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SC 안데를레흐트/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E52B2E 40%, #1a1a1a 40%, #E52B2E 55%, #1a1a1a 50%, #E52B2E 50%, #E52B2E 70%, #1a1a1a 70%, #E52B2E 75%, #1a1a1a 80%, #E52B2E 80%)" {{{#FDDA25 '''얀 베르통언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html AFC 아약스 주장}}}''' }}} || ||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br]{{{-1 (2011) }}} || {{{+1 {{{#b8042b ▶ }}} }}} || '''{{{#ffffff 얀 베르통언[br]{{{-1 (2011~2012)}}}}}}''' || {{{+1 {{{#b8042b ▶ }}} }}} || [[심 더용]][br]{{{-1 (2012~2014)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93996 0%, #393996 30%, #393996 70%, #393996)" {{{#fff200 ''' RSC 안데를레흐트 주장 ''' }}} }}} || || [[헨드릭 판크롬브뤼허]][br]{{{-1 (2020~2023) }}} || {{{+1 {{{#393996 ▶ }}} }}} || '''{{{#393996 얀 베르통언[br]{{{-1 (2023~)}}}}}}''' || {{{+1 {{{#393996 ▶ }}} }}} || ''현직'' || ---- [include(틀:벨기에 프로 리그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E52B2E 40%, #1a1a1a 40%, #E52B2E 55%, #1a1a1a 50%, #E52B2E 50%, #E52B2E 70%, #1a1a1a 70%, #E52B2E 75%, #1a1a1a 80%, #E52B2E 80%)" {{{#FDDA25 '''얀 베르통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AFC 아약스 올해의 선수(2010년대)|[[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틀:AFC 아약스 올해의 선수(2010년대)|{{{#d50032 '''2011-12 아약스 올해의 선수''' }}}]]}}} || [[틀:토트넘 홋스퍼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0.9em" [[틀:토트넘 홋스퍼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ffffff '''2017-18 토트넘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PFA 올해의 팀|[[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PFA 올해의 팀|{{{#c18e33 '''PFA 올해의 팀'''}}}]]}}} ||<-3>[[틀:2012-13 PFA 올해의 팀|2012-13]] · [[틀:2017-18 PFA 올해의 팀|2017-18]] || ||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18-19 베스트팀|[[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18-19 베스트팀|{{{#ffffff '''2018-19 UCL'''}}}]]}}}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E52B2E 40%, #1a1a1a 40%, #E52B2E 55%, #1a1a1a 50%, #E52B2E 50%, #E52B2E 70%, #1a1a1a 70%, #E52B2E 75%, #1a1a1a 80%, #E52B2E 80%)" {{{#FDDA25 '''얀 베르통언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벨기에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55c03c-6b1d-4030-b3f5-aca1b221adfe.png|width=100%]]}}} || ||<-4> '''{{{#fff200 RSC 안데를레흐트 No. 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200; font-size: .8em" {{{#393996 '''C'''}}}}}} || ||<-4> '''{{{#393996 {{{+1 얀 베르통언}}} [br] Jan Vertonghen}}}''' || ||<-2> '''본명''' ||<-2>얀 베르트 리버 페르통언 [br] Jan Bert Lieve Vertonghen || ||<|2><-2> '''출생''' ||<-2>[[1987년]] [[4월 24일]] ([age(1987-04-24)]세) || ||<-2>{{{-1 [[벨기에]] 신트니클라스}}}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 '''신체''' ||<-2>[[키(신체)|키]] 189cm / [[체중]] 88kg || ||<-2> '''포지션''' ||<-2>[[센터백]][* [[레프트백]]도 가능하며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뛴 적이 있다.] || ||<-2> '''주발''' ||<-2>왼발 || ||<|2> '''소속''' || '''유스''' ||<-2>VK 티엘로데 (1997~2000) [br] [[K 베이르스홋 VA|베이르스홋 AC]] (2000~2003) [br] [[AFC 아약스]] (2003~2006) || || '''선수''' ||<-2>'''[[AFC 아약스]] (2006~2012)''' [br] → {{{-1 [[RKC 발베이크]] (2006~2007 / ^^임대^^)}}} [br] '''[[토트넘 홋스퍼 FC]] (2012~2020)''' [br] [[SL 벤피카]] (2020~2022) [br] [[RSC 안데를레흐트]] (2022~ ) || ||<-2> '''국가대표''' ||<-2>'''153경기'''[*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자.] 10골[* 2023년 11월 20일 기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2006~ )^^ || ||<-2> '''SNS''' ||<-2>[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nvertonghen,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jvertongh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4>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200 등번호}}}'''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대표팀]] - 5번 [br] [[AFC 아약스]] - '''4번''' [br] [[토트넘 홋스퍼 FC]] - '''5번''' [br] [[SL 벤피카]] - 5번 [br] [[RSC 안데를레흐트]] - 14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 국적, [[RSC 안데를레흐트]] 소속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홋스퍼]]에서 8년 동안 활약하며 [[PFA 올해의 팀]]에 2회,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UCL 시즌의 팀]]에 1회 선정되는 등 토트넘의 중앙 수비를 책임졌고 [[UEFA 챔피언스 리그|UCL]] 준우승과 [[프리미어 리그]] 2위 달성에 일조하였다. 2016-17 시즌에는 [[토비 알데르베이럴트]]와 철벽 수비진을 구축하면서 리그 최소 실점을 기록하는 등 2010년대 중후반 [[DESK]] 라인과 함께 토트넘을 PL 빅6로 끌어올린 주역 중 한명이다. 또한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대표팀]]에서도 최다 출전 기록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조국을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3위로 이끌었다. == [[얀 베르통언/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얀 베르통언/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파일:Super_Jan_Belgium.jpg]] [[파일:Screenshot_2018-06-03-14-50-01.png]] [[파일:Screenshot_2018-06-03-14-49-24.png]] 2006년 U-21 벨기에 대표로 데뷔해 2007년 [[UEFA U-21 챔피언십]]에 출전하였다. 6월 21일, 포르투갈 전에서 벨기에 A 대표로 데뷔하였다. 2008년에는 U-23 벨기에 대표로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해 4위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0 FIFA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 주전자리를 꿰차며 클럽에서도 콤비였던 [[토마스 베르마엘렌]]과 센터백 콤비를 이루었다. 2009년 8월 12일, 체코 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첫 골이 되는 선제골을 넣었다. 2018년 6월 2일날 열린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 100경기째 출전하여 벨기에 최초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다. 2020-21 네이션스리그 A 그룹 2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주장 완장을 차고 나와 수비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다음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이슬란드]]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자신의 120번째 국가대표 경기를 달성하며 계속해서 벨기에 국가대표 최다 출전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2023년 9월 12일, [[UEFA 유로 2024/예선/F조#s-7.1|UEFA 유로 2024 예선 F조]]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스토니아]]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자신의 150번째 국가대표 경기를 달성했다.[[https://twitter.com/BelRedDevils/status/1701668976147787796|#]]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 좋은 센터백 자원이 넘치는 벨기에 상황 상 중앙은 [[뱅상 콩파니|콩파니]]와 [[다니엘 반부이텐|반 바이텐]]에게 맡기고 레프트백으로 활약중이다. 그리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H조#s-7|3차전 경기인 한국전]]에서 동료 선수 [[디보크 오리기|오리기]]가 찬 슛이 [[김승규]] 골키퍼의 선방에 막혀 흘러나오자 2선에서 쇄도하여 그대로 결승골을 뽑아냈으며, 결국 베르통언의 결승골은 벨기에의 조별 리그 전승을 확정짓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물론 이 골은 [[오프사이드]]이다.] 또한 한국전에서 [[Man of the Match|MOM]] 수상을 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경기 종료 후 서럽게 울던 손흥민은 훗날 베르통언과 [[토트넘 홋스퍼 FC|같은 클럽]]에서 뛰게 되었다. 참고로 스퍼스TV에서의 인터뷰에서 이 경기가 월드컵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U_saqWz5Hk|손흥민에게 계속 미안하다는건 덤(...).]]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 조별 리그에서는 준수한 모습으로 3전 전승으로 16강 진출에 기여하였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16강전에서 본인의 볼 터치 미스로 선취골을 헌납하고 멘탈이 나간 듯한 수비력을 보여주었지만 후반전 0-2로 뒤진 상황에서 상대팀 수비수가 걷어낸 볼을 측면 장거리 위치에서 헤딩슛을 때리며 골을 기록했다. 일명 '''독수리 헤딩슛.''' 연달아 [[마루앙 펠라이니|펠라이니]], [[나세르 샤들리|샤들리]]가 골을 기록하며 3-2로 벨기에가 역전승을 거두었다. 여러모로 [[가와시마 에이지|골키퍼]]의 미숙함을 잘 보여준 골이였다.[* 2022년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무대에서 한국과 일본 상대로 모두 득점에 성공한 '''유일한 선수이다.''']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8강전에서는 [[로베르토 마르티네스]]의 변칙 전술의 수비적인 핵심이 베르통언이었다. 3-4-2-1에서는 중앙 수비, 4-3-3에서는 왼쪽 풀백을 소화했고 1골만을 실점하고 안정적인 수비로 리드를 지켜내면서 팀은 2:1로 승리했다. 결국 준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준결승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전에서는 후반전 막판에 비정상적으로 시간을 끄는 비매너성 플레이를 선보이던 [[킬리안 음바페]]를 [[을용타|뒤에서 때리면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ootball_new6&no=449137&page=1|엄청난 참교육을 보여주었다.]][* 베르통언은 축구 경기 중 지연행위에 강하게 반대를 하는 사람 중 하나이다. 경기 시간 중 드러눕는 등 시간 끄는 건 아예 빼버리고 실제 경기 시간 60분으로 하자는 주장도 한 바 있다.[[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2/04/22/GUCFJT7FQAOTIK36425IKT44Q4/%3foutputType=amp|#]]] 다만 팀은 프랑스에 0대1로 지는 바람에 아쉽게도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7월 15일에 펼쳐진 [[3위 결정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도 풀백으로 선발출전하여 벨기에가 상대를 그야말로 압도하는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별다른 위기 없이 경기를 펼쳤으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하면서 2대0 승리를 거두어 3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 [[UEFA 유로 2020]] === 8강전에서 이탈리아에게 1-2로 패하였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대표팀의 맏형으로써 이번에도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 탈락이라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주장인 아자르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주장 완장이 부주장인 베르통언에게 넘어오는 듯 했으나 베르통언이 주장단에서 내려오면서 더 이상 완장을 찰 일은 없을 듯 하다.[* 완장은 더브라위너에게 넘어갔다.] 다만 국대 은퇴를 선언하지 않은 이상 최소 유로 2024까지는 뛰고 싶어하는 듯 하다. === [[UEFA 유로 2024]] === == 플레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qOXfGmIHlQ,width=100%)]}}}|| 주 포지션은 [[센터백]]으로 [[레프트백]]까지 소화 가능한 선수로, 공수양면으로 뛰어난 플레이를 펼친다. 베르통언은 아약스 출신답게 발밑이 부드럽고 후방 빌드업에 두각을 드러내는데,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직접 '''수비라인에서부터 치고 들어오는 전진 드리블'''을 시도하며, 좋은 발밑을 바탕으로 하는 '''왼발 킥과 패싱력'''도 갖추고 있다. 특히 베르통언의 간헐적인 전진 드리블은 토트넘이 어려운 상황에 놓였을 때 수비 분산을 유도하여 분위기 전환의 시작점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알데르베이럴트가 부상일 때에는 경험적으로 미숙한 [[다빈손 산체스]]의 실수를 메꾸는 슈퍼플레이를 매경기 보여주며 토트넘 수비의 핵심임을 증명했다.] 레프트백으로 나올 때에도 좋은 발밑을 활용해 매끄러운 빌드업 전개는 물론, 좋은 킥을 바탕으로 날카로운 크로스까지 보여준다.[* 토트넘 첫 시즌에는 당시 주전풀백이었던 에코토의 이탈로 [[레프트백]]으로도 많이 출전했었다.] 현대 축구에서 귀하디 귀한 왼발잡이 센터백이 레프트백도 가능할 만큼의 준수한 스피드에 후방 빌드업 능력까지 갖춘 것은 베르통언의 가치를 높이는 요소다. 수비수로서 베르통언은 전진 수비를 자주 시도했는데, 특히 상대의 '''1차 빌드업 차단 능력'''에서 각광을 받았다. 상대가 자기 진영에서 나가려고 전진 패스를 할 때 카메라에 안 보이는 위치에서부터 돌진해 공을 뺏는 모습은 탄성이 나올 정도. 포체티노 체제 하에서는 동료들의 상황에 따라 전진해야 할 때와 자제할 때를 구분하기 시작하면서, 한층 성숙된 센터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백 전술일 때는 최후방에 위치하면서 후방 커버과 대열 유지에 신경을 많이 쓰고 다이어가 가담하여 수비부담이 적은 3백 전술에서는 본인의 장기인 드리블 쇄도, 커팅, 중거리 슛 등을 과감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수비시에는 특히 깔끔하게 공만 빼내는 슬라이딩 태클이 일품이다. '''189cm의 든든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하는 경합 능력'''은 물론, '''좋은 위치선정과 헤더 스킬'''까지 갖추고 있기에 세트피스 상황에서 헤더 한 방으로 득점을 만들어내거나,[* 12/13 시즌 3월 한 달 동안 3골을 넣으며 이 달의 선수상을 타는 등 골 넣는 수비수의 면모까지 갖추고 있다.] 수비 시 자신의 좋은 피지컬을 적극 활용한다. 토트넘 초기에는 189cm의 거구임에도 스피드 역시 준수해서 막기 골치 아픈 유형의 선수였으나, 13-14 프리 시즌 투어 때 큰 무릎 부상, 이어서 시즌 초에 발목 부상을 당한 후로 주력은 상당히 느려졌다. 덕분에 예전 같지 않은 몸으로 무리하게 전진하다가 실수도 굉장히 많이 나왔다.[* 특히 [[팀 셔우드]] 감독이 부임했을 때에는 폼 저하와 더불어 베르통언을 잘 쓰지 못한 감독에다, 파트너인 도슨의 부진까지 겹쳐 수비 못하는 수비수로 불렸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AFC 아약스]] (2006~2012) * [[에레디비시]]: 2010-11, 2011-12 * [[KNVB 베이커]]: 2006-07, 2009-10 * [[SL 벤피카]] (2020~2022) * [[프리메이라 리가]]: 2022-23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3위: 2018 === 개인 수상 ===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8-19 * 네덜란드 올해의 축구 선수[* Dutch Footballer of the Year]: 2011-12 * [[PFA 올해의 팀]]: 2012-13, 2017-18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2013년 3월 * 아약스 올해의 선수: 2011-12 * 아약스 올해의 재능: 2007-08 * RBFA[* 벨기에 왕립 축구 협회] 125년 아이콘팀: 2020[* [[https://www.rbfa.be/en/iconsteam|링크]]] * IFFHS 올타임 벨기에 드림팀: 2021 == 여담 == [[파일:Tottenham-Hotspur-v-Chelsea-Premier-League.jpg]] * 첼시의 [[페르난도 토레스]]에게 경기 중 볼을 할퀴어진 적이 있다. 경기 내내 토트넘 수비진에게 막힌 토레스는 사이드라인에서 베르통언과 볼다툼을 하다 베르통언을 걸어 넘어뜨려 공격자 파울로 공격권을 넘겨 주었고, 베르통언이 다이빙을 했다고 생각했는지 이러한 행동을 보였다. 이로인해 경고를 받았고, 이후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제자리 점프를 하는 베르통언을 러닝 점프로 가격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다. * 13-14 시즌 PL에서 경기 도중에 넘어지면서 얼떨결에 아스톤빌라 소속이었던 덴마크 스트라이커 니클라스 헬레니우스의 바지를 벗긴 적이 있다. [[https://www.balls.ie/football/vertonghen-pulls-down-shorts-97934|후방 주의]] * 노래를 정말 못 한다. [[https://youtu.be/oUAHWcTZVcI?t=52|52초부터]] --패닉에 빠진 [[손흥민|이 분]]은 덤-- --정작 본인은 잘했다며 뿌듯해한다.-- * 토트넘을 떠났지만 여전히 토트넘 소속 선수들과 소통을 하면서 친분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 벤피카 이적 후 19-20 시즌 부진에 대해 9개윌간 뇌진탕 후유증이 심했었다고 인터뷰했다. * [[손흥민]]이 [[FIFA 푸스카스상]] 수상 이후 영상 통화를 하기도 했다. 당시 어시스트가 베르통언이었다.--베르통언 0.9골-- * [[토비 알데르베이럴트]]이랑 국가대표, 아약스, 토트넘 시절 계속 함께 붙어있다가 계약이 끝난후 둘은 아쉽게 헤어졌다. === 슈퍼 얀(Super Jan) === [[파일:슈퍼얀.gif]] [[올드 트래포드]] 원정에서 좌측 사이드라인을 따라 페널티 박스까지 돌파 후 득점하고 나온 슈퍼맨 셀레브레이션. 포지션 때문에 한 시즌에 몇 번 볼 수 없는 희소성 있는 세리머니이지만, 이후로 골을 넣을 때마다 이 세리머니를 하면서 '''슈퍼 얀'''이라는 별명과 함께 그의 상징이 되었다. 12-13시즌 4골을 넣으며 골 넣는 수비수로 유명해졌지만 정작 그 시즌 이후로 리그에서는 득점을 못 하고 있다. [[https://www.premierleague.com/players/4666/Jan-Vertonghen/overview|베르통언의 프리미어리그 골 기록]] 특히나 14-15 시즌 22라운드 선덜랜드전에서는 2골을 넣었으나 첫 번째 골은 수비수의 자책골로 기록되었고 두 번째 골은 [[https://youtu.be/-dGjhK9188c|부심의 오심으로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면서 취소되고 말았다.]] 본인도 인터뷰를 통해 리그에서 골 운이 안 따라 주는 게 동료들한테 좋은 농담 소재로 쓰이고 있다고 밝혔다.[* 16-17 시즌 맨유전에서 기막히게 감아 찬 슛이 데 헤아의 슈퍼 세이브에 막힌다든가, 17-18 시즌 리버풀전에서 좋은 볼 컨트롤 이후 찬 슛이 골키퍼까지 뚫었는데 피르미누한테 막힌다든가... 세컨볼을 골로 연결시킨 케인이 세리머니하러 달려가는 장면 뒤에 뒷목을 부여 잡는 베르통언의 모습에서 골에 대한 갈망이 보인다.] 그러다가 18-19 시즌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드디어 득점에 성공하였다. 챔스 16강 1차전 도르트문트전에서 골을 넣은 후 했던 셀레브레이션은 전설이 되었다.[* MOM을 받은 해당 경기에서의 활약상(무려 윙백으로 출전, 1골 1어시를 기록했다!)과 셀레브레이션과 동시에 스코어보드가 올라가는 모습, 사진과 영상들의 멋진 각도, 18-19시즌 토트넘의 역사적인 챔스 결승 진출 덕분에 베르통언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진으로 남았다.] 19-20 시즌에도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의 경기에서 91분에 극장 결승골을 성공시키면서 슈퍼맨 세리머니를 선보이게 되었다. 19-20 시즌 FA컵 16강 노리치 전에서도 전반 13분, [[지오바니 로셀소]]가 올린 프리킥을 헤더골로 성공시키면서 슈퍼맨 세레머니를 선보였다.[* 이때 전 경기에서 좋지 못한 기량을 보여줘서 55분이라는 이른시간에 교체되었고, 자기 또한 충격을 받은 듯 벤치에 앉아 고민하고 있는 모습이 팬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무리뉴에게 증명하듯 선제골을 넣었다.] === [[외모]] === [[파일:베르통언1.jpg]] [[파일:베르통언2.jpg]] 훈훈한 외모로 인기가 많다. 토트넘 시절 함께 뛰는 선수들 중 훈훈한 외모를 소유한 선수가 많았고 오랜 시간 짝을 맞춘 벨기에 센터백 듀오인 [[토비 알데르베이럴트]]의 외모도 뛰어나 미남 센터백 듀오로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이 미남 구단이란 소리를 듣는데 한몫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RSC 안데를레흐트)] [include(틀: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벨기에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신트니클라스 출신 인물]][[분류:1987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RKC 발베이크/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분류:SL 벤피카/은퇴, 이적]][[분류:RSC 안데를레흐트/현역]][[분류:벨기에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벨기에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분류: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선수]][[분류:벨기에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