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덤 웨인라이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애덤 웨인라이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06-cardinals-champions.gif|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06년 월드 시리즈|{{{#ffef00 2006}}}]]''' || ---- ||<-3>
[[파일:2010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0년|{{{#ffffff 2010}}}]]'''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3년|{{{#ffffff 2013}}}]]'''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4년|{{{#ffffff 2014}}}]]'''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0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그렉 매덕스]][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브론슨 아로요]][br]([[신시내티 레즈]])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마크 벌리]][br]([[마이애미 말린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잭 그레인키]][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제이크 아리에타]][br]([[필라델피아 필리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헤르만 마르케스]][br]([[콜로라도 로키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0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브랜든 웹]][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로이 할러데이]][br]([[필라델피아 필리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지오 곤잘레스]][br]([[워싱턴 내셔널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br][[조던 짐머맨]][br]([[워싱턴 내셔널스]]) || → || [[클레이튼 커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 || [[카를로스 카라스코]][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넬슨 크루즈]][br]([[미네소타 트윈스]])[* 수상 당시 소속은 [[탬파베이 레이스]]이나, 공식적으로 탬파베이가 아닌 미네소타 구단의 후보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미네소타 소속으로 기재.] ||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60번}}}''' || || 조시 피어스[br](2002~2003) || {{{+1 →}}} || '''애덤 웨인라이트[br](2005)''' || {{{+1 →}}} || 크리스 나르베슨[br](2006)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50번}}}''' || || [[줄리안 타바레즈]][br](2004~2005) || {{{+1 →}}} || '''애덤 웨인라이트[br](2006~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am_Wainwright.jpg|width=100%]]}}} || ||<-2> [[FOX Sports|[[파일:폭스 스포츠 로고.png|width=50]]]] || ||<-2> '''{{{+2 애덤 웨인라이트}}}[br]Adam Wainwright''' || || '''본명''' ||애덤 패리시 웨인라이트[br]Adam Parrish Wainwright || ||<|2> '''출생''' ||[[1981년]] [[8월 30일]] ([age(1981-08-30)]세) || ||[[조지아주|조지아 주]] [[브런즈윅]]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글린 아카데미 고등학교 || || '''신체''' ||201cm / 104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0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29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05~2023)''' || || '''종교''' ||[[개신교]][* [[https://sportsspectrum.com/sport/baseball/2020/12/29/adam-wainwright-leading-thousands-bible-study/|#]]]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ncleCharlie50, 크기=25)][* 202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런던 시리즈|런던 시리즈]]에서의 부진 이후 악플로 인해 트위터 계정을 비활성화했다가 7월에 다시 활성화하였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 [[우완]] [[선발 투수]]이자 現 FOX Sports 소속 야구 해설자. 별명은 엉클 찰리[* 미국에서 커브볼을 뜻하는데, 워낙 커브를 잘 던지다보니 붙은 별명]와 웨이노(Waino).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애덤 웨인라이트의 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 || ||<-4>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2|'''{{{#ffef00 MiLB 시절}}}''']]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ffef00 2005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2|'''{{{#ffef00 2006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3|'''{{{#ffef00 2007년}}}''']] ||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4|'''{{{#ffef00 2008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5|'''{{{#ffef00 2009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6|'''{{{#ffef00 2010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7|'''{{{#ffef00 2011년}}}''']] ||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8|'''{{{#ffef00 2012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9|'''{{{#ffef00 2013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0|'''{{{#ffef00 2014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1|'''{{{#ffef00 2015년}}}''']] ||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2|'''{{{#ffef00 2016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3|'''{{{#ffef00 2017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4|'''{{{#ffef00 2018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5|'''{{{#ffef00 2019년}}}''']] ||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6|'''{{{#ffef00 2020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7|'''{{{#ffef00 2021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8|'''{{{#ffef00 2022년}}}''']] || [[애덤 웨인라이트/선수 경력#s-3.19|'''{{{#ffef00 2023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F7TUjqP3Cc)]}}} || 201cm라는 큰 키와 높은 타점에서 뿌리는 평균 구속 90~92마일에 최고 95마일까지 나오는 포심과 싱커, 80마일 중후반대의 커터를 배합해 땅볼을 양산하며 결정구로 각이 큰 메이저 리그 최고 수준의 폭포수 커브를 던진다. 던지는 구종이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2009년에는 포심과 커터의 비중이 미미했고 투심과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사용하였다. 다만 2011년을 [[토미 존 수술]]로 통째로 날려먹으면서 2012년에는 슬라이더의 위력이 급감하게 되었고 결국 2013년에 2012년부터 사용한 커터가 슬라이더를 대체했다. 포심과 싱커의 평균 구속 차이가 0.2마일 밖에 안돼서 꽤 재미를 보았고 이것이 브레이킹 볼의 효과까지 극대화시켰다. 물론 연도마다 구종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커터를 슬라이더로 보고 포심 투심 싱커를 모두 패스트볼로 분류한다면, 수술 이후에 슬라이더 비율이 소폭 상승한 것 외에는 연도별로 비슷한 래퍼토리를 사용했다. 땅볼 비율이 높은만큼 통산 [[BABIP]]와 피안타율은 에이스 투수치고는 높은 편이지만 통산 BB/9이 2.46개인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준수한 제구력을 바탕으로 꾸역꾸역 이닝을 먹어주는 뛰어난 [[이닝 이터]]이다. 통산 K/9도 7.6개로 평균 수준은 유지하기 때문에 [[엠엘비파크]] 같은 팬덤에서는 [[로이 할러데이]] 같은 완성형 투수로 평가하고 있다.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월드 시리즈]] 우승 ([[2006년 월드 시리즈|2006]])'''[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3회 (2010, 2013, 2014)'''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투수 [[골드 글러브]] 2회 (2009, 2013)'''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투수 [[실버 슬러거]] (2017)'''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다승 1위 2회 (2009, 2013)''' ||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 == 2005년부터 2023년까지 18시즌 동안 200승 2202탈삼진 2668⅓이닝 bWAR 44.9를 기록하였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원 클럽 맨이자[* 현지 [[세인트루이스]] 지역 내에서 엄청난 지지를 얻고 있으며, 카디널스 자체도 명문이라 명문팀의 원 클럽 맨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만 42세까지 활약하며 잦았던 부상을 극복하고도 남았을 정도로 엄청나게 장수한 것은 긍정적 요소이며, [[2006년 월드 시리즈]]에서 유의미한 활약을 하는 등 빅 게임 피처 이미지도 있다. 또한 커리어 마지막 시즌에 명전급 마일스톤 중 하나인 200승을 달성했다. 하지만 잦은 부상으로 인해 클래식에서 다승을 제외한 누적이 부족한 편이고, 이를 만회할 세이버매트릭스 상으로도[* 보통 입성 컷이 WAR 60 정도이므로, 명예의 전당감이라 할 수 없다. 거기에 전담포수가 하필 역대 최고의 수비력을 지닌 포수로 손꼽히는 [[야디어 몰리나]]라 더 저평가받을 여지도 있고, 투표단의 성향이 세이버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도 그리 달가운 요소가 아니다.] WAR이 50에도 못 미친다. 게다가 [[사이 영 상]] 등 투수가 수상할 수 있는 주요 타이틀을 차지하지 못하면서 부족한 수상 경력도 아쉬움으로 남으며, 당대 최고의 투수로 손꼽혔던 [[클레이튼 커쇼]], [[저스틴 벌랜더]], [[맥스 슈어저]], [[잭 그레인키]][* 이들은 명예의 전당 입성을 확정지었다고 평가받는 투수들이다.] 등에 비해 임팩트 면에서도 밀리는 점 또한 악재.[* 좋은 누적을 가지고도 임팩트가 딸려 입성에 실패한 [[팀 허드슨]]과 허드슨처럼 임팩트가 전무해 입성 실패가 유력한 [[마크 벌리]], 사이 영 상 2회 수상 등 임팩트는 좋으나 누적 부족으로 인해 탈락한 [[요한 산타나]] 같은 사례처럼 명예의 전당은 누적과 임팩트 모든 면이 충족되어야 입성이 가능하다. 누적이 부족할 경우 [[샌디 코팩스]]급의 임팩트라도 남겨야 하는데 웨인라이트는 그 정도 임팩트는 없었기에 애매한 구석이 많다.][* 단 허드슨은 문서에 나와있는 점처럼 탈락에 대한 논란이 많기 때문에 베테랑 위원회를 통한 입성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웨인라이트와 비슷한 레벨로 평가받는 [[데이비드 프라이스]], [[존 레스터]], [[펠릭스 에르난데스]], [[콜 해멀스]] 등의 명예의 전당 입성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는 점까지 감안할 때 웨인라이트 역시 이들과 마찬가지로 입성에 실패할 가능성이 훨씬 높게 점쳐지고 있다.[* 웨인라이트는 원클럽맨 가산점(펠릭스 에르난데스 제외)과 200승이라는 상징성이 있지만, 이들 중 [[콜 해멀스]]는 세이버에서 우위가 있고, [[펠릭스 에르난데스]], [[데이비드 프라이스]]는 사이 영 상 수상 경력까지 있는 등 임팩트에서 우위에 있어 사실상 거기서 거기다. 누적에서 가장 엇비슷한 레스터는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만 3개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고.] == 은퇴 이후 == [[파일:10.02.23_Wainwright-on-FOX_16x9.jpg|width=100%]] 간간히 포스트시즌에서 마이크를 잡고 해설을 했었는데, 입담이 훌륭해서 2024년부터는 FOX 풀타임 해설자로 제2의 인생을 살 전망이다. == 여담 == * 2000년대 카디널스의 상징이었던 [[야디어 몰리나]], [[알버트 푸홀스]]와 함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영구결번/스포츠|영구 결번]]과 구단 명예의 전당 유력 후보다. * [[콩라인]] 계보에 속한다. 2009년 같은 팀 투수였던 [[크리스 카펜터]]와 [[사이 영 상]] 표가 분산되면서 [[팀 린스컴]]에게 사이 영 1위를 내줬고, 2010년에는 [[아메리칸 리그]]에서 [[내셔널 리그]]로 뜬금 이적한 [[로이 할러데이]]에 의해 2위로 밀려났다. 2013년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유일한 1점대 평균자책점였던 [[클레이튼 커쇼]]에게 밀려나 또 2위가 되었으며, 2014년에도 명실상부한 리그 에이스급 피칭을 보여주었으나 커쇼가 다시 한번 미친 시즌을 보내고, 같은 지구의 [[자니 쿠에토]]까지 광분하면서 3위에 머물렀다. 그래도 [[2006년 월드 시리즈|2006년에 월드시리즈 우승반지를 획득]]했기에 완전한 콩라인은 아니라는 게 위안. * [[판타지스포츠]] 덕후라고 한다. 같은 [[조지아주]] 출신인 [[브라이언 맥캔]]과 함께 풋볼과 야구 판타지 리그에 참여하면서 커미셔너로도 활동 중이고, 세인트루이스의 투수 유망주였던 [[셸비 밀러]]를 보유한 적도 있다고 한다. 야구 이외에도 [[미식축구]] 등의 다른 종목도 손을 대고 있다. 뜬금없게도 2014 시즌 후에 시즌 최종전에서 등판하지 않은 것을 팬들에게 사과하였는데[* 최종전에 선발예정 경기였으나, 등판 직전에 지구 1위 경쟁팀이던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패배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지구 1위가 확정되었다. 그래서 구단이 등판을 취소했고 웨인라이트도 쿨하게 동의했다.], 원인이 풋볼 판타지 리그였다고 한다. 이유는 자신이 쓰던 풋볼 선수가 난데없이 등판이 취소되는 일이 있어서 그 순간 깊은 빡침을 느끼고 깨달음을 얻었다고..[[https://m.sports.naver.com/comment/list.nhn?objectId=news109%2C0002948998|#]] 한편 야구 판타지 리그의 기반인 스탯을 논할 때는 갖가지 [[세이버메트릭스]] 스탯 대신 야구는 이기려고 하는거니 승리가 중요하다며 [[투승타타|이길 줄 아는 투수론]]을 펼쳤다. * 빅리그 새내기이던 [[김광현]]이 2020 시즌 [[코로나19]]로 개막이 미뤄지며 준비에 어려움을 겪자 도움을 줬다고 한다. 아무도 없는 공원에서 같이 50M 캐치볼을 했는데, 공원 수위가 웨인라이트의 팬이라 특별히 문을 열어줬다고. * 독실한 [[개신교]] 신자이다. * [[신시내티 레즈]]의 홈구장인 [[그레이트 아메리칸 볼파크]]를 상당히 싫어한다. 실제 이 구장에서의 ERA가 5점 후반대를 찍고 있으며 이곳을 악마의 소굴 취급하고 있다.심지어는 은퇴 후 여길 다시 찾아올 날이 '''이 구장의 철거일'''일 것이라고 하고 '''그 때 폭파버튼을 직접 누르고 싶다'''고 하기까지 했다.[[https://gall.dcinside.com/m/majorleague/734391|##]] * 투수 치고 타격을 잘한다. 2019년까지 통산 홈런이 10개나 되며, 실버 슬러거 수상 경력도 있다. * 국내에서 부족한 누적이나 수상 경력에 비해 생각 외로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에 대한 관심을 많이 받는 선수이기도 하다.[[https://mlbpark.donga.com/mp/b.php?p=31&b=mlbtown&id=202309190085703043&select=&query=&subselect=&sub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pos=&sig=h4aTSg2gkh9RKfX2h3a9Rg-gKmlq|#]][[https://mlbpark.donga.com/mp/b.php?p=31&b=mlbtown&id=202309190085703910&select=&query=&subselect=&sub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pos=&sig=h4aTSgtYihRRKfX2h3a9Rg-gKmlq|#]][* 물론 국내 MLB 팬덤도 대체로 입성은 힘들 거라는 의견이 중론이긴 하며, 소수 입성 긍정파들도 투표 막차 입성이나 베테랑 위원회를 노려야 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카디널스 팬들은 대체적으로 투표에서 광탈만 하지 말길 바라고 있다.] 팀의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원클럽맨 에이스라는 점, 비록 수상은 못했지만 사이영 상 후보에도 꽤 많이 포함된 점이 이유인듯.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둘러보기 == [include(틀:NL 사이 영 상 1~3위(2010-2019))]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6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패트릭 코빈]][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클레이튼 커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4년 9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매디슨 범가너]][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게릿 콜]][br]([[피츠버그 파이리츠]])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1년 8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워커 뷸러]][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맥스 프리드]][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81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23년 은퇴]][[분류:브런즈윅(조지아 주)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MLB 다승왕]][[분류:미국의 개신교 신자]][[분류:미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