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산주의)] ||<-2> [[파일:CPGB2.png|width=200]] || ||<-2> {{{#fff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CPGB)'''}}} || || {{{#fff '''한글 명칭'''}}} ||영국 공산당 || || {{{#fff '''창당일'''}}} ||[[1920년]] [[7월 31일]] || || {{{#fff '''해산일'''}}} ||[[1991년]] [[11월 23일]] || || {{{#fff '''전신'''}}} ||영국 사회당[* British Soclialist Party], 공산주의 통일 그룹[* Communist Unity Group], 남웨일스 공산주의단[* South Wales Soclialist Society], 공산주의노동당[* Communist Labour Party], 공산당(제3인터내셔널 영국지부)[* Communist Party (British Section of the Third Internationale)] || || {{{#fff '''후신'''}}} ||[[민주좌파당]][* Democratic Left], 영국 공산당[* Communist Party of Britain, Great이 빠졌다.] || || {{{#fff '''당원 수'''}}} ||60,000명(1945년)[br]4,742명(1991년) || || {{{#fff '''이념'''}}} ||[[공산주의]][br][[스탈린주의]] || || {{{#fff '''스펙트럼'''}}} ||[[극좌]] || || {{{#fff '''기관지'''}}} ||데일리 워커[* Daily Worker] || || {{{#fff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 적색 ,,(#FF0000, Red),,}}}}}}[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BFF00; font-size: .9em" {{{#000 노란색 ,,(#FFFF00, Yellow),,}}}}}} || || {{{#fff '''국제 조직'''}}} ||[[코민테른]] || [목차] [clearfix] == 개요 == 1920년 설립된 [[영국]]의 공산주의 정당, 1920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했다. == 상세 == 영국 사상 가장 큰 공산주의 정당이었다. [[스탈린주의]] 노선을 따랐으며, 1991년 해체된 후 여러 개의 후신 정당이 등장하게 된다. 5개 정당의 합당으로 시작된 당으로, 내부에서의 파벌도 여럿 존재하였다. 들으면 오잉? 할 소리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오스월드 모슬리]]의 [[영국 파시스트 연합]]과 함께 [[에드워드 8세]]와 [[월리스 심프슨]]의 결혼을 지지한 몇 안 되던 정당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오랜 세월 동안 [[영국 서민원|서민원]]에는 의석이 없고 [[영국 귀족원|귀족원]]에만 의석이 있던 [[공산당]](...)이라는 점인데, 서민원에서는 1922년 총선에서 처음 원내정당이 되었지만 이후로 당세를 크게 늘리는데 실패해서 원내정당과 원외정당을 오갔으며 가장 의석이 많았을 때라 봤자 [[1945년 영국 총선|1945년 총선]]에서 얻은 2석이었다. 그나마도 냉전이 시작된 뒤에 치러진 1950년 총선에서 원외 정당으로 전락한 후에 해체될 때까지 계속 원외 정당이었다. 오히려 당원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Wogan_Philipps,_2nd_Baron_Milford|제2대 밀포드 남작]] 덕분에 1962년부터 당이 해체될 때까지 귀족원에 1석을 보유하고 있었다.[* 밀포드 남작 본인은 습작하자마자 작위를 포기하려고 했으나 해리 폴릿 서기장이 말려서(...) 없던 일이 됐다. 남작이 작위를 포기하면 그나마 있는 귀족원 의석도 없어지니 어찌보면 당연한 일. 귀족원에서의 남작의 처녀연설(maiden speech)의 주제는 '귀족원 폐지'(...)] [[더 후]]의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젠드]]가 한동안 이 정당 소속이었다. 해체 이후로는 당적이 묘연하다. === 탱키 (Tankie) === 당 내 당원들 중에서도 1956년 [[헝가리 혁명]]과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소련의 무력진압에 찬성하면서 전통적인 친소 노선을 따르던 사람들을 부르던 멸칭이다. 레지널드 버치[* 프라하의 봄과 헝가리 혁명 당시 당수 선거에 출마한 인물.]가 인터뷰를 했을 때 기자가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 > When I asked him how he could possibly have sided with the "tankies", so called because of the use of Russian tanks to quell the revolt, he said "they wanted a trade unionist who could stomach Hungary, and I fitted the bill." >---- > 내가 어떻게 그런 '''[[탱키]]'''들과 한 편일 수가 있느냐고 하자 그는 "그들은 헝가리를 넘겨제낄 수 있는 노동조합주의자를 원했을 뿐이고, 내가 그 자리에 맞았을 뿐이오." 라고 하였다. 2010년대 들어서 권위주의적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사람들에 대한 멸칭으로 다시 유명세를 얻고 있다.[* 이 단어의 어원이나 실질적인 용례나 우파가 쓰는 용어라기보다는 좌파 내에서 정치적 입장에 따른 분쟁과 관련된 단어에 훨씬 가까운 만큼, 이 용어를 사용하는 쪽은 주로 [[좌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이나, 혹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부하는 [[개혁적 사회주의]]자들이다. 애당초 이 단어의 어원이 '''공산당''' 내에서의 동구권을 둘러싼 분쟁에서 나왔음을 생각해보자.] == 역대 당수 == ||<-2> () 안은 재임기간.|| * 1대 알버트 잉크핀[* Albert Inkpin](1920년-1928년 7월) * 2대 존 로스 캠벨[* John Ross Campbell] (1929년 2월~5월) * 3대 해리 폴릿[* Harry Pollitt](1기) (1929년 7월~1939년 10월)[* [[Hearts of Iron IV]]에서 영국으로 코민테른 루트를 타면 집권하는 인물.] * 4대 라자니 팔메 더트[* Rajani Palme Dutt] (1939년 10월~1941년 6월)[* [[Hearts of Iron IV]]에서 코민테른 루트를 따르지 않고 영국 대안공산당(British Alternative) 루트를 타면 집권하는 인물.] * 3대 해리 폴릿 (2기) (1941년 6월~1956년 5월 13일) * 5대 존 골란[* John Gollan] (1956년 5월 13일~1975년 3월 11일) * 6대 고든 맥레난[* Gordon McLennan] (1975년 3월 11일~ 1990년 1월 13-14일) * 7대 니나 템플[* Nina Temple] (1990년 1월 13-14일~1991년 11월 23일)[* 마지막 당수.] == 관련 문서 == * [[영국/정치]] * [[에릭 홉스봄]] - 역사학자이자 교수, 생전 당원 중 한 명이었다. [[분류:공산주의 정당]][[분류:영국의 없어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 [[분류:1920년 정당]][[분류:199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