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팔레스타인 대통령)] [include(틀: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2> '''{{{#088A08 팔레스타인 초대 대통령}}}[br]{{{#088A08 {{{+1 야세르 아라파트}}}}}}[br]{{{#088A08 ياسر عرفات | Yasser Arafa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25f4736ba19550b164ef79f9465a7ff.jpg|width=100%]]}}} || || {{{#white '''본명''' }}} ||모함메드 압델라우프 아라파트 알쿠드와 알후세이니[br](محمد عبد الرؤوف عرفات القدوة الحسيني)[* ''Mohammed Abdel Raouf Arafat al-Qudwa al-Husseini''. 실질적인 본명은 모함메드(문헌에 따라서 모함메드 압델라흐만)이며 아라파트는 조부명에 해당한다.] || ||<|2> {{{#white '''출생''' }}} ||[[1929년]] [[8월 24일]]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width=30]] [[이집트 왕국]] [[카이로]] || ||<|2> {{{#white '''사망''' }}} ||[[2004년]] [[11월 11일]] (향년 75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일드프랑스]] [[오드센]] 클라마르(Clamart)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 ||<|4> {{{#white '''재임''' }}} ||팔레스타인 초대 대통령 || ||[[1994년]] [[7월 5일]] ~ [[2004년]] [[11월 11일]]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제3대 정부수반 || ||[[1969년]] [[2월 4일]] ~ [[2004년]] [[10월 29일]] || || {{{#white '''종교''' }}} ||[[수니파]] [[이슬람]] || || {{{#white '''정당''' }}} ||[include(틀:파타)] || || {{{#white '''신장''' }}} ||157cm || ||<|2> {{{#white '''가족''' }}} ||배우자 수하 아라파트 || ||딸 자흐와 아라파트 || || {{{#white '''서명'''}}} ||<-2>{{{#!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Yasser Arafat signature.svg|width=150]]}}} || ||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741111_400.jpg|width=2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는 한 손에 올리브 가지를 다른 한 손에는 자유를 위한 전사의 무기를 들고 여기에 왔습니다. 내 손의 올리브 가지를 던져 버리지 않게 하십시오.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에 전쟁이 벌어졌지만 그곳에서 평화가 다시 살아날 날이 올 것입니다." >---- >1974년 11월 13일 유엔총회 연설중 [[팔레스타인]]의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대통령]], [[독재자]]이다. 팔레스타인의 국부이자 위대한 해방 운동가, [[오슬로 협정]]을 통한 두 국가 체제 구축으로 높이 평가받지만, 반대로 이스라엘과 서방에 대한 수많은 테러를 일으켜 서방세계로부터 '현대 테러리즘의 아버지(father of modern terrorism)'라고도 불리는 인물이다.[[http://cbsnews.com/news/the-father-of-modern-terrorism|#]][[http://mycharisma.com/israeljewishroots/standing-with-israel/yasser-arafat-the-father-of-modern-terrorism|#]] == 생애 == 1929년 [[이집트 왕국]] [[카이로]]에서 [[팔레스타인인]] 출신인 부친 압델라우프 아라파트 알쿠드와 알후세이니와 [[예루살렘]] 출신인 모친 자흐와 아불사우드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카이로 푸아드 1세 왕립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토목기사로 일했다고 한다. 1956년 이집트군 장교로 [[수에즈 전쟁]]에 참가한 경력도 있다.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에 나서게 된 것은 1948년 [[1차 중동전쟁]]에 참가하면서 부터였다. 학창시절 팔레스타인 학생총연맹(GUPS)을 주도한데 이어, 1959년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출신이었던 살라흐 할라프(아부이야드)와 할릴 알와지르(아부지하드), 팔레스타인 학생총연맹 베이루트 지부의 대표였던 할레드 야슈루티와 함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모태가 된 대[[이스라엘]] 투쟁단체인 '[[파타]](파트흐)'를 창설했다. 1969년에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창설하면서 의장이 되었다. [[요르단]]과 [[레바논]], [[시리아]] 등지로 거점을 옮기며 '이스라엘의 멸망'을 목표로 잇단 항공기 납치와 주요 시설 파괴 등 수십차례에 걸쳐 대이스라엘 무장투쟁을 하였다. 이러한 무장활동은 아라파트에게 팔레스타인의 대표라는 위상을 주기도 했지만 [[테러리스트]]라는 악명도 안겼다. 이 과정에서 그는 체포위기에 몰렸을 때마다 뛰어난 변장술로 위기를 넘겨 중동의 오뚝이, 9개의 목숨을 가진 고양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특히 이스라엘의 암살시도를 40차례나 받았는데도 그때마다 잘 빠져나가 이스라엘 입장에선 골치아픈 인물이었다. 1972년에 PLO 산하 과격단체 '[[검은 9월단]]'의 이스라엘 선수단 살해 사건으로 국제 여론이 악화되자 아라파트는 국제 테러에 개입을 하지 않는다고 선언한 뒤 1988년 팔레스타인 독립선언 이후 협상전략으로 돌아섰고 1993년과 1994년에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를 인정하는 [[오슬로 협정]]과 카이로 협약을 각각 체결해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는 등 중동평화 정착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1995년에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지역을 3단계[* A지역은 안전 지역으로써 팔레스타인 완전 자치 구역, B지역은 위험한 지역으로 팔레스타인 부분 자치 지역, C지역은 극히 위험한 지역으로 이스라엘 완전 지배 지역. 이 3개로 나누어 점차 C지역을 B-A로 바꾼다는 협정이었다.]로 나눈 제2차 오슬로 협약을 마련하여 독립국가의 길이 형성되나 싶더니만... 제2차 오슬로 협약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인 1995년 11월 14일에 라빈 총리가 암살당하고 강경파들이 들어서면서 오슬로 협정이 사실상 폐기되고, 1996년 예루살렘 성전산 터널 공사 사태를 계기로 1997년에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에 마지못해 앉았으나 유대인 정착촌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했고, 대신 테러 용의자들을 풀어 이스라엘 안전 유지활동을 중지시켜 회담이 결렬됐다. 2000년 7월 캠프 데이비드 중동평화협상이 결렬되고 가을에 팔레스타인 자치 보장이 안될 시 최후통첩을 시사했으나, 아리엘 샤론 리쿠드당 총재가 템플마운트를 방문해 허사가 됐다. 이듬해 9.11 테러에 따른 미국 주도의 '테러와의 전쟁'을 계기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침공해 자치권을 박탈함으로써 그동안 이루어낸 노력이 허사가 되었다. 같은 시기 이스라엘은 라말라를 공격하여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에 부서진 라말라의 자치정부 청사에 사실상 갇혀 지내는 신세가 되었다.[* 이 당시 이스라엘 총리인 아리엘 샤론은 아라파트가 자치정부 청사에서 나온다면 생명을 보장못한다는 선언을 하여 사실상 나오기만 하면 죽는다고 협박했다.] 같은 시기에는 강경파 독립운동조직 '[[하마스]]'의 대두와 도전에 시달리기도 했다. 2004년, 신병치료를 위해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로 후송되어 저녁을 먹던 도중 갑자기 구토를 하고 쓰러졌다. 곧바로 프랑스 파리 인근 군사병원으로 후송되었으나, 평생을 바래 온 완전 독립국가 건설을 못 보고 75세로 사망한다. 사후 독살 의혹이 있었으나 프랑스 연구진의 결과로는 유언비어였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여러차례에 걸친 유럽 여러나라 연구기관들의 독립적 연구 결과에서 [[폴로늄]] 중독에 의한 사망을 강하게 시사하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사실 이 의혹이 도는 이유가 아라파트가 청사에 갇혀살며 이스라엘 정부의 검사를 거친 음식만 먹었기에 팔레스타인인들이 제기하는 것이다. 실제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37&aid=0000013404|근 10년만에 유족과 자치 정부가 유해를 꺼내 스위스 법의학센터로 보낸 결과 상당량의 폴로늄 210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이스라엘]]의 공작이 아니냐, 엄밀히 말하자면 이스라엘 첩보기구 [[모사드]]를 의심하고 있지만 이스라엘 측에서는 부인하고 있다.[* 실제로 이스라엘 정부는 1997년에 하마스 지도자들을 독살하려고 하다가 들켜서 실패했다. 수십차례 아라파트를 암살하려 기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스라엘 정보기관이 아라파트가 자연사하도록 내버려 뒀으리라 믿기가 더 어려울 정도.] 본인은 예루살렘에 묻히길 원했으나 이스라엘 정부의 결사반대로 못하고 이집트에서 장례식을 치룬다음 서안지구 라말라에 묻혔다. 가족으로는 아내 수하 알타윌과[* 근데 아내와의 나이차가 34세나 난다.] 딸 자흐와가 있다. 그의 후계자들인 [[파타]]당은 아라파트의 상징과도 같던 [[케피예]]를 여전히 자신들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단, 케피예를 매는 방식만큼은 아라파트의 유일한 상징으로 아무도 흉내내지 않았다. 이 케피예가 서방에도 인상적이었던지, 프랑스에서 나온 "세상을 지배하는 개들"이라는 세계 정치인 캐리커처 책에서는 이 케피예를 '언제든 협상 테이블을 마련할 수 있게끔 휴대하고 다니는 식탁보'로 묘사했다. 상대적 온건파로서의 인물 평도 살린 셈.] 팔레스타인 온건파 정당으로, 지금도 이스라엘과의 공존 방안을 모색한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오슬로 협정]]을 맺고 부정부패와 무능함 때문에 지지율을 크게 잃어, 결국 [[하마스]]에게 밀려난다. == 여담 == * 키가 157cm로 키가 엄청나게 작았다. 덕분에 [[베니토 후아레스]]와 [[엥겔베르트 돌푸스]], [[다비드 벤구리온]]에 이어 인류 역사상 키가 가장 작은 국가 원수 4위에 올라와 있다.(...) * [[골다 메이어]]는 아라파트를 몹시도 증오해서 인간도 아니고 짐승 새끼에 불과하다고 씹어뱉었다. [[오리아나 팔라치]]와의 인터뷰에서 메이어는 [[사다트]]라던가 [[후세인 1세]]와는 얼마든지 대화하겠지만 오로지 죽이는데 환장한 아라파트나 검은 9월단 떨거지들과는 전혀 상종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나중에 노벨평화상 받던 이미지만 남아서 그렇지 70년대에는 유대인, 아랍인, 유럽인 할 것 없이 수틀리면 다 날려버리는 상당히 악명높은 이미지였고 당시 중동 문제를 협상하던 미국 외교관들 회고록에도 민주당, 공화당할 것 없이 상당한 악담이 적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팔레스타인 관련 문서)] ||<-5> ''' [[1993년|{{{#white 1993년}}}]] [[타임(주간지)|{{{#white 타임지}}}]] {{{#white 선정}}} [[올해의 인물|{{{#white 올해의 인물}}}]]'''[br]''{{{#ffffff Time Man of the Year 1993}}}'' || ||<-5> [[파일:attachment/1993time.jpg|width=190]] || || [[빌 클린턴]][br][[올해의 인물/1990년대|1992]] || → || '''피스메이커'''[br]''평화이식자''[* 분란의 땅에 평화를 이식한 협약의 체결자들을 말한다. 93년, 94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넬슨 만델라]]와 더불어 야세르 아라파트, [[이츠하크 라빈]] 총리, 남아공 대통령 클레르크가 공동 선정되었다. 그만큼 중요한 협약들이 같은 해에 체결되었다는 이야기. ~~물론 둘 다 다른 의미의 헬게이트를 불러왔지만~~ 여하간 이 4명 가운데서도 가장 피스메이커에 걸맞는 인물은 역시 만델라밖에 없다.][br][[올해의 인물/1990년대|1993]] || → || [[요한 바오로 2세]][br][[올해의 인물/1990년대|1994]] || ||<-5> '''< [[199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 1993 - [[넬슨 만델라]][br][[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0%88%EB%8D%B0%EB%A6%AC%ED%81%AC_%EB%B9%8C%EB%A0%98_%EB%8D%B0_%ED%81%B4%EB%A0%88%EB%A5%B4%ED%81%AC|프레데리크 데클레르크]] || → || [[이츠하크 라빈]][br]'''야세르 아라파트'''[br][[시몬 페레스]] || → || 1995 - 조지프 로트블랫[br]퍼그워시 회의 || [각주] [[분류:노벨평화상 수상자]][[분류:독살된 인물]][[분류:1929년 출생]][[분류:2004년 사망]][[분류:카이로 출신 인물]][[분류:팔레스타인의 독립운동가]][[분류:팔레스타인 대통령]][[분류:카이로 대학교 출신]][[분류:이집트-팔레스타인 관계]][[분류:공화국영웅]][[분류:아시아의 독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