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랍' 문자, rd1=아랍 문자)] [include(틀:분절 문자의 계보)] [목차] == 개요 == [[아람어]] 표기에 사용된 [[아브자드]] 문자. 기원전 8세기 즈음 [[페니키아 문자]]에서 분리되었고, 이후 [[중동]],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문자 대부분의 기원이 되었다. 심지어는 유라시아 대륙 반대편 끝 만주족의 [[만주 문자]]의 조상이기도 하다. == 종류 == === 초기 아람 문자 === [[파일:aramaic_early.gif]] [[페니키아 문자]]를 [[아람어]]에 적용된 것으로 유니코드에서는 서체의 차이만 있기 때문에 페니키아 문자로 간주하고 있다. === 제국 아람 문자 === [[파일:aramaic_imperial.gif]] 기원전 500년대 [[아람어]]가 [[아케메네스 왕조]]의 공용어로 되면서 지정된 문자이다. 이 문자의 영향력이 강력했는지 [[페르시아어]]는 결국 이전까지 사용해왔던 [[쐐기 문자]]를 버려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팔라비 문자로 표기하게 되었고, 아람 문자는 여러 지역에서 전해지면서 다른 문자 탄생에 영향을 끼쳤는데 [[아랍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몽골 문자]] 등도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것들이다. 현대에 사용되는 사각형 형태 [[히브리 문자]]도 제국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이다. === 사각 아람 문자 === [[파일:aramaic_sqaure.gif]] 제국 아람 문자를 사각꼴 서체로 적은 것으로 [[히브리 문자]]와 닮았다.[* 아케메네스 왕조 당시 [[유대인]]들은 아람 문자를 참고하여 히브리 문자를 창시했다.]유니코드에서는 히브리 문자로 간주된다. === 대체 아람 문자 === [[파일:aramaic_alternate.gif]] 2000년대 후반에 새롭게 창시된 형태로 [[서신아람어]]를 표기하고 있다. [[페니키아 문자]]를 닮았지만 모음 기호가 추가되어있다. == 글자 == ||<|2> 제국 아람 문자 ||<|2> 이름 ||<-2> 대조군 || || [[페니키아 문자]] || [[시리아 문자]] || || {{{+5 𐡀}}} || alaph || 𐤀 || ܐ || || {{{+5 𐡁}}} || beth || 𐤁 || ܒ || || {{{+5 𐡂}}} || gamal || 𐤂 || ܓ || || {{{+5 𐡃}}} || dalath || 𐤃 || ܕ || || {{{+5 𐡄}}} || he || 𐤄 || ܗ || || {{{+5 𐡅}}} || waw || 𐤅 || ܘ || || {{{+5 𐡆}}} || zain || 𐤆 || ܙ || || {{{+5 𐡇}}} || heth || 𐤇 || ܚ || || {{{+5 𐡈}}} || teth || 𐤈 || ܛ || || {{{+5 𐡉}}} || yudh || 𐤉 || ܝ || || {{{+5 𐡊}}} || kaph || 𐤊 || ܟ || || {{{+5 𐡋}}} || lamadh || 𐤋 || ܠ || || {{{+5 𐡌}}} || mim || 𐤌 || ܡ || || {{{+5 𐡍}}} || nun || 𐤍 || ܢ || || {{{+5 𐡎}}} || semkath || 𐤎 || ܣ || || {{{+5 𐡏}}} || e || 𐤏 || ܥ || || {{{+5 𐡐}}} || pe || 𐤐 || ܦ || || {{{+5 𐡑}}} || sadhe || 𐤑 || ܨ || || {{{+5 𐡒}}} || qoph || 𐤒 || ܩ || || {{{+5 𐡓}}} || resh || 𐤓 || ܪ || || {{{+5 𐡔}}} || shin || 𐤔 || ܫ || || {{{+5 𐡕}}} || tau || 𐤕 || ܬ || == 현황 == [[서신아람어]]에 [[알파벳]]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아람어]] [[분류:아브자드]][[분류:옛 문자]][[분류:아람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