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65-1991).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국방부 장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2 {{{#fff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정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 || 제5대[br][[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 → || '''제6대[br]아드난 키랄라''' || → || 초대[br][[아드난 키랄라]] || ||<-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65-1991).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2 {{{#fff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정부}}}}}}]]}}} ||<-3>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 || 제6대[br][[아드난 키랄라]] || → || '''초대[br]아드난 키랄라''' || → || 제2대[br][[압둘 자바 샨샬]] || ---- || {{{#fff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이라크 혁명사령부 위원회)] ---- [include(틀:바트당 지도부)]}}} || ---- ||<-2> '''이라크 국방부 장관 겸 부총리[br]{{{+1 아드난 키랄라}}}[br] عدنان خير الله طلفا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99356864.jpg|width=100%]]}}} || || '''성명''' ||아드난 키랄라[br]Adnan Khairallah[br]عدنان خير الله طلفاح || ||<|2> '''출생''' ||[[1940년]] [[9월 23일]]|| ||[[이라크 왕국]] [[티크리트]]|| ||<|2> '''사망''' ||[[1989년]] [[5월 4일]] (향년 48세)|| ||[[이라크]] [[모술]]|| || '''직업''' ||[[정치인]], [[군인]]|| || '''학력''' ||바그다드 대학교|| || '''종교''' ||[[수니파]] [[이슬람]]|| || '''정당''' ||[include(틀:바트당)] {{{-2 ([[바트당#s-3|이라크]])}}}|| || '''약력''' ||[[바트당#s-3]] 지방사령부 의원[br]이라크 혁명사령부 위원회 의원[br]이라크 국방부 장관|| ||<|2> '''재임 기간''' ||이라크 국방부 장관|| ||1977. 10. 15 ~ 1989. 05. 04|| ||<-2>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라크군|[[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width=34]]]]}}}||}}}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2px -8px" [[이라크군|{{{#fff,#000 '''이라크 보안군'''}}}]] {{{#!wiki style="margin: -3px 0px" '''{{{#fff,#000 군사 경력}}}'''}}}}}} ||}}}}}} || ||<|2> '''복무''' ||[[이라크군|이라크 육군]]|| ||[[1959년]] ~ [[1989년]]|| || '''최종 계급''' ||육군 대장|| || '''주요 참전''' ||[[이란-이라크 전쟁]]||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라크]]의 군인이자 정치인. 이라크의 독재자 [[사담 후세인]]의 사촌이다. 이라크 국방부 장관, 혁명사령부 위원회 의원 등을 역임한 관료였으나 [[1989년]], [[모술]]에서 항공 사고로 사망한다. 훗날 이 항공 사고가 [[알 마지드]]와 [[후세인 카멜]]이 그를 암살하기 위해 벌인 음모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 생애 == [[1940년]] [[9월 23일]], [[이라크]] [[티크리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라크 군 장교인 키랄라 타파. [[사담 후세인]]의 사촌이기도 하다. 그는 바그다드 군사 대학에 다녔고, [[1975년]] 바그다드 대학교 법과 정치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다. [[1956년]], 이라크 [[바트당#s-3]]에 입당했다. [[1959년]] 당시 이라크 총리였던 [[압드 알 카림 카심]]을 암살하려던 시도가 실패하자 체포되었다. 이후 바트당이 [[1963년]]과 [[1968년]], 두 차례에 걸쳐 쿠데타를 시도할 때 협조해 쿠데타를 성공시키는데 역할을 했다. [[1977년]], 이라크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이어 이라크 혁명사령부 위원회 의원, 바트당 지역사령부 의원 등을 역임했다. 키랄라는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 국방부 장관을 재임했고, [[사담 후세인]]에 이어 두 번째로 육군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에서 그는 이라크 군대를 재건하고 현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8년]] [[11월]], 그의 조카인 [[우다이 후세인]]은 사담 후세인의 명령으로 체포되었는데, 우다이가 카멜 하나 게지오라는 [[사담 후세인]]의 대통령 경호원 중 한 명인 장교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 스캔들은 우다이의 어머니와 그의 여동생 사지다가 그에게 도움을 호소하는 등 가정에 불화를 일으켰다. 그 후, 군대의 소요사태, 쿠데타 가능성, 그리고 몇몇 군 장교들의 체포가 보도되면서, 그가 사담 후세인에 대한 쿠데타 시도에 연루되었다는 추측을 불러일으키면서, 결국 그는 한동안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1989년]], 바스라 근처에서 사담 후세인과 낚시 휴일을 보내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 영상이 공개되면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그에 뒤이어 그는 국방장관으로서 다시 복귀했다. 하지만 [[1989년]] [[5월 4일]], 그가 타고 있던 헬리콥터가 추락해 결국 사망했다. 그는 [[바그다드]]에서 이라크 쿠르드 지역으로 이동해 군 진지를 시찰하던 중 도후크 인근 산간 휴양지인 사상에 있는 대통령 가족 몇 명을 만나기 위해 비행기를 갈아탔다. [[헬리콥터]]를 타고 이동하던 도중 두 대의 호위 헬기와 함께 모래폭풍에 휘말렸다. 그의 죽음을 발표할 때, 사담 후세인은 그를 "뛰어난 전쟁 영웅 중 한 명이자 이라크 하늘의 반짝이는 별"이라고 평가했다. 바그다드 라디오는 그에게 국장을 수여하고 그의 고향인 [[티크리트]]에 묻힐 것이라고 발표했다. 바그다드에도 그의 추모 동상이 세워졌다. 비록 사고사라고는 하지만, 그가 타고 있던 헬리콥터의 폭발물 4개가 폭발했기 때문에 그의 사망이 고의로 일어난 사건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또 [[후세인 카멜|후세인 카멜 알 마지드]]는 그의 죽음을 조장하는데 한몫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 여담 == 비록 사담 후세인의 친척이지만, 그는 그의 동상이 서 있는 바그다드의 알 카르크 지역에는 2003년 바그다드 함락 이후 모두 철거되었던 이전 정부 구성원들의 동상과 달리, 오늘날까지 그의 이름을 딴 광장이 남아있다. [각주] [[분류:이라크의 군인]][[분류:이라크의 정치인]][[분류:이라크의 무슬림]][[분류:1940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이라크 바트당 소속]][[분류:항공사고로 죽은 인물]][[분류:암살된 인물]][[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티크리트 출신 인물]][[분류:탈파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