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2023-24 시즌, rd1=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3-24 시즌)] [include(틀:분데스리가)]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관련 문서)] ||<-2>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height=270]] || ||<-2><#000> '''{{{#ed1c2a {{{+1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2> '''{{{#000 {{{+1 Eintracht Frankfurt}}}}}}''' || || '''정식 명칭''' ||Eintracht Frankfurt e.V. || || '''[[축구단 별명|{{{#ed1c2a 별칭}}}]]''' ||Die Adler (독수리군단)[br]SGE (Sportgemeinde Eintracht)[* 1968년 공식적으로 명칭에서 제외된 이름이지만 팬들은 이렇게 부른다.] [br]Launische Diva (변덕스러운 디바)[* 통계적으로 증명된 적은 없지만 강팀에게 강하고 약팀에게 약하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 || '''약칭''' ||'''FRA'''|| || '''창단''' ||[[1899년|{{{#000,#ddd 1899년}}}]] [[3월 8일|{{{#000,#ddd 3월 8일}}}]] '''^^([age(1899-03-08)]주년)^^'''[* [[https://museum.eintracht.de/meilensteine/|#]]] || || '''소속 리그''' ||'''[[분데스리가|{{{#d5040d 분데스리가 (Bundesliga)}}}]]''' || || '''연고지''' ||[[독일]] [[헤센]]주 [[다름슈타트 현]]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암마인]][br](Frankfurt am Main, Hessen) || || '''홈구장''' ||[[도이체 방크 파르크]][* 스폰서 명칭이 붙기 전 이름은 '발트 슈타디온'이었다. 지난 [[2006 독일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이 G조 조별 스테이지에서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토고]]와 첫 경기를 했던 경기장이다.] (51,500명 수용)[br](Deutsche Bank Park) || || '''라이벌 구단''' ||'''[[키커스 오펜바흐|{{{#da251d 키커스 오펜바흐}}}]] - [[마인더비]]''' [br] '''[[SV 다름슈타트 98|{{{#005aab SV 다름슈타트 98}}}]] - [[헤센더비]]''' || || '''이사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페터 피셔 (Peter Fischer) || ||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마르쿠스 크뢰셰]] (Markus Krösche) || || '''기술 고문''' ||[[파일:국기.svg|width=25]] 공석[* 마르코 페자이울리가 2021년 2월 12일 사임한 후 공석이다.] || ||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디노 토프묄러]] (Dino Toppmöller) || || '''수석코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넬송 모르가두 ]] (Nélson Morgado)[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에르빈 브라다슈]] (Erwin Bradasch)[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슈테판 부크]] (Stefan Buck) || ||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제바스티안 로데]] (Sebastian Rode) || || '''부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케빈 트랍]] (Kevin Trapp) || || '''UEFA 랭킹''' ||22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lub/#/yr/2023|출처]] || ||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차범근]] (1979~1983)'''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심재원(축구선수)|심재원]] (2001~2002)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차두리]] (2003~2006)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eintracht.de|[[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height=25]]]] [[https://twitter.com/Eintracht|[[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eintrach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eintrachtfrankfur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Eintrach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eintracht|[[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eintrachtfrankfurt|[[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팬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redzsrkn|[[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5]]]] || || '''지난 시즌 성적'''[br](2022-23 시즌) ||[[분데스리가]] 7위 || ||<-2> '''{{{#000 우승 기록}}}''' || || '''{{{#ccac00 ★}}}'''[br]'''[[분데스리가|{{{#ed1c2a __독일 챔피언십__ (1부)}}}]]'''[br](1회) ||1959 || || '''__남부 독일 챔피언십__ (1부)'''[*b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2회) ||1929-30, 1931-32 || || '''[[가우리가|{{{#ed1c2a __가우리가 쥐트베스트__ (1부)}}}]]'''[*b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1회) ||1938 || || '''__오버리가 남부__'''[*b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2회) ||1952-53, 1958-59 || || [[2. 분데스리가|'''{{{#ed1c2a __2. 분데스리가__ (2부)}}}''']][br](1회) ||1997-98 || || [[DFB-포칼|'''{{{#ed1c2a __DFB-포칼__}}}''']][br](5회) ||1973-74, 1974-75, 1980-81, 1987-88, 2017-18 || || [[UEFA 유로파 리그|'''{{{#ed1c2a __UEFA 유로파 리그__}}}''']][br](2회) ||1979-80, 2021-22 || ||<-2> '''{{{#000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루카 요비치]] (Luka Jović)[br](2019년, From [[SL 벤피카]], 약 2,234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br](2023년, To [[파리 생제르맹 FC]], 약 9,500만 €)[* 옵션 포함] ||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카를하인츠 쾨르벨|카를하인츠 "챨리" 쾨르벨]] (Karl-Heinz "Charly" Körbel) - 722경기[* 프랑크푸르트에서 [[분데스리가]] 경기만 602경기를 출장했는데 이는 분데스리가 단일 선수 통산 최다 출장 기록이다.] (1972-1991) || ||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베른트 횔첸바인]] (Bernd Hölzenbein) - 205골 (1967-1981) || || '''분데스리가 득점왕 [br] (4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욘 안데르센]] (Jørn Andersen)[*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이었던 그 분이다. 분데스리가 사상 첫 외국인 득점왕이기도 하다.] - 18골 (1989-90) [br] [[파일:가나 국기.svg|width=25]] [[토니 예보아|안소니 예보아]] (Anthony Yeboah) - 20골 (1992-93), 18골 (1993-94)[* 두 번 모두 공동수상]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알렉산더 마이어]] (Alexander Meier) - 19골 (2014-15) ||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유니폼 및 스폰서)]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81737010-eintracht-frankfurt-choreo-uefa-salzburg-2FtPhUmbc7e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NTCHDBPICT000543040306.jpg|width=100%]]}}}|| 독일 [[분데스리가]]의 클럽. [[유럽]]의 관문 도시인 [[프랑크푸르트]]가 연고지인 클럽으로 많은 관중 수를 자랑한다. 이 팀의 엠블렘에는 [[독수리]]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프랑크푸르트 시의 문장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 이 팀의 별명 역시 'Die Adler(독수리 군단)'이다. 팀 내에 'Attila(아틸라)'라는 검은 독수리 마스코트 또한 존재하고 공식 홈페이지 내의 선수단 소개란에도 등재되어 있다. 팀 내 스폰 행사 등에 이 마스코트를 데려오는 경우가 가끔씩 있으며, 팀의 승리를 비는 의미로 선수에게 깃털을 뽑아서 주기도 한다. 다른 별명인 SGE는 팀의 옛 명칭이 그대로 남은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별명인 Launische Diva는 1990년대 강호에게는 승리를 챙기고, 약체에게는 승점을 내주는 의적과 같은 플레이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라고. 참고로 팀명의 아인트라흐트(Eintracht)는 영어의 United와 유사한 뜻이며 영어식으로 하면 프랑크푸르트 유나이티드인 셈이다. 특이하게도 정식 엠블럼은 빨간색과 흰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팀의 메인 상징색은 빨간색보다는 검은색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SC프라이부르크의 경우 정식 엠블럼은 검은색과 흰색이지만 홈유니폼이 빨간색인 것으로 보아 팀의 메인 상징색은 빨간색인 것으로 보인다. == 역사 == [[1899년]]에 생겨나 주 리그에서 챔피언에도 오르고, 동네의 이 팀, 저 팀을 하나로 합치면서 규모를 조금씩 키웠다. 분데스리가 출범 전 독일 챔피언십 시절이던 1959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나름 지역의 강호였기 때문에 꾸준히 상위권 멤버로서 남았고, 특히 1959년 [[분데스리가|독일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유러피언컵/1959-60 시즌|1959-60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 선전하면서 결승까지 올랐던 것이 매우 컸다. 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와 만나 치열한 골 공방전을 벌였지만,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에게 3골, [[페렌츠 푸스카스]]에게 4골을 얻어맞으면서 결국 3:7로 패한다. 챔피언스 리그 초기의 최고 명승부로 꼽히는 경기인데, 승자는 아니었다. 어쨌든 이런 업적들로 인해 분데스리가 출범 당시 원년 멤버로 초대되었다. 분데스리가에서는 출범과 함께 33시즌 동안 강등당하지 않으면서 강호로 군림했다. 그러나 우승은 없고, 3위만 다섯 차례 기록한 것이 전부였다. [[DFB-포칼]]에서 4번 우승하면서 그래도 꾸준히 우승 트로피와는 인연을 맺었고, 1979-80 시즌에는 같은 독일 클럽인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누르고 [[UEFA 컵]] 우승에 성공한다. 당시 뛰었던 선수가 [[1974 FIFA 월드컵 서독|자국에서 열린 1974년 월드컵]] 우승 멤버였던 [[베른트 횔첸바인]]과 [[위르겐 그라보브스키]], 당대 최고의 [[오스트리아]] 센터백인 [[브루노 페차이]]와 센터백 [[카를하인츠 쾨르벨]], 그리고 '''[[차범근]]'''이다. 사실 프랑크푸르트가 한국인들에게 알려진 것도 차범근이 뛰었던 팀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차범근은 이 팀에서 총 4시즌을 뛰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의 올타임 레전드 중 한 명으로 꼽히고 있으며 2013년에 구단에서 발표한 역대 베스트 11에 당당히 꼽히는 등 아직도 식지 않는 인기를 보여준다.[* 프랑크푸르트의 U반 역인 Willy-Brandt-Platz 역에 역대 베스트 11의 인물이 래핑되어 있는데 차범근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당당히 래핑되어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단 한 번뿐인 클럽 대항전 메이저 트로피를 거머쥘 때의 주전 멤버였으니... 아직도 프랑크푸르트의 서포터들은 차범근이 오기라도 하면 엄청난 환대와 환호를 보낸다. 이는 서포터즈뿐만 아니라 프랑크푸르트 시민이 거의 다 그렇다. [[http://www.youtube.com/watch?v=gStcPd2C9L4#t=151|#]]] 그 뒤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서히 몰락, 1990년 접어들어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는 클럽으로 위상이 바뀐다. 그래도 워낙 연고지가 크고, 경기장 시설도 훌륭하며, 팬들도 많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은 있는 팀이다. 2000년대에도 두 번의 강등을 겪긴 했지만 금세 다시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였고, 2018년에 30년 만의 DFB-포칼 우승과 더불어 그 다음해 두 시즌 연속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홈구장인 [[도이체 방크 파르크]]는 2006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과 토고의 경기가 열린 곳이다. 1925년에 지어졌지만, 네 차례 리모델링을 거쳐 오늘날에도 잘 사용하고 있다. 독일에서 10번째로 큰 경기장이기도 하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역대 시즌|역대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역대 시즌)] === 요약 === * 1부/[[분데스리가]]: 1963-1996, 1998-2001, 2003-2004, 2005-2011, 2012- (54시즌) === 역대 팀 엠블럼 ===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65~1970).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70~1977).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77~1999).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width=150]] || || '''1957~1965''' || '''1965~1970''' || '''1970~1977''' || '''1977~1999''' || '''1999~ ''' || == 울트라스 == 프랑크푸르트 울트라스는 독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팬덤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거기에 평균 경기장 점유율이 90%를 넘으며 이는 유럽에서 높은 편에 속한다. 대표적인 라이벌리는 [[SV 다름슈타트 98]]과의 헤센더비, [[키커스 오펜바흐]]와의 마인더비가 있다. 2022-23시즌 다름슈타트가 분데스리가에 승격하며 다시 더비가 열리게 되었고, 오펜바흐는 현재 4부리그까지 강등당했기에 1군보다는 2군팀이 더 자주 만난다. [[아탈란타 BC]], [[BSG 헤미 라이프치히]], [[SV 발트호프 만하임]] 울트라스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응원가|응원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응원가)] == 라이벌 구단 == * 공식적으로 ‘어떤 구단이 라이벌이다’라는 개념은 없지만, 아래 서술된 클럽들과 자주 연결된다. * 프랑크푸르트 근처 오펜바흐가 연고지인 [[키커스 오펜바흐]]와 '마인 더비’로 엮이지만 키커스 오펜바흐가 1984년 이후 분데스리가에서 멀어진 관계로 리가에서는 만날 일이 없다. 가장 최근의 마인 더비도 2009년 DFB-포칼 1라운드에서였고, 경기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3-0으로 승리했다. *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1. FSV 마인츠 05]]와는 그냥 같은 분데스리가에 있기 때문에 언론에서 엮는 것으로, 서포터들 간의 충돌 혹은 경찰의 통제 등은 없다. * 그 외에도 [[SV 다름슈타트 98]],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카를스루에 SC]] 등이 있다. 모두 하위 리그에 소속되어 있어 리가에서는 만날 일이 없다. == 레전드 == 2013년 1월,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된 '''프랑크푸르트 역사상 최고의 레전드 선수 11인(Eintracht Legenden 11)과 감독 1인'''을 공개했다. 선정된 레전드 선수들의 포메이션은 구단의 골수 팬이자 아인트라흐트 관련 세계 최대의 개인 아카이브 소유자이기도 한 오스마르 헤르만(Othmar Herrmann) 박사에 의해 [[3-4-3]]으로 선정되었으며, 레전드 후보는 팬 투표에 앞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수 45명과[* 관련 기사나 공식 홈페이지에는 총 44명의 선수 후보라고 적혀있는데, 투표 사이트 및 결과를 보면 공격수 12명, 미드필더 15명, 수비수 14명, 골키퍼 4명으로 총 45명이 후보에 올라있다.] 감독 4명을 우선 선별했는데, 구단 창단 역사 113년 동안 활약했던 수많은 선수와 감독 중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후보에 오를 수 있었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공식 경기 100경기 이상을 소화한 선수 혹은 감독'''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군에서 최소 4년 이상 머문 선수 혹은 감독''' * '''구단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세웠거나 돋보이는 활약을 한 선수 혹은 감독'''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레전드 11)]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빌리-브란트-플라츠(Willy-Brandt-Platz) 역에는 해당 프랑크푸르트의 역대 레전드 11(Eintracht Legenden 11)과 감독의 얼굴이 역 기둥에 새겨져 있으며, 일명 프랑크푸르트의 기둥(Säulen der Eintracht)이라고 불린다. 해당 기둥은 영구 존치된다고 한다. == 이야깃거리 == 2018-19 시즌까지는 독일 클럽치고 선수단 중 독일 국적을 가진 선수들의 비중이 높지 않은 편이었다. [[세르비아]], [[포르투갈]],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일본]], [[미국]]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2019-20 시즌을 앞두고 임대 복귀한 선수들과 [[에리크 두름]], [[도미니크 코어]], [[제바스티안 로데]], [[케빈 트랍]] 등의 영입으로 독일 국적의 선수들이 많이 늘어났다. [[포뮬러 원|F1]] 선수로 유명한 독일의 [[카레이서]] [[제바스티안 페텔]]이 이 팀의 팬이다. 어렸을 때 아인트라흐트의 경기를 보고 팬이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구단 레전드 [[차범근]]의 영향으로 이후에도 [[차두리]]와 국가대표 수비수 출신인 [[심재원(축구선수)|심재원]]이 여기서 뛴 바 있다. 그리고 [[서종민]] 선수가 U19팀에서 뛴 적이 있다. 2019-20 시즌 종료 시점까지 분데스리가 최다 660패라는 불명예도 가지고 있다. == 선수 명단 ==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임대)] == 둘러보기 == [include(틀:UEFA 유로파 리그 우승팀 목록)] [include(틀: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각주] [[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