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9822d 33%,#f2d832 33%,#f2d832 66%,#d30a1b 66%)" '''{{{#0f47af 암하라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아프리카아시아어족)] [include(틀: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 }}} || ||<-2> {{{+4 '''አማርኛ'''}}}[* Amarəñña] || ||<-2> {{{+1 '''암하라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지역 ||[[에티오피아]] || || 원어민 ||'''약 2,200만 명''' || || 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br][[셈어파]][br]남셈어군[br]에티오피아어군[br]남에티오피아셈어군[br]암하라어''' || || [[문자]] ||[[그으즈 문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am'''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amh'''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amh''' || ||<-2> '''명칭''' || || 암하라어 ||አማርኛ || || [[영어]] ||Amharic Language || || [[아랍어]] ||اللغة الأمهرية || || [[이탈리아어]] ||Lingua amarica || || [[일본어]] ||アムハラ語 || || [[중국어]] ||阿姆哈拉语/阿姆哈拉語 || || [[히브리어]] ||אמהרית || || [[태국어]] ||ภาษาอัมฮารา || >'''ናሙዊኪ, እርስዎ እየሰሩበት ያለው የእውቀት ዛፍ'''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목차] [clearfix] == 개요 == [[에티오피아]]의 공용어. [[셈어파]]에 속하며 셈어파에서는 [[아랍어]]에 이어서 두번째로 사용자 수가 많은 언어이다. 2007년 기준으로 2200만 명이 모국어로, 400만명이 제2언어로 사용했다. [[에티오피아 제국|에티오피아 황실]]의 모어였고, 에티오피아에서 [[암하라인]]은 마치 [[미국]]의 [[WASP(미국)|와스프]]나 [[파키스탄]]의 펀자브인 같은 포지션이다 보니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암하라어가 모어가 아닌 다른 에티오피아인들 사이에서도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암하라어와 비슷하게 [[송가이어]]도 [[송가이 제국]]에서 상류층들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한국 내 [[차드]] 출신 유학생들도 암하라어를 대충이나마 구사하는 편이다. 아프리카 쪽의 언어들 중에선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줄루어]], [[코사어]]와 함께 알려져 있다. 또한, 아프리카 내에선 영향력이 큰 언어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 문자 == [include(틀:분절 문자의 계보)] [[파일:eacad1c506f18f670a7d289d3ce238bc.gif]] 표기할 때에는 에티오피아의 독자적인 문자인 그으즈(Gəʿəz, ግዕዝ) 문자의 일종인 암하라 문자로 표기한다. 그으즈 문자는 [[아부기다]]에 속하며[* 아부기다라는 말 자체가 고대 에티오피아어인 그으즈어 አቡጊዳ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음절 문자의 특징도 있다. 모음 기호를 붙힌다기 보다는 그냥 규칙적인 형태의 음절 문자에 가깝다. 보통은 모음 기호 모양에 따라 규칙적으로 바뀌지만 먗몇 자음에 따라서 기호가 뭐가 붙냐에 따라 글자 모양이 달라진다.], 원래는 [[아랍 문자]]처럼 자음만을 표기했으나 모음 갯수가 많은 에티오피아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모음부호를 붙이는 식으로 발전하여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참고로 [[힌디어]]처럼 알파벳뿐만 아니라 문장부호나 숫자도 독자적인 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셈계 언어와 달리 글자를 왼쪽부터 써나간다. 또한, 같은 그으즈 문자를 쓰는 [[티그리냐어]], [[티그레어]]와 매우 가까운 편이다. == 자음 == ||<|2> ||<-3> '''양순음''' ||<|2> '''순치음''' ||<-3> '''치경음''' ||<-3> '''후치경음''' ||<|2> '''경구개음''' ||<-3> '''연구개음''' ||<-3> '''순음화 연구개음''' ||<|2> '''성문음''' || || '''[[방출음]]''' || '''[[무성음]]''' || '''[[유성음]]''' || '''방출음''' || '''무성음''' || '''유성음''' || '''방출음''' || '''무성음''' || '''유성음''' || '''방출음''' || '''무성음''' || '''유성음''' || '''방출음''' || '''무성음''' || '''유성음''' || || '''[[파열음]]''' || pʼ || p || b || || tʼ || t || d || || || || || kʼ || k || ɡ || kʷʼ || kʷ || ɡʷ || ʔ || || '''[[파찰음]]''' || || || || || tsʼ || || || tʃʼ || tʃ || dʒ || || || || || || || || || || '''[[마찰음]]''' || || || || f || || s || z || || ʃ || ʒ || || || || || || || || h || || '''[[비음]]''' || || || m || || || || n || || || || ɲ || || || || || || || || || '''[[전동음]]''' || || || || || || || r || || || || || || || || || || || || || '''설측접근음''' || || || || || || || l || || || || || || || || || || || || || '''접근음''' || || || || || || || || || || || j || || || || || || w || || == 모음 == || || '''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 || '''고모음''' || i || ɨ || u || || '''중모음''' || e || ə || o || || '''저모음''' || || ä || || == 문법 == 문법적인 부분에선 [[아랍어]]와 달리 주어+목적어+서술어순으로 나타나는 언어이다. [[인두음]]은 아랍어와 달리 일찌감치 사라졌다. == 한국에서의 학습 ==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쉽지 않은 언어라서 한국어로 된 책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단, 암하라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의 하나에 속해 있다. [[ECK교육]]에서 암하라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http://www.eckonline.kr/eckonline/course.php?s_category=112|#]] 2023년 2학기 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 동아프리카전공에서 처음으로 암하라어 강의가 개설된다. == 외부 링크 == * [[https://am.wikipedia.org/wiki/%E1%8B%8B%E1%8A%93%E1%8B%8D_%E1%8C%88%E1%8C%BD|암하라어 위키백과]] == 들어 보기 == [youtube(Dv-wZe3iwHA)] 암하라어 토크 쇼 [youtube(HXfNSMrmcus)] 암하라어로 읽는 [[잠언]] [youtube(JMK7nWLLdbQ)]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를 비교하는 영상. [youtube(PsfVYQ8zd4M)] Abby Lakew의 곡 የኔ አበሻ(Yene Habesha) [youtube(dKMF0WkBD9o)] Abdu Kiar와 Melat Kelemework의 곡 Weye Weye. [[분류:셈어파]][[분류:개별 언어]][[분류:에티오피아의 언어]][[분류:굴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