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셜 네트워크 ASKfm, rd1=ASKfm, other2=SNS, rd2=asked)]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신기사)] ||<-24>
{{{#white {{{+2 '''에스크'''}}}}}}[br]{{{#aeaeae 강심}}} || ||<-2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일러.jpg|width=100%]]}}} || ||<-24> '''초기 성급''' || ||<-24> [[파일:영7_S성급.png|width=42]] || ||<-2> '''역할군''' ||<-6> [[파일:영7 탱커.png|width=18&bgcolor=#000]] 탱커 ||<-2> '''속성''' ||<-6> [[파일:영7 교.png|width=20]] {{{#ff8c00,#yellow 교}}} ||<-2> '''타입''' ||<-6> {{{#ff9f40 물리}}} || ||<-2> '''순찰력''' ||<-6> 12→13 ||<-2> '''건설력''' ||<-6> 1 → 2 ||<-2> '''개발력''' ||<-6> 5 → 6 || ||<-24> '''CV''' || ||<-24><#fff,#191919> [[나카무라 유이치]][* 본래 [[오키아유 료타로]]를 섭외했었으나 변경. 한국 서버는 성우 음성을 들이기 전에 서비스 종료했으므로 {{{#red 없음}}}.] || ||<-24> '''획득 방법''' || ||<-24><#fff,#191919> '''강철의 광가''' 픽업(종료)[* 2021년 5월 13일 업데이트 후 ~ 2021년 5월 27일 09:59.][br]백야관[* 2021년 5월 27일(목)에 풀림.] || >'''기억단편''' >{{{-2 1. 에스크의 왼쪽 가슴엔 빈 공간이 있다. 그곳은 한때 그의 감정의 중심이었다. 2. 우로보로스 소대의 대장으로서 그는 이성적이며 냉정하다. 정말 기계처럼. 3. 만약 복수가 끝나게 된다면 에스크는 어디로 가게 될까? 그도 답을 찾아내진 못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인게임.png|width=100%]]}}} || || 인게임 이미지 || >감정이 결핍된, 복수의 길을 나아가는 인조인간. 모바일 도시 판타지 RPG 게임 [[영원한 7일의 도시]]에 등장하는 신기사. == 스킬 == === 패시브 스킬 : 발할라 === ||
<:>[[파일:에스크 스킬1.png|width=60]]|| {{{+1 '''발할라'''}}} || {{{#!wiki style="background-color: #e6322d; margin: 0 auto; border-radius: 4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padding: 3px"" 패시브 스킬}}} || ||<-3><#3a3a3a,#000>|| || '''Lv. 3''' ||<-2>에스크는 현재 피해량을 기록하며 전투 강도를 조절한다. 최대 체력의 1%를 잃을 때마다 스킬 피해량이 0.5% 증가하며 최대 50%까지 올라감. 상한에 도달할 시 섬멸 모드로 돌입해 일반 공격이 포격 테세로 교체되며 범위 피해를 입힘.|| || '''Lv. 4''' ||<-2>에스크는 현재 피해량을 기록하며 전투 강도를 조절한다. 최대 체력의 1%를 잃을 때마다 스킬 피해량이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1%)] 증가하며 최대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100)]%까지 올라감. 상한에 도달할 시 섬멸 모드로 돌입해 일반 공격이 포격 테세로 교체되며 범위 피해를 입힘.|| || '''각성''' ||<-2>에스크는 현재 피해량을 기록하며 전투 강도를 조절한다. 최대 체력의 1%를 잃을 때마다 스킬 피해량이 1% 증가하며 최대 100%까지 올라감. 상한에 도달할 시 섬멸 모드로 돌입해 일반 공격이 포격 테세로 교체되며 범위 피해를 입힘.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에스크가 최대생명력을 넘긴 회복을 받을 시 자신의 스킬 피해량이 30% 증가한다, 7초 지속, 최대 2중첩.)]|| === 엑티브 스킬1 : 광전 시스템 === ||
<:>[[파일:에스크 스킬2.png|width=60]]|| {{{+1 '''광전 시스템'''}}} || {{{#!wiki style="background-color: #3c4655; margin: 0 auto; border-radius: 4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 padding: 2px"" 쿨 다운}}}[br]8.0초 || ||<-3><#3a3a3a,#000>|| || '''Lv. 4''' ||<-2>에스크가 해머를 휘둘러 빠르게 회전해 주변 적에게 {{{#d2691e 373의 물리피해를}}} 4번 입힘{{{#purple,#ff7ffe (최대 생명력의 15%)}}}. 스킬 시전 동안 제어 면역 및 기계 역장 해제. 에스크가 일반 공격을 할 때마다 광전 시스템의 쿨타임이 1초 감소, 최대 4초 감소. 섬멸 모드 : 에스크가 해머를 휘두른 뒤 전방의 원형 영역을 강타해 최대 생명력의 75%만큼의 피해를 입힘.|| || '''각성''' ||<-2>에스크가 해머를 휘둘러 빠르게 회전해 주변 적에게 {{{#d2691e 373의 물리피해를}}} 4번 입힘{{{#purple,#ff7ffe (최대 생명력의 15%)}}}. 스킬 시전 동안 제어 면역 및 기계 역장 해제.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스킬 시전 동안 이동할 수 있으며 받는 피해량 15% 감소.)] 에스크가 일반 공격을 할 때마다 광전 시스템의 쿨타임이 1초 감소, 최대 4초 감소. 섬멸 모드 : 에스크가 해머를 휘두른 뒤 전방의 원형 영역을 강타해 최대 생명력의 75%만큼의 피해를 입힘.|| === 액티브 스킬2 : 기계 역장 === ||
<:>[[파일:에스크 스킬3.png|width=60]]|| {{{+1 '''기계 역장'''}}} || {{{#!wiki style="background-color: #3c4655; margin: 0 auto; border-radius: 4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 padding: 2px"" 쿨 다운}}}[br]9.0초 || ||<-3><#3a3a3a,#000>|| || '''Lv. 3''' ||<-2>에스크의 현재 생명력의 25%를 120% 소모하는 쉴드로 전환, 4초 지속. 스킬 종료 이후 남아있는 쉴드량은 흡수해 생명력으로 전환.|| || '''Lv. 4''' ||<-2>에스크의 현재 생명력의 25%를 120% 소모하는 쉴드로 전환, 4초 지속. 스킬 종료 이후 남아있는 쉴드량은 흡수해 생명력으로 전환.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섬멸 모드 : 스킬 종료 시 에스크 근처의 적군에게 남은 쉴드량의 70% 정도의 피해를 입힘.)]|| || '''각성''' ||<-2>에스크의 현재 생명력의 25%를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135)]% 소모하는 쉴드로 전환, 4초 지속. 스킬 종료 이후 남아있는 쉴드량은 흡수해 생명력으로 전환. 섬멸 모드 : 스킬 종료 시 에스크 근처의 적군에게 남은 쉴드량의 70% 정도의 피해를 입힘.|| 패시브를 보조해주는 자힐기. === 궁극기 : 멸망의 노래 === ||
<:>[[파일:에스크 스킬4.png|width=60]]|| {{{+1 '''멸망의 노래'''}}} || {{{#!wiki style="background-color: #3c4655; margin: 0 auto; border-radius: 4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 padding: 2px"" 쿨 다운}}}[br]20.0초 || ||<-3><#3a3a3a,#000>|| || '''Lv. 2''' ||<-2>에스크는 해머의 과부하 모드를 활성화 해 일정 시간 차지 후 전방의 원형 구역에 {{{#d2691e 349의 물리피해}}}를 12회 입히고 강타한다{{{#purple,#ff7ffe (최대 체력의 14%)}}}. 스킬 지속시간 동안 제어 및 피해 면역.|| || '''Lv. 4''' ||<-2>에스크는 해머의 과부하 모드를 활성화 해 일정 시간 차지 후 전방의 원형 구역에 {{{#d2691e 349의 물리피해}}}를 12회 입히고 강타한다{{{#purple,#ff7ffe (최대 체력의 14%)}}}. 스킬 지속시간 동안 제어 및 피해 면역.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현재 생명력이 전체 생명력의 50%를 초과할 시 멸망의 노래의 치명확률이 100% 증가한다.)]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섬멸 모드 : 멸망의 노래의 치명 피해가 50% 증가.)]|| || '''각성''' ||<-2>에스크는 해머의 과부하 모드를 활성화 해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자신 근처에 있는 적에게 187의 물리피해를 6번 입힌다)]{{{#!html (최대 생명력의 12%)}}}. 일정 시간 차지 후 전방의 원형 구역에 {{{#d2691e 349의 물리피해}}}를 12회 입히고 강타한다{{{#purple,#ff7ffe (최대 체력의 14%)}}}. 스킬 지속시간 동안 제어 및 피해 면역. 현재 생명력이 전체 생명력의 50%를 초과할 시 멸망의 노래의 치명확률이 100% 증가한다. 섬멸 모드 : 멸망의 노래의 치명 피해가 50% 증가.|| == 신기: 성역·발할라 == ||
<#fff,#191919><:>[[파일:에스크 신기.png|width=200]][br]전설 속의 용감한 전사들이 혼령들이 서식하는 곳. 끝없는 술잔과 포상을 기다리며 전사들의 영혼이 평온을 되찾을 것이다.|| ||<:><#3a3a3a,#000>성급돌파 재료|| ||<^|1><-5><:><#fff,#191919>{{{#!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신기 해방 || [[파일:영7 파우하탄 망토.png|width=55]][br]{{{-2 {{{#Blue,#00a6a9 파우하탄 망토}}}}}}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110}}}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8}}} || || 신기[br]9→10 || [[파일:영7 검은 돌의 뱀.png|width=55]][br]{{{-2 {{{#Purple,#ff7ffe 검은 돌의 뱀}}}}}}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35}}}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4}}} || || 신기[br]19→20 || [[파일:영7 라크의 거대팔.png|width=55]][br]{{{-2 {{{#d2ab21 라크의 거대팔}}}}}}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50}}}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6}}} || || 신기[br]29→30 || [[파일:영7 하늘의 비늘파편.png|width=55]][br]{{{-3 {{{#d2ab21 하늘의 비늘파편}}}}}}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65}}}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8}}} || || 신기[br]39→40 || [[파일:영7 라크의 거대팔.png|width=55]][br]{{{-2 {{{#d2ab21 라크의 거대팔}}}}}}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80}}}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10}}} || || 신기[br]49→50 || [[파일:영7 검은 돌의 뱀.png|width=55]][br]{{{-2 {{{#d2ab21 검은 돌의 뱀}}}}}} || [[파일:영7 영혼파편.png|width=55]][br]{{{-2 영혼파편 x 100}}} || [[파일:영7 영혼코어.png|width=55]][br]{{{-2 영혼코어 x 12}}} || }}}}}}}}}|| ||
<:>[[파일:에스크 스킬5.png|width=60]]|| {{{+1 '''영령의 가호'''}}} || {{{#!wiki style="background-color: #e6322d; margin: 0 auto; border-radius: 4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 padding: 3px"" 신기 스킬}}} || ||<-3><#3a3a3a,#000>|| || '''Lv. 1''' ||<-2>섬멸 모드 진입 후 모든 아군의 가호 확률 2% 증가.|| || '''Lv. 2''' ||<-2>섬멸 모드 진입 후 모든 아군의 가호 확률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4%)] 증가.|| || '''Lv. 3''' ||<-2>섬멸 모드 진입 후 모든 아군의 가호 확률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6%)] 증가.|| || '''Lv. 4''' ||<-2>섬멸 모드 진입 후 모든 아군의 가호 확률 [include(틀:영원한 7일의 도시/대미지, 내용=8%)] 증가.|| == 전용보구 == ||<|2>
[[파일:에스크 전용보구.png|width=100]] ---- '''우로보로스 갑옷''' || '''기본 속성''' || '''보구 특기''' || || 생명력[br]가호확률 || 【신성한 축복의 피】제한 해제모드 동안 자신이 받는 피해를 12% 감소하고 일반 공격 시 최대 생명력의 2.8%만큼의 피해를 추가로 입힘. || ||<-3> {{{#cacaca ''착용 시 평범한 사람은 결코 버틸 수 없는 무거운 중압감을 짊어지게 된다.''}}} || || '''레벨 2''' ||<-2>에너지 PT를 소모하여 자신에게 전환할 시, 자신의 가호 확률과 마저 확률 15% 증가, 4초 지속.|| || '''레벨 3''' ||<-2>상성에 대한 데미지 감소 효과가 25%에서 30%로 상승|| || '''레벨 4''' ||<-2>이 보구를 장착 할 때에 보구의 코스트가 2 감소|| || '''레벨 5''' ||<-2>고유 : 전투 중 모든 교속성 신기사의 스킬 피해량 0.8% 상승|| || '''레벨 6''' ||<-2>상성에 대한 데미지 상승 효과가 25%에서 30%로 상승|| || '''레벨 7''' ||<-2>【신성한 축복의 피】제한 해제모드 동안 자신이 받는 피해를 25% 감소하고 일반 공격 시 최대 생명력의 5.6%만큼의 피해를 추가로 입힘.|| == 스킨 == === 각성 === ||<:>[[파일:망토사기.jpg|height=500]]||
<:>[[파일:파워레인저 레드.gif|height=500]]|| ||<-2><:>'''입수방법'''|| ||<-2><:>신기사 각성을 통해 획득|| 각성 33기. --건담?-- == 표정 == {{{#!wiki style="width: 48%; max-width: 185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border: 2px solid #fff,#1f2023" {{{#!wiki style="border: rgba(238, 238, 238, 0.5) solid 1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d7d90, #f0ece0)" [[파일:에스크 표정1.png|width=100%]] }}}{{{#!wiki style="letter-spacing: 1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737, #3c4655); font-weight:450; font-size:120%" 이해하려고}}}}}}{{{#!wiki style="margin:-10px" }}} 신기사 신기 오픈[* 국내판엔 '''인간과의 교류''' 라고 적혀있다.]}}} {{{#!wiki style="width: 48%; max-width: 185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border: 2px solid #fff,#1f2023" {{{#!wiki style="border: rgba(238, 238, 238, 0.5) solid 1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d7d90, #f0ece0)" [[파일:에스크 표정2.png|width=100%]] }}}{{{#!wiki style="letter-spacing: 1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737, #3c4655); font-weight:450; font-size:120%" 조금 자만하기}}}}}}{{{#!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text-align:center" 해당 신기사를 사용하여 자질시험 클러어}}}}}} {{{#!wiki style="width: 48%; max-width: 185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border: 2px solid #fff,#1f2023" {{{#!wiki style="border: rgba(238, 238, 238, 0.5) solid 1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d7d90, #f0ece0)" [[파일:에스크 표정3.png|width=100%]] }}}{{{#!wiki style="letter-spacing: 1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737, #3c4655); font-weight:450; font-size:120%" 이건 무슨 새지?}}}}}}{{{#!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text-align:center" 신기사 공략 완료}}}}}} {{{#!wiki style="width: 48%; max-width: 185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border: 2px solid #fff,#1f2023" {{{#!wiki style="border: rgba(238, 238, 238, 0.5) solid 1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d7d90, #f0ece0)" [[파일:에스크 표정4.png|width=100%]] }}}{{{#!wiki style="letter-spacing: -3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737, #3c4655); font-weight:450; font-size:120%" 내가 잠시 날뛰는 걸 허락하지}}}}}}{{{#!wiki style="margin:-10px" }}} 기계 역장 스킬의 실드 피해량으로 적 처치}}} {{{#!wiki style="width: 48%; max-width: 185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border: 2px solid #fff,#1f2023" {{{#!wiki style="border: rgba(238, 238, 238, 0.5) solid 1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d7d90, #f0ece0)" [[파일:에스크 표정5.png|width=100%]] }}}{{{#!wiki style="letter-spacing: 1px;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737, #3c4655); font-weight:450; font-size:120%" 다시 말해줘?}}}}}}{{{#!wiki style="margin:-10px" }}} 멸망의 노래 지속시간동안 적 100명 누적 처치}}} == 평가 == 탱템을 맞춰 줄 수록 강해지는 스킬 구성을 가지고 있기에 탱커 치곤 딜이 나오는 편. 출시 당시엔 몽마에 등반할 때 딜 기여가 상당했을 정도. [[레나(영원한 7일의 도시)|레나]]나 [[리미아]]에겐 턱없이 모자라지만 저 둘의 허수딜은 탱템이 아닌 딜템을 사용한 허수딜이기 때문에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정작 탱커에게 중요한 탱킹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모든 장점을 희석한다. 결국 현재는 채용 가치가 없다. == 도감 == [anchor(기초파일)] ||
<:>'''기초파일'''||<:>'''[[#중급파일|{{{#eee 중급파일}}}]]'''||<:>'''[[#고급파일|{{{#eee 고급파일}}}]]'''||<:>'''[[#음성|{{{#eee 음성}}}]]'''|| ||<-4>{{{#!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72a3d, #535977, #6a5069), linear-gradient(to right, #567c97, #383850)" '''{{{+3 {{{#92f7ef __{{{____}}}신장__}}} : 191㎝}}}''' '''{{{+3 {{{#92f7ef __{{{____}}}체중__}}} : 202㎏}}}''' '''{{{+3 {{{#92f7ef __{{{____}}}생일__}}} : [[5월 31일|{{{#eee 5월 31일}}}]]}}}''' '''{{{+3 {{{#92f7ef __{{{____}}}성별__}}} : 남}}}''' '''{{{+3 {{{#92f7ef __{{{____}}}의견__}}} : 넌 진짜 지옥을 본 적이 없어.}}}''' '''{{{+3 {{{#92f7ef __{{{____}}}출현__}}} : 구 시가지}}}''' {{{#!wiki style="text-align: center" '''{{{#!html 상세}}}'''}}} {{{#!wiki style="padding: 5px;" 우로보로스 소대장, 마하와 함께 전방을 책임진다. 동시에 소대의 작전을 계획하는 두뇌 역할을 맡고 있기도 한다. 진지하고 침묵이 흐르는 전사지만, 과묵한 표정 뒤에는 의외로 온화한 성격을 기족 있어, 소대원들은 그가 화내는 모습을 거의 본 적이 없다. 마하가 장난으로 에스크에게 토끼 귀를 달아줬을 때에도 에스크는 뭐라 하지 않았다. 최초의 인조인간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며, 나팔로부터 도주한 후 만나게 된 다른 인조인간 도주자들을 모아 지금의 우로보로스 소대를 만들었다. 어둠 속에 잠복한 거대 조직과 싸워 이기기 위해 감정 중추를 파괴하고 자신을 냉혹한 사람으로 만들었다. 이로써 그는 언제나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나팔과 마주할 때에도 어떠한 실수를 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의 심장 위치에 주먹만한 크기의 구멍이 나 있는데, 이게 바로 그가 스스로 감정 중추를 뽑아낸 흔적이자 상처다. 이 세상에서는 오직 괴물만이 괴물과 싸워 이길 수 있다. 그는 지금까지도 여전히 자신의 이러한 선택을 후회한 적이 없다.}}} }}}}}}|| [anchor(중급파일)] ||<-2>
<:>'''[[#기초파일|{{{#eee 기초파일}}}]]'''||<:>'''{{{#eee 중급파일}}}'''||<:>'''[[#고급파일|{{{#eee 고급파일}}}]]'''||<:>'''[[#음성|{{{#eee 음성}}}]]'''||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선호.png]]'''선호'''}}}}}} || ||<-1> '''좋아하는 것''' ||<-4>별자리, 독서, 새로운 전투기술 || ||<-1><:>'''싫어하는 것'''||<-4>나팔에 관련된 모든 것 ||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신기.png]]'''신기'''}}}}}}|| ||<-1><:>'''신기'''||<-4>'''성역 · 발할라''' || ||<-1><:>'''신기 스토리1'''||<-4>황금 방패의 광명으로 뒤덮인 궁전은, 모든 신들의 군주가 귀한 손님은 맞이하는 곳이다. 전사한 용사들에게 꿀과 술을 대접하며, 진주자석 옆에 정교하고 아름다운 갑옷을 하사한다. 독수리는 신들이 잠든 울창한 숲을 맴돌며 우렁찬 울음소리로 영령을 기리는 찬가를 찬란하게 전한다. || ||<-1><:>'''신기 스토리2'''||<-4>신들의 신 오딘은 영웅들을 위해 거처를 준비했다. 황금잔의 맛 좋은 술, 풍요로운 음식이 끊이지 않는다. 그곳은 모든 영웅들이 목표로 하는 성역이다. || ||<-1><:>'''신기 스토리3'''||<-4>그러나 영웅이란 무엇인가? 무엇을 영웅이라 부르는가?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는 건가? 아니면 정의를 관찰하는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무엇이 정의인가? 이것은 성역을 쫒는 영령들의 영원한 의제이다—— ||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능력.png]]'''능력'''}}}}}}|| ||<-1><:>'''신기사 능력'''||<-4>'''광전 시스템''' ||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일상.png]]'''일상'''}}}}}}|| ||<-1><:>'''일상 스토리1'''||<-4>맨 처음에 만들어진 인조인간. 완벽한 감정 회로를 지닌 에스크, 비록 말은 없지만 선하고 따뜻한 사람이다. 그는 주위 동료들에게 깊은 신뢰와 사랑을 받고 있다. || ||<-1><:>'''일상 스토리2'''||<-4>에스크는 두 눈으로 초대의 동료들이 하나둘 씩 소각되는 것을 똑똑히 봐 왔고, 마지막에 가선 그 자신도 하자품으로 낙인 찍혔다. 그는 전장에서 파괴된 동료들의 코어를 손에 쥐고 고통스럽게 눈을 감았으나, 눈물은 나오지 않았다. 그 날, 에스크는 복수를 결심했다. || ||<-1><:>'''일상 스토리3'''||||<-4>복수를 결심한 에스크는 전투에서 몇 번이고 패배를 맛보았다. 그는 자신의 기체를 수리하면서 패배한 원인을 검토하면서, 그 원인은 감정을 인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에스크는 직접 손으로 가슴에 있는 감정 회로를 뜯어냈다. 이후, 그는 늘 냉철하며 이성적이며 모든 행동을 정확하게 데이터로 계산할 수 있는 에스크가 될 수 있었다. ||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동료평가.png]]'''동료 평가'''}}}}}}|| ||<-1><:> [[알렉시아|[[파일:알렉시아 아이콘.png|width=70&align=center]]]]||<-5>{{{+1 [[알렉시아|{{{#222,#ddd 알렉시아}}}]]}}}[br]대장은 항상 신뢰할 수 있으니까요. 그를 쭉 따르고 싶어요. || ||<-1><:> [[마하(영원한 7일의 도시)|[[파일:마하 아이콘.png|width=70&align=center]]]]||<-5>{{{+1 [[마하(영원한 7일의 도시)|{{{#222,#ddd 마하}}}]]}}}[br]이야! 대장은 너무 신중하다니까. 가끔은 너무 답답해서 한바탕 저지르고 싶어져! || ||<-1><:> [[레이(영원한 7일의 도시)|[[파일:레이 아이콘.png|width=70&align=center]]]]||<-5>{{{+1 [[레이(영원한 7일의 도시)|{{{#222,#ddd 레이}}}]]}}}[br]그는 인조인간이지만, 인품과 능력 모두 내가 포섭하고 싶은 모델이야. || [anchor(고급파일)] ||<-2>
<:>'''[[#기초파일|{{{#eee 기초파일}}}]]'''||<:>'''[[#중급파일|{{{#eee 중급파일}}}]]'''||<:>'''{{{#eee 고급파일}}}'''||<:>'''[[#음성|{{{#eee 음성}}}]]'''||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인연.png]]'''인연'''}}}}}}|| ||<-1><:>'''인연단편1'''||<-4>에스크를 이 세상으로 맞이한 그 연구원은 에스크를 정말 좋아했다. 차갑고 기계적의 연구실에서 "인간"적인 방식으로 에스크와 함께 했다. 이는 에스크의 감정회로에 탑재된 데이터 적재량이 다른 이들보다 월등히 앞서게 만들 수 있었다. || ||<-1><:>'''인연단편2'''||<-4>에스크의 능력은 초대 인조인간 중 극도로 특출난 편으로, 그는 실험실에서 제일 훌륭한 성과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동료들과 함께 나팔에 의해 전장으로 내던져져, "자신들이 생성된 의무를 다하는 것"을 막을 순 없었다. 영원히 멈추지 않은 살육과 동료들을 잃는 나날들 속에서, 에스크는 조금씩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 ||<-1><:>'''인연단편3'''||<-4>고뇌하는 에스크는 이 일을 가깝게 지내던 연구원에게 알렸지만, 이 일은 결국 최상층에게 알려지는 결과를 낳았다. 나팔의 상층은 이런 "감정"이 나타나는 에스크를 고위험 기체로 판단하였고, 그 감정 표현이 아무리 섬세해도 폐기해야 한다고 명령했다. 그리하여 에스크는 제일 위험한 전장으로 파견되었다...... 에스크는 분투를 통해 생존하면서 현실을 깨닫고, 처음으로 "인간"에게 "인조인간"이란 무슨 의미인지 알게 되었다. || ||<-1><:>'''인연단편4'''||<-4>에스크는 나팔을 배반한 뒤, 우로보로스 소대를 이끌고 접경도시로 도망쳤다. 감정 회로를 잃은 에스크는, 더 이상 우로보로스 소대의 구성원들을 진정한 동료로 생각하는지 대답할 수 없었다. 하지만 위험이 닥쳐오면, 에스크는 주저하지 않고 최전선에 서서 싸운다. 일상생활에서는 일사불란한 관리자로서, 대장으로써, 나아가 대원들의 아버지 또는 어머니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고 있다...... || ||<-1><:>'''인연단편5'''||<-4>아무리 지휘사라도 에스크의 복수의 결심과 길을 흔들 순 없었다. 복수 그 자체는 죽은 동료들을 위하는 것뿐만이 아닌 인간의 편견, 그리고 인조인간에게 잠재된 분노의 고동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런 복수의 불길은 에스크의 영혼의 가장 깊은 곳, 바로 인조인간의 영혼으로부터 피어오르는 것이다—— ||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추억단편.png]]'''추억'''}}}}}}|| ||<-1><:>'''추억단편1'''||<-4><:>{{{#!wiki style="text-align:left" {{{#!wiki style="background-color:#e7e2e6,#181d19;color:#52445b,#c2bbb1" {{{#!folding 방 배열 ---- {{{#!wiki style="text-align:center" '''내레이션'''}}} }}} }}}}}}|| ||<-1><:>'''추억단편2'''||<-4><:>{{{#!wiki style="text-align:left" {{{#!wiki style="background-color:#e7e2e6,#181d19;color:#52445b,#c2bbb1" {{{#!folding 그물에서 빠져나온 몬스터 ---- {{{#!wiki style="text-align:center" '''내레이션'''}}} }}} }}}}}}|| ||<-1><:>'''추억단편3'''||<-4><:>{{{#!wiki style="text-align:left" {{{#!wiki style="background-color:#e7e2e6,#181d19;color:#52445b,#c2bbb1" {{{#!folding 바이오닉 애완동물 ---- {{{#!wiki style="text-align:center" '''내레이션'''}}} }}} }}}}}}|| ||<-1><:>'''추억단편4'''||<-4><:>{{{#!wiki style="text-align:left" {{{#!wiki style="background-color:#e7e2e6,#181d19;color:#52445b,#c2bbb1" {{{#!folding 인조인간의 존재 ---- {{{#!wiki style="text-align:center" '''내레이션'''}}} }}} }}}}}}|| == 대사 == [anchor(음성)] ||<-2>
<:>'''[[#기초파일|{{{#eee 기초파일}}}]]'''||<:>'''[[#중급파일|{{{#eee 중급파일}}}]]'''||<:>'''[[#고급파일|{{{#eee 고급파일}}}]]'''||<:>'''{{{#eee 음성}}}'''|| ||<-5>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음성.png|width=25px]]'''일상'''}}}}}} || ||<-1> '''획득''' ||<-4><-4>ここは…復讐の終着点なのか? 여기는... 복수의 종착점인가?|| ||<:>'''캐릭터 선택'''||<-4>隊長の前に立ちはだかる敵は、俺が全て粉砕する。 지휘사의 앞을 가로막는 적은, 내가 전부 분쇄한다.|| ||<:>'''머리 터치'''||<-4>人は撫でられると喜ぶものらしいが、残念ながら俺には通用しない。 인간은 쓰다듬어주면 기뻐하는 모양이다만, 유감스럽게도 나에겐 통용되지 않아.|| ||<:>'''가슴 터치'''||<-4>ここには自動防衛装置が埋め込まれている。気安く触れるな。 이 곳엔 자동 방어장치가 탑재 돼 있다. 편하게 만지지 마.|| ||<:>'''배 터치'''||<-4>攻撃にしては、少々軽すぎないか? 공격치고는 많이 가볍지 않나?|| ||<:>'''다리 터치'''||<-4>攻撃ではないにせよ、限度があるぞ。 공격이 아니더라도, 한도가 있다.|| ||<:>'''출전'''||<-4>後悔はさせん。 후회시키지 않겠다.|| || '''문안''' ||<-4>しばらくお別れだ。何、またすぐに会うことになる。 잠시동안 이별이다. 뭐, 금방 만나게 될 거다.||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음성.png|width=25px]]'''전투'''}}}}}} || ||<:>'''전투 개시'''||<-4>俺が味わった絶望を知れ! 내가 겪은 절망을 느껴라!|| ||<:>'''이동1'''||<-4>今行く。 지금 간다.|| ||<:>'''이동2'''||<-4>焦る必要はない。 서두를 필요 없다.|| ||<:>'''이동3'''||<-4>静かに。周囲を警戒しろ。 조용히. 주위를 경계해라.|| ||<:>'''전투1'''||<-4>モンスターに勝てるのはモンスターだけだ。 몬스터를 쓰러뜨릴 수 있는 건 몬스터 뿐이다.|| ||<:>'''전투2'''||<-4>正誤は関係ない。選択は後悔しない主義だ。 옳고 그른 건 관계없다. 선택한 건 후회하지 않는 주의다.|| ||<:>'''전투3'''||<-4>お前はまだ、本物の地獄を見たことがないようだな。 넌 아직, 진짜 지옥을 본 적이 없는 모양이군.|| ||<:>'''회복결정 획득'''||<-4>感謝する。まだ倒れるわけにはいかん。 고맙다. 아직 쓰러질 순 없다!|| ||<:>'''궁극기 사용'''||<-4>お前に明日は来ない。 네놈에게 내일은 오지 않는다.|| ||<:>'''전투 승리'''||<-4>嬉しい?そんな感情を持ち合わせてはいない。 기쁘다? 그런 감정을 갖고 있진 않아.|| ||<:>'''사망'''||<-4>ぐぁ…俺の目標は…まだ… 크읏... 내 목표는... 아직...!|| || '''적 처치''' ||<-4>敵は排除する。 적을 배제한다!|| ||<-5>{{{#!wiki style="margin:-5px -10px -5px"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5481, #da6b7c 50%, #d2a2ae)" [[파일:영7 음성.png|width=25px]]'''기타'''}}}}}} || || '''불꽃축제''' ||<-4>なんだ…この妙に暖かな気持ちは。 뭐냐... 이 묘하게 따뜻한 기분은.|| ||<:>'''생일 축하'''||<-4>俺は一般人のように、期待と祝福を受けて誕生したものではないが…生まれたことを後悔したことは、一度もない。ふん、今日ここで、お前を祝福することができたのだから。 나는 일반인처럼, 기대와 축복을 받은 채 태어난 건 아니지만, 태어난 것을 한 번도 후회한 적은 한 번도 없다. 흠, 오늘 여기서, 너를 축복할 수 있었으니까.|| ||<-1><|100> '''더미 데이터''' ||<-4><:>{{{#!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 ||  || ||  || ||  || ||  || ||  || ||  || ||  || ||  ||}}}}}}}}}|| == 설정화 == ||<:>
'''{{{+2 설정화}}}'''|| ||<^|1><-2><:>{{{#!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folding [ 기본 ] {{{#!wiki style="margin:-6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설정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설정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설정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설정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설정5.jpg|width=10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folding [ 각성 ] {{{#!wiki style="margin:-6px -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각성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크 각성2.jpg|width=100%]]}}}|| }}}}}}}}} }}}|| == 기타 == * 원래 성우는 [[오키아유 료타로]]를 쓸 예정이었다. 그러나 신규 신기사를 소개하면서 성우도 공개된 당일[* 정확히는 업데이트 전날.]에 과거 중국 정부에 관해 부정적인 글을 작성한 것이 발굴되어 중국 측의 강한 반대가 들어왔다. 결국 그날 바로 무산되었으며 성우의 이름도 바로 내려갔다. * 2020년 10월 15일 개발자 노트를 통해 [[나카무라 유이치]]를 새로 배정한 사실이 알려졌고, 공식측은 녹음이 끝나는 대로 보이스를 실장할 것임을 밝혔다. 신기사방 패치와 함께 호감도 스토리와 두 사람의 도시 엔딩 보이스가 미리 추가되었으며 1월 13일자 패치로 전체 실장되었다. [[분류:영원한 7일의 도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