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3>
{{{+1 '''{{{#white Alice Munro}}}'''}}} || ||<-3>[[파일:external/www.nobelprize.org/munro_postcard.jpg|width=100%]]||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문학상|{{{#white '''201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2> '''{{{#white 본명}}}''' ||앨리스 앤 먼로 (Alice Ann Munro)|| ||<-2> '''{{{#white 국적}}}'''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2> '''{{{#white 출생}}}''' ||[[1931년]] [[7월 10일]],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 주 윙햄|| ||<-2> '''{{{#white 학력}}}''' ||[[웨스턴 대학교]](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2> '''{{{#white 직업}}}''' ||[[소설가]]|| [목차] [clearfix] == 소개 == > '''현대 단편소설의 거장(Master of the contemporary short story)''' - 스웨덴 한림원, 노벨 문학상 선정사유[* 여담이지만,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의 선정 사유 중에 몇 안 되는 '''짧은 사유'''에 해당한다. 그만큼 그녀의 문학적 성과가 이론의 여지 없이 뛰어나다는 간접적인 증거인 셈.] [[캐나다]]의 작가. 농부인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를 읽고 '''그 결말이 너무 슬퍼서 결말을 다시 쓰는 식'''으로 글쓰기를 시작했다고 한다. 십대 때부터 단편을 착착 쓰기 시작했으며 대학생 때 이미 단편을 출간한 경험이 있다. 1968년에 여러 곳의 출판사로부터 거절당한 첫 소설집 《행복한 그림자의 춤》을 냈고 이 작품집으로 캐나다의 권위있는 문학상인 총독 문학상을 수상하며 문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캐나다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 단편소설 작가로 활동하며 단편집을 13권 발표하였고[* 사실 이 부분이 헷갈리는 게 그녀의 두 번째 소설집인 《소녀와 여성의 삶 Lives of Girls and Women》이 '''같은 주인공'''의 다른 면모를 작성한 단편들이다보니, 이것을 연작이나, 장편소설로 치는 평론가들 또한 많다고.] 전 세계 13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캐나다의 총독문학상을 세 차례 수상하였고 길러상을 2번,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오 헨리 상, 맨부커상 등 상을 받았다. 2012년 13번째 단편집 《디어 라이프》를 발표하며 절필 선언을 하여 사실상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2013년 10월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단편작가로는 최초의 수상이다. 수상 직후 판매량이 수상 전보다 1261배 증가(!)했다고 한다. [[http://news.donga.com/3/all/20151012/74114314/1|기사]] 《런어웨이》는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줄리에타]]의 원작이 되기도 했다. == 국내 출간작 == * 떠남 * 세상의 모든 크리스마스 - 칠면조 철 * 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 * 행복한 그림자의 춤 * 디어 라이프 * 런어웨이 * 거지소녀 == 여담 == * 대학생 때 그 지역에서 유일하게 장학금을 받고 다닌 것으로 유명했다. [[분류:캐나다의 소설가]][[분류:1931년 출생]][[분류:온타리오주 출신 인물]][[분류:노벨문학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