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예능 및 스타일 채널]] * [[케이블방송/채널]] [include(틀:대한민국의 음악채널)] [[파일:아이넷TV 로고.png|width=200&bgcolor=#ffffff]] [[http://www.inettv.tv/|아이넷TV 공식 사이트]] [목차] == 개요 == 2002년 10월에 개국한 대한민국의 [[트로트]] 전문 채널이다. == 특징 == 초창기에는 [[텔레비전]] 방송을 중단한 [[iTV]] [[경인방송]]의 TV 프로그램들을 재방송하는 채널[* 실제로 2003년 iTV의 역외재전송이 금지되면서 대체 채널로 많이 편성하기도 했었다.]이었다가, 점차 자체 제작 프로그램 비중을 늘리기 시작했다. [[http://www.inettv.tv/data/file/B02/B02_head_1311231911|24시간 내내 송출하는데도 불구하고 본방송 편성률이 60%를 넘는]] 괴물 같은 편성을 보여주고 있다. 방영되는 프로그램 종류가 많기 때문에[* [[http://www.inettv.tv/bbs/board.php?bo_table=B02|총 42개]]. 며칠 동안만 특집으로 열리는 트로트 대회나 가요제는 제외.] 잘 찾아보면 특이한 콘셉트의 프로그램도 있다. 대표적으로 책과 음악을 같이 소개하는 '''북스 앤드 뮤직''', '''[[나는 트로트 가수다]]''', '''○○○와 떠나는 일본 여행'''[* 트로트 가수들이 진행자이자 가이드 역할로 나온다.] 등. === iTV 방송자료 === * 2006년 옛 [[경인방송|iTV]] 시절 영상자료들을[* iNET을 제외한 다른 PP채널로부터 제공받은 경우 제외됨.] 전량 사들였다. 다만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건 음악 프로그램 등 극소수이며, 뉴스나 스포츠 중계방송[* 예를 들면 메이저리그 중계방송 등.], [[e스포츠]] 장르 프로그램[* 예를 들면 [[정소림]]의 과거 캐스터 활동 모습 등.], 외주 프로그램(애니메이션 및 외화시리즈) [* 대표적으로 [[사이파이 해리]]와 [[황제의 딸]], [[안개비연가]] 등이 있다.] 등 나머지는 창고에서 썩고 있거나 일부는 폐기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 2006년부터 사들였던 일부 프로그램은 경우 초창기에는 원본 영상 그대로 방송되었으나, 2020년 [[리마스터]]하는 과정에서 진행자를 새로 섭외함과 동시에 새롭게 기존 방송영상을 짜깁기해서 제작했다. 아마도 저작권 문제로 인해 자사에게 iTV 프로그램의 소유권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새롭게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14년부터 2020년 초반까지 새벽 시간대에 가끔씩 선택 행복한 아침이란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그 프로그램에 몸매가꾸기란 코너가 있는데 1990년대 중반 즉, 예전 [[경인방송|인천방송]]에서 했던 20년 전의 프로그램을 다시 재방하였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의 사회자는 [[연지후]]이다.[* iTV에서 방송되었던 선택 행복한 아침의 사회자가 유형서, 선우경이다.] == 프로그램 목록 == === 구입한 프로그램 === * [[리얼스토리 실제상황]] iTV에서 방영된 동명의 프로그램[* 거기엔 경찰 24시도 포함한다.]을 사들여서 방송한다. iTV 시절 방송영상에는 진행자가 등장하지 않으나, 프로그램을 편집하면서 진행자('''가수 이청아''')가 등장하는 장면을 추가하였다. [[파일:조일환.png]] ~~조일환~~ 16:9 비율 화면에 대응하기 위해 원본 방송영상(4:3)에 자체 레터박스를 씌워놓았다. * 미스터리극장 위험한 초대 iTV에서 방송된 동명의 프로그램 및 후속격인 <강원래의 미스터리 헌터> 영상을 사들여서 방송한다. 상술한 <리얼스토리 실제상황>과 마찬가지로, 원본 영상에 진행자('''가수 이청아''')가 등장하는 장면을 추가하였다. ~~미스터리 헌터는 [[강원래|진행자]]도 있고 패널도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원본 영상에 레터박스나 별도의 배경화면을 씌우지 않고 16:9 비율로 늘려서 방송한다. * 그 시절 코미디 쇼 iTV에서 방송된 여러 코미디와 콩트 프로그램을 사들여서 짜깁기한 프로그램이다.[* 주로 금요 코미디쇼, 최양락의 코미디쇼, 코미디쇼 4막5장 등. 코미디 프로그램과 코믹 드라마 러브러브 등 콩트 코미디등을 방송한다. 최근에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도 추가해서 방송한다. 예로 으랏차차 아줌마 등.] 하나의 내용이 끝나면 '명랑합창단' 이라는 제목의 가요와 춤이 엮어진 라이브 영상[* 각종 행사에 나오는 단체 합창 영상이 주로 나오는데, 아마, 자사 프로그램 내용 일부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과 자체적으로 제작한 간단한 옛날 콩트가 나온다. [[파일:그시절최양락.jpg]] [[파일:그시절김정렬.jpg]] iTV 시절 영상이 4:3 비율로, 구형 아날로그 텔레비전 모양의 배경화면을 자체 제작한 레터박스로 덧씌워서 방송한다. 단, 가요 영상이나 콩트 등은 16:9 비율에 맞춰져 있다. * 특별기획 드라마 2020년 후반, 디지털 리마스터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이넷 라이프에서 방영되었다. iTV에서 인기리에 방송되었던 드라마와 시트콤들을 다시 볼 수 있는 귀중한 콘텐츠로 오직 슬로우TV를 통해서만 볼 수 있다. 초창기에는 케이블TV[* [[현대방송|HBS]], [[MBC 드라마넷|드라마넷]]]를 통해 방송되었던 국내 공급 드라마와 iTV가 처음으로 자체제작했던 일일 드라마 가족만을 방송했으나, iTV의 또 다른 드라마와 시트콤을 확보해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지금은 다양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작품들로는 갑부, 작은 영웅들, [[사위별곡]]과 시트콤으로 방송되었던 삼층집 사람들. 그리고 iTV에서 자체제작했던 일일 드라마 가족, 일일 시트콤 닥터! 닥터!, 헬로우 닥터!, 시트콤 립스틱, 그래서 이웃사촌, 마지막 일일 드라마 였던 해바라기 가족이 대표적이다. ~~아마 [[황제의 딸]] 같은 중국드라마는 저작권 문제에다가 반중감정으로 인해 방송되기 어려울것 같다.~~ === 자체제작 === * [[성인가요콘서트]] 2005년부터 제작하고 있는 아이넷TV의 장수 프로그램이자 메인 음악 프로그램으로, 전국 단위로 매년 지역 행사에 개최된다. 특히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에서는 매년 1회 이상 성인가요콘서트가 꼭 개최된다.(2020~2022년 제외) 베테랑급 가수들이 주로 많이 출연하며 무명 가수나 신인 가수들도 종종 출연한다. 2019년부터 경연 프로그램이 성행하면서 경연 프로그램 출신 가수들도 종종 출연한다. 2014년부터는 월드투어 특집도 제작하고 있다.(2020~2022년 제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성인가요콘서트)] * 아파트를 열어라 원래 대구, 경북권 민영방송인 [[TBC]]에서 방영되었으며 주민 참여형 음악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전국노래자랑]]과 매우 흡사하다. 다만 [[전국노래자랑]]은 시/군/구 단위로 크게 개최되고, 아파트를 열어라는 아파트단지 내에서 작게 개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만 크게 열릴 경우엔 [[http://www.gcs.co.kr/board/cheditor/attach/DWCC006L60Y0YWWSA7ED.jpg|문화 회관]]이나 [[http://www.gcs.co.kr/board/cheditor/attach/EEY5QHV7GRVY8PN3GA7L.jpg|운동장]] 같은 곳에서도 개최한다. * 스타 쇼쇼쇼 KBS 1TV의 음악 프로그램 [[가요무대]]와 비슷한 구성을 가진 프로그램. 베테랑급 가수들에 비해 무명 가수들이나 신인 가수들의 출연 비율이 높다. 실제로 트로트에 딱히 관심없는 사람이 이 방송을 처음 접하면, 생전 들어보지도 못했던 가수들이 연달아 출연하는 걸 보고 [[이때는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정신이 멍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인지도 있는 가수들도 종종 나오는 편이고, 큰 규모의 무대일 경우에는 유명한 트로트 가수들이 피날레를 장식해주기도 한다. * 쑈 한마당 스타 쇼쇼쇼처럼 베테랑급 가수들에 비해 무명 가수들이나 신인 가수들의 출연 비율이 높아서 트로트에 딱히 관심없는 사람이 이 방송을 처음 접하면, 생전 들어보지도 못했던 가수들이 연달아 출연하지만, 인지도 있는 가수들도 종종 나오는 편이고, 큰 규모의 무대일 경우에는 유명한 트로트 가수들이 피날레를 장식한다. * K-ROCK 101 드물게 [[트로트]]가 아닌 [[록 음악]]과 [[힙합]]을 주제로 하는 콘서트 방송이다. * 가요사랑콘서트 2011년부터 제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성인가요콘서트처럼 매년 지역 행사에 개최된다. 출연 가수 역시 성인가요콘서트 못지 않게 베테랑급 가수들이 출연하며 무명 가수나 신인 가수들도 출연한다. * 아이넷 스타쇼 2016년부터 제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성인가요콘서트, 가요사랑콘서트처럼 매년 지역 행사에 개최된다. 출연 가수 역시 베테랑급 가수와 무명 가수, 신인 가수들이 출연한다. * 가요 110년사 * 그시절 음악싸롱 - 웃으리마을 * 라디오 수다 * 음색 - 음악을 칠하다 == 그 외 == * 현재는 본사가 서울에 있지만, 2002년 개국 당시에는 부산에서 시작했다. 그리하여, 한때 서울, 부산 두 곳에 본사를 두기도 했었다. * 외국과의 콘텐츠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우선 CEO 인사말에도 [[케이팝]]과 [[한류]]를 언급하는 문장이 있으며, 현재 [[미국]] 내 3개의 한인방송국(TVK24, KNN-TV, KEMS-TV)과 [[캐나다]](BENA TV), [[인도네시아]](LBS-TV), [[중국]](연길TV)의 각 방송국들과 MOU를 체결했다. [[http://www.inettv.tv/intro2.php|#]] 또한 일본 [[야마구치]], [[나가사키]] 현 그리고 중국 [[칭다오|청도]]에서 월드 투어 특집으로 성인가요콘서트가 열리기도 했다. * 일단 아이넷TV 자체는 [[케이블TV]]나 [[IPTV]]를 달아야 시청할 수 있는 유료 방송이지만 웨이브와 같은 대중적 OTT로는 시청할 수 없으며 [[http://www.inettv.tv|아이넷TV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따로 [[현대 HCN 모바일 TV]]를 설치하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아이넷TV가 나오지 않는 집들은 참고할 것. 얼마 전부터 [[https://www.youtube.com/channel/UC985TTtWjsSMRkgSVAqkvGA|유튜브]]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고 공지하고 있으나 "비공개 동영상입니다"라는 문구만 뜨며 볼 수 없는 상황. 확인결과 본래는 TV 시청시 유튜브 실시간 방송중이라는 워터마크가 우측 상단에 보였지만 현재는 사라진 것으로 볼 때 서비스가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 일상 생활에 유용한 정보들을 자막으로 알려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옷에 얼룩이 묻었을 때 쉽게 지우는 방법이나, 과일 껍질 활용법 등등. 화면 맨 아래쪽에서 천천히 지나가기 때문에 시청에도 방해가 안 되고, 까먹지 않게 메모하기도 편하다. * 아무래도 [[할머니|시청층]]들이 시청층들인지라 방송 사이사이에 주방 용품이나 제철 식품들의 광고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한 홈쇼핑 회사를 계열사로 둔 적이 있다. 한때 종근당건강 제품 광고를 한번에 10분씩 내보냈다. * [[http://www.inettv.tv/intro.php|전국 시청 가구 수가 3천200만으로 변경되었다.]] * 2015년 9월 26일 기준, 아이넷TV의 웹사이트가 일일 [[트래픽|데이터 전송량]] 초과로 인해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접속을 시도할 경우, [[http://html.gethompy.com/503.html?id=blueadcom05|이 링크]]로 접속되어 에러 메시지가 떴었다.] 9월 27일 이후로는 말끔히 작동 중. * 주시청층의 연령대가 연령대인지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여행 패키지 상품 판매를 종종 하는데, 트로트 가수가 이 여행에 가이드로 동행하면서 밤에는 해당 가수의 공연을 여행 프로그램에 포함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프로그램으로는 낭만콘서트, 청춘콘서트, 힐링콘서트, 행복콘서트, 열정콘서트 등이 있다.] * 금영노래방의 스타라이브 영상들 중에서 아이넷티비에서 방송된 영상들이 많다.[* 주로 "성인가요 베스트 50" 에서 방송된 것들이다. 원래는 KBS 영상들도 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사라졌다.] [[김혜연(가수)|김혜연]], 전철[* 62873번 곡을 선곡하면 나온다.], [[강진(가수)|강진]][* 대표적으로 81651을 선곡하면 고정적으로 나오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엄청난 히트작인 7463을 선곡하면 영상이 랜덤으로 나오는지가 의문이다.], [[최석준]][* 6213번 곡을 선곡하면 나온다.], [[설운도]], [[김용임]]이 대표적으로 나온다. * 경쟁채널로는 [[TV조선]]3, [[GMTV(텔레비전 채널)|GMTV]] 등등이 있다. 위의 틀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