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파일:애꾸라 불린 여자.jpg]] ||||<:> '''언어별 제목''' || || '''스웨덴어(원제''') || '''Thriller - en grym film''' || || 영어(미국) || Thriller: A Cruel Picture || || 영어(미국·검열판) || They Call Her One Eye || || 영어(미국·재발행) || Hooker's Revenge || || 영어(미국·DVD) || Thriller: They Call Her One Eye || [목차] == 개요 == 보 아르네 비베니우스가 [[1974년]]에 제작한 스웨덴 영화 == 스토리 == 노랗게 물든 단풍 숲에서 즐겁게 뛰어다니는 어린 소녀 마들렌. 그녀는 인자하게 생긴 할아버지와 만나 다정한 한때를 보내지만, 얼마 뒤 강간을 당한다. 15년 뒤 마들렌은 아름다운 여성으로 성장했지만, 그 사건의 충격으로 실어증에 빠진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로 가는 버스를 놓친 마들렌은 차를 태워주겠다는 한 남자를 만나 그의 집에 따라갔다가 봉변을 당한다. 헤로인 중독자가 된 마들렌은 창녀로 전락하고, 시간이 흐른 뒤 복수의 길로 나선다. == 등장인물 == * 크리스티나 린드베리 - 마들렌 / 프리가 역 * 하인츠 호프 - 토니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72285, user=6.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riller-a-cruel-picture, user=3.5)] == 여담 == * 메스로 마들렌의 [[안구]]를 적출하는 장면에서 진짜 [[시체]]를 사용했다는 [[루머]]가 오래 전부터 있어왔는데, 2006년 인터뷰에서 마들렌을 연기한 크리스티나 린드베리가 이 사실을 확인해 주었다. 시체는 자살한 어린 소녀의 것이었으며, 눈 주위에 메이크업을 하고 시체가 안치된 병원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 무삭제 버전에 나오는 [[하드코어]]한 정사 장면은 크리스티나 린드베리가 연기하지 않았다. 자동차를 타고 여행을 하면서 정사 장면을 라이브쇼로 연기하는 연기자 커플이었다고 한다. * 크리스티나 린드베리는 운전면허가 없어서 경찰이 차량 바닥에 누운 채 기어를 조작했다고 한다. * 프리가(Frigga)라는 이름은 북유럽 신화의 [[프리그]]에서 따 왔다. 프리그는 [[오딘]]의 아내이며, 오딘은 애꾸눈이다. * 보 아르네 비베니우스 감독은 [[카메오]]로 등장하는데 마들렌이 부두로 가는 길에 등장하는 핫도그 판매원이 그다. * 영화 후반 마들렌이 경찰차를 탈취하여 갈 때 경찰차의 경광등을 화면 중심에 두고 이동하는 씬은 [[레슬리 닐슨]]의 코미디 영화 [[총알탄 사나이]]의 도입부에서 [[패러디]]되었다. * [[킬빌]]에서 [[쿠엔틴 타란티노|타란티노]] 감독은 대릴한나에게 이 영화를 보여주며 [[엘 드라이버]] 캐릭터를 오마쥬했다. [[분류:1973년 영화]][[분류:스웨덴 영화]][[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