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약초'''([[藥]][[草]], medicinal herb)는 가공하면 [[약]]으로 쓸 수 있거나 약효를 함유한 [[식물]]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초본식물 외에도 목본식물, [[버섯]] 등의 균류나 [[세균]]류도 넓은 범위로는 약초에 포함된다. 영단어 '''[[허브(식물)|허브]]'''(herb)는 약초와 향신료, 찻잎 등 식재[* 한국에서 반찬으로 즐겨 먹는 들깻잎이나 미나리, '''마늘''', 파, 부추도 전부 허브의 일종이다.]를 모두 지칭하기 때문에 약초라는 의미를 강조할 경우 '메디시널 허브' 또는 '메디컬 허브'라고 부른다. == 역사 == [[인간]]이 [[식물]]을 약용으로 쓴 것은 [[선사시대]]부터이며, 약 4800년 전 [[중국 신화]]에서 [[신농]]이 [[약]]으로 [[식물]]을 이용했다는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독초]] 항목에도 있듯이 약초는 대부분 독초이기도 하다. 인체의 생리현상을 바꾸는 힘을 지닌 독을 희석하고 제어해 병을 고치는 것이 본초학의 시작이다. 따라서 약초를 쓸 때는 전문가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약재]]는 [[버섯]], 균류, 나무, 광물[* 한때 한약으로 취급된 [[오석산]] 역시도 그 재료는 광물이다. 애초에 이름부터가 다섯 종류의 광물이라는 뜻이다.] 등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약초를 말려놓거나 혹은 약초의 [[종자]]를 가공해서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해둔 것이다. [[아마조니아]] 같은 [[열대우림]]에서는 약초만 해도 수만 가지 종류에 달하며 양도 상상을 초월하게 많고, 비교적 최근에 나온 약은 전부 열대우림에서 나온 약초에서 추출한 약이다. 특히 이런 약초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남아메리카]] 원주민에 의해 전해 내려올 뿐이었지만, [[브라질]] 같은 국가가 거대한 연구소를 세우고 열대우림의 식물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면서 제약업계의 보고가 되었다. == 매체 == === RPG 게임에서의 약초 === 보통은 초반부터 얻을 수 있는 회복 아이템으로 회복량도 극히 미미하게 나오는 것으로 자주 나온다. 하지만 이걸 쓸 때는 보통 체력도 겨우 20~100대에서 오락가락 할 시점이고 회복마법을 쓰지 못하거나 아직 못얻은 시점이 많은 만큼 그 당시에서는 소중한 회복 아이템이다. 동양풍 RPG에서도 대표적인 회복약인 [[금창약]]이 안 나오면, 이것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런 약초는 [[드래곤 퀘스트]]의 '약초'가 대표적인 듯.[* 사실 드퀘에서의 회복수단은 [[베호이미]] 같은 주문에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금 가마솥]]이 등장하는 [[드퀘8]]이 나오기 전까지는 소모성 HP 회복 아이템이 약초 하나뿐이라 MP가 다떨어지고 [[현자의 돌]]도 없는 상황이라면 회복량이 겨우 30~50 정도에 불과한 약초로 회복을 해야하는 상황이 생긴다. 연금이 생긴 이후에는 회복량이 많은 상약초나 특약초가 나오게 되긴 했지만.] [[파이널 판타지]]에서는 [[포션]]을 도입했고, 이쪽이 더 그럴 듯해 보였는지 요즘은 풀 뜯어먹는 [[RPG]]는 찾기 어렵게 되었다. [[용사 30]]에서는 그야말로 엘릭서. 아마 [[드래곤 퀘스트]]의 오마쥬인 듯. 체력이 1밖에 안 남아도 체력이 꽉 찬다. 약초가 여러 종류 비싸든 싸든 효과는 동일. 참고로 용자300에서는 초마왕과 누아르를 연달아 상대해야 하므로 이것이 없으면 최종보스를 깨기 힘들다. === [[마비노기]]에서의 약초 === [[던전]]에서 자라는 [[허브(식물)|허브]]를 [[약초학]] 스킬이 있을 경우, 채취해서 여러 재료들을 더 추가해 [[포션 조제]] 스킬로 [[포션]]을 만들수 있다. 허브 차체만으로는 별 효과가 없다. * 베이스 허브(녹색 약초) - 모든 포션의 기본이 되는 허브 * 블러디 허브(붉은 약초) - 생명력 포션의 기초 재료 * 마나 허브(푸른 약초) - 마나 포션의 기초 재료, 축포와 함께 역 인챈트에도 사용된다. [[곰]]에게 선물하면 좋아한다. (...) * 썬라이트 허브(노란 약초) - 스태마나 포션의 기초 재료, 축포와 함께 역인챈트 의뢰에 사용된다. * 골드 허브(금색 약초) - 부상 치료 포션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 화이트 허브(하얀색 약초) - 정령의 리큐르 제조와, --숲 [[골렘(마비노기)|골렘]]의 결정 제조--의 재료. * 만드레이크(주황색 약초) - 생명력 + 스태미나 포션 제조에 쓰이는 촉매성 허브. * 포이즌 허브(보라색 약초) - [[독극물|독]] 포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 해독초(상아색 약초) - 해독 포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 못쓰게 된 허브 - 합성 재료(합성지염 등). 과거에는 허브 채취 실패시에 나왔지만 지금은 [[낚시]]나 몹들이 드랍하는 경우, 실리엔에서 허브 및 실리엔 채집에 실패하는 경우에 볼수 있다. ===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약초 === 푸른색 [[버섯]]과 같이 빈 병에 갈아 넣으면 [[회복약]]이 되는 신비의 [[식물]]. 맵에 존재하는 벌통이나 농장의 양봉장에서 [[꿀]]을 채취하여, 회복약에 섞으면 [[회복약]]G가 된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약초 === 허브라는 명칭으로 나온다. 필드 곳곳에 존재하는 화분에 심어져 있는 모습로 등장하는데, 항 [[T 바이러스]] 성분이라도 들어있는지, [[좀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좀비]]에게 여기저기 물어 뜯겨 빈사상태가 되어도, 허브 몇 개나 혹은 갈아서 농축시킨 플라스크 한 병 원샷이면 거짓말처럼 나아버린다. * 그린 허브 : 체력을 회복한다. * 블루 허브 : 독을 치료한다. * 레드 허브 : 그린 허브와 조합하면 효과를 2배. [[허브(바이오하자드 시리즈)]] 참조.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약초 === 전문기술인 약초채집으로 채집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약초로는 포션 정도를 만들거나 아예 생식하는 게임이 많은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약초로 체력 포션은 물론이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비약과 영약, 그리고 아예 약초를 갈아서 잉크로 사용하는 전문기술인 주문각인까지 있다. 약초를 채집하는 전문기술에 대해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전문 기술]] 문서의 약초채집 문단을, 그리고 약초를 활용하는 전문기술에 대해서는 같은 문서의 연금술과 주문각인 문서를 참고. 각 약초의 종류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자원]] 문서를 참고. [[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