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카엘 하네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 #000)" {{{#F7F7F7 ''' 아무르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비영어권 영화)]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21세기 영화)]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0C0000><-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FFFFFF,#191919><-5><:> [[파일:cannespalmedor.png|width=150]] || ||<#0C0000><-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제64회[br]([[2011년]]) ''' ||<:> {{{+1 → }}} ||<:> '''제65회[br]([[2012년]]) ''' ||<:> {{{+1 → }}} ||<:> '''제66회[* 이례적으로 작품이 아닌 배우가 황금종려상을 공동수상했다. 황금종려상의 수상작의 배우들은 배우상을 수상할 수 없는 규정 때문에 심사위원들의 결정으로 배우들에게 황금종려상을 수여한 최초의 사례이다.][br]([[2013년]]) ''' || ||<:> [[트리 오브 라이프(영화)|트리 오브 라이프]] ||<:> {{{+1 → }}} ||<:> '''아무르''' ||<:> {{{+1 → }}} ||<:> [[가장 따뜻한 색, 블루]][br][[레아 세두]][br][[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 ||<#0C0000><-5><:> || ---- ||
<#0C0000><-5><:> {{{#E5D85C ''' 역대 [[세자르상|{{{#E5D85C 세자르 시상식}}}]]''' }}} || ||<#FFFFFF,#333333><-5><:> [[파일:cesarawards.png|width=180]] || ||<#0C0000><-5><:> {{{#E5D85C '''최우수작품상'''}}} || ||<:> ''' 제37회[br]([[2012년]]) ''' ||<:> {{{+1 → }}} ||<:> ''' 제38회[br]([[2013년]]) ''' ||<:> {{{+1 → }}} ||<:> ''' 제39회[br]([[2014년]]) ''' || ||<:> [[아티스트(영화)|아티스트]] ||<:> {{{+1 → }}} ||<:> '''아무르''' ||<:> {{{+1 → }}} ||<:> 엄마와 나 그리고 나의 커밍아웃 || ||<#0C0000><-5><:> || ---- ||
<#0C0000><-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0C0000><-5><:>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E5D85C '''외국어영화상'''}}}]] || ||<:> ''' 제84회 [br] ([[2012년]]) ''' ||<:> {{{+1 → }}} ||<:> ''' 제85회 [br] ([[2013년]]) ''' ||<:> {{{+1 → }}} ||<:> ''' [[제86회 아카데미 시상식|제86회]] [br] ([[2014년]]) ''' || ||<:>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 {{{+1 → }}} ||<:> ''' 아무르 ''' ||<:> {{{+1 → }}} ||<:> [[그레이트 뷰티]] || ||<#0C0000><-5><:> || ---- ||
<#0C0000><-5><:> {{{#E5D85C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FFFFFF,#333333><-5><:> [[파일:BAFTA 로고.svg|width=170]] || ||<#0C0000><-5><:> {{{#E5D85C ''' 비영어 영화상 ''' }}} || ||<:> ''' 제65회 [br] ([[2012년]]) ''' ||<:> {{{+1 → }}} ||<:> ''' 제66회 [br] ([[2013년]]) ''' ||<:> {{{+1 → }}} ||<:> ''' 제67회 [br] ([[2014년]]) ''' || ||<:> [[내가 사는 피부]] ||<:> {{{+1 → }}} ||<:> ''' 아무르 ''' ||<:> {{{+1 → }}} ||<:> [[그레이트 뷰티]] || ||<#0C0000><-5><:> || ---- }}} || ---- ||<-2><#303538>
{{{#f0e68c {{{+2 ''' 아무르 ''' }}} (2012) [br] ''Amour''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아무르.jpg|width=100%]]}}} || ||<#303538> {{{#f0e68c '''감독''' }}} ||[[미카엘 하네케]] || ||<#303538> {{{#f0e68c '''출연''' }}} ||[[장루이 트랭티냥]], 에마뉘엘 리바, [[이자벨 위페르]] 외 || ||<#303538> {{{#f0e68c '''장르''' }}} ||드라마, 멜로/로맨스 || ||<#303538> {{{#f0e68c '''개봉일''' }}} ||2012년 12월 19일 || ||<#303538> {{{#f0e68c '''상영 시간''' }}} ||127분 || ||<#303538><:>'''[[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0e68c 상영 등급}}}]]''' ||{{{#000000 15세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카엘 하네케]]의 2012년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합작 영화. 음악가 노부부 조르주와 안느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이다. 2012년 제65회 [[칸 영화제]]에서 공개되면서 극찬을 받고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2013년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작품상, 여우주연상[* 에마뉘엘 리바는 만 85세의 나이에 후보에 오름으로써 역대 최고령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 기록을 세웠다.],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 5개 부문에 후보에 올랐고, 최우수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였다. == 예고편 == [youtube(AD-JzGIhk94)] == 시놉시스 == 행복하고 평화로운 노후를 보내던 음악가 출신의 노부부 조르주와 안느. 어느 날 아내 안느가 갑자기 마비 증세를 일으키면서 그들의 삶은 하루아침에 달라진다. 남편 조르주는 반신불수가 된 아내를 헌신적으로 돌보지만, 하루가 다르게 몸과 마음이 병들어가는 아내를 바라보면서 그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조르주 로랑 역 - [[장루이 트랭티냥]] * 안느 로랑 역 - 에마뉘엘 리바 * 에바 로랑 역 - [[이자벨 위페르]] * 알렉상드르 역 - 알렉상드르 타로 == 한국어 더빙 ([[KBS]]) == 2013년 5월 24일에 [[명화극장]]에서 방송했다. 연출는 [[이원희(PD)|이원희 PD]]. * [[이완호]] - 조르주 로랑([[장루이 트랭티냥]]) * [[이경자]] - 안느 로랑(에마뉘엘 리바) * [[송도영]] - 에바 로랑([[이자벨 위페르]]) * [[주재규]] - 알렉상드르(알렉상드르 타로) / 경찰(로렝 카펠뤼토) * [[김창주]] - 관리인의 남편(라몬 아기레) * [[은정(1976)|은정]] - 관리인(리타 블랑코) / 간호사(캐롤 프랭크) * [[심승한]] - 에바의 남편(윌리엄 쉬멜) * [[김태영(성우)|김태영]] - 경찰(장-미셸 먼록) * [[김소희(성우)|김소희]] - 간호사(디나라 드루카로바) == 수상 == >'''65회 [[칸 영화제/황금종려상]]''' >'''BBC 선정 21세기 영화 100 42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85회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필름 코멘트 선정 2012년 베스트 5위''' == 기타 == * 캐스팅 당시 [[남과 여]]를 비롯해 [[누벨바그]] 영화계를 주름잡았지만 2003년 딸을 잃고[* 마리 트랭티냥. 1960년대부터 아역으로 데뷔해 가수와 배우로 활동했으며 [[클로드 샤브롤]]의 영화에도 출연할 정도로 제법 인지도가 있었다. 하지만 2003년 록밴드 느와르 데자이어의 보컬 베르트랑 칸티에게 [[데이트 폭력]]을 당해 사망했다. 프랑스를 뒤흔든 충격적인 사건이었으나 칸티는 형을 사는둥 마는둥 하고 출소해 비판이 많았다. 참고로 이 사건은 감독 알랭 코르노에게도 큰 충격을 안겼는데, 장루이의 전 아내이자 마리의 어머니 나딘 트랭티냥의 재혼 상대였기 때문이다.] 은둔하던 장루이 트랭티냥과 [[히로시마 내 사랑]]으로 유명한 에마뉘엘 리바가 긴 공백 끝에 캐스팅되었다는 사실에 상당히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때문에 두 배우는 정말 오래간만에 칸 영화제 나들이를 했다. 당시 트랭티냥은 침통하게 더이상 영화에 나올 생각도 없고 은퇴작이라 밝혔지만, 반대로 리바는 기회가 되면 영화에 더 출연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리바는 이후 4편의 영화를 찍은 뒤 2017년 암으로 사망했으며, 트랭티냥은 [[미카엘 하네케]]의 2017년 영화 [[해피엔드(2017)]]에 다시 캐스팅되었다. 직후 [[남과 여]] 세번째 영화에 출연해 이 영화를 끝으로 은퇴한 뒤 2022년에 사망하면서 유작이 되었다.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하네케는 키아로스타미랑 친교가 있었다. 쉬멜을 캐스팅한 것도 이 친교랑 상관 있을지도 모른다.]의 [[사랑을 카피하다]]의 주연이자 오페라 테너 윌리엄 쉬멜이 에바의 영국인 남편 조프로 출연한다. 분량은 대사 몇 줄 읇고 잠시 얼굴 비추는 수준. 그리고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르 타로도 본인 이름을 그대로 쓰면서 에바의 제자 역으로 출연한다. * 트리비아 번역 [[https://dvdprime.com/g2/bbs/board.php?bo_table=movie&wr_id=2461500|#]] [[분류:2012년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독일의 드라마 영화]][[분류: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작]][[분류: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분류:미카엘 하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