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러시아의 대공[br]{{{+1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로마노프}}}[br]Великий князь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России'''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rand_Duke_Alexander_Mikhailovich_(LOC).jpg|width=100%]]}}}|| || '''이름'''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로마노프[br](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Романов) || || '''출생''' ||[[1866년]] [[4월 13일]][br][[러시아 제국]] [[캅카스|캅카스 부왕령]] [[트빌리시|티플리스]] || || '''사망''' ||[[1933년]] [[2월 26일]] (향년 66세)[br][[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로크브륀카프마르탱 생 테레즈 빌라 || || '''배우자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러시아의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br],,(1894년 결혼),, || || '''자녀'''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이리나]][* [[펠릭스 유수포프]]의 아내다.], 안드레이, 표도르, 니키타, 드미트리, 로스티슬라프, 바실리 || || '''아버지'''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러시아의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 || || '''어머니''' ||[[바덴의 체칠리에|바덴의 체칠리에 공녀]] || || '''형제''' ||니콜라이,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아나스타샤]], 미하일, 게오르기, 세르게이, 알렉세이|| || '''종교''' ||[[러시아 정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의 대공. 러시아의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과 [[바덴의 체칠리에]]의 6남 1녀 중 4남이다. 애칭은 산드로.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덴마크의 알렉산드리네 왕비]], [[체칠리에 아우구스테 마리|독일 제국의 체칠리에 황태자비]]의 외삼촌이며, [[프레데리크 9세]]와 [[루이스 페르디난트]]의 외외종조할아버지(외할머니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아나스타샤]]의 남동생)다. 외가쪽으로는 [[막시밀리안 폰 바덴]]의 고종사촌이자 외외당숙이다.[* 막시밀리안의 어머니이자 알렉산드르의 외숙모 마리야 막시밀리아노브나는 다름아닌 아버지 미하일 대공의 외조카로 알렉산드르의 고종사촌 누나이기도 하다.] 처남이자 당조카인 [[니콜라이 2세]]와 매우 가까워 니콜라이 2세의 조언자 역할도 했다. == 생애 == === 어린시절 === 아버지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캅카스 총독을 하고 있을 당시, 지금의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미하일 대공과 [[바덴의 체칠리에|올가 표도로브나 대공비]][* [[바덴의 체칠리에]]의 러시아식 이름.]의 4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3명의 형들인 니콜라이, 미하일, 게오르기와 유일한 누나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아나스타샤]]가 있었고 아래로 두명의 남동생들인 세르게이와 알렉세이가 있었다. 아버지 미하일 대공은 니콜라예비치 세대([[니콜라이 1세]]의 아들들)에서는 유일하게 아내와 금슬이 끝까지 좋았던 대공이었으며, 자녀들에게도 다정다감했지만 어머니 올가 표도로브나 대공비는 매우 엄격해서 자녀들이 힘들어했다고 한다. 유일한 누나인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여대공|아나스타샤]]는 외모는 올가 표도로브나와 똑같이 생겼다시피 어머니를 쏙 닮았지만, 성격은 반대로 낙천적이고 다정했기 때문에 알렉산드르를 비롯한 형제들과 친하게 지냈다. === 해군 생활 === 성인이 된 이후 해군으로 진로를 정했고, 1885년 해군사관학교 사관후보생 과정을 졸업했다. [[일본 제국]], [[브라질 제국]]을 친선 방문하기도 했다. 1896년 해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채용된 이후에는 전술 이론을 담당했다. 1901년부터 1902년까지 러시아 제국 [[흑해함대]]의 전함 [[로스티슬라브급 전함|로스티슬라브]]의 함장을 맡았고, 1903년에는 흑해함대 하급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 1904년부터 1905년 사이에 일어난 [[러일전쟁]] 동안에는 무장 상선 선단의 지휘관을 맡았다. 전쟁 이후 해군참모본부 창설에 주력하는 한편 해군 함대의 재편성, 신형 전함 건조를 주장했다. 1909년에는 해군 중장 계급을 받았다. 1910년에는 세바스토폴 교외에 항공 전문학교를 설립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러시아 제국 공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16년 12월에는 러시아 제국 공군 감사관으로 임명되었다. === 결혼 생활 === [[파일:산드로와 크세니야.jpg|width=500]] 1894년에 친사촌인 [[알렉산드르 3세]]의 장녀이자 본인에게는 '''[[5촌]]조카(당조카)'''인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와 결혼했다. 신혼여행 중에 친사촌형이자 장인인 알렉산드르 3세가 사망했다. 부모와 똑같이 슬하에 6남 1녀를 두었다. 같은 세대의 황족들 중에서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과 함께 유이하게 아들을 6명 이상 두었다. 그러나 행복했던 결혼 생활도 1907년에 파탄났다. 이미 부부는 권태기가 왔고, 알렉산드르 대공은 역시 피는 못 속인다고 정부들을 두었다. 이에 크세니야 역시 크게 반발하여 똑같이 정부들을 두었다. 다른 대공비들은 참고 살았지만 크세니야는 본인도 황제의 직계 공주 여대공이기에 참고 살지 않았다. === 말년과 사망 === [[파일:산드로의 말년 모습.jpg|width=500]]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자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로 망명했다.[* 반면 아내인 크세니야는 영국으로 망명했다.] 파리에 거주하면서 회고록을 집필했으며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태자이자 섭정이었던 [[하일레 셀라시에]]와도 교류했다. [[고고학]]에 흥미를 가졌기에 각지를 여행하기도 했다. 1933년 향년 66세의 나이로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로크브륀카프마르탱 생 테레즈 빌라에서 사망했다. == 가족관계 == === 자녀 === 알렉산드르 대공의 자녀들은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의 자녀들과는 달리 모두 무사히 망명했으며 다들 결혼하고 자녀들을 낳으면서 현재까지 자손이 이어져오고 있다. 또한 알렉산드르와 크세니야의 자녀들은 친가와 외가 모두 [[로마노프 왕조]]인 동시에 직계인 [[알렉산드르 3세]]의 외손주들이기도 했기에, 현재 로마노프 가문의 당주 자리를 놓고 [[알렉산드르 2세]]의 직계 자손들과 경쟁(?)하고 있다.[* 알렉산드르의 3남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는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알렉산드르 2세의 손자)의 외아들 [[블라디미르 키릴로비치 대공]]의 황제 주장에 반대하기도 했다.] 장신의 미인들이 많은 걸로 유명한 [[로마노프 왕조]]의 후손답게 알렉산드르의 자녀들도 미남미녀였다. 일단 고명딸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이리나]]는 사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상당한 미녀였고 6명의 아들들 중에서는 5남인 로스티슬라프가 미남이었다고.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공녀]][br]{{{-2 (Princess Irina Alexandrovna)}}} || [[1895년]] [[7월 15일]] || [[1970년]] [[2월 26일]] || [[펠릭스 유수포프]][br]슬하 1녀 || ||<|2> '''1남''' ||<|2>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Andrei Alexandrovich)}}} ||<|2> [[1897년]] [[1월 24일]] ||<|2> [[1981년]] [[5월 8일]] || 엘리사베타 디 사소 루포[br]슬하 2남 1녀 || || 나딘 맥두걸[br]슬하 1녀 || || '''2남''' ||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Feodor Alexandrovich)}}} || [[1898년]] [[12월 23일]] || [[1968년]] [[11월 30일]] || --이리나 파블로브나 팔레이 공주--[* [[알렉산드르 2세]]의 손녀(막내아들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이 귀천상혼으로 낳은 1남 2녀 중 장녀). 표도르에겐 부계로는 육촌이고 모계로는 오촌이다.][br]슬하 1남 1녀 || || '''3남''' ||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Nikita Alexandrovich)}}} || [[1900년]] [[1월 17일]] || [[1974년]] [[9월 12일]] || 마리아 보론초바다시코바 여백작[br]슬하 2남 || ||<|2> '''4남''' ||<|2>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Dmitri Alexandrovich)}}} ||<|2> [[1901년]] [[8월 15일]] ||<|2> [[1980년]] [[7월 7일]] || --마리나 세르게예브나 골레니셰바쿠투조바 여백작--[br]슬하 1녀 || || 셰일라 맥켈라 치좀 || ||<|3> '''5남''' ||<|3> 로스티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Rostislav Alexandrovich)}}} ||<|3> [[1902년]] [[11월 24일]] ||<|3> [[1978년]] [[7월 31일]] ||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골리치나--[br]슬하 1남 || || --앨리스 에일켄--[br]슬하 1남 || || 헤트비히 마리아 게르트루트 에바 폰 차푸이스 || || '''6남''' || 바실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br]{{{-2 (Prince Vasili Alexandrovich)}}} || [[1907년]] [[7월 7일]] || [[1989년]] [[6월 24일]] || 나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골리치나[br]슬하 1녀 || [[분류:1866년 출생]][[분류:1933년 사망]][[분류: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분류:러시아의 황자]][[분류:트빌리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