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쿠란의 목차)] [[아랍어]]: سورة البقرة [목차] == 개요 == 알 바까라 또는 암소장은 쿠란의 두번째 수라이다. 총 286절(아야)로 구성되어있으며 꾸란의 장(수라)중 가장 긴 장이며 가장 긴 구절(아야)도 해당 수라에 있다. 아랍어의 자음인 알리프, 람, 밈으로 시작한다. 메디나 시대에 계시 되었다. 참고로 유언비어중 하나인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raw_pg.aspx?Gb=3&CNTN_CD=A0002121575&PAGE_CD=&CMPT_CD=|이슬람의 13교리]]중 "이슬람을 떠난 자는 죽여라"라는 구절이 등장해야 되는데 해당 장과 구절에 그런 내용은 없다. 오히려 기부와 고아의 복지(...)에 관한 구절이다.[* 배교자를 처형하라는 규정은 쿠란에 나온 게 아니라 무함마드 사후 [[아부 바크르]]가 명문화한 규정이다. 하디스를 꼼꼼히 읽어보면 무함마드 생전 당시에는 이슬람에 입교했다가 배교하고 나중에 다시 입교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종교의 자유가 있는 구절이 있다. 256절이다. 여담이지만, 이 구절은 유효하다. 폐지되었다고 가르치는 것은 극단주의 자들이다. 자세한 것은 [[만수크]] 항목 참조. 내용이 긴 관계로 구절 대신 요약으로 정리한다. 전문은 [[https://quran.com/2|여기]]에 있다. 주석은 [[https://kuran.diyanet.gov.tr/tefsir/sure/2-bakara-suresi|#]] 참조. == 요약 == 1-20 [[ا|알리프]] [[ل|람]] [[م|밈]]. 불신자와 위선자에 대한 꾸중 21-38 참된 신앙에 대한 권장 39-102 유대인과 기독교도에게 무함마드를 진정한 선지자로 받아들이기를 촉구함 102-112 유대인과 기독교도가 무함마드의 선지적 주장에 호전적으로 반대하다. 113 폐지에 관한 교리 115 끼블라가 선포되다 116-141 유대인들이 탄핵되고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아브라함의 종교]]가 진정한 이슬람이 되다.[* 이슬람이 유대교와 기독교를 대체한것이 아니라 그동안 계시들을 잘못 해석하고 있었고 그것이 기독교와 유대교인데 무함마드가 이를 정정한것이라는 의미이다.][*참고 이슬람에서 유대인과 기독교도는 "책의 사람들"로 지칭되며 이교도라도 [[지즈야]]를 지불하면 신앙을 지킬 수 있었다.] 142-153 유대인들은 마침내 버려졌으며 아랍인들은 메카에서 이슬람을 수용하고 끼블라를 정했다. 154-163 바드르 전투와 용맹한 전우들의 싸움 164-172 [[마간]][* 기원전 2300년 전후부터 수메르 설형 문자 문서에 등장하는 고대 오리엔트의 지역 명칭. 구리와 섬록암의 공급지이며, 기원전 550년경까지 기록에 나타남.]은 신앙을 권장했으며 금지된 고기를 존중하는 법도를 지켰다. 173-176 합법적인 음식과 불법적인 음식에 관하여[* [[메디나]]에서 전해진 구절이다] 177 무슬림의 의무[* 이슬람의 다섯 기둥] 178-179 보복법 180-182 상속법 183-185 단식법 186-187 라마단의 단식 188-202 메카 순례와 믿음에 관한 전쟁 203-206 진실로 믿는자와 위선자의 대조 207-208 진정으로 이슬람을 수용하기를 권장하다 209 불신자들의 종말을 선고하다 210-212 유대인에 대한 꾸중 213 참고 견디기 위한 고통 214-242 자선, 전쟁, 술, 고아 등에 관한 잡다한 법 243-253 종교의 계율을 지키기 위해 수행해야되는 전쟁과 그 의무[* 동시에 선지자 무함마드의 이력에 대해 묘사하고있다.] 255 권좌에 관한 구절 256-257 종교의 자유[* Laa ikraha fid deen, 라 이크라하 피드 딘 현대적인 종교의 자유의 관점과는 멀지만 종교에는 강요가 없다는 내용이다.] 258-260 부활에 관한 교리 261-274 기부의 장려 275-277 고리대금업 금지 278-283 이슬람의 빚[* 쿠란에서 가장 긴 절(아야)이다.] 284-286 천국에 관한 세 구절 [[분류:쿠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