어 '''붉은 쑥대밭'''이라고 드립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다만 실제로 붉어진 건 쑥이 아니라 [[소나무]]였다.] 참사가 일어나자 종말론자들은 [[요한묵시록]]이 실현되었다고 신나게 떡밥으로 우려먹는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시미즈 레이코의 [[달의 아이]]도 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생명력이 강한 식물인데, [[히로시마 원폭|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져]] 잿더미가 되었을 때에도 [[쇠뜨기]], [[협죽도]]와 함께 쑥이 같이 돋았다고 한다. 화재나 제초제 살포 등으로 황량해진 땅에서도 쑥이 제일 먼저 자란다고 한다. 전쟁이나 폭격 등으로 폐허가 된 곳을 쑥밭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말 그대로 다른 모든 것이 개박살이 나서 생명력이 강한 쑥밖에 살아남은 생물이 없다는 뜻. [[쑥담배|금연초]]의 주 성분이 쑥이다. 참쑥을 건조가공해 넣은 듯한데, 피우면 하루 온종일 온몸에서 쑥뜸 피운 듯한 냄새가 진동한다. 또한 본 문서의 쑥의 근연종인 [[웜우드|쓴쑥]](''A. absinthium'')으로 만든 [[압생트]]라는 술도 있다.[* 물론 압생트는 쑥 이외에도 여러가지 향초들이 들어가며, 실제로도 쑥 향보다는 다른 향신료의 향이 더 많이 올라온다. 자세한 내용은 [[압생트]] 문서 참조.] 압생트는 원래 유럽 민간요법으로 쓰이던 토닉이 발전한 형태인데, 유럽에서도 쑥 종류를 옛날에 약용으로 썼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쑥속에 속하는 식물들은 약으로서 가치가 있는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약초로 널리 쓰인다. 현재도 [[프랑스]]에서는 의약품의 원료로 취급되어 일반인들 사이의 거래가 법으로 금지된다고 한다. 사람들도 쑥을 식품으로 쓴다는 생각 자체를 안 해서 별 반발은 없다고. 압생트가 복잡한 정치, 경제적 이유로 누명을 뒤집어쓰고 금지되는 바람에 압생트의 원료 중 하나인 쓴쑥에 환각 작용을 하는 물질이 있어서 불법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압생트]] 문서에 나와있듯이 [[도시전설]]에 가깝다. 워낙 번식력도 생명력도 강하다 보니 제대로 뽑지 않거나 하나만 놔두어도 삽시간에 그 근처의 모든 들판을 점령해버리는데, 실화인지 우스개소리인지 모르겠으나 한 [[미국]]의 공원이 쑥으로 전부 뒤덮여 관리자가 골머리를 썩힌 적이 있다고 한다. 다행히 해결을 봤는데 그 방법이 그 근처에 있는 한국인 관광객과 재미교포들에게 공원에 쑥이 자란다고 소문을 낸 것. 소문이 난 다음 날 바로 모든 쑥이 사라졌다고 한다. 메릴랜드 몽고메리 카운티에서 실제로 있던 일화라고 하며, 코로나 사태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매 년 6월 5일마다 쑥을 무제한으로 캐도록 허가해줬다고.[[https://www.insight.co.kr/news/351282|#]] 그렇다고 위의 이야기를 생각하고 외국에 나가서 함부로 쑥을 캐 먹으면 좋지 않다. 쑥은 종류에 따라 그냥 [[독초]]나 마찬가지인 것들도 많아서 한국에서 캐먹던 생각으로 외국의 쑥을 뜯어먹으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 쑥을 이용해서 해 먹을 수 있는 음식도 많다. [[떡]]에도 넣고, 쌀가루와 버무려 쪄 먹기도 하고, 전으로 부쳐 먹기도 하고, 된장국에도 자주 넣어먹는데, 특히 여기에 조개를 함께 넣으면 몸에 아주 좋다. 또한 봄철 특식으로 [[가자미]]의 일종인 [[도다리]]를 쑥과 함께 넣고 끓인 도다리 쑥국도 있다. 흔히 초토화된 상황을 일컬어 '쑥밭' 혹은 '쑥대밭'이라고 하는데, 초토화된 곳에서 가장 먼저 나는 것이 쑥이기 때문이라 한다.[* 위에서 서술했듯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터졌을 때 가장 먼저 자란 것이 쑥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미 육군]][[대장(계급)|대장]] [[윌리엄 테쿰세 셔먼]] [[장군]]이나 [[폭격기]]부대장으로 유명한 [[미 공군]]대장 [[커티스 르메이]] 장군 등 초토화에 발군의 능력을 보여 주는 이들이나 물건들을 가리켜 쑥을 재배하고 다닌다고 비꼬기도 한다. '[[쑥대밭]]'이라고도 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강화도]]와 [[거문도]]의 쑥이 등록되었다.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멤버 [[지숙]], 치어리더 [[서현숙]], 그리고 희극인 [[김숙]]의 [[별명]]이 쑥이다. == 대중매체에서의 쑥 == [[단군신화]]에 따르면, 평소 사람이 되고 싶었던 어떤 [[곰]]과 [[호랑이]]가 환웅에게 건의하자 환웅이 쑥과 [[마늘]]을 주며 백일 동안 먹고 빛을 보지 않으면 인간이 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끈기 없는 호랑이는 중도에 때려쳐버리고 동굴에서 뛰쳐나온 반면 곰은 잘 버틴 덕에 소원대로 100일보다 한참이나 빠른 21일('''[[삼칠일]]''') 만에 [[웅녀|여자]]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 부분은 인간의 생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데드라인이 3주 언저리이기 때문. 실제로 사람이 곡기를 끊고 쑥과 마늘만 먹는다면 3주쯤 뒤엔 [[사망|승천]]이 가능하다.][* 일리 있는 말이긴 한데, 그것보단 전통적으로 삼칠일이 길한 날로 인식되어 온 것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311|참조]].]. [[분류:풀]][[분류:채소]][[분류:국화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