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숫자)] [include(틀:수와 연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서아라비아 숫자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2> 동아라비아 숫자 || [[아랍 문자]] || ٠ || ١ || ٢ || ٣ || ٤ || ٥ || ٦ || ٧ || ٨ || ٩ || || [[페르시아 문자]] || ۰ || ۱ || ۲ || ۳ || ۴ || ۵ || ۶ || ۷ || ۸ || ۹ ||}}} [목차] == 개요 == '''East Arabic numerals''' '''Hindu-Arabic numerals''' 수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0]], [[1]], [[2]], [[3]], [[4]], [[5]], [[6]], [[7]], [[8]], [[9]]의 열 개의 문자로 된 [[숫자]].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표기 체계이다. [[로마 숫자]]나 [[한자]] 숫자가 가끔 쓰이긴 하지만 본고장에서도 아주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된다. 단점이 없는건 아니지만[* 암산이나 단순 계산을 빨리하는데는 의외로 주산 같은게 더 빠르다] 현재까지 인류가 발명한 숫자 표기법 중에서는 가장 효율적이고 간편하기 때문에 세계를 정복했다. == 기원과 변천 == || [[파일:Numeration-brahmi_fr.png|width=100%]] || || 인도와 아라비아 숫자의 변천사 || 아라비아 숫자라는 이름 때문에 [[아랍|아라비아]]에서 발명된 걸로 알려졌는데, 실제로는 '''인도 숫자'''다. 동아라비아 숫자와 [[기수법]]은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기원하였다. [[페르시아]]의 수학자 [[알콰리즈미]]와 [[아랍]] 철학자 알킨디가 인도 숫자를 사용하면서 [[아바스 왕조]]에 이 숫자 체계가 전해졌다. 이후 이 숫자 체계는 중동에 널리 퍼지고 이게 다시 유럽에 전파되고 다시 동양에 전파 되었는데, 발명한건 인도지만 널리 퍼뜨린건 중동 이슬람 제국인지라 '아라비아 숫자'라 불리게 된 것이다. 브라흐미 숫자는 원래 10, 20, 30 등 수사가 있는 숫자마다 글자를 할당한 일종의 [[표어 문자]]였고 [[0]]의 발명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동아라비아 숫자의 모양의 의미가 해당 숫자의 초기 모양에서 각 숫자 자형에 있는 각(angle)의 개수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위의 변천사 그림에 나오듯 초기 숫자의 형태는 그다지 각이 없기 때문에 근거가 다소 부족하다. 이런 설 자체는 최근에 생겨난 것이 아니라 꽤나 유서 깊은 이야기 인 듯한데, 꽤 오래된 책에서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정설로 믿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다. || [[파일:example_of_opinion_number_angle.jpg|width=100%]] || || 예 || === 동아라비아 숫자 === ||<-6> 동아라비아 숫자와 서아라비아 숫자 || || 동 || 서 || 발음 || 동 || 서 || 발음 || || {{{+5 ٠}}} || 0 || صفر[br]시프르 || {{{+5 ٥}}} || 5 || خمسة[br]캄사 || || {{{+5 ١}}} || 1 || واحد[br]와히드 || {{{+5 ٦}}} || 6 || ستة[br]싯타 || || {{{+5 ٢}}} || 2 || اثنان[br]이스난 || {{{+5 ٧}}} || 7 || سبعة[br]사브아 || || {{{+5 ٣}}} || 3 || ثلاثة[br]살라사흐 || {{{+5 ٨}}} || 8 || ثمانية[br]사마니야흐 || || {{{+5 ٤}}} || 4 || أربعة[br]아르바아흐 || {{{+5 ٩}}} || 9 || تسعة[br]티스아흐 || ||<-7> 페르시아 문자의 동아라비아 숫자 || || 페르시아 || 발음 || 아랍 ||<|6>|| 페르시아 || 발음 || 아랍 || || {{{+5 ۰}}} || صفر[br]사파르 || ٠ || {{{+5 ۵}}} || پنج[br]판지 || ٥ || || {{{+5 ۱}}} || یک[br]예크 || ١ || {{{+5 ۶}}} || شش[br]셰시 || ٦ || || {{{+5 ۲}}} || دو[br]도 || ٢ || {{{+5 ۷}}} || هفت[br]하프트 || ٧ || || {{{+5 ۳}}} || سه[br]세 || ٣ || {{{+5 ۸}}} || هشت[br]하시트 || ٨ || || {{{+5 ۴}}} || چهار[br]차하르 || ٤ || {{{+5 ۹}}} || نه[br]노흐 || ٩ || 인도에서 중동으로 넘어올 무렵의 인도 숫자를 '동아라비아 숫자(Eastern Arabic numerals)' 또는 '힌두-아라비아 숫자(Hindu-Arabic numerals)', '인도-아라비아 숫자(Indic-Arabic numerals)', '인도-페르시아 숫자(Indo-Persian numerals)'라 한다. 아랍 문자로 적히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는다. 현재도 중동에서 많이 사용된다. [[페르시아 문자]]로 쓰는 숫자는 대체로 아랍권 숫자와 비슷하지만, 4(۴, ٤), 5(۵, ٥), 6(۶, ٦)에서 차이가 난다. 외형상 똑같아 보이는 페르시아 숫자들도 [[유니코드]]는 아랍권의 숫자와 별개로 할당받았다. [[파일:attachment/arab.jpg]] 현대에도 중부와 동부 아랍권 및 [[이란]]과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서 동아라비아 숫자가 서아라비아 숫자와 같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여행객들이나 출장차 온 직장인들이 간판이나 메뉴판에 나오는 동아라비아 숫자를 못읽어서 낭패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다. [[아랍어(교과)|수능 아랍어]]에도 동아라비아 숫자가 사람들이 흔히 쓰는 아라비아 숫자인 서아라비아 숫자로 무엇인지 물어보는 문제가 나오는데, 2008년 경 인터넷에 업로드되는 문제지 파일에서 동아라비아 숫자가 죄다 서아라비아 숫자로 바뀌어 나오는 바람에 해당 문제들이 모두 [[시력 검사|시력 테스트]]로 오해받는 처지가 되었다. === 서아라비아 숫자 === || [[0]]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서유럽에 전해져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아라비아 숫자는 북아프리카 [[마그레브]]와 스페인 [[알안달루스]]에서 형성되었고, 이를 기존의 동아라비아 숫자와 구분하여 '서아라비아 숫자'라고도 한다. 1202년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레오나르도 피사노]]가 그의 저서 『주판서』에 이를 소개하여 유럽에도 전파되었고, 이후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동아라비아 숫자 등을 제치고 세계 표준이 되었다. 세계 문자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안 쓰는 나라가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숫자, version=250)] [[분류: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