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라별 군대]][[분류:북유럽의 군대]][[분류:에스토니아]] [include(틀:에스토니아군)] ||<-2><:>{{{+3 {{{#FFF '''에스토니아 방위군''' }}}}}}[br] {{{+2 {{{#FFF Eesti Kaitsevägi }}}}}} [br] {{{+1 {{{#FFF Estonian Defence Forces }}}}}}|| ||<-2> [[파일:에스토니아군 엠블럼.svg|width=130]]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 '''{{{#fff 상비군}}}''' ||7,200명 || || '''{{{#fff 예비군}}}''' ||230,000명 || || '''{{{#fff 병역제도}}}''' ||징병제 || || '''{{{#fff 방위군 사령관}}}''' ||[[마르틴 헤렘]] 대장 || ||<-2> '''육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장갑차|{{{#fff 장갑차}}}]] [br] {{{-2 (APCs/IFVs)}}} ||207대 || || [[자주포|{{{#fff 자주포}}}]] ||24문 || || [[다연장로켓|{{{#fff 다연장로켓}}}]] ||(+6문) || || 수송 차량 ||- ||}}}}}}}}} || ||<-2> '''해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해군 전투함 총합''' ||6척 || ||<-2> '''주력 수상함''' || || [[초계함|{{{#fff 초계함}}}]] ||3척 ||}}}}}}}}} || ||<-2> '''공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fff '''항공기 총합'''}}} ||7기 ||}}}}}}}}}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스토니아]]의 군대. == 역사 == [[1918년]] [[11월 12일]] 에스토니아 독립전쟁 기간 중 창설되었으며, 이후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소련 점령]] 기간을 거쳐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9월 3일]] 재창설되었다. 1991년 [[소련 붕괴]] 과정에서 에스토니아 공화국은 다른 구성국들과는 달리 자국 내 [[소련군]] 병력을 인수하지 않고 점령군으로 간주하여 러시아 정부에 전원 철수를 요구했다. 당시 러시아는 경제난 등 여러 사정을 이유로 1990년대 중반 에스토니아에서 전원 철수했다. 따라서 에스토니아군은 군사적으로 소련군이 아닌 독자적인 군대로서 출발했다.[* 에스토니아군은 독립 이후로도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AK-74]]같은 소련제 장비를 이용하기도 했지만, 오늘날 대부분 서방제 장비로 교체하였다.] 오늘날 에스토니아군은 징병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비군 병력은 7200명이다. 약 3200명이 매년 군에 징집되어 8개월간 복무하지만, 하급 부사관, 운전사, 헌병 및 전문가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의 복무 기간은 11개월이다. 공군은 징병제가 아니다. 2022년 기준 예산은 GDP의 2.35%로 7억 7060만 유로이다. 에스토니아군은 국가 특성상 이웃 국가들과 비슷한 규모의 군대를 운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전반적인 군대 규모는 크지 않다. 대신 시민들로부터 자원봉사자를 받아 [[예비군]]과 비슷하게 방위연맹(Defence League)를 운영하는 등, [[민방위]]를 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2004년]] [[북대서양 조약기구]] 가입 이후 회원국들과 활발한 국방협력 및 군사교류 관계를 증진시키고 있다.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 외에도 역사적으로 우방국이었던 [[핀란드]]와 활발히 교류하며, [[핀란드군]]에서 여러 육군 장비를 도입하기도 했다. 2020년대에는 한국에서 K-9 자주곡사포를 도입했다. == 수뇌부 == ||<-4><#0072CE> [[에스토니아|[[파일:에스토니아군 엠블럼.svg|width=80]]]] || || {{{#000000 '''통수권자''' }}} || {{{#000000 '''국방장관''' }}} || {{{#000000 '''방위군 총사령관''' }}} || {{{#000000 '''방위군 부사령관''' }}} || || [[파일:Kaja Kallas.jp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카야 칼라스|{{{#FFFFFF '''카야 칼라스 총리''' }}}]] || {{{#FFFFFF '''한노 페브쿠르 장관''' }}} || {{{#FFFFFF '''마르틴 헤렘 육군 대장''' }}} || {{{#FFFFFF '''베이코-벨로 팜 육군 소장''' }}} || || {{{#000000 '''방위군 총참모장''' }}} || {{{#000000 '''해군사령관''' }}} || {{{#000000 '''공군사령관''' }}} || {{{#000000 '''방위연맹 사령관'''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5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FFFFFF '''엔노 모츠 육군 소장''' }}} || {{{#FFFFFF ''' 위리 사스카 준장''' }}} || {{{#FFFFFF '''토마스 수시 준장''' }}} || {{{#FFFFFF '''리호 위테기 육군 준장''' }}} ||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스토니아 육군)] === 해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tonian_navy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tonian_navy2.jp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해군 엠블럼.svg|width=100]] 6척의 취역함으로 구성되는 연안해군이다. === 공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tonian_AirForce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tonian_AirForce2.jp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공군 엠블럼.svg|width=100]] [[파일:에스토니아 공군 라운델.svg|width=100]] 소수의 수송기와 정찰헬기, 공격기 정도로 구성된 간략한 공군이다. 현재 국가 규모 및 국방예산을 감안하여 자체 전투기 병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대신 [[NATO]] 회원국 공군 전투기들이 돌아가면서 영공을 순찰하는 발트해 항공순찰(Baltic Air Polic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L-39]] 제트 훈련기 2대, PZL M28 프로펠러 수송기 2대, 로빈슨 R44 경헬리콥터 3대를 운용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Defence_Forces#/media/File:Estonian_Defence_Forces_-_Organization_2023.png|계통도]]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Land_Forces#Organization|육군(영어판)]], [[https://et.wikipedia.org/wiki/Eesti_maav%C3%A4gi#Maav%C3%A4e_rahuaegne_koosseis|육군(에스토이나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Navy#Operating_forces|해군(영어판)]], [[https://et.wikipedia.org/wiki/Eesti_merev%C3%A4gi#Koosseis|해군(에스토니아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Air_Force#Organization|공군(영어판)]], [[https://et.wikipedia.org/wiki/Eesti_%C3%B5huv%C3%A4gi#Struktuur|공군(에스토니아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Special_Operations_Force#Structure|특수작전군]] * [[https://et.wikipedia.org/wiki/K%C3%BCberv%C3%A4ejuhatus#Struktuur|사이버사령부]] * [[https://en.wikipedia.org/wiki/Estonian_Defence_League#Organization|방위연맹(영어판)]], [[https://et.wikipedia.org/wiki/Kaitseliit#Koosseis_ja_%C3%BClesehitus|방위연맹(에스토니아어판)]] == 여담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에 지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데, GDP의 1%이다. * 에스토니아군의 구성은 크게 방위군과 방위연맹으로 나뉘는데 방위군은 국군(육해공)에 해당되고 방위연맹은 방위 [[준군사조직]]에 해당되는데 사실상 [[민병대]]이다. * 에스토니아군은 ~사령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해군과 공군과 달리 육군사령관이라는 직위는 별로로 존재하지 않으며 총참모부에서 관할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에스토니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