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년 항공사고]][[분류:대한항공/사건 사고]][[분류:태국의 재난]][[분류:미얀마의 사건 사고]][[분류:지상충돌]][[분류:양곤]][[분류:A330/사건 사고]][[분류:ATR 72/사건 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2>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KE472)'''}}} || || '''발생일''' ||[[2015년]] [[2월 13일]]|| || '''유형''' ||지상충돌 || || '''발생 위치''' ||[[양곤 국제공항]]|| ||<|2> '''탑승인원''' ||승객: 134명|| ||승무원: 11명|| || '''생존자''' ||'''탑승객 145명 전원 생존'''|| || '''기종''' ||[[A330|A330-223]]|| || '''항공사''' ||[[대한항공|[[파일:대한항공 로고.svg|width=100]]]]|| || '''기체 등록번호''' ||HL7538|| || '''출발지''' ||[[양곤 국제공항]]|| || '''도착지''' ||[[인천국제공항]]|| ||<-2> || ||<-2>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방콕에어웨이즈)}}}''' || || '''발생일''' ||[[2015년]] [[2월 13일]]|| || '''유형''' ||지상충돌 || || '''발생 위치''' ||[[양곤 국제공항]]|| ||<|2> '''탑승인원''' ||승객: ---명|| ||승무원: --명|| || '''생존자''' ||'''탑승객 전원 생존'''|| || '''기종''' ||[[ATR 72#s-3.1|ATR 72-200]]|| || '''항공사''' ||방콕에어웨이즈|| || '''기체 등록번호''' ||HS-PGA|| || '''출발지''' ||[[양곤 국제공항]]|| || '''도착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5yhb.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qary5.jpg|width=100%]]}}} || || 사고 8일 전,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HL7538. || 사고 한 달 전, [[치앙마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HS-PGA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5년]] [[2월 13일]] 금요일 0시, [[미얀마]] [[양곤]]의 [[양곤 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려던 [[대한항공]] KE472편(등록번호 HL7538, 기종은 [[A330|A330-223]])이 이륙을 위해 활주로로 가던 중 왼쪽 날개 끝 윙렛이 [[태국]] 방콕 에어웨이즈 소속의 소형 항공기([[ATR 72]]) 꼬리날개와 부딪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2/13/0200000000AKR20150213121351003.HTML|떨어져 나간 사건]]. [[대한항공]] [[A330]]은 이 상태를 모른 상태에서 이륙했으나 지상요원이 사고를 인지하여[* 그 전에 승객이 인지하여 승무원에게 보고할 수는 있으나, 이런 문제에 관심있는 승객들이 잘 없다. 엔진에 불 난 정도가 아닌 이상 승객이 이상을 파악하기도 어렵다. 윙렛 정도는 항공기에 별 관심이 없다면 그런 파츠가 있는 것조차 모를 수 있다. 이착륙 중 창문을 열어둬야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착륙 중 조종사나 승무원이 모든 이상을 감지할 수는 없으므로 창가 쪽 승객들이 같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당장 승객이 연료 누출을 신고하여 비행이 취소된 [[유나이티드 항공]] 170편도 있고 말이다.] 관제탑의 회항 지시로 곧바로 [[양곤 국제공항]]으로 회항하였다. 참고로 이사건으로 인해 이 기체의 다음 스케줄이였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행 KE941편의 기종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