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학문]]은 우리가 [[인문학|어떻게 생활을 잘 꾸려나갈 수 있는가]], 어떻게 [[자연과학|외적 사물]]과 [[사회과학|인간 행동]]을 계산을 통해 잘 다룰 수 있는가에 대해 기술적 지식을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 채소장수 아주머니의 역할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하고 여러분들은 말할 것입니다.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 채소장수 아주머니는 제공해 줄 수 없는 반면, 학문은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사고의 방법, 사고의 도구 및 사고를 위한 훈련입니다.'''" >----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학문》, p.74[*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는 이 단락에 대해서도 비판적 방법론을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채소장수 아주머니'를 열등한 것처럼 상정하며 [[선민의식|연구자를 우월한 대조항으로 삼는 베버의 설명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오히려 21세기 현재에도 시의적절한 연구과제이다. [[젠더]]적 측면으로도 나름 접근할 부분이 있을 것이다.] {{{+1 硏究方法論 / Research Methodology}}} 여기서는 학술[[연구]]에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대학원]]생들이 가장 집중적으로 익히는 기초소양이며, [[사회조사분석사]] 등을 준비하는 사람들 역시 이하의 내용을 주로 공부하게 된다. 보면 알겠지만 다른 [[학문 관련 정보]]들의 "[[메타]]"(meta)적 성격이 강한 목록이다. ||가나다순|| == 학술문헌·연구활동 관련 정보 == * [[거대과학]] * [[과학계량학]] (scientometrics) * [[과학자사회]] ([[과학 공동체]]) * [[동료평가]] * 상호통제의 원리 * 이웃 중첩의 사슬 * 출판후 동료평가 (post-publication peer review) * [[세미나]] * [[심포지엄]] * [[워크샵]] * [[학술대회]] (컨퍼런스): 연차학술대회는 1년에 1번, 춘계/추계 학술대회는 봄-가을로 1년에 2번을 의미한다. * [[학회]] * [[프로토콜]] * [[과학 대중화]] * 과학 문해율 (science literacy) * 과학 외부지원 (science outreach) * 과학의 공공인식 (PAwS; public awareness of science) * 과학의 공공관여 (public engagement of science) * [[공공사회학]] (public sociology) * [[리빙랩|리빙 랩]] (living lab) * 로컬 랩 * [[시민과학]] (citizen science) [[https://youtu.be/SZwJzB-yMrU|#]]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36448.html|#사례]] * 연구우수성 프레임워크 (REF;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http://www.editage.co.kr/insights/measuring-the-impact-of-science-an-overview-of-the-2014-research-excellence-framework-report|#]] * 연구 저널리즘 * 참여적 활동연구 (PA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통속적 요약 (lay summary) [[https://blog.naver.com/editage_kr/221713209207|#]] * [[교양지]] * [[교차검증]] * [[구글 학술검색]] ([[구글 스콜라]]) * [[논문]] * [[감사의 글]] (논문사사; Acknowledgement) * [[논문/공모전]] * [[논문/형식]] ([[IMRaD Format]]) [[http://www.joongbu.ac.kr/board/grad_notice/gra_board7/list.do?gotoPage=1&mno=sub05_04&gotoPage=2&|(중부1)]] [[http://www.joongbu.ac.kr/grad/sub05_02.do|(중부2)]] * [[논문제출자격시험]] * [[초록]] (Abstract) * [[출판전 논문]] (Preprint; Manuscript) * ScholarOne Manuscript * 커버 레터 (cover letter) [[https://blog.naver.com/editage_kr/221301533354|#]] * 타이틀 페이지 (title page) * [[프로시딩]] * [[프로포절]] ([[연구계획서]]; concept paper) * [[회색문헌]] * [[DOI|Doi]] (디지털 객체 식별번호) * [[리뷰]] (총설) * 리뷰 논문 * 리뷰 저널 * [[우산 리뷰]] (umbrella review) * PRISMA 체크리스트 ([[http://prisma-statement.org/documents/PRISMA%202009%20checklist.pdf|#PDF]]) * [[리포트]] * [[백과사전]] * [[:분류:백과사전]] * [[보고서]] * [[부다페스트 오픈액세스 성명서]] (BOAI) * [[브래드포드의 법칙]] (Bradford's law) * [[오컴의 면도날#s-1.3.2|브레너의 빗자루]] (Brenner's broom) * [[사이허브]] (Sci-Hub) * [[상호대차]] * [[책바다]] * [[샌프란시스코 선언]] (DORA) [[https://en.wikipedia.org/wiki/San_Francisco_Declaration_on_Research_Assessment|#]] [[http://scienceon.hani.co.kr/102455|##]] [[https://sfdora.org|San Francisco DORA]] *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 [[LaTeX#s-4|BibTeX]] * Bookends * [[Endnote]] ([[엔드노트]]) * [[Mendeley]] ([[멘델레이]]) * [[Papers]] * Procite * Reference Manager * [[RefWorks]] ([[레프웍스]]) * Scholar's Aid * Sente * [[Zotero]] * [[아카이브]] * [[arXiv]] * Nature Procedings * Sherpa/RoMEo * SSRN * [[viXra]] * [[연구노트]] ([[실험노트]]) * 연구자 식별 * [[마르퀴즈 후즈후 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 [[ORCID|ORCID 번호]] * PMID (PubMed 식별자) * Thompson Researcher ID * [[온-나라 정책연구 시스템]] ([[프리즘#s-6|프리즘]]) * [[인용]] * [[인용/스타일]] ([[인용법]]) * ACS * '''APA''' (6th) * '''Chicago''' (16th) * IEEE * Turabian (6th) * GB-7714 ([[중국]]) * GOST-SIBD ([[러시아]]) * Harvard-Anglia * [[ISO]] 690 * '''MLA''' (7th) * SIST-02 ([[일본]]) * 피인용수 ↓ * [[et al.]] * [[Ibid]] * 인용색인 * [[저널인용보고서]] (JCR) * [[A&HCI]] * [[KCI]]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7512|#]] * [[SCI]] * SCIE * SCOPUS ↓ * [[SSCI]] * [[저널]] * [[간행물]] * 정부간행물 [[http://gzone.kr|#]] * 오픈액세스 저널 * 저널 클럽 * [[ISSN]]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 * ISSN 국제센터 * [[저자권]] (Authorship) [[http://www.cre.or.kr/board/?board=infographic&no=1384581|#]] [[http://www.editage.co.kr/insights/authorship|##]] * 기여권 * 일반적인 저자 * 공저자 * 교신저자 * 제1저자 * 주저자 * 부당한 저자등재 * 교환저자 * 도용저자 * 선물저자 * 유령저자 * [[전문성]] * [[전문가 증언]] * 도버트 기준 (Daubert standard) * 프라이 기준 (Frye standard) * [[지표]] [[http://www.editage.co.kr/insights/can-metrics-replace-peer-review-in-indicating-the-quality-impact-of-research|#]] * 문헌수준 지표 (article-level metrics) * [[피인용수]] * 저널수준 지표 (journal-level metrics) [[http://www.journalmetrics.com/values.php|Dataset]] * [[알트메트릭스]] [[http://www.editage.co.kr/insights/can-new-measures-of-research-impact-replace-the-impact-factor|#]] * [[임팩트 팩터]] ([[인용지수]]) * ABS 학술저널 가이드 * CiteScore^^TM^^ * CWTS Metrics * IPP * [[SJR]] * [[SNIP]] * 저자수준 지표 (author-level metrics) * g-index * [[h 인덱스|h-index]] (Hirsch 지표) [[http://www.editage.co.kr/insights/is-the-h-index-better-than-the-impact-factor|#]] [[http://www.editage.co.kr/insights/looking-forward-a-new-formula-designed-to-measure-your-future-h-index|##]] * h5-index (구글 학술검색 지표) * i10-index * [[표절]] * [[표절검사서비스]] * CopyKiller * KCI 논문 유사도 검사 * PlagAware * PlagScan * PlagTracker * Turnitin (턴잇인) [[http://api.turnitin.com/ko|#]] * iThenticate * Viper (ScanMyEssay) * 학문분류체계 * [[듀이십진분류법]] (DDC) * [[한국십진분류법]] (KDC) * [[학술답사]] * [[학술 데이터베이스]] ([[학술DB]]) * AIP * [[DBpia]] * EBSCO * ERIC * [[KISS]] * KOAJ (KCI저널 오픈액세스 편람 서비스) [[http://www.kci.go.kr/kciportal/landing/indexKr.kci|#]] * JSTOR * ProjectMuse * PubMed * [[RISS]] * ScienceDirect * [[SCOPUS]] * Springer * Taylor & Francis * [[Web of Science]] (WoS) * Wiley Online Library *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 ProQuest * [[학술번역서비스]] * Editage * Notii [[http://asp.notii.co.kr/newAspNotii/?AuthCode=ff04be145b9a4cbfaaef175283799eca|#]] * [[학술요약서비스]] * BookZip * [[학술자료관리체계]] [[http://dcollection.ewha.ac.kr|(이화)]]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단국)]] * 기관 레포지토리 (IR; Institutional Repository) * 디지털 학술정보 유통체계 (d-Collection) [[http://www.dcollection.net/search/main.do|#]] * [[학술적 글쓰기]] (academic writing) [[https://blog.naver.com/editage_kr/221665072197|#]] * [[한국연구재단]] * [[핸드북]] ([[편람]]) * ~~[[Get me off Your Fucking Mailing List]]~~ == [[대학교]] · [[대학원]] 학술 관련 정보 == * '''[[대학 관련 정보]]''' == [[과학적 방법]] 관련 정보 == [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 [[경험과학]] ([[경험주의]]) * 먼지그릇 경험주의 (dust-bowl empiricism) * 과학자사회 ↑ * [[과학적 회의주의]] * [[과학전쟁]] * [[소칼 사건]] * [[근거중심의학]] (EBM) * 근거중심 피라미드 * 시험관 과학 (test-tube science) * [[렌즈 모델]] (브룬즈윅주의; Brunswikian) * [[반증주의]] * [[방법론적 자연주의]] * [[변경지대의 과학]] * [[병적과학]] * [[보수주의(동음이의어)#s-3|보수주의]] * [[복잡계]] * 자기조직화 * [[창발]] ([[전체론]]) * [[카오스 이론]] * 혼돈의 가장자리 * [[비과학]] * [[사회구성주의]] * [[오컴의 면도날]] * [[유사과학]] * [[자기교정성]] * [[통설]] * [[정설]] (canon) * 정설화 (canonization) * --[[학계의 정설]]-- * [[패러다임]] * [[학제간 연구]] ([[간학문적 연구]], [[다학제 연구]]) * [[융합과학]] * 통섭 ↓ * [[환원주의]] * [[통합과학(과학철학)|통합과학]] * [[SECI 모델]] ([[지식순환 이론]]) * 명시적 지식 (명시지) * 암묵적 지식 (암묵지) * 착화 (in-dwelling) * 지식변환 * 내면화 * 사회화 * 연결화 * 외부화 === [[실험]] 관련 정보 === * [[가설]] (연역추론) * [[개입성]] (obtrusiveness) ↔ 비개입성 (unobtrusiveness) * [[경계 조건]] * [[공리]] * [[과제]] (task) * [[기기분석]] * [[맹검법]] * 이중맹검법 (이중은폐법) * 삼중맹검법 (삼중은폐법) * [[모델링]] * 기술모형 * [[구조방정식]] * [[AMOS]] * 예측모형 * 과소적합 * 과(대)적합 * 편의-분산 상충관계 (bias-variance tradeoff) * 평가기법 * [[리프트차트]] ([[이익차트]]) * 기저리프트값 * 리프트값 (향상도) * 리프트곡선 * 반응률 * 반응검출률 * [[혼동행렬]] ([[정오분류표]]) * 정확도 (accuracy) * 정밀도 (precision) * F1 값 * F,,β,, 값 * 민감도 (sensitivity) / 재현율 (recall) * 특이도 (specificity) * ROC 곡선 * [[법칙]] * [[법칙론적 망]] (nomological network) * [[변인]] ([[변수]]) * 독립 변인 * 상호작용 효과 * 주효과 * 매개 변인 * 간접효과 * 직접효과 * 총효과 * Sobel test * 조절 변인 * 외생 변인 * 종속 변인 * 통제 변인 * [[사고실험]] * [[삼각검증]]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상관관계 * 인과관계 * 인과관계의 조건 * 공변성 * 비허위성 * 선후관계 * 인과관계의 추론 * 일치법 * 차이법 * [[생태학적 타당도]] * [[세런디피티]] (serendipity) [[http://blog.naver.com/bannibooks/221041879094|#]] * [[시뮬레이션]] * [[몬테 카를로 방법]] * [[실험 기구]] * [[실험설계]] * 전실험설계 * 단일집단 사후 설계 *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 정태집단 비교 설계 * 준실험설계 * 비동질적 통제집단 설계 * 통제 시계열 설계 * 틈입 시계열 설계 * 진실험설계 * 솔로몬 4집단 설계 * 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 * 통제집단 사후 설계 * 기타 실험설계 * 블록 설계 * 라틴 방진 설계 * 무선화 블록 설계 * 분할구 설계 * 불완전 블록 설계 * 요인 설계 *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 * 임의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 * 혼합효과 모형(mixed effect model) * 타당도 문제 ↓ * 검사 효과 * 순서 효과 * 이월 효과 * 학습 효과 * 성숙(maturation) * 소멸(mortality) * 역사(history) * 측정도구(instrumentation) *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 * [[실험설계 스크립트]] * Inquisit * [[연구 패러다임]] * [[요구특성]] * 착한 피험자 효과 (good subject effect) * [[이론]] * 이론적 영역 프레임워크 (TDF; theoretical domain framework) * [[이론적 조망]] (이론적 프레임워크) * 이론주도적 연구 ↔ 자료주도적 연구 * [[일반화]] * [[대학 2학년 문제]] (college sophomore problem) * [[WEIRD 문제]] * [[임상시험]] (trial) *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차머스-자다드 평가방법 (Chalmers-Jadad evaluation method) * 코크란 비뚤림위험 평가도구 (Cochrane Risk-of-Bias Tool) * SIGN 체크리스트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Checklist) * [[생동성 시험]] * 임상시험계획 * In vitro * In vivo * 1상 임상시험 * 2상 임상시험 * 3상 임상시험 * [[재현성]] [[http://scienceon.hani.co.kr/210773|#]] * 직접재현 (direct replication) * 변형재현 (tweak replication) / 개념재현 (conceptual replication) * [[전산유체역학]] * [[점화]] (priming) * 동화효과 / 대조효과 * 방해과제 (distractor) * 접근성 * [[정의]] * 사전적 정의 * [[잘 정의됨]](well-definedness) * [[조각적 정의]] * 조작적 정의 * 학술적 정의 (개념적 정의) * [[증명]] * [[차원성]] (dimensionality) * 다차원성 (multi-dimensionality) * 다차원척도화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 [[통제]] * 내적 통제 * 공분산분석 * 무선할당법 * 무선화 블록 설계 ↑ * 반복측정 * 검사효과(testing effect) * 상호작용 검사효과 * 주검사효과 * 순서효과(order effect) * 역균형화(counter-balancing) * 이월효과(carry-over effect) * 학습효과(learning effect) * 제거법 * 짝짓기 * 외적 통제 *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실험군과 대조군]]) * 조작 * [[조작 점검]](manipulation check) * [[편향]] * 가용성 편향 * 내집단 편향 * 발표 편향 * 부정성 편향 *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 거짓 파이프라인 (bogus pipeline) * 비대응 계수법 (UCT; unmatched count technique) * 사후판단 편향 (후견편파) * 생존자 편향 * 선택 후 지지 편향 * 실험자 편향 * 외집단 동질성 편향 * 자기고양 편향 * 전문 공개 편향 * 표본 편향 (선택 편향) * 행위자-관찰자 편향 * 현상유지 편향 * [[확증편향|확증 편향]] * 후원 편향 * [[Ad Hoc]] * [[ceteris paribus]] (케테리스 파리부스) == [[통계적 방법]] 관련 정보 ==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부생들이 통계학을 배우게 될 경우, 대부분의 학습범위는 이하의 주제들과 거의 겹친다. (고급분석기법 및 다수 통계패키지 제외) 즉, 이하의 내용들을 전부 알고 있다면 "적어도 학부생 수준에서는"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을 쫓아가는 데 문제가 없다. 실제 통계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통계 관련 정보]]를 볼 것. * [[기술통계학]] * 자료의 요약 * 범위 * [[분산]] * [[표준편차]] * 왜도 * 중앙값 * 사분위간 범위 * 첨도 * 최빈값 * [[평균]] * 산술평균 * 산술가중평균 * 기하평균 * 조화평균 * 자료의 정리 * 도수분포표 * 히스토그램 * 자료의 시각화 * [[그림그래프]] * [[막대그래프]] * [[상자 수염 그림]] (상자도표) * 다섯 숫자 요약 * [[선 그래프]] (꺾은선그래프) * [[원그래프]] * [[줄기와 잎 그림]] * [[통계적 방법/분석|분석]] * 고급 분석기법 * 결합분석 (컨조인트 분석) * 선택기반형 결합분석 * 경로분석 * 구조방정식 모형 * 공간분석 * 내용분석 ↓ * 텍스트 마이닝 * [[사회 네트워크 분석|네트워크분석]] * 군집계수 * 중심성 * 다변량분석 * [[군집 분석|군집분석]] * 계층적 군집화 * 분할적 군집화 *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EM) * 자기조직화지도 (SOM) * 퍼지군집화 * DBSCAN * K-평균 군집화 * [[요인 분석|요인분석]] * 탐색적 요인분석 (EFA) * 확인적 요인분석 (CFA) * [[주성분 분석|주성분분석]] * 판별분석 ([[분류 분석|분류분석]]) * [[나이브 베이지안 알고리즘|나이브베이즈분류기]] (NBC) * [[서포트 벡터 머신]] (SVM) * 앙상블분석 ↓ * 의사결정나무 * [[인공신경망]] * K-최근접이웃 (K-NN) * [[메타분석]] * 깔때기도표 * 방법론적 질 * 문항분석 * 문항나무분석 * 변별력지수 * 불리언분석 * 민감도분석 * 불확실성분석 * 비용-편익분석 * [[생존 분석|생존분석]] * 로그-순위 검정 * 절단자료 * Cox 층화 비례위험모형 * Kaplan-Meier 추정법 * [[시계열 분석|시계열분석]] * 정상성 (stationarity) * ARIMA * 앙상블분석 * 랜덤 포레스트 (random forest) * [[패널 분석|패널분석]] * 횡단면분석 * 기초 분석으로서의 검정 * 비모수검정 * 순위통계량 * Kruskal-Wallis 순위합 검정 * Dunn의 사후검정 * Mann-Whitney U 검정 * Spearman 순위상관 ρ *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 신뢰도검정 * Cronbach의 알파(α) * Spearman-Brown 공식 * 정규성검정 * Box-Cox 변환 * Kolmogorov-Smirnov 검정 (K-S 검정) * Q-Q 도표 * Shapiro-Wilk 검정 (S-W 검정) * Tukey의 멱(羃)의 사다리 * t-검정 * 일표본 t-검정 * 독립표본 t-검정 * Levene의 등분산 검정 * 대응표본 t-검정 * χ^^2^^-분석 (교차분석) * 독립성 검정 * 분할계수 * Kramer의 V * 동질성 검정 * 적합도 검정 * [[통계적 방법/분석/분산분석|분산분석]] (ANOVA) * 공분산분석 (ANCOVA) * 다변량 (공)분산분석 (MANOVA; MANCOVA) * Hotelling의 t^^2^^-값 * Hotelling-Lawley의 궤적값 * Pillai의 궤적값 * Roy의 최대근 * Wilks의 λ-값 * 반복측정 분산분석 (RM ANOVA) * 구형성 * Greenhouse-Geisser 방법 * Huynh-Feldt 방법 * Mauchly의 W-값 * 이원분산분석 * 부분에타제곱 (partial η^^2^^) * 주효과 * 단순주효과 * 상호작용 * 일원분산분석 * 가족별 오류율 * 다중비교 문제 (어디서든 효과; look-elsewhere effect) * 등분산성 * Welch 통계량 * 사후분석 (cf. 계획된 분석) * Bonferroni 방법 * Duncan 방법 * Dunnett 방법 (T3; C) * Fisher의 최소유의차(LSD) * Games-Howell 방법 * Scheffe 방법 * Sidak 방법 * Tamhane의 T2 * Tukey-Kramer 방법 * F-통계량 * [[상관분석]] * 공분산 * 상관행렬 * Pearson 적률상관계수 r * [[통계적 방법/분석/회귀분석|회귀분석]] * 다중회귀분석 * 다중공선성 * 분산 팽창 요인 (VIF) *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 수정된 R^^2^^ *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 단순회귀분석 * 결정계수 R^^2^^ * 선형모형 * 편차 & 잔차 * 회귀계수 β * 최대우도법 (ML) * [[OLS|최소제곱법]] (OLS) * Gauss-Markov 정리 * 범주형 회귀분석 * 가변인 (더미변인) * 다범주형 회귀분석 * 순서 코딩 * 지시 코딩 * 효과 코딩 * Helmert 코딩 * 참조 범주 (기저 범주) * 비선형 회귀분석 * [[다층 모형]] * 로지스틱 회귀분석 (Logit 모형) * [[시그모이드]] * 프로빗 회귀분석 (Probit 모형) * 회귀모형의 가정 * 독립성 ↔ 종속성 * 등분산성 ↔ 이분산성 * 선형성 ↔ 비선형성 * 정규성 ↔ 비정규성 * 회귀모형의 진단 * 내적 스튜던트화 잔차 * 외적 스튜던트화 잔차 * 잔차도 * Durbin-Watson 검정 (D-W 검정) * P-P 도표 * [[통계적 방법/분포|분포]] * [[확률변수]] * [[기댓값]] * [[확률분포]] * 결합확률분포 * [[공분산]] * 조건부확률분포 * 주변확률분포 * 연속형 확률분포 * [[정규분포]] * 68-95-99.7 규칙 * 표준정규분포 * z-값 * F-분포 * t-분포 * χ^^2^^-분포 * 이산형 확률분포 * 기하분포 * 베르누이분포 * 음이항분포 * 이항분포 * 초기하분포 * [[푸아송 분포|푸아송분포]] * 확률함수 * 확률밀도함수 * 확률질량함수 * [[세이버메트릭스]] * 자유도 (df) * [[재표집]] (resampling) * 무선화 검정 (순열검정; permutation test) * [[부트스트랩]] * [[잭나이프]]법 * [[추론통계학]] * 검정 * 1종 오류 ↔ 2종 오류 * 결정규칙 * 영가설 (귀무가설) ↔ 대립가설 * 기각역 ↔ 채택역 * 다중비교 ↑ * 비모수검정 ↑ * 유의수준 * 알파 (alpha) * 베타 (beta) * 임계치 * 효과 크기 [[https://doi.org/10.1037/a0028086|#]] * 카파자승법 * z-검정 * 단일표본 및 독립표본 z-검정 * t-검정 * 단일표본 및 독립표본 t-검정 ↑ * 추정 * 검정력 분석 * 사후적 검정력 분석 (post-hoc power analysis) * 선험적 검정력 분석 (a priori power analysis) * 효과 크기(effect size) * G*Power * 신뢰구간의 추정 (구간추정) * 오차범위 * 점추정 * [[표본분포]] * 평균의 표본분포 * 표본오차 * 표본크기 * 통계분석 패키지 * [[Microsoft Excel]] * 미니탭 * 스태티스티카 * ISP * LISREL * [[R(프로그래밍 언어)|R]] ([[GNU]]) * [[SAS(통계)|SAS]] * [[SPSS]] * STATA * 기타 유용한 소프트웨어 * AMOS ↑ * GrafEq * VENSIM == 조사방법론 관련 정보 == * 경영분석방법론 * [[포터의 5 Force 모델|5세력 모형]] * [[가치사슬]] * [[BCG 매트릭스]] * SECI 모델 ↑ * [[MECE]] * [[SWOT 분석]] * [[VRIO 분석]] * [[경영정보시스템|경영정보 분석방법론]] * 나선모형 * 디자인싱킹 * 어자일 프로젝트 * 스크럼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XP) * 합리적 통합과정 (RUP) * 폭포수모형 * [[프로토타입]] * CRISP * KDD * [[데이터]] ([[자료]]) * [[자료수집]] * [[델파이 기법]] * [[면접법]] ↓ * [[초점집단면접법]] ↓ * 문헌연구법 * [[사례연구]]법 * 단일사례연구 ↔ 다중사례연구 * 도구적 사례연구 ↔ 본질적 사례연구 * 실험법 ↑ * [[앙케트]] * [[질문지법]] ↓ * 우편조사법 * 인터넷조사법 * 전화조사법 * 집단조사법 * 배포조사법 * [[관찰법|(참여)관찰법]] * 가로등 효과 (streetlight effect) * [[에스노그라피]] ↓ * 청취자 조사법 (call-in) * [[패널분석|패널조사법]] * [[GIGO]] (Garbage-in, garbage-out) * LOTS * 1차자료 * 2차자료 * [[빅 데이터 프로세싱]] * 분류 분석 * 생활권 분석 * 시공간 분석 * 이상치 탐지 (abnormal detection) * [[사회 네트워크 분석]] * [[사회조사]] ([[서베이]]) * 세계가치조사 * 센서스 ↓ * [[시장조사]] * [[여론조사]] * [[종합사회조사]] (GSS; General Social Survey) * 조사기반 실험(survey-based experiment) * 코드북 * KGSS * ISSP (국제 사회조사 프로그램) * ANES * [[센서스]] * [[인구주택총조사]] * [[시간활용조사]](time-use survey) a.k.a. [[생활시간조사]] * [[질문지법]] ([[설문조사]]) * 간접질문법 * 연상기법 (association technique) * 암묵적 연합 검사 (IAT; implicit association test) * 오류선택법 (error-choice method) * 정보검사법 (information test) * 토의완성법 (argument completion) * 투사법 (projective method) ↓ * 개방형 질문 ↔ 폐쇄형 질문 * 단일선택 폐쇄형 질문 & 다중선택 폐쇄형 질문 * 제한 개방형 질문 & 무제한 개방형 질문 * 반응 세트 * 극단 반응 ↔ 중간 반응 * 긍정적 허위반응 ↔ 부정적 허위반응 * 묵인 반응 ↔ 저항 반응 * 패턴 반응 * 사전조사 * 필터링 * 부수적 질문 * ~~[[유도신문|유도성 질문]]~~ * [[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 * 감쇄의 역설 (attenuation paradox) * 검사-재검사 신뢰도 * 내적 일관성 신뢰도 * 동형 신뢰도 * 반분 신뢰도 * 스피어만-브라운 공식 * 크론바흐의 알파 계수 * 평가자 간 신뢰도 * 타당도 * 구성 타당도 * 법칙론적 망 ↑ * 변별 타당도 * 수렴 타당도 * 안면 타당도 * 내용 타당도 * 준거 타당도 * 동시 타당도 * 예측 타당도 * 실험설계 타당도 * 내적 타당도 * 외적 타당도 * 생태학적 타당도 ↑ * [[웨보메트릭스]] (webometrics) * [[일지연구]] ([[다이어리]]) * 시청각 일지 * 응답자 피로(respondent fatigue) * 응답형 일지 ↔ 비응답형 일지 * 전자 일지 ↔ 종이 기반 일지 * [[척도]] * 척도의 종류 * 누적성 활용 *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거트만 척도 * 형용사 활용 * 의미 차별화 척도 (어의차이 척도) * 스타펠 척도 * 평정법 활용 * 리커트 척도 (총화평정 척도) * 서스톤 척도 (등현등간 척도) * 네트워크 활용 * 소시오메트리 * 보기 간 비교 활용 * 서열 순위 척도 * 상수 합계 척도 * 쌍대 비교 척도 * 척도화의 접근법 * 피험자 중심 척도화 * 자극 중심 척도화 * 반응 중심 척도화 * [[측정]] * 측정도구 * [[지수]](index) * [[지표]](indicator) * 척도 ↑ * 측정수준 * 명목 수준 * 서열 수준 * 등간 수준 * 비율 수준 * 측정오차 * 체계적 측정오차 * 무선적 측정오차 * 측정의 종류 * 본질 측정 (A급 측정) * 임의 측정 * 추론 측정 (B급 측정) * [[캠벨의 법칙]] (Campbell's Law) * [[굿하트의 법칙]] (Goodhart's law) * [[코딩#s-3|코딩]] (부호화) * 결측값 * 역코딩 * 코드의 종류 * 블록 코드 * 순서 코드 * 완전 순서 코드 * 의미 코드 * 집단 분류 코드 * 십진 코드 * 코딩 오류 * 생략 오류 * 전사 오류 * 전위 오류 * 추가 오류 * 클리닝 (cleaning) * 탤리 (tally) * [[평가적 방법]] * [[표본조사]] * 모집단과 표본집단 * 표본추출 * 비확률 표본추출 * 눈덩이 추출법 * 판단 추출법 (유의 추출법) * 편의 추출법 * 할당 추출법 * 확률 표본추출 * 군집 추출법 (집락 추출법) * 단순 무선 추출법 (SRS) * 체계적 추출법 * 층화 추출법 * 불비례 층화 추출법 * 비례 층화 추출법 * 최적분할 층화 추출법 * 표본 크기 * 표집틀 * 불포함오차 * 포함오차 == [[혼합연구]] 관련 정보 == * [[혼합연구]]: 정성적 연구 + 통계적 방법 == 정성적 연구 관련 정보 == * [[개념도]] (concept mapping) * 진술 구조화 * 검사지 * [[심리검사]] * 자기보고형 검사 * 투사형 검사 ↓ * [[극작법]] (드라마투르기; dramaturgy)[* 본래는 문예 용어이나, 사회과학계 일부에서도 사용하는 단어이다.] * [[근거이론]] * [[내용 분석|내용분석]] * 해석학적 순환 * [[서사연구]] ([[내러티브]] 연구) * [[생애사연구]] (life history research) * 미디어 생애사 * 서사전환 (narrative turn) * [[전기연구]] (biographical research) * 자서전연구 (autobiographical research) * 전기적 허상 (biographical illusion) * 해석적 전기 * [[맥나마라 오류]] (McNamara fallacy) * [[맥락]] * 개인적 특성 * 서비스적 특성 * 사회적 특성 * 물리적 특성 * [[맥락화]] (contextualization) * [[메타합성]] (metasynthesis) * [[면접]] ([[인터뷰]]) * [[라포]] * [[면접법|심층면접]] * 개인면접법 ↔ 집단면접법 * 대인면접법 ↔ 전화면접법 * 지시적 면접법 ↔ 비지시적 면접법 * 표준화 면접법 ↔ 비표준화 면접법 * [[초점집단면접법]] (FGI; [[표적집단면접법]]) * 프로빙 (probing) * [[모더레이터]] * [[미디어맵]] * [[방법주의]] (methodologism)[* 연구설계에 있어 방법론적으로 자체적인 진실성(stand-alone integrity)을 보장하는 것을 최우선시하는 양적/통계적 연구의 경향성. 반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곧 연구방법이며, 연구설계 자체가 진실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얼마나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가에 그 연구의 신뢰성이 달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질적 연구는 원론적으로 방법주의에 반대한다.] * [[법정연구]] * [[브리콜라주]] * [[빅카인즈]] [[https://www.bigkinds.or.kr/|#]] * [[비교]] * [[상담]] * [[가족상담]] * 개인상담 * [[대인 과정 회상 기법]] (IPR; interpersonal process recall) * [[목회상담]] * 집단상담 * [[상징]] * [[생태학적 접근법]] * 미시체계 * 중간체계 * 외체계 * 거시체계 * [[시나리오]] * 소품문 (비네트; vignette) * [[실행연구]] * [[에스노그라피]] ([[문화기술지]], [[민속지학]], [[민족지학]]) * 계산적 에스노그라피 * [[민속방법론]] (ethnomethodology) * 사회적 드라마 * 공동체성 (코뮤니타스; communitas) * 임계성 (리미널리티; liminality) * 에스노그라피 수용자 연구 * 인터넷 에스노그라피 *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 정보제공자 (informant) * 중층기술법 (thick description) * [[자유연상]] * [[질적 분석 소프트웨어]] (CAQDAS) [[https://en.wikipedia.org/wiki/Computer-assisted_qualitative_data_analysis_software|#]] * 자료 전처리 * 형태소 분석 * Aquad * ATLAS.ti * Compendium * Dedoose * HyperRESEARCH * KrKwic *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 MAXQDA * NetDraw * NetMiner [[http://www.netminer.com/download_buy/download/download-readList.do|#Products]] * NVivo [[https://www.qsrinternational.com/nvivo/trial|#Trial]] * QDA Miner * Qiqqa * RQDA * UCINET * XSight * 질적 연구의 신뢰성 문제 * [[상호주관성]] (간주관성) * 서사적 진실 (narrative truth) * 연구자 반성 (researcher reflectivity) * 전이성 (transferability) * 전형화 * 중층기술법 ↑ * 참여자 검토 (member checks) * 초대적 질 (invitational quality) * 추적조사 (audit trail) * 추체험 * [[핍진성]] (verisimilitude) * [[합의적 질적 연구]](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COREQ * [[질적 자료분석]] * 과제 분석 * 군집 분석 (집락 분석) * 잠재 계층 분석 * 기호 분석 * 내용 분석 * 노드셋 코딩 * 워드 클라우드 * 텍스트 분석 * 토픽 모델링 * TF-IDF * [[담론 분석]] * [[거대담론]] * [[담론]] (담화; discourse) * 담론의 질서 * 담론 투쟁 * 비판적 담론 분석 (CD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언어적 전환 (linguistic turn) * 도상 분석 * 영역 분석 * 체험적 분석 * 포괄적 과정 분석 * 해석학적 분석 * 행렬 분석 * [[초상화법]] * 본질주의적 초상화법 * [[투사법]] * 구성기법(construction technique) * 연상기법(association technique) * 완성기법(completion technique) * 표현기법(expression technique) * [[페르소나법]] * [[포토보이스]] * [[합의적 질적 연구]]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해석적 기술법]] (interpretive description) * [[현상학(연구방법론)]] * 경험적 현상학 * 초월적 현상학 * 해석적 현상학 (IPA) * [[Q방법론]] == [[복잡계 연구방법론]] == == [[인문학]] 연구 관련 정보 == * [[가치]] * 가치중립 * 가치판단 (가치개입, 가치내재, 가치함축) * [[개념]] * [[관념론]] * [[관점]] * 내부자 관점 (emic perspective) * 외부자 관점 (etic perspective) * [[교차성]] (intersectionality) * [[구성]] * [[구술사연구]] (oral history research) * 구술채록 * 기억투쟁 (기억의 공식화; 단수의 역사; 대문자 역사; History ↔ 대항기억; 복수의 역사; 역사들; histories) * [[귀납법]] * [[근대|근대성]] * [[기표]]와 [[기의]]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 [[기호]] * [[기획]] (planning) * [[누벨바그]] (Nouvelle Vague) * [[푼크툼]] (punctum) * [[다원주의]] * 담론 ↑ * [[도상성]] (iconicity) * [[목적론]] (teleology) * [[문헌학]] (philology) * [[고전]] (classics) * [[문서학]] * 문화중층론 * 사회문화 층위 * 언어문화 층위 * 특정문화 층위 * [[서지학]] (bibliography) * [[위서]] * 판본 (형태서지) * [[사본]] * [[원본]] * [[장정(도서의 형태)|장정]] * [[제본]] * 평행절 (parallelism) * [[미메시스]] * [[미장아빔]] (mise-en-abyme) * [[방법론]] (methodology) * [[법칙론]] (deontology / nomology) * 법칙론적 망 ↑ * [[변증법]] * [[변증법적 유물론]] * [[비판]] * [[관여 이론]] (engaged theory) * [[비판 이론]] (critical theory) * [[사료(역사)|사료]] * 1차 사료 * 2차 사료 * 3차 사료 * [[상대주의]] * [[생애담연구]] (life story research) * [[서발턴]] (subaltern) * [[성서비평학|성서비평]] * 문학비평 * 본문비평 (텍스트 비평) * 양식비평 * 역사비평 * 자료비평 * 전승비평 * 편집비평 * [[수정주의]] * [[역사수정주의]] * [[시대정신]] * [[시뮬라시옹]] / [[시뮬라크르]] * [[식민지|식민성]] * [[실천]] (practicing) * [[메타프락시스]] (meta-praxis) * [[심성]] ([[망탈리테]]; mentalité) * [[에피스테메]] (episteme) * [[역사편찬]] (historiography) * [[연역법]] * [[유물론]] * [[유비추론]] ([[유추]], 유비; analogy) * [[의식의 흐름]] * [[이데올로기]] (ideology) * 이론 ↑ * 다수설과 소수설 * [[인물배경연구]] (prosopography) * [[인본주의]] * [[인식론]] (epistemology) * [[입장 이론]] (standpoint theory) * [[전기]] (biography) * 자서전연구 ↑ * 전기연구 ↑ * [[전승]] (tradition) * [[존재론]] (ontology) * [[지표]] * [[지표성]] (indexicality) * [[차용]] ([[전유]]; appropriation) * 재전유 (reappropriation) * [[텍스트]] *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y) * [[텍스트성]] (textuality) * [[토론]] * [[평론]] ([[비평]]) * 실천비평 * 메타비평 * 미메시스 비평 ↑ * [[학설]] * [[해석]] (intepretation) * [[해석학(철학)|해석학]] (hermeneutics) * [[호명]] (interpellation) * [[해체주의]] * [[혼성모방]] ([[패스티시]]; pastishe) == [[연구윤리]] 관련 정보 == * [[감사 연구]] (audit study) * [[과학기술사회학]] * [[과학을 위한 행진]] [[https://www.marchforscience.com|#]] [[http://scienceon.hani.co.kr/494296|##]] * [[권력화]] (empowerment) * [[뉘른베르크 강령]] * [[동물실험]] * [[문맥을 무시한 인용]] * [[문헌오염]] * [[게재 철회]] * COPE 플로우차트 * [[묻지마 연구]] * [[벨몬트 보고서]] * [[상황적 윤리]] (situated ethics) * [[성찰성]] (reflexivity) * [[순환인용]] (circular reporting) * [[쓰레기 과학]] * [[언론플레이]] * [[연구동의서]] ([[실험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FFP : 위조, 변조, 표절 * 부당한 중복게재 * 부정행위 조사에 대한 방해 * [[연구용역]] * 기업발주 연구용역 * [[연구윤리위원회]] (인간피험자위원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 [[연구투명성]] [[http://www.editage.co.kr/insights/transparency-in-research-and-reporting-expanding-the-effort-through-new-tools-for-authors-and|#]] * 개방과학 (open science) * [[유령참조]] (phantom reference) [[https://retractionwatch.com/2017/11/14/phantom-reference-made-article-got-almost-400-citations|#RetractionWatch]] * [[인간복제]] * [[인체실험]] * [[키메라]] * [[방송교수]] * [[폴리페서]] * [[피험자]] : 피험자(subject)라는 단어는 점차 [[참가자]](participant)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 공평한 연구 관계(equitable research relations) * 연구자-참가자 권력 불균형 * 참여적 방법(participatory method) * [[학위공장]] * [[헬싱키 선언]] * [[p-해킹]] (data seeking; statistical significance seeking) [[http://datacolada.org/2014/10/22/29-help-someone-thinks-i-p-hacked|#]] * 파일 서랍장 문제 * ~~[[매드 사이언티스트]]~~ == 둘러보기 == [include(틀: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분류:메타 문서]][[분류:과학철학]][[분류:연구방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