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알퐁스 도데}}}[br]Alphonse Daude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nndb.com/alphonse-daudet-1.jpg|width=100%]]}}} || ||<|2> '''출생''' ||[[1840년]] [[5월 13일]]|| ||[[7월 왕정|프랑스 왕국]] [[님(프랑스)|님]]|| ||<|2> '''사망''' ||[[1897년]] [[12월 16일]] (향년 57세)||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신체''' ||NNNcm, NNkg, 혈액형|| || '''가족''' ||이름 ,,(관계),,|| || '''학력''' ||학교명 학부명 {{{-2 (학과명1 · 학과명2 / 재학 여부)}}}|| || '''종교''' ||종교|| || '''직업''' ||소설가|| || '''소속''' ||소속||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Signature_Alphonse_Daudet.jp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소설가]]. == 생애 == 프랑스 남부의 랑그도크 지방의 [[님(프랑스)|님]](Nîmes)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뱅상 도데는 [[비단]] 제조업을 하고 있었지만 불운을 부르는 사람이었고 하는 일마다 실패해서 알퐁스 도데의 어린 시절은 상당히 불우했다. 알퐁스 도데는 자라서 리용(Lyon)을 떠나 알레스(Alès)로 가서 [[교사]] 생활을 했지만 말을 잘 듣지 않는 학생들 때문에 심한 노이로제에 시달렸다고 한다. 결국 1년여 만에 교사직을 그만두었으며 후에 그의 회고로는 "알레스를 떠난 몇달 뒤에도 나 자신이 말을 듣지 않는 학생들 가운데 서 있는 듯한 오싹한 느낌을 받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교사 생활을 그만둔 뒤 3살 연상의 형과 함께 살았는데 형은 [[파리(프랑스)|파리]]에서 [[기자]]가 되고 싶어했다. 알퐁스도 형을 따라서 [[시]]를 썼는데 쓴 시들을 모아 <사랑하는 여자들>을 출판했다. 이는 나름대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르 피가로지>가 도데를 기자로 기용했고, 2~3편의 희곡을 써서 장래성을 주목받았다. 한편으로 [[나폴레옹 3세]]의 대신이자 입법회의 의장인 샤를 드 모르니 [[후작]]의 후원을 받아서 모르니 후작이 사망하는 1865년까지 모르니 [[후작]]의 [[비서]]로서 활동했다. 1866년, 첫 [[소설]]을 써서 크게 성공하게 된 그는 이후 [[소설가]]의 길을 걸었다. 1868년에 [* 한국에는 <꼬마 철학자>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라는 첫 자전적 장편 소설을 썼지만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이후 <밝은 타타린>과 3막짜리 희곡 <[[아를의 여인]]>을 썼지만 역시 흥행에 실패한 뒤[* 단, [[조르주 비제]]가 작곡한 <아를의 여인>의 음악들은 [[OST는 좋았다|지금까지도 클래식 명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집필한 희곡 <프로몽과 리제르>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어]]권에도 주목을 받을 정도였다. 이후로 <나바브> 등의 여러 편의 소설과 [[희곡]]을 쓰는 등 작가로서의 위상은 뚜렷해졌다. 1867년에 쥴리아 아라드와 [[결혼]]했는데 그의 부인도 문학적 재능이 있었다고 한다. 1883년 도데는 자신이 아카데미 회원이 될 가능성이 없다고 쓴 기자와 [[결투]]를 벌였고 자신의 부인에 대한 안좋은 기사를 쓴 기자와도 결투를 신청할 정도였다고 한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어 약을 잘못 쓴 탓에 [[불면증]]에 시달리다가 [[1897년]] [[12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 대표작 == 알퐁스 도데의 소설은 서정적이며 그의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은 현실성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소설의 서정성은 그가 남프랑스 출신이라는 점과도 깊은 연관을 갖는 듯하다. 생전에 알퐁스는 [[찰스 디킨스]]와 스타일이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도데 자신은 디킨스와 다르다고 주장했다. 디킨스와 비교해 보면 유사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도데가 디킨스를 모방한 건 아니며 분명하게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가 있다. 그의 소설 중 [[마지막 수업(소설)|마지막 수업]]과 [[별(알퐁스 도데)|별]]은 한국 교과서에 오랫동안 실려 있으며 특히 [[보불전쟁]]을 다룬 소설이 많다.[* 대표적 예시가 바로 '[[https://blog.naver.com/smash2/20147300423|당구 게임]]'이라는 단편으로, 당구에 열중해서 '''부대원들이 다 적군에게 죽어나갈 때까지''' 당구를 그만두지 않은 무능한 장군의 이야기다.] 말년엔 '황금 뇌를 가진 사나이'라는 소설을 썼으며 [[위기철]]의 [[논리야 놀자]] 시리즈를 봤다면 이 소설을 알고 있을 것이다. 줄거리는 황금 뇌를 가진 아이가 머리를 다칠 때 피에 황금 조각이 발견되었을 때 어머니는 누가 유괴해 갈까봐 비밀에 부치다가 나중에 아들에게 알려줬다.[* 그런데 이 어머니는 낳고 키워준 댓가로 아들의 뇌를 좀 떼어달라고 요구했고, 아들 역시 어머니에게 뇌 한조각을 떼어준 후 뒤도 안돌아보고 떠난다...] 그러자 아들은 뇌에 든 황금을 막 쓰다가 정신이 나쁘게 변했고 중간에 황금이 바닥나게 되면 결국 자기 생이 온전치 않게 되리라는 걸 알고 황금 쓰기를 자제한 적도 있었으나, 아들과 친한 친구 중 한 명이 아들의 뇌가 황금이라는 사실을 어쩌다가 알아내고는 몰래 밤중에 기어 들어와서 뇌 속의 황금을 조금 남겨두고 훔쳐갔다. 그후에도 예쁜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졌을 때 불행히도 그 여자가 허영심이 많아서 머리의 황금을 계속해서 썼으며 어느 날 여성이 사망하자 그녀의 장례식을 위해 모든 황금을 쓰게 된 남자는 기억력이 희미해져서 여인의 죽음을 잊어버리고 구두를 선물로 사주기 위해 머릿속에 남은 황금 부스러기와 바꾼 뒤 어디론가 사라지고, 이후 그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없었다는 슬픈 이야기. == 극우성향 == 정치적으로는 아버지도 [[왕당파]]였고 도데 자신도 나폴레옹 3세의 대신의 비서를 지냈으며 [[반유대주의]]적인 면모까지 가지고 있었는데 태생적으로는 파리 우월주의자, 즉 '''쇼비니스트'''였다. 이를 물려받은 그의 아들 레옹 도데(1867~1942)는 극우 정치 단체 악시옹 프랑셰즈의 회원이었고 [[비시 프랑스]]를 옹호하고 [[나치]]에 부역하기까지 했다. 반대로 작은 아들 뤼시앵 도데(1878~1946)는 아버지와 형과 달리 이런 반유대주의 같은 것을 그다지 드러내지 않고 작가로 살다가 갔다. == 그 외 == 평생을 [[매독]]에 시달려[* 페니실린이 나오기 전까지 매독에 걸린 사람의 운명은 말 그대로 온몸이 썩어 문드러진 채로 죽는 것 밖에 없었다. 타임슬립 닥터 진에서 리얼하게 묘사하고 있다.] 17세 때 걸린 매독이 39세에 [[척수]] 매독으로 진행, 극심한 통증에 시달렸다. 통증만이 아니었다. 척수신경 손상으로 [[다리(신체)|다리]]의 감각 기능이 없어진 탓에 몸의 균형 잡기가 힘들어져 걸핏하면 비틀거렸고 걸을 때는 남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그래도 남프랑스의 시인 미스트라르를 비롯하여 [[귀스타브 플로베르]], 졸라, E.공쿠르, 투르게네프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아내 쥘리의 내조로 행복한 57년의 생애를 파리에서 보냈다. 당시 매독의 '첨단 치료제'는 [[수은]]이었다.[* 현재는 물론 [[페니실린]]이다.] 오랫동안 수은 치료를 받았던 도데는 수은중독에도 시달렸다. 통증을 견딜 수 없었던 도데는 모르핀까지 맞았다. [[주사]]를 맞을 때마다 구역질로 고생했지만, [[모르핀]]을 맞아야 그나마 통증을 잊고 잠시라도 잠을 잘 수 있었다. 사망하기 얼마 전 그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인생을 너무 많이 사랑한 나머지 하느님이 내게 벌을 주신 거야." [[분류:프랑스의 소설가]][[분류:1840년 출생]][[분류:1897년 사망]][[분류:매독으로 죽은 인물]][[분류:님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