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온게임넷 스타리그)] [목차] == 개요 ==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서술한 문서. 1999년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부터 시작하여 약 13년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진행된 리그와 [[스타크래프트 2]]로 진행된 리그를 포함해서 약 14년 동안 개최되었던 대회에 대한 각각의 특이사항들과 개략적인 이야기들을 서술한 문서이다.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기반 대회 == ===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 * 기간 : 1999년 10월 2일 ~ 1999년 12월 30일 * 사용 맵 : [[로스트 템플#s-1|로스트 템플]](Lost Temple), [[Showdown#s-2|쇼다운]](Showdown), [[스노우 바운드]](Snowbound), 아쉬리고(Ashirigo) * 우승 [[최진우]], 준우승 [[국기봉]], 3위 [[이기석]], 4위 김태목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전신.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항목 참조. ===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 * 기간 : 2000년 2월 10일 ~ 2000년 5월 16일 * 사용 맵 : [[블레이즈#s-9|블레이즈]](Blaze), 다크 스톤(Dark Stone), [[딥 퍼플(동음이의어)#s-2|딥 퍼플]](Deep purple), [[스페이스 오디세이]](Space Odyssey), 글레이셜 에팍(Glacial Epoch, 빙하기) * 우승 [[기욤 패트리]],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1981)|최인규]], 4위 [[변성철]] 최초의 스타리그. 그리고 최초이자 마지막 [[기욤 패트리|외국인 게이머]]의 브루드워 공식리그 우승.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0년 7월 24일 ~ 2000년 11월 1일 * 사용 맵 : [[블레이즈#s-6|블레이즈]](Blaze), 다크 스톤(Dark Stone), [[아방가르드(스타크래프트)|아방가르드]](Avant Garde), [[스페이스 오디세이]](Space Odyssey),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정글 스토리]](Jungle Story) * 조 편성 ||A조||[[창석준]], [[김대기(프로게이머)|김대기]], [[이효민|박효민]], [[기욤 패트리]]|| ||B조||신우진, [[강도경]], 김규형, [[전태규]]|| ||C조||[[최인규(1981)|최인규]], 문상헌, 오삼택,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D조||[[변성철]], 이명진, 박찬문, 박현준|| ||E조||[[김상훈(1981)|김상훈]], [[최우범|최수범]], [[김완철(프로게이머)|김완철]], [[도진광]]|| ||F조||신성철,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봉준구]], 장경호|| * 우승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준우승 [[봉준구]], 3위 박찬문, 4위 [[김상훈(1981)|김상훈]] * 결승장소 : 서울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처음으로 [[온게임넷]]이 주관한 스타리그. 그리고 첫 [[가을의 전설]].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1년 2월 16일 ~ 2001년 5월 5일 * 사용 맵 : [[블레이즈#s-6|네오 블레이즈]](Neo Blaze), [[레가시 오브 차]](Legacy of Char), [[홀 오브 발할라]](Hall of Valhalla),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네오 정글 스토리]](Neo Jungle Story) * 조 편성 ||A조||[[장진남]], [[기욤 패트리]], [[한웅렬]], 김상권|| ||B조||[[임요환]], 정완수, [[박용욱]], 정대희|| ||C조||[[홍진호]], [[유대현|유병준]], [[국기봉]], 강동원|| ||D조||[[이운재]], [[김갑용]], [[임성춘]], 한정근|| * 우승 [[임요환]], 준우승 [[장진남]], 3위 [[기욤 패트리]], 4위 [[박용욱]] * 결승장소 : 서울 [[세종대학교]] 대양홀 [[임요환|테란의 황제]]의 본격적인 등장.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1년 6월 15일 ~ 2001년 9월 8일 * 사용 맵 : [[라그나로크(스타크래프트)|라그나로크]](The Ragnarok),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네오 정글 스토리]](Neo Jungle Story), [[레가시 오브 차|네오 레가시 오브 차]](Neo Legacy of Char), [[홀 오브 발할라|네오 홀 오브 발할라]](Neo Hall of Valhalla) * 조 편성 ||A조||[[임요환]], [[박태민]], ~~[[성준모(범죄자)|성준모]]~~, 김신덕|| ||B조||[[박정석]],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홍진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C조||[[이창훈(프로게이머)|이창훈]], [[이운재]], [[변길섭]], [[장진남]]|| ||D조||[[임성춘]], 이근택, 정유석, 박경태|| * 우승 [[임요환]], '''준'''우승 [[홍진호]], 3위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4위 이근택 * 8강 투어 장소 : 대전 [[백화점 세이]] * 결승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최고의 라이벌, [[임진록(스타크래프트)|임진록]]의 출발점.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1년 10월 19일 ~ 2001년 12월 28일 * 사용 맵 : [[버티고#s-5|네오 버티고]](Neo Vertigo), [[인큐버스]](Incubus), [[사일런트 볼텍스]](Silent Vortex), [[크림슨 아일즈]](Crimson Isles) * 조 편성 ||A조||[[임요환]], 조창우, [[박정석]], 김재훈|| ||B조||[[기욤 패트리]], [[김대건(프로게이머)|김대건]], 안형모, [[이재항]]|| ||C조||[[세르게이 삼소노프|세르게이]], 정유석, [[홍진호]], [[조형근]]|| ||D조||김승엽, 김신덕,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 우승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준우승 [[임요환]], 3위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4위 [[홍진호]] * 결승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토스에게는 [[가을의 전설]], 테란에게는 가을의 비극.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2년 3월 29일 ~ 2002년 6월 15일 * 사용 맵 : [[사일런트 볼텍스|네오 사일런트 볼텍스]](Neo Silent Vortex),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비프로스트]](The Bifrost), [[포비든 존]](Forbidden Zone), [[버티고#s-5|네오 버티고]](Neo Vertigo) * 조 편성 ||A조||[[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홍진호]], 안형모, [[최인규(1981)|최인규]]|| ||B조||[[한웅렬]], [[강도경]],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임정호(프로게이머)|임정호]]|| ||C조||[[임요환]], [[변길섭]], [[이재훈(1981)|이재훈]], [[나경보]]|| ||D조||[[성학승]], [[정재호(프로게이머)|정재호]],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손승완]]|| * 우승 [[변길섭]],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1981)|최인규]], 4위 [[한웅렬]] * 결승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4강 신화]] 때문에 묻힌 비운의 시즌.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2년 7월 12일 ~ 2002년 10월 12일 * 사용 맵 : [[버티고#s-5|네오 버티고]](Neo Vertigo),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개마고원]], [[포비든 존|네오 포비든 존]](Neo Forbidden Zone),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네오 비프로스트]](Neo Bifrost) * 조 편성 ||A조||[[변길섭]], [[임정호(프로게이머)|임정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정재호(프로게이머)|정재호]]|| ||B조||[[홍진호]], [[박정석]], [[강도경]],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C조||[[최인규(1981)|최인규]], [[임요환]], [[성학승]],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D조||[[장진남]],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한웅렬]],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 우승 [[박정석]], 준우승 [[임요환]], 3위 [[홍진호]], 4위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 결승장소 :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 [[가을의 전설]] vs 가을의 비극 시즌 2.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2년 11월 15일 ~ 2003년 2월 14일 * 사용 맵 : [[아방가르드(스타크래프트)|아방가르드Ⅱ]](Avant Garde 2),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네오 비프로스트]](Neo Bifrost),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개마고원]], [[포비든 존|네오 포비든 존]](Neo Forbidden Zone) * 조 편성 ||A조||[[박정석]], [[강도경]], [[이윤열]],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B조||[[이운재]], [[장진남]],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임요환]]|| ||C조||[[김현진(e스포츠)|김현진]],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홍진호]], [[한웅렬]]|| ||D조||[[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성학승]], [[박경락]], [[변길섭]]||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3위 [[홍진호]], 4위 [[박경락]] * 결승장소 :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이윤열|천재]]의 [[온게임넷 스타리그]] 상륙, 그리고 토스의 암흑기.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 참조. ===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3년 4월 4일 ~ 2003년 7월 13일 * 사용맵 :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Nostalgia),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신 개마고원]],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네오 비프로스트]](Neo Bifrost), [[기요틴(스타크래프트)|기요틴]](Guillotine) * 조 편성 ||A조||[[이윤열]], [[임요환]], [[이재훈(1981)|이재훈]], [[박경락]]|| ||B조||[[성학승]],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이운재]]|| ||C조||[[홍진호]], [[전태규]],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강도경]]|| ||D조||[[박상익]], [[장진수]], [[박용욱]],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 우승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준'''우승 [[홍진호]], 3위 [[임요환]], 4위 [[박경락]] * 결승장소 :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서지훈|퍼펙트 테란]]의 감동적인 우승, 그리고 토스의 암흑기 시즌 2.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항목을 참고. ===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 기간 : 2003년 8월 1일 ~ 2003년 11월 9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스마트폰]]의 시작, [[마이큐브]]! * 사용 맵 : [[패러독스(스타크래프트)|패러독스]](Paradoxxx),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신 개마고원]], [[기요틴(스타크래프트)|기요틴]](Guillotine),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Nostalgia) * 조 편성 ||A조||[[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전태규]], [[장진남]],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B조||[[이윤열]],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홍진호]], [[강민]]|| ||C조||[[임요환]], [[박정석]], [[도진광]], [[박상익]]|| ||D조||[[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박용욱]], [[주진철]], [[박경락]]|| * 우승 [[박용욱]], 준우승 [[강민]], 3위 [[박경락]], 4위 [[박정석]] * 8강 투어 장소 : 부산 [[경성대학교]] 대운동장 * 결승장소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초대가수: [[체리필터]]) 토스, 암흑기에서 전성시대로 탈바꿈하다.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참고. ===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 * 기간 : 2003년 12월 12일 ~ 2004년 3월 21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따라올 수 없는 재미, 한게임! * 사용 맵 : [[패러독스(스타크래프트)|패러독스Ⅱ]](ParadoxxxⅡ), [[남자 이야기(스타크래프트)|남자이야기]],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Nostalgia), [[기요틴(스타크래프트)|네오 기요틴]](Neo Guillotine) * 조 편성 ||A조||[[박용욱]], [[성학승]], [[나도현]], [[전태규]]|| ||B조||[[최우범]], [[변은종]], [[강민]], [[임요환]]|| ||C조||[[박경락]],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이윤열]],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D조||[[박태민#s-1|박태민]],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박정석]]|| * 우승 [[강민]], 준우승 [[전태규]], 3위 [[나도현]], 4위 [[변은종]] * 8강 투어 장소 :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 결승 장소: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KSPO 돔|체조경기장]](초대가수: [[채연]]) 계속되는 토스의 전성시대.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항목 참조. === [[Gillette 스타리그 2004]] === * 기간 : 2004년 4월 30일 ~ 2004년 8월 1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내 생애 첫 면도는 질레트와 함께! / 넘버 원은 넘버 원 다워야 한다, 질레트! * 사용 맵 : [[남자 이야기(스타크래프트)|남자이야기]],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Mercury),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Nostalgia),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엠]](Requiem) * 조 편성 ||A조||[[강민]], [[최연성]], [[박정석]], [[이병민]]|| ||B조||[[한동욱]], [[최우범]], [[전태규]], [[박성준(1986)|박성준]]|| ||C조||[[나도현]], [[이윤열]], [[박태민#s-1|박태민]],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D조||[[박용욱]],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변은종]]|| * 우승 [[박성준(1986)|박성준]], 준우승 [[박정석]], 3위 [[최연성]], 4위 [[나도현]] * 8강 투어 장소: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 결승 장소 : 대구 [[EXCO]](초대가수: [[뜨거운 감자]]) 우승에 목말랐던 저그, [[박성준(1986)|투신]]이 드디어 그 갈증을 해소하다. [[Gillette 스타리그 2004]] 항목 참조. === [[EVER 스타리그 2004]] === * 기간 : 2004년 8월 27일 ~ 2004년 11월 20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나를 새롭게 만드는 휴대폰, EVER! * 사용 맵 : [[펠레노르(스타크래프트)|펠레노르]](Pelennor),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Mercury),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엠]](Requiem),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비프로스트Ⅲ]](Bifrost 3) * 조 편성 ||A조||[[박성준(1986)|박성준]], [[안기효]],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신정민]]|| ||B조||[[홍진호]],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박정석]], [[이병민]]|| ||C조||[[최연성]], [[박태민]], [[변길섭]], [[변은종]]|| ||D조||[[이윤열]], [[박용욱]], [[임요환]],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 우승 ~~임요환~~[[최연성]], 준우승 ~~최연성~~[[임요환]], 3위 [[박정석]], 4위 [[홍진호]] * 8강 투어 장소: [[광주광역시|광주]] [[전남대학교]] * 결승 장소 : [[대전무역전시관]] [[감동의 골마]], [[삼연벙]]. [[EVER 스타리그 2004]] 항목 참조. === [[IOPS 스타리그 04~05]] === * 기간 : 2004년 12월 17일 ~ 2005년 3월 5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보여주고 싶은 MP3, IOPS! * 사용 맵 : [[기요틴(스타크래프트)|네오 기요틴]](Neo Guillotine), [[발해의 꿈]],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엠]](Requiem), [[알케미스트(스타크래프트)|알케미스트]](Alchemist) * 조 편성 ||A조||[[최연성]], [[박성준(1986)|박성준]], [[이윤열]], [[조형근]]|| ||B조||[[홍진호]], [[신정민]], [[임요환]], [[최우범]]|| ||C조||[[박정석]], [[변은종]],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김근백]]|| ||D조||[[변길섭]], [[박태민#s-1|박태민]],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이병민]]|| * 우승 [[이윤열]], 준우승 [[박성준(1986)|박성준]], 3위 [[박태민#s-1|박태민]], 4위 [[이병민]] * 8강 투어 장소: 강원도 홍천 대명 [[비발디 파크]] 스키장 * 결승 장소 : [[선인체육관|시립인천전문대체육관]](초대가수: [[노브레인]]) 다시 돌아온 [[이윤열|천재]], 그리고 토스의 암흑기의 재림. [[IOPS 스타리그 04~05]] 항목 참조. === [[EVER 스타리그 2005]] === * 기간 : 2005년 4월 8일 ~ 2005년 7월 2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나를 새롭게 하는 휴대폰, EVER! * 사용 맵 : [[레퀴엠(스타크래프트)|네오 레퀴엠]](Neo Requiem),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Ride of Valktries), [[포르테(스타크래프트)|포르테]](Forte),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더 파이널]](Luna the Final) * 조 편성 ||A조||[[이윤열]], [[최연성]], [[박정석]],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B조||[[김준영]], [[박용욱]], [[박성준(1986)|박성준]],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C조||[[박태민]], [[손영훈]], [[변형태]], [[변은종]]|| ||D조||[[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이병민]], [[송병구]], [[홍진호]]|| * 우승 [[박성준(1986)|박성준]], 준우승 [[이병민]], 3위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4위 [[박태민#s-1|박태민]] * 8강 투어 장소 : 부산 [[경성대학교]] 대운동장 * 결승 장소 : 경기도 고양 일산 [[KINTEX]](초대가수: [[노브레인]](2년 연속), [[길건]]) [[박성준(1986)|투신]], 더 날카로워진 창으로 다시 돌아오다. [[EVER 스타리그 2005]] 항목 참조. === [[So1 스타리그 2005]] === * 기간 : 2005년 8월 5일 ~ 2005년 11월 5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모든 휴대폰은 So1에서 만난다, 오픈 모바일 So1! * 사용 맵 : [[알 포인트(스타크래프트)|알 포인트]](R-Point), [[815(스타크래프트)|815]],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Ride of Valkyries), [[포르테(스타크래프트)|네오 포르테]](Neo Forte) * 조 편성 ||A조||[[박성준(1986)|박성준]], [[박성준(1984)|박성준]], [[안기효]], [[임요환]]|| ||B조||[[송병구]],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박정석]], [[이병민]]|| ||C조||[[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변은종]],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D조||[[홍진호]], [[김준영]], [[오영종]], [[최연성]]|| * 우승 [[오영종]], 준우승 [[임요환]], 3위 [[최연성]], 4위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 16강 투어 장소 : [[수원종합운동장]] 야외무대 * 결승 장소 : [[선인체육관|시립인천전문대체육관]] 스타크래프트 시청률 역대 1위, 그리고 2년만에 다시 돌아온 [[가을의 전설]] 4탄. 황제의 목을 베어간 사신. [[So1 스타리그 2005]] 항목 참조.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 * 기간 : 2005년 11월 25일 ~ 2006년 3월 4일 * 리그컨셉 : 15 vs 1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는 신한은행! * 사용 맵 : [[러시 아워(스타크래프트)|러시아워Ⅱ]](Rush Hour 2), [[815(스타크래프트)|신 815]],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Ride of Valkyries), [[개척시대(스타크래프트)|개척시대]] * 조 편성 ||A조||[[오영종]],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한동욱]]|| ||B조||[[박성준(1986)|박성준]], [[변형태]], [[임요환]], [[송병구]]|| ||C조||[[최연성]], [[김근백]], [[차재욱]], [[안기효]]|| ||D조||[[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박성준(1984)|박성준]],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이병민]]|| * 우승 [[최연성]], 준우승 [[박성준(1986)|박성준]], 3위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4위 [[한동욱]] * 16강 투어 장소 : 서울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 8강 투어 장소 : 경기도 [[광명스피돔]] * 결승 장소 : 경기도 고양 일산 [[KINTEX]] 청출어람, 그리고 [[최연성|괴물]]의 마지막 결승 진출이자 우승.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항목 참조.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 * 기간 : 2006년 4월 12일 ~ 2006년 6월 24일 * 리그컨셉 : 23 VS 1 One & Only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는 신한은행!(신한은행 05-06과 동일) * 사용 맵 : [[러시 아워(스타크래프트)|러시아워Ⅲ]](Rush Hour 3), [[개척시대(스타크래프트)|신 개척시대]],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백두대간]], [[815(스타크래프트)|815Ⅲ]] * 조 편성 ||A조||[[최연성]], [[차재욱]],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박명수(1987)|박명수]]~~|| ||B조||[[안기효]], [[변길섭]], [[박성준(1986)|박성준]], [[박태민#s-1|박태민]]|| ||C조||[[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임요환]], ~~[[최가람]]~~, [[변은종]]|| ||D조||[[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김남기(프로게이머)|김남기]], [[염보성]], [[이병민]]|| ||E조||[[한동욱]], [[강민]], [[박영훈(프로게이머)|박영훈]], [[박성준(1984)|박성준]]|| ||F조||[[송병구]], [[변형태]],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홍진호]]|| * 우승 [[한동욱]], 준우승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3위 [[홍진호]], 4위 [[변은종]], 5위 [[박성준(1984)|박성준]], 6위 [[변형태]] * 8강 투어 장소 : 충청북도 청주 [[서원대학교]] 야외음악당 * 결승 장소 : 서울 [[서울대학교]] 잔디운동장 올드 저그들의 마지막 투혼. 그리고 [[하이트 스파키즈|스파키즈]]의 유일한 개인리그 우승을 일궈낸 [[한동욱|아트 테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항목 참조.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 * 기간 : 2006년 8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 대회컨셉 : My Starleague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도전하는 젊음과 함께하는 더 큰 감동! * 사용 맵 : [[타우 크로스]](Tau cross),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신 백두대간]], [[아카디아(스타크래프트)|아카디아Ⅱ]](Arcadia 2), [[알카노이드(스타크래프트)|알카노이드]](Arkanoid) * 조 편성 ||A조||[[한동욱]], [[오영종]],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박성준(1986)|박성준]]|| ||B조||[[김택용]], [[이성은]],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이재황(프로게이머)|이재황]]|| ||C조||[[홍진호]], [[박성훈(프로게이머)|박성훈]], [[안상원]], [[이병민]]|| ||D조||[[고인규]], [[염보성]], [[변은종]], [[안기효]]|| ||E조||[[박성준(1984)|박성준]], [[장육]], [[이윤열]],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F조||[[박태민#s-1|박태민]], [[김준영]], [[변형태]], [[차재욱]]||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오영종]], 3위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4위 [[이병민]], 5위 [[박태민#s-1|박태민]], 6위 [[박성준(1984)|박성준]] * 8강 투어 장소 :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 결승 장소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용산 e-Sports 스타디움|새로운 장소]]에서의 첫 번째 시작. 그리고 [[이윤열|천재]], [[골든마우스]]를 획득하다.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항목 참조.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 * 기간 : 2006년 12월 13일 ~ 2007년 2월 24일 * 리그 컨셉 : My Starleague * 사용 맵 : [[롱기누스(스타크래프트)|롱기누스Ⅱ]](Longinus 2), [[리버스 템플]](Reverse Temple), [[알카노이드(스타크래프트)|네오 알카노이드]](Neo Arkanoid), [[히치하이커(스타크래프트)|히치하이커]](Hitchiker)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도전하는 젊음과 함께하는 더 큰 감동!(Season 2와 동일) * 조 편성 ||A조||[[이윤열]], [[최연성]], [[박영민(1984)|박영민]], [[이학주(프로게이머)|이학주]]|| ||B조||~~[[박명수(1987)|박명수]]~~, ~~[[신희승]]~~, [[오영종]], [[이성은]]|| ||C조||[[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마재윤]]~~,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D조||[[박성준(1986)|박성준]], [[김남기(프로게이머)|김남기]], [[이병민]], [[한동욱]]|| ||E조||[[박태민#s-1|박태민]], [[김준영]], [[변형태]],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F조||[[장육]],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 [[박성준(1984)|박성준]], ~~[[진영수]]~~|| * 우승 ~~[[마재윤]]~~, 준우승 [[이윤열]], 3위 [[변형태]], 4위 [[한동욱]], 5위 [[박성준(1984)|박성준]], 6위 [[이성은]] * 8강 투어 장소 : 대구 [[EXCO]] * 결승 장소 :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역도경기장]](초대가수: [[에픽하이]], [[베이비복스 리브]]) [[마재윤|마서스]]의 본좌 등극. 하지만 조작으로 인해 흑역사가 된 대회. 그리고 2006년은 토스 최대의 암흑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항목 참조. === [[Daum 스타리그 2007]] === * 기간 : 2007년 5월 11일 ~ 2007년 7월 21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UCC 세상, 다음! * 사용 맵 : [[파이썬(스타크래프트)|파이썬]](Python), [[몽환(스타크래프트)|몽환]], [[히치하이커(스타크래프트)|히치하이커]](Hitchhiker), [[몬티홀(스타크래프트)|몬티 홀]](Monty hall) * 조 편성 ||A조||~~[[마재윤]]~~, [[최연성]], [[이영호]],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B조||~~[[진영수]]~~, ~~[[김성기(1987)|김성기]]~~, [[김택용]], [[이윤열]]|| ||C조||[[변형태]], [[박정석]], [[서경종]], ~~[[원종서]]~~|| ||D조||[[김준영]], [[송병구]], [[한동욱]], ~~[[신희승]]~~|| * 우승 [[김준영]], 준우승 [[변형태]], 3위 [[송병구]], 4위 [[이영호]]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호반광장 특설 무대 2007년을 넘어 역대 최고의 스타리그 결승전. [[Daum 스타리그 2007]] 항목 참조. === [[EVER 스타리그 2007]] === * 기간 : 2007년 9월 28일 ~ 2007년 12월 22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세상의 SHOW, 에버와 즐겨라! * 사용 맵 : [[몽환(스타크래프트)|몽환Ⅱ]], [[블루스톰]](Blue Storm), [[페르소나(스타크래프트)|페르소나]](Persona), [[카트리나(스타크래프트)|카트리나]](Katrina) * 조 편성 ||A조||[[김준영]], [[김택용]], [[오충훈]], ~~[[신희승]]~~|| ||B조||~~[[진영수]]~~,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변형태]], [[박성준(1986)|박성준]]|| ||C조||[[송병구]], [[이윤열]], ~~[[김성기(1987)|김성기]]~~, [[이제동]]|| ||D조||~~[[마재윤]]~~,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안기효]], [[이영호]]|| * 우승 [[이제동]], 준우승 [[송병구]], 3위 [[김택용]], 4위 ~~[[신희승]]~~ * 8강 투어 장소 : 경기도 [[부천실내체육관]] * 결승 장소: 경기도 고양 일산 [[KINTEX]] (초대가수: [[크라잉넛]]) [[이제동|폭군]], 자신의 시대를 열다. [[EVER 스타리그 2007]] 항목 참조. === [[박카스 스타리그 2008]] === * 기간 : 2008년 1월 16일 ~ 2008년 3월 15일 * 리그컨셉 : 지치지 않는 열정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승리를 향한 지치지 않는 열정, 박카스! * 사용 맵 : [[트로이(스타크래프트)|트로이]](Troy), [[블루스톰]](Blue Storm), [[악령의 숲(스타크래프트)|악령의 숲]](8강부터 몽환Ⅱ로 교체), [[카트리나(스타크래프트)|카트리나]](Katrina) * 조 편성 ||A조||[[이제동]], ~~[[마재윤]]~~, [[염보성]], [[도재욱]]|| ||B조||[[이영호]], [[윤종민]], [[안기효]], [[송병구]]|| ||C조||[[김택용]],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박성준(1986)|박성준]], ~~[[박찬수]]~~|| ||D조||~~[[박명수(1987)|박명수]]~~, [[손찬웅]], [[박영민(1984)|박영민]],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 우승 [[이영호]], 준우승 [[송병구]], 공동 3위 [[김택용]], ~~[[박찬수]]~~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광주 [[페퍼스타디움]] [[이영호|최종병기]], 본격적으로 각성하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8]] 항목 참조. === [[EVER 스타리그 2008]] === * 기간 : 2008년 4월 16일 ~ 2008년 7월 12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더하는 즐거움, 함께 나누는 감동, EVER! * 사용 맵 : 화랑도, [[트로이(스타크래프트)|트로이]](Troy), [[오델로(스타크래프트)|오델로]](Othello),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Andromeda) * 조 편성 ||A조||[[이영호]], [[김준영]], [[안기효]], [[염보성]]|| ||B조||[[도재욱]], [[이윤열]], [[허영무]], [[송병구]]|| ||C조||[[박성준(1986)|박성준]], ~~[[박찬수]]~~, [[윤종민]], [[박명수(1987)|박명수]]|| ||D조||[[손찬웅]], [[박영민(1984)|박영민]], [[김택용]], [[박성균]]|| * 우승 [[박성준(1986)|박성준]], 준우승 [[도재욱]], 공동 3위 ~~[[박찬수]]~~, [[손찬웅]] * 8강 투어 장소: 대구 [[EXCO]] * 결승 장소: [[인천삼산월드체육관]] (초대가수: [[원더걸스]]) [[박성준(1986)|투신]], [[골든마우스]]를 가져가다. [[EVER 스타리그 2008]] 항목 참조.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 * 기간 : 2008년 8월 4일~ 2008년 11월 1일 * 리그컨셉: Be The Legend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나만의 취업전략, 인크루트! * 사용 맵 : 36강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Andromeda), [[플라즈마(스타크래프트)|플라즈마]](Plasma),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16강 이후 : [[추풍령(스타크래프트)|추풍령]],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메두사(스타크래프트)|메두사]](Medusa), [[플라즈마(스타크래프트)|플라즈마]](Plasma) * 조 편성 (16강) ||A조||[[이영호]], [[박성준(1986)|박성준]], [[김택용]], [[박영민(1984)|박영민]]|| ||B조||[[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안기효]], [[도재욱]], [[김준영]]|| ||C조||~~[[박찬수]]~~, [[정범수(프로게이머)|정영철]], [[박성균]],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D조||[[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염보성]], [[송병구]], [[손찬웅]]|| * 우승 [[송병구]], 준우승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공동3위 [[도재욱]], [[김준영]] * 8강 투어 장소: 충청남도 천안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체육관 * 결승 장소: 서울 [[COEX]] 컨벤션홀(초대가수: [[손담비]]) [[송병구|무결점의 총사령관]], 눈물의 [[콩라인]] 탈출.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항목으로. === [[BATOO 스타리그 08~09]] === * 기간 : 2008년 12월 17일~2009년 4월 4일 * 리그컨셉: 1Round 36강 : 스스로 구원하라, 2Round 16강 : Save The Best For Last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이제는 [[바투#s-3|바투]] 한판! * 사용 맵 : [[달의 눈물]],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추풍령(스타크래프트)|신 추풍령]], [[메두사(스타크래프트)|메두사]](Medusa) * 조 편성 ||A조||[[송병구]], [[김택용]], ~~[[박명수(1987)|박명수]]~~, [[박성준(1986)|박성준]]|| ||B조||[[신상문]], [[조일장]],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서기수]]|| ||C조||[[도재욱]], ~~[[진영수]]~~, ~~[[신희승]]~~, [[이영호]]|| ||D조||~~[[박찬수]]~~, [[이제동]], [[김준영]], [[김구현]]|| * 우승 [[이제동]], 준우승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공동3위 [[김택용]], [[조일장]]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이제동|폭군]]의 위엄. 그리고 [[정명훈(프로게이머)|테러리스트]]의 [[콩라인]] 등극. [[BATOO 스타리그 08~09]] 항목 참조.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 기간 : 2009년 5월 6일 ~ 2009년 8월 22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나를 강하게 하는 친구, 박카스! * 사용 맵 : 예선전 -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Outsider), [[신의 정원]]. 36강 -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Outsider), [[홀리월드]](Holy World). 16강 이후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Outsider), [[홀리월드|홀리월드SE]](Holy World SE), [[왕의 귀환(스타크래프트)|왕의 귀환]] * 조 편성 ||A조||[[이제동]],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이영호]], ~~[[박명수(1987)|박명수]]~~|| ||B조||~~[[문성진]]~~, [[송병구]],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손찬웅]]|| ||C조||[[김택용]], ~~[[김창희(1989)|김창희]]~~, ~~[[진영수]]~~, [[김명운]]|| ||D조||[[한상봉]], [[고인규]], [[조일장]], [[신상문]]|| * 우승 [[이제동]], 준우승 ~~[[박명수(1987)|박명수]]~~, 공동 3위 ~~[[문성진]]~~,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 [[이제동|폭군]], [[골든마우스]]를 획득하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9]] 항목참조. === [[EVER 스타리그 2009]] === * 기간 : 2009년 10월 14일 ~ 2010년 1월 17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유쾌한 상상, 넘치는 즐거움, EVER! * 사용 맵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태풍의 눈(스타크래프트)|태풍의 눈]],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엘 니뇨(스타크래프트)|엘니뇨]] * 조 편성 ||A조||[[이제동]],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김창희(1989)|김창희]]~~, [[진영화]]|| ||B조||[[김명운]], ~~[[진영수]]~~, ~~[[박명수(1987)|박명수]]~~, [[박세정]]|| ||C조||[[김윤환#s-1|김윤환]],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이영한]]|| ||D조||[[이영호]], [[한상봉]], [[송병구]], ~~[[문성진]]~~|| * 우승 [[이영호]], 준우승 [[진영화]], 공동 3위 [[김윤환#s-1|김윤환]], [[이영한]]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올림픽홀(초대가수: [[카라]]) 2000번째 경기의 이정표. 무비스타 [[진영화]]와 태풍 [[이영한]]의 등장. 그리고 본격적인 [[이영호|최종병기]]의 시대. [[EVER 스타리그 2009]] 항목 참조.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 * 기간 : 2010년 2월 10일 ~ 2010년 5월 22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새로운 세상을 여는 첫 걸음, 대한항공! * 사용 맵 : [[태풍의 눈(스타크래프트)|태풍의 눈]],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스타크래프트)|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Beef), [[매치포인트#s-2|매치포인트]](Match Point),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조 편성 ||A조||[[이영호]], [[한상봉]], [[신대근]], [[김구현]]|| ||B조||[[송병구]], [[전태양]], [[진영화]], ~~[[진영수]]~~|| ||C조||[[김윤환#s-1|김윤환]], [[박세정]], [[김명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D조||[[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이영한]], ~~[[김창희(1989)|김창희]]~~|| * 우승 :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준우승 : [[이영호]] 공동 3위 : [[박세정]], [[김구현#s-1|김구현]] * 8강 투어 장소 : [[울산광역시|울산]]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문수 월드컵경기장]] 호반광장 * 결승 장소 : '''서울 [[김포국제공항]] [[대한항공]] 본사 격납고'''(초대가수: [[시크릿(아이돌)|시크릿]]) 마서스의 병크로 위기에 있던 [[CJ 엔투스|팀]], 아니 스타판을 구한 [[김정우(프로게이머)|불사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항목으로.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 * 기간 : 2010년 6월 16일 ~ 2010년 9월 11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꿈을 향한 비상, 대한항공! * 사용 맵 : [[비상-드림라이너]],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Polaris Rhapsody),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Grand Line SE), [[태풍의 눈(스타크래프트)|태풍의 눈]] * 조 편성 ||A조||[[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김성대]], [[신상문]], [[김택용]]|| ||B조||[[박재혁(1987)|박재혁]], [[구성훈]], [[이영호]], [[김명운]]|| ||C조||[[박세정]], [[신동원]], [[염보성]], [[이제동]]|| ||D조||[[송병구]],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김구현]], [[윤용태]]|| * 우승 : [[이영호]], 준우승 : [[이제동]], 공동 3위 : [[송병구]], [[윤용태]] * 8강 투어 장소 :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특설무대 * 결승 장소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동방명주]] 야외 특설무대''' 최초이자 마지막 해외 결승과 최초이자 마지막 [[리쌍록]] 스타리그 결승전, 그리고 [[골든마우스]]를 획득한 [[이영호|최종병기]]의 절정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항목으로.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 * 기간 : 2010년 11월 3일 ~ 2011년 1월 29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당신의 진짜 피로 회복제, [[박카스#s-2|박카스]]!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광주광역시]] [[페퍼스타디움]][* 동아제약이 처음으로 스폰싱했던 [[박카스 스타리그 2008]]의 결승전이 치뤄졌던 장소이다. ~~그리고 결과도 [[송병구]]의 세트 스코어 0:3 [[셧아웃#s-2|셧아웃]]패로 똑같았다.~~](초대가수: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 사용 맵 : [[패스파인더(스타크래프트)|패스파인더]](Pathfinder), [[아즈텍(스타크래프트)|아즈텍]](Aztec), [[글라디에이터(스타크래프트)|글라디에이터]](Gladiator),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루스]](Icarus) * 조 편성 ||A조||[[이영호]], [[김구현]], [[정경두(프로게이머)|정경두]], [[박재혁(1987)|박재혁]]|| ||B조||[[김윤환#s-1|김윤환]],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 [[이제동]], [[구성훈]]|| ||C조||[[송병구]], [[박성균]], [[염보성]], [[이영한]]|| ||D조||[[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윤용태]], [[신동원]]|| * 우승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준우승 : [[송병구]], 공동 3위 : [[김윤환#s-1|김윤환]],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복수의 칼날을 갈은 [[정명훈(프로게이머)|테러리스트]], 2년전의 복수를 성공하고 드디어 우승을 맛보다. [[박카스 스타리그 2010]] 항목 참조.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 * 기간 : 2011년 6월 22일 ~ 2011년 9월 17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색다른 도전의 시작, 진에어!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초대가수: [[박완규]], 에이프릴키스) * 사용 맵 : [[라만차]](La Mancha), [[패스파인더(스타크래프트)|패스파인더]](Pathfinder),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글라디에이터(스타크래프트)|글라디에이터]](Gladiator) * 조 편성 ||A조||[[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어윤수]], [[구성훈]], [[염보성]]|| ||B조||[[송병구]], [[이영한]], [[이영호]], [[신동원]]|| ||C조||[[김윤환(1989)|김윤환]], [[허영무]], [[전태양]], [[박준오]]|| ||D조||[[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이제동]], [[신대근]], [[박재혁(1987)|박재혁]]|| * 우승 : [[허영무]], 준우승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공동 3위 : [[신동원]], [[어윤수]] --콩상결전-- 3년만에 부활한 [[가을의 전설]]. 상세사항은 [[진에어 스타리그 2011]]을 참조. === [[tving 스타리그 2012]] === * 기간 : 2012년 4월 14일 ~ 2012년 8월 4일 * 리그컨셉 : New Beginning Not The End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세상의 모든 동영상을 담다, 티빙!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 사용 맵 : [[일렉트릭 써킷|네오 일렉트릭써킷]](Neo Electic Circuit), [[글라디에이터(스타크래프트)|글라디에이터]](Giadiator), [[저격능선|신 저격능선]], [[그라운드 제로(스타크래프트)|네오 그라운드제로]](Neo Ground Zero) * 조 편성 ||A조||[[허영무]], [[이신형]], [[이영호]], [[김성대]]|| ||B조||[[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변현제]],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 [[유병준(프로게이머)|유병준]]|| ||C조||[[신동원]],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신대근]], [[이영한]]|| ||D조||[[어윤수]], [[송병구]], [[김명운]],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 우승 : [[허영무]], 준우승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공동 3위 : [[김명운]], [[이영호]] --콩상결전 시즌 '''2'''-- 브루드워로 치러지는 최후의 공식 개인리그이자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후의 불꽃. 상세 사항은 [[tving 스타리그 2012]] 항목으로. === 왕중왕전 === 스타리그 초창기에는 상기 3시즌의 상위권 입상자 6명을 초빙하여 따로 왕중왕전을 열었다. 당시 이 리그 경기는 온게임넷 A매치 전적에 포함되었으며 우승자와 준우승자에게 차기 스타리그 시드를 주는 등 정식 대회처럼 대우를 했다. 하지만 왕중왕전은 2번만 열리고 종료되었고 올림푸스 배때부터 비공식 리그로 격하된다. 온게임넷 A매치 전적에도 제외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그렇지는 않다. 실제 2번 열린 왕중왕전에 참가한 참가자들의 온게임넷 A매치 전적을 보면 알 수 있으며, 일례로 임요환의 108승69패중 2승3패가 왕중왕전 기록이다. ====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 ||참가자||[[최진우]], [[기욤 패트리]],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국기봉]], [[강도경]], [[봉준구]]|| * 기간 : 2000년 12월 4일 ~ 2000년 12월 28일 * 사용 맵 : [[딥 퍼플]](Deep Purple), 아이스 템플(Ice Temple), [[블레이즈|네오 블레이즈]](Neo Blaze),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네오 정글 스토리]](Neo Jungle Story) * 결승 장소 : [[건국대학교/서울캠퍼스|건국대학교]] 새천년기념관 * 우승 : [[기욤 패트리]], 준우승 : [[국기봉]], 3위 : [[강도경]] >'''아, 완전히 살아난 모습인데요, [[기욤 패트리]]? 그르르르...[* 기욤 패르티의 닉네임 'Grrrr...'.], 파란 눈의 전사!''' >----- > 기욤이 결승전에서 1,2세트를 내준 이후에 3,4세트를 따내며 5세트까지 가게 된 순간 [[정일훈(방송인)|정일훈]] 캐스터의 멘트. 첫 3시즌의 우승자, 준우승자 6명을 모아서 연 왕중왕전이다. 당시에는 2회 이상 결승에 진출한 선수가 없어서 정확하게 6인으로 나눠졌으며, 6인 풀리그를 펼친 후 상위 2명이 최종 결승을 벌이는 방식으로 대회를 진행했다. 당시 기욤, 강도경, 김동수 3명이 우승을 다툴 것이라는 예상이 다수였으나, 국기봉이 예상 외의 선전으로 결승 진출을 하며 화제가 되었다. 6강 풀리그 성적은 1위 국기봉(4승1패), 2위 기욤(4승1패, 국기봉에게 승자승에서 밀림), 3위 강도경(3승2패), 4위 김동수(2승3패), 5위 봉준구(2승3패, 김동수에게 승자승에서 밀림), 6위 최진우(5패)이다. 최진우는 당시 수능을 준비한다고 한동안 게임에 손을 놓다가 다시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기였고 이 대회 출전 당시 손에 부상을 당하기도 해서 별다른 활약 없이 전패로 탈락했다. 직전 대회 우승자 김동수는 약점인 토스전에서 2패를 당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며 탈락했다. 특히, 저그유저인 국기봉이 김동수를 상대로 토스가 유리한 딥퍼플에서 토스대토스전을 펼치며 승리를 거둔게 뼈아팠다. 기억에 남을만한 경기로는 아이스 템플에서 열린 기욤대강도경의 경기이다. 이미 국기봉이 결승진출이 확정된 상황에서 남은 한자리를 놓고 맞붙은 경기였는데 강도경이 승기를 잡았으나 기욤이 특유의 감각을 발휘해 다템드랍으로 경기를 뒤집었다. 최진우와 봉준구의 온게임넷 개인리그 공식전 마지막 대회이다. 이 왕중왕전 직전 대회였던 프리챌배는 우승자인 김동수와 준우승자인 봉준구가 왕중왕전 우승자 기욤과 준우승자 국기봉에게 밀려 차기 스타리그 시드를 받지 못했고, 차기 스타리그인 한빛소프트배는 그 둘이 예선에서 떨어짐에 따라 전기 대회 우승, 준우승자가 참가하지 못한 유일한 대회가 되었다. 이것만 봐도 당시 왕중왕전은 이벤트전이 아닌 공식리그 취급을 받았다는걸 알 수 있으며, 온게임넷 A매치 전적에도 왕중왕전의 전적이 포함된다. 이 대회를 우승한 기욤 패트리는 하나로통신배에 이어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하며, 2000년을 자신의 해로 마무리하였다. 이후 온게임넷 최강자(당대 본좌)의 위상은 2001년 임요환에게로 넘어간다. 하지만 이후 우여곡절 끝에 현재는 사실상 이벤트전 취급을 받고 있다. 여담으로 비공식 대회 결승전 [[리버스 스윕]]이 나온 경기다. 또 왕중왕전 결승은 '''FINAL 2000'''이라는 부제를 달고 진행했으며, 사이버사커챔피언십(피파) 왕중왕전 결승전과 함께 펼쳐졌다. 참고로 이 대회에 삽입된 BGM은 모두 영화 [[더 록(영화)|더 록]]의 OST들인데, 영화 자체도 명작이지만 BGM도 하나같이 웅장한 BGM들이라 상당한 호평을 받는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3ZiNqGs0OTv1lKI3z0T0M2ko6ApNmtB|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VOD 목록]] ====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 ||참가자||[[임요환]],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장진남]], [[홍진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 기간 : 2002년 1월 12일 ~ 2002년 2월 22일 * 사용 맵 : [[버티고|네오 버티고]](Neo Vertigo), [[홀 오브 발할라|네오 홀 오브 발할라]](Neo Hall of Valhalla), [[레가시 오브 차|네오 레가시 오브 차]](Neo Legacy of Char), [[사일런트 볼텍스|네오 사일런트 볼텍스]](Neo Silent Vortex), [[로스트 템플|네오 로스트 템플]](Neo Lost Temple) * 결승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 우승 : [[홍진호]] , 준우승 :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3위 : [[김동수]] 대회 방식은 2000 왕중왕전과 같지만, 임요환이 상기 3대회 모두 결승에 진출한지라 진출자 2명의 자리가 비어 3위를 기록한 선수가 추가로 출전 자격을 얻었다. 지난 왕중왕전과 달리 이전 시즌 우승자, 준우승자의 시드도 유지해준 것이 차이점. ~~김동수는 우승하고도 시드를 두 번이나 놓치는 불운을 겪을 뻔했다~~ 리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항목 참고. ==== [[신한은행 마스터즈]] ==== ||참가자||[[한동욱]], [[이윤열]], ~~[[마재윤]]~~, [[변형태]]|| * 기간 : 2007년 3월 5일 ~ 2007년 3월 17일 * 사용 맵 : [[815(스타크래프트)|815 3]], [[알카노이드(스타크래프트)|네오 알카노이드]](Neo Arkanoid), [[리버스 템플]](Reverse Temple),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신 백두대간]] * 장소 : 서울 삼성동 [[COEX]] 컨벤션홀 * 우승 : [[이윤열]], 준우승 : ~~[[마재윤]]~~ 신한은행이 스폰서를 맡은 3개 대회의 우승자를 모아서 열린 왕중왕전. 우승자 3명 외에 3시즌 상위권 입상자들끼리 토너먼트를 벌여서 1명의 진출자를 결정했는데 여기서 변형태가 진출권을 획득했다. 그리하여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4강 진출자들과 멤버가 동일하다. 물론 대진은 다르게 편성되었다. 결승은 신한은행 시즌 3의 재대결. 여기서는 이윤열이 그때와 반대로 3:1로 우승했다. 스타리그 공식전 전적에는 이 대회가 포함된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WQeRMoEALvqmHEpMIx50CX6dUdcIZLU8|신한은행 마스터즈 VOD 목록]][* 조작범의 경기를 제외한 모든 영상이 업로드 되어 있다. 마스터즈 4강 B조와 결승도..]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기반 대회 ==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 * 기간 : 2012년 7월 16일 ~ 2012년 10월 27일 * 리그컨셉 : New Beginning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좋은 상품을 죽이는 가격에 올킬!, 옥션!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 [[한양대학교]] 올림픽 체육관 * 사용 맵 : 예선과 듀얼 - WCS [[묻혀진 계곡]], WCS [[오하나]], WCS [[안티가 조선소]] * 본선 - WCS [[묻혀진 계곡]], WCS [[오하나]], WCS [[안티가 조선소]], WCS [[여명]] * 조 편성 ||A조||[[허영무]], [[박수호]],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정윤종]]|| ||B조||[[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임재덕]], [[김학수]],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C조||[[전태양]], [[원이삭]], [[정종현]], [[신재욱]]|| ||D조||[[도재욱]], [[장민철]], [[이영호]], [[강초원(프로게이머)|강초원]]|| * 우승 : [[정윤종]] , 준우승 : [[박수호]] , 3위 : [[장민철]], 4위 :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스타크래프트 2로 치루는 첫 스타리그.'''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항목으로.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기반 대회 == 이 대회부터 스타리그는 HD방송으로 제작되었고 또한 블리자드에서 개최하는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와 연계하여 WCS KOREA Season 2 스타리그로 진행됐다. ===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 * 기간: 2013년 6월 18일 ~ 2013년 8월 10일 * 메인 스폰서: AUCTION * 8강 야외 투어 : 없음 * 결승 장소: 서울 삼성동 COEX D홀 * 사용 맵: * 32강 * 1, 2경기: [[벨시르 잔재]] SE * 승자전, 패자전: 뉴커크 재개발 지구 * 최종전: [[돌개바람]] SE * 16강~ * [[우주 정거장]] * [[돌개바람]] SE * [[아킬론 황무지]] * [[벨시르 잔재]] SE * 광안리(신맵) * 아나콘다(신맵) * 뉴커크 재개발 지구 * 조 편성 ||A조||[[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강동현]], [[어윤수]], [[원이삭]]|| ||B조||[[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이신형]], [[이영호]], --[[정우용]]--|| ||C조||[[정윤종]], [[강현우(프로게이머)|강현우]], [[신대근]],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D조||[[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김영진(프로게이머)|김영진]],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황강호]]|| * 우승 :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준우승 : [[정윤종]], 3위 : [[이신형]],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통합 WCS 체제, 군단의 심장으로 열린 처음이자 마지막 스타리그. 그리고 사실상 마지막 스타리그. 세부사항은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항목으로.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온게임넷이 WCS 체제에서 이탈하며 스타2 개최와 중계를 포기했다. === ~~'''[[2014 WCS Korea Season 1]]'''~~ === * 특이사항 * 2014년에 개최되는 첫 WCS 코리아 리그. * 온게임넷이 더 이상 WCS를 중계하지 않으며 방송사는 곰TV로 이관. 따라서 WCS KOREA는 [[GSL]]로 단일화되었다. * 우승 상금이 7천만 원으로 상승. 2014년부터 개최될 예정이었던 2014 시즌 첫 개인리그이자 36번째 스타리그였으나 [[온게임넷]]이 WCS 중계를 더 이상 하지 않게 되면서 [[곰TV]]로 방송사가 이관되었다. WCS GSL 시즌 3이 다시 곰TV 단독 중계로 회귀했던 점을 생각해 보면 예상할 수 있었던 일일지도. 후에 온게임넷이 다시 WCS KOREA를 주관/중계하게 되거나 스타리그를 WCS와 차별화해서 다시 개최한다면 몰라도 온게임넷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13-14 중계에서도 철수했기 때문에 e스포츠의 태동이자 14년을 이어온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사실상 폐지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전망이 어둡다. 무엇보다 [[SPOTV GAMES]]에서 2015년부터 새로운 스타크래프트 2 개인리그인 [[Starcraft 2 StarLeague]]를 런칭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미 양대리그 구도가 확립된 상황에서는 스케줄 부분에서도 애로사항이 많고, 이후 온게임넷에서 [[소닉 스타리그]]가 중계됨에 따라 사실상 스타리그의 폐지가 확정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이 이후의 세부사항은 [[역대 GSL 일람]] 및 [[역대 SSL 일람]]으로. [[분류:온게임넷 스타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