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96년 데뷔]][[분류:1978년 출생]][[분류:레이크포레스트(일리노이) 출신 인물]] [include(틀:WWE 제너럴 매니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ampearce2023.png|width=100%]]}}} || || '''{{{+5 {{{#eb1926 ADAM PEARCE}}} }}}''' || [목차] ==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ampiercewwe.png|width=310]]}}} || ||<-2> [[NWA 명예의 전당|{{{#FFFFFF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2> {{{#ffffff '''RAW'''}}} || || '''본명''' || Adam John Pearce [br] 애덤 존 피어스 || || '''생년월일''' || [[1978년]] [[6월 24일]] ([age(1978-06-24)]세) ||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 주 레이크 포레스트 || || '''신장''' || 188cm || || '''체중''' || 109kg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 || '''주요 커리어''' || A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ACW 텔레비전 챔피언 1회[br]AWS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NWA 헤리티지 챔피언 2회[br]GL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IWA 미드사우스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2007)'''[br]'''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5회'''[br]NWA 브리티시 커먼웰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메트로 프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MA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PCW 오스트레일리안 내셔널 챔피언 1회[br]PWG 월드 챔피언 1회[br]SDW 노던 스테이츠 텔레비전 챔피언 1회[br]UP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SNS''' || [[https://www.instagram.com/scrapdaddya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crapDaddyAP, 크기=24)] || == 개요 == 미국 출신의 前 프로레슬러, 現 [[WWE]] 프로듀서. 선수 시절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 NWA 브리티시 커먼웰스 헤비급 챔피언, PWG 월드 챔피언 경력이 있고 NWA 명예의 전당 회원이며 WWE 퍼포먼스 센터의 트레이너와 코치를 역임했다. 현재는 [[WWE RAW]]의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경력 == === 독립 단체 활동과 프로모션(1996~2012) === 애덤 피어스는 1996년 5월 16일 프로레슬러로 데뷔전을 치뤘다. 이후 댄 커티스가 회장으로 있던 NSWA에서 활동하게 된다. IWA로 건너가 IWA 미드사우스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사실은 애덤 피어스는 단순히 선수가 아니라 프로모터로 활동하기 위하여 레슬러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이었으며 [[콜트 카바나]]와 --동갑내기-- [[CM 펑크]]를 발굴하여 이들의 스승으로도 활동하였다. 2012년 8월에 WWE 트라이아웃에 응시하고, WWE 퍼포먼스센터에서 코치와 트레이너, 그리고 TV 및 라이브 이벤트 프로듀서 업무를 맡았다. 그리고 2014년을 마지막으로 현역 레슬러 생활을 청산하고 백스테이지 업무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https://wrestlingheadlines.com/adam-pearce-shares-heartfelt-message-about-his-decision-to-stop-wrestling-and-work-as-a-producer-and-coach-with-wwe/|본인이 말 한 바에 따르면]] 누적된 부상도 있고, 오랫동안 레슬러 생활을 하면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쳤으며, 현역선수 생활은 지쳤지만 업계에서는 꾸준히 일하고 싶었기에 스스로 레슬러를 그만 뒀을때를 생각해서 꾸준히 훈련법 및 다른 유망주를 가르치는 노하우, 경기 부킹, 라이브 이벤트 제작, 각본 등 경기장 뒤에서 하는 여러 일에 대한 경험치를 키워두었다고 한다. === WWE의 총괄 프로듀서(2020 ~ 2023) === 2020년부터 RAW와 스맥다운에 번갈아가면서 얼굴을 자주 비치고 있다. 2021년 1월 9일자 스맥다운에서 유니버설 챔피언 [[로만 레인즈]]는 '자신은 WWE 라커룸의 모두를 사랑하며 돌보고 싶지만 애덤 피어스의 무리한 부킹으로 자신과 싸워야 했던 [[케빈 오웬스]]가 부상을 입었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당일 예정된 유니버설 챔피언 도전자 결정자를 가리는 5인 건틀릿 매치에 대해 불평한다. 곧이어 로만 레인즈의 매니저인 [[폴 헤이먼]]이 WWE 고위임원과 협의 끝에 5인 건틀릿 매치가 6인 건틀릿 매치로 변경되었으며 마지막 참가자는 애덤 피어스가 되었음을 알려온다. 현역에서 물러난지 꽤 된 애덤 피어스를 도전자로 만들어 로얄 럼블에서의 타이틀전을 날로 먹으려는 심산이었던 것. 건틀릿 매치에서 [[나카무라 신스케]]가 끝까지 살아남아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애덤 피어스를 기다리고 있었지만, 제이 우소를 대동하고 나온 로만 레인즈가 나카무라 신스케를 공격한 뒤 애덤 피어스를 링 위로 올려보낸다. 커버를 망설이는 애덤 피어스에게 제이 우소의 슈퍼킥이 날아들고, 결국 애덤 피어스가 반강제적으로 쓰러진 나카무라 신스케를 커버하고 3카운트를 따내며 유니버설 챔피언 도전자로 결정된다. 하지만 다음 주 자신을 대체할 선수로 케빈 오웬스를 소개하며, PPV에서의 맞대결은 피했다. 하지만 다음주 스맥다운에서 폴 헤이먼이 자신과의 경기를 제안하고 피어스가 받아들이면서 경기가 부킹되었지만, 링에 오르던 헤이먼이 계단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대체자로 로만을 내세우면서, 피어스는 결국 로만의 무차별 공격을 받고 패배하고 만다. 애덤 피어스가 NXT에서 열린 다코다 카이&라켈 곤잘레스 vs 셰이나 베이즐러&나이아 잭스의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경기에 쓰러닌 심판을 대신할 다른 심판을 내보내며, 다코다 카이와 라켈 곤잘레스의 패배를 이끌었다. 공동 오피셜이었던 소냐 드빌이 경질된 이후엔 단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후에도 난투극에서 선수들을 말리는 모습--[[극한직업]]--이나, 갈등이 있는 선수들--혈압제조기--의 매치업을 성사시키는 등 RAW나 스맥다운 양측에서 GM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며 자주 등장했다. === RAW의 제네럴 매니저 (2023 ~ ) === 2023년 10월 13일 스맥다운에서 RAW의 새로운 GM으로 임명되었고, 스맥다운은 [[닉 앨디스]]가 새로운 GM으로 임명되면서 업무를 분담하게 되었다. 이후 10월 20일 스맥다운에선 갑자기 경기장에 난입해 지미를 공격한 [[제이 우소]]에게 벌금 1만 달러를 부과하려는 닉 앨디스를 말리다가 제이와 함께 경기장에서 쫓겨나면서 양 브랜드 단장들간의 대립을 암시했다. 이후 11월 7일의 RAW에서 [[새미 제인]]과 [[세스 롤린스]]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타이틀 전이 끝난 후 [[저지먼트 데이(스테이블)|저지먼트 데이]]의 남성 맴버들이 나타나 새미와 세스를 공격하다가 코디와 제이까지 나와 상황을 개판으로 만들어서 그간 몇 개월간 지속되던 이 패턴에 대해 더는 참지 못하고 빡돌아서[* 당장 여론만 봐도 젓데 vs 반 젓데의 구도가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일명 재방송에 대한 거센 비판이 많아지는 상황이였다.] [[WWE 서바이버 시리즈(2023)|다가오는 서시]]때 [[저지먼트 데이(스테이블)|저지먼트]] [[JD 맥도나|데이]]와 반 저지먼트 데이(이하 [[코디 로즈]], [[제이 우소]], [[세스 롤린스]], [[새미 제인]])의 4 대 4 워게임즈를 확정 짓는다. == 둘러보기 == ||
<:>[[파일:NWA 명예의 전당.jpg|width=100%]]|| ||<:>'''2015년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5>
[[파일:UPWlogo.jpg|width=150]] || ||<-6> '''UP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프랭키 카자리안]][br]노바[br](2001) || → || '''애덤 피어스[br](2003)''' || → || 토니 스트래들린[br](2004) || ||||||||||
<:>[[파일:l_1adf255796a0483bbcfcf8e106a9669b.jpg|width=200]] || ||||||||||||<:> '''AWS NWA 헤리티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릴 촐로[br]B-보이[br](2002) || → || '''애덤 피어스[br](2006)''' || → || 올 카트라즈[br](2007) || ||<-5>
{{{#ffffff '''DOI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경기'''}}} || || 2006년 || 6월 18일[br]ROH Death Before Dishonor IV || 케이지 오브 데스 매치[br]'''팀 ROH'''[* '''애덤 피어스''', [[사모아 조]], [[호미사이드#s-3|호미사이드]], [[브라이언 다니엘슨]], 에이스 스틸, 벤자민 위트머] vs 팀 CZW[* [[크리스 히어로]], [[세자로|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 [[에디 킹스턴]], 네크로 부처, 네이트 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