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국 육군/연대)] [목차] == 개요 == [[영국 육군]]의 역사적 [[보병]] [[연대(군대)|연대]]를 정리하는 문서. 해당 문서는 [[https://www.army.mod.uk/|영국 육군 홈페이지]]와 [[https://www.nam.ac.uk/series/regiments-corps|영국 국립 육군 박물관 홈페이지]]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 척탄근위대 == [[파일:BA_GREN_GDS.png]] >The Grenadier Guards is one of the oldest and most iconic regiments in the British Army. Whether they are fighting on the front line or guarding a Royal Palace, members of the Regiment are renowned for their determination, loyalty and grit. > >척탄 근위대는 영국 육군에서 제일 오래되고 제일 상징적인 연대 중 하나입니다. 최전방에서 싸우던, 왕궁을 지키던, 이 연대의 대원들은 투지와 충성심, 용기로 명성이 높습니다. Grenadier Guards 콜드스트림 가드에 꿀리지 않는 역사와 전통 그리고 전공을 자랑하는 근위대로 약자는 GREN GDS. 1656년 [[브뤼헤]]에서 망명 생활 중인 [[찰스 2세]]를 지키기 위해 왕당파가 결성한 왕립 근위연대(Royal Regiment of Guards)가 원류다. 1860년 [[탕헤르]]에서 [[알라위 왕조]]를 상대로 첫 승전을 거두었으며 [[9년 전쟁]]에도 참전하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당시에는 [[존 처칠]]의 지휘를 받으며 활약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등에도 참가하였다. 일부 부대는 [[자코바이트|제2차 자코바이트 전쟁]]이나 [[미국 독립 전쟁]]에 파견되기도 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도 참전했는데, 혁명 전쟁에서는 유럽 본토에 상륙했다가 2년 후 쫓겨나지만 이후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워털루 전투]]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워털루 전투에서 [[프랑스 제국 근위대]] 소속 척탄병을 저지한 공으로 곰가죽 모자와 "척탄" 호칭을 쓰게 된다. 이후 여러 대대가 [[크림 전쟁]], 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 [[보어 전쟁]] 등과 같은 영국의 주요 분쟁에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기존의 3개 대대 뿐만 아니라 1개 대대를 더 창설해 [[서부전선]]으로 보내고 1개 예비대 대대도 만들었다. 이 때의 척탄 근위병들은 [[마른 전투]], [[이프르 전투]], [[솜 전투]] 등에서 전투를 치뤘다. 전후에는 [[이집트 왕국]] 주둔군으로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유럽 본토로 파견되었으나 [[프랑스 침공]]에서 패배해 [[됭케르크 철수작전|본국으로 철수한다.]] 이후 3개이던 대대 수를 6개로 늘리고 1대대를 차량화 부대로, 2대대와 4대대를 기갑 부대로 전환하며 복수전을 준비하는 한편 3대대, 5대대, 6대대를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보내게 된다. 이후 1, 2, 4대대는 서유럽을 통해, 3, 5, 6대대는 이탈리아를 통해 다시 유럽 땅을 밟는다. 전후에는 [[말라야 비상사태]], [[북아일랜드 분쟁]],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투입되었으며 [[영국 라인 주둔군]]이나 홍콩 주둔군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현재는 1개 대대 밖에 없으며 2대대와 3대대가 사라질 때 각각 네이메헌 중대와 인커만 중대가 창설되어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영국 척탄병 행진곡]]을, 느린 행진 때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헨델]]의 [[https://youtu.be/9Er8g-I_w1c|스키피오(Scipio)]]를 쓴다. == 콜드스트림 근위대 == [[파일:BA_COLDM_GDS.png]] >As the oldest continuously serving regiment in the British Army, the Coldstream Guards is well known for its high-profile ceremonial duties – but it’s an infantry unit first and foremost, with a hard-won reputation as an elite fighting force. > >영국 육군에서 최장 기간 동안 존재한 콜드스트림 근위대는 눈길을 끄는 의장 임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콜드스트림 근위연대는 다른 무엇보다도 정예 전투 병력으로 평판을 쌓아온 보병 부대입니다. Coldstream Guards [[잉글랜드 내전]] 중인 1650년 의회파의 [[https://ko.wikipedia.org/wiki/제1대_앨버말_공작_조지_멍크|조지 몽크]]가 창설한 연대. 창설 11일 후 [[던바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왕정복고 이후 해체될 뻔했으나 1661년 [[청교도]] 반란을 진압하며 살아남았다. 1670년 초대 연대장인 몽크가 죽고 제1대 크레이븐 백작 윌리엄 크레이븐이 연대장이 되며 콜드스트림 보병근위대로 개명한다. 이후 [[영국-네덜란드 전쟁#제2차 영란전쟁 (1665~1667)|제2차 영란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몬머스의_난|몬머스의 난]]에 참전했다. [[명예혁명]] 당시에는 [[제임스 2세]]에게 충성했기에 [[윌리엄 3세]]가 별로 좋아하지 않아했다고 한다. 어쨌든 [[9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크림 전쟁]],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등에도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세 개 대대가 있었는데 전부 [[서부전선]]에 투입했으며 4(공병)대대도 창설해 서부전선으로 보냈다. 5예비대대도 창설했지만 전쟁이 끝나 해체될 때까지 영국에 남아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프랑스 침공]] 때 1대대와 2대대를 투입했지만 [[됭케르크 철수작전]]을 통해 후퇴시켰다. 이후 1대대는 기갑대대로 개편해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재투입했는데 전쟁이 끝날 때는 [[뤼베크]]에 있었다. 2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에 재투입되어 [[이탈리아 전선]]에서 전쟁을 마쳤다. 전쟁이 발발할 때 [[이집트 왕국]]에 주둔하고 있던 3대대도 중동 전역을 거쳐 이탈리아 전선으로 갔다. 전후에는 팔레스타인, 서독, 리비아, 키프로스, [[말라야 비상사태|말레이시아]], 케냐, 예멘, [[걸프 전쟁|쿠웨이트]],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가니스탄]] 등에 대대를 파견하였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https://youtu.be/6mCO0VBAa-M|밀라놀로(Milanollo)]]을, 느린 행진 때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의 [[https://youtu.be/1iXAv7BpSC0|피가로(Figaro)]]를 쓴다. 부대 구호는 Honi soit qui mal y pense(악한 것을 생각하는 이들은 부끄러우리). == 스코틀랜드 근위대 == [[파일:BA_REG_SG.png]] >Since its formation more than 375 years ago, the Scots Guards has forged a reputation as one of the toughest fighting units in the British Army. As a mechanised regiment, it uses Mastiff and Jackal 2 armoured vehicles to engage enemy troops > >375년도 전에 창설된 스코틀랜드 근위대는 영국 육군에서 제일 강인한 전투부대로써의 명성을 쌓아왔습니다. 기계화연대로, 적과 교전할 때 마스티프 및 자칼 2 장갑차량을 사용합니다. Scots Guards 약자는 SG. 꼬마들(The Kiddies), 스코틀랜드놈들(The Jocks)라는 별명이 있다. 1642년 [[찰스 1세]]의 지시를 받은 [[https://en.wikipedia.org/wiki/Archibald_Campbell,_1st_Marquess_of_Argyll|아가일 후작 아치볼드 캠벨(Archibald Campbell, Marquess of Argyll)]]이 [[아일랜드 왕국]]에서 벌어진 반란을 진압할 군대를 보내기 위해 아가일 후작 왕립 연대(Marquis of Argyll's Royal Regiment)가 시초로 여겨진다.[* 공교롭게도 창립자인 아가일 후작은 찰스 1세의 반대자 중 하나인 언약파의 수장이었다.]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찰스 1세가 처형되고 [[찰스 2세]]가 왕위를 이은 뒤에는 근위대(Lyfe Guard)가 되었지만 1651년 찰스 2세가 [[우스터 전투]]에서 패배해 망명하며 뿔뿔이 흩어졌다. 이후 왕정복고가 성공한 뒤인 1662년에야 재창설되었다. 이후 스코틀랜드를 지키거나 언약파 반란군을 밟아버리는 일을 했다. 1686년부터 [[제임스 2세]]를 지키면서 영국의 세번째 근위연대가 되었다. 이때 먼저 근위대 임무를 하던 척탄 근위대와 콜드스트림 근위대 병사들은 스코틀랜드 근위대를 꼬마들(The Kiddies)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명예혁명]] 이후 [[9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등에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는 [[이집트 원정]], [[이베리아 반도 전쟁]], 그리고 [[워털루 전투]] 등에 참전했다. [[빅토리아 여왕]] 시기에는 [[크림 전쟁]], 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 1880년대의 수단 원정, [[보어 전쟁]] 등에 참전했는데, 이 시기부터 현재의 스코틀랜드 근위대(Scots Guards) 명칭을 쓰게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두 개 대대를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했다. 스코틀랜드 근위대 장병들은 [[제1차 마른 전투]], [[제1차 이프르 전투]], [[솜 전투]], [[백일 전투]] 등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2대대가 [[이집트 왕국]]에서 [[북아프리카 전역|이탈리아군과 독일군을 막았다.]] 한편 1대대는 [[노르웨이 침공]]에 참가했다가 철수한 후 1943년 북아프리카에 투입된다. 이후 2대대는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를 통해 이탈리아에 발을 디디게 되고, 1대대는 [[안치오 상륙 작전|안치오에 상륙했다가 끔찍한 피해를 입는다.]] 한편, 전차부대로 새로 훈련시킨 3대대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하였다. 이후 2대대도 이탈리아에서 철수한 후 서유럽에 다시 투입되었다. 전후에는 [[말라야 비상사태]],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_대치|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북아일랜드 분쟁]], [[포클랜드 전쟁]],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에 파견되었으며 [[영국 라인 주둔군]] 임무나 홍콩 주둔군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현재는 [[MRAP|마스티프]] 차량을 운용하는 1개 기계화보병 대대만 존재하며 사라진 2대대의 전통을 보존 중인 F중대가 따로 존재한다. 여담으로, [[데이비드 스털링]]이 [[코만도(특수부대)|코만도]]에 지원해 [[특수전]]에 몸을 담기 전에는 이 연대에 있었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https://youtu.be/N2it9ovhrt4|하이랜드 꼬마(Hielan' Laddie)]]를, 느린 행진 때는 [[https://youtu.be/T2D0g9CKApU|옛 골족의 옷(The Garb of Auld Gaul)]]을 쓴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아일랜드 근위대 == [[파일:BA_IG.png]] >The Irish Guards – known affectionately throughout the Army as ‘The Micks’ – is an Irish Regiment which has proven its loyalty and grit on many tough operations. It's soldiers have the privilege of guarding the Royal Family. They recruit from the island of Ireland, United Kingdom and beyond. > >영국 육군 내에서 '아일랜드놈들'이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아일랜드 근위대는 수많은 어려운 작전에서 충성과 용기를 증명해낸 아일랜드인 연대입니다. 이 연대의 장병들은 왕실을 호위할 특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아일랜드 섬, 영국, 그 외 지역에서 모집됩니다. Irish Guards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서 아일랜드인 부대들이 공을 세우자 1900년 [[빅토리아 여왕]]이 어명을 내려 창설한 연대. 처음에는 영국 육군 내 아일랜드 혈통 병사들을 모아 만들었다. 현재도 부대원의 많은 수가 [[북아일랜드]] 및 [[아일랜드]] 출신이지만 아일랜드인만 아일랜드 근위대에 들어갈 수 있는건 아니라고 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휘하의 두 개 대대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했다. 여담으로 소설가 [[러디어드 키플링]]의 아들인 존 키플링도 아일랜드 근위연대의 장교로 참전했다가 전사했다고 한다. 전간기에는 일부 부대원이 [[IRA]]에게 군수품을 넘겨준 혐의로 기소당하는 일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주요 대대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1대대는 [[노르웨이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에 참가했다. 2대대는 [[프랑스 침공]]에 투입되었으나 [[됭케르크 철수작전]]에서 후퇴했고 이후 3대대와 함께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서부전선에 재투입된다. 전후에는 팔레스타인, 수에즈 운하, 키프로스, 예멘, 서독, 홍콩, 벨리즈 등에 투입되었으나 부대의 특성상 1992년에야 북아일랜드에 배치되었다. 이후 코소보, [[이라크 전쟁|이라크]],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가니스탄]] 등에 파견되었다. 연대 기념일은 [[세인트 패트릭 데이]].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https://youtu.be/xRgibMPpqo8|세인트 패트릭 데이(St. Patrick's Day)]]를, 느린 행진 때는 [[https://youtu.be/m7GBtrN7zHU|에린이 기억하도록 하라(Let Erin Remember)]]를 쓴다. 부대 구호는 [[로마서|Quis separabit(누가 끊으리요)]]. == 웨일스 근위대 == [[파일:BA_REG_WG.png]] >The Welsh Guards are Wales’s Senior Infantry Regiment with a formidable reputation forged throughout the last century. > >웨일스 근위대는 20세기 동안 어마어마한 명성을 쌓아온 웨일스의 고참 보병연대입니다. > >First and foremost we serve our nation as fighting soldiers, and also take immense pride in our ceremonial role as the guardians of the royal palaces. Every Welsh Guardsman strives to maintain the high standards of the Household Division in the continual pursuit of excellence. > >제일 먼저 우리는 전투병으로써 조국을 위해 복무하지만, 왕궁을 지키는 근위병으로써 행하는 의장 임무에도 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모든 웨일스 근위대원이 근위사단의 높은 기준을 지키기 위해 끝없이 분투하고 있습니다. Welsh Guards 약자는 WG.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조지 5세]]의 어명으로 창설된 연대. 시기가 시기라 창설된 후 프랑스로 보내져 선배 근위사단들이랑 함께 [[서부전선]] 참호에 처박혔다. 전쟁이 끝난 뒤에는 독일 주둔군, 이집트 왕국 주둔군, 지브롤터 주둔군 등의 임무를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1개 대대로 구성된 연대가 3개 대대로 확장된다. 이 중 1대대와 2대대는 [[프랑스 침공]]에 투입되었지만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해야 했다.]] 이렇게 건져낸 2개 대대가 근위기갑사단의 일부로 재편성되는 동안 3대대가 창설되어 [[북아프리카 전역]]를 거쳐 [[이탈리아 전선]]으로 갔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1대대와 2대대도 다시 유럽 본토를 밟게된다. 전후에는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이나 [[https://ko.wikipedia.org/wiki/아덴만_비상사태|남아라비아 연방]], [[키프로스 전쟁|키프로스]], [[북아일랜드 분쟁|아일랜드]] 등에 배치되었으며 [[포클랜드 전쟁]]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냉전 종식 후에는 [[보스니아 전쟁|보스니아 평화유지군]], [[이라크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참전했다. 현재는 1개 대대만 존재하는 경보병 연대이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https://youtu.be/zY3nxbrSrEE|종달새의 비상(The Rising of the Lark)]]을, 느린 행진 때는 [[Men of Harlech|할렉의 사나이들(Men of Harlech)]]을 쓴다. 부대 구호는 Cymru am byth(웨일스여 영원하라). ==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 [[파일:BA_REG_SCOTS.png]] >The Royal Regiment of Scotland (SCOTS) is the senior line infantry regiment and only Scottish line infantry of the British Army. >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SCOTS)는 고참 전열보병 연대이며 영국군 내 유일한 스코틀랜드 전열보병 부대입니다. Royal Regiment of Scotland 2006년 스코틀랜드계 연대 6개를 합쳐서 만든 연대. 약자는 SCOTS. 현재는 2대대인 왕립 하이랜드 퓨질리어, 3대대인 블랙와치, 4대대인 하이랜더, 5대대인 발라클라바 중대[*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소총 중대다.]로 이루어져 있다. 예비역 부대로는 6대대인 52 로우랜드와 7대대인 51 하이랜드가 있으며 연대 본부는 [[https://ko.wikipedia.org/wiki/에든버러성|에든버러성]]에 상주 중이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왕립 스코틀랜드대(왕립 연대) === Royal Scots (Royal Regiment) [[30년 전쟁]] 당시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밑에서 싸웠던 [[https://en.wikipedia.org/wiki/John_Hepburn_(soldier)|존 헵번]]이 1633년 왕립 보병 연대(Royal Regiment of Foot)라는 이름으로 창설한 연대. 1860년 [[탕헤르]]에서 [[알라위 왕조]]를 상대로 싸웠고, [[9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2차 자코바이트 전쟁 등에 참전했다. [[7년 전쟁]] 때는 2대대가 [[북아메리카]]에서 싸웠고 [[미국 독립 전쟁]] 중에는 1대대가 [[서인도]]에 있었는데 [[영국-네덜란드 전쟁|마침 전쟁 관계였던 네덜란드의]] [[https://ko.wikipedia.org/wiki/신트외스타티위스섬|신트외스타티위스섬]]을 점령하는데 참가했지만 프랑스군이 [[세인트키츠 네비스|세인트키츠]]를 점령할 때 함께 포로로 잡혀버렸다. 이후 풀려났지만.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는 2대대가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이 시기 3대대가 새로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오래 유지되지는 않았지만 [[이베리아 반도 전쟁]], [[워털루 전투]] 등에 참가하였다. 이후 [[크림 전쟁]], [[제2차 아편전쟁]], [[보어 전쟁]]에 참가하였다. 1881년 부대 개혁 당시에는 미를로디언[* [[에든버러]]가 이 지방에 있었다.], 이스트로디언, 웨스트로디언, 버윅셔 지방을 담당했는데 버윅셔 지방은 1887년 국왕 스코틀랜드 국경대에게 넘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서부전선]]뿐만 아니라 [[갈리폴리 전투]], 중동전선에서도 대대를 보냈으며 전간기에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대대가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다른 부대를 위해 독일군을 막다가 포로로 잡힌다.]] 다음 해에는 [[홍콩 전투|홍콩을 지키던 2대대가 일본군에게 항복한다.]] 영국군은 새로 창설한 1대대를 1943년 버마로 보냈으며 2대대는 이탈리아를 거쳐 팔레스타인으로 보냈다. 전후에는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 [[6.25 전쟁|한국]], [[키프로스]], [[https://ko.wikipedia.org/wiki/아덴만_비상사태|남아라비아 연방]], [[북아일랜드 분쟁|아일랜드]] 등에 배치되었으며 [[포클랜드 전쟁]]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냉전 종식 후에는 [[보스니아 전쟁|보스니아 평화유지군]], [[이라크 전쟁]] 등에 참전했다. 2006년 국왕 스코틀랜드 국경대와 합쳐져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으나 2021년 레인저 연대로 옮겨갔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국왕 스코틀랜드 국경대 === King's Own Scottish Borderers [[명예혁명]] 직후인 1689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지지자인 [[https://en.wikipedia.org/wiki/David_Leslie,_3rd_Earl_of_Leven|3대 리벤 공작 데이비드 레슬리(David Lesile, 3rd Earl of Leven)]]가 [[자코바이트]]로부터 [[에든버러]]를 지키기 위해 창설한 연대. 창설된 후 원래 목적에 따라 자코바이트 진압에 투입되으며 이후 [[저지대 국가|유럽 본토의 저지대]]로 넘어가 [[9년 전쟁]]을 치뤘다. 이후 1715년 자코바이트 반란을 진압하고 [[7년 전쟁]]에 참전한다. 이때 [[민덴 전투]]에서 프랑스 기병대를 저지한 연대 중 하나였기에 민덴 전투가 벌어진 [[8월 1일]]을 연대 기념일 중 하나로 지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서인도, 저지대, [[이집트 원정|이집트]] 등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이 시기에 "국왕 국경대"라는 호칭이 붙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70여년 동안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보어인]], [[인도인]], [[https://en.wikipedia.org/wiki/Fenian_raids|캐나다를 침공한 아일랜드계 미국 거주자 무장단체]], [[파슈툰인]], [[아일랜드인]] 등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1887년에 [[요크]], [[서식스]] 등 담당 지역이 계속 바뀐 끝에 스코틀랜드 남동부 네 개 카운티의 연대로 지정되어 마지막 명칭인 국왕 스코틀랜드 국경대가 정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휘하 대대들이 [[갈리폴리 전투]]와 중동 전역, [[서부전선]]의 많은 전투들에 참전했다. [[전간기]]에는 인도, 아일랜드, 이집트, 홍콩 등 주요 영국 식민지의 주둔군으로 전 세계를 돌아다녔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1대대와 기타 예비역 대대들이 [[프랑스 침공|프랑스에 투입되었으나]] 이후 철수하였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다시 유럽 본토로 진출했다. 한편 인도에 주둔하고 있던 2대대는 버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전후 [[6.25 전쟁]]에 참전해 [[https://ko.wikipedia.org/wiki/제1차_마량산_전투|제1차 마량산 전투]]를 비롯한 많은 전투에서 싸웠으며 [[말라야 비상사태]]에도 투입되었다. 이후 [[https://ko.wikipedia.org/wiki/아덴만_비상사태|아덴]], [[홍콩]],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 등과 국내 주둔지에 돌아가며 배치되었고 냉전이 끝난 후에는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2006년 왕립 스코틀랜드대(왕립 연대)와 합쳐져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으나 2021년 레인저 연대로 옮겨갔다. 부대 구호는 [[에든버러]]의 구호인 [[시편|Nisi Dominus Frustra(여호와께서 아니하시면 헛되며)]]와 In Veritate Religionis Confido(나는 종교의 진실을 믿는다). === 왕립 하이랜드 퓨질리어대(마거릿 공주 글래스고와 에어셔 연대) === Royal Highland Fusiliers (Princess Margaret's Own Glasgow and Ayrshire Regiment) 1959년 하이랜드 경보병대(글래스고 연대)와 왕립 스코틀랜드 퓨질리어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초대 명예 연대장은 [[마거릿 로즈|마거릿 공주]]였으며 마거릿 공주가 사망한 후에는 [[앤드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앤드루 왕자]]였다. 이름대로 주 모병지는 [[글래스고]]와 [[https://ko.wikipedia.org/wiki/에어셔|에어셔]] 지방이었다. 창설된 후 [[아덴(도시)|영국령 아덴]], [[몰타]], [[서독]], [[키프로스]], [[싱가포르]] 등을 돌아다니며 60년대를 보냈다. 이후 [[북아일랜드 분쟁]]에 투입되거나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평화유지군으로 보내졌다. [[이라크 전쟁]] 이 시작된 후에는 이라크에서 배치되기도 했다. 2006년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하이랜드 경보병대(글래스고 연대) ==== Highland Light Infantry (City of Glasgow Regiment) 1881년 제71(하이랜드)보병연대(경보병)와 제74(하이랜드)보병연대를 통합해 만든 [[글래스고]] 연대. 때문에 [[하이랜드]]이름을 달고 모병은 [[로우랜드]]인 [[글래스고]]에서 주로 했다. 19세기에는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과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에 참전한 것 외에는 평범한 식민지 주둔군 임무를 보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두 정규군 대대는 [[서부전선]]으로 보내진다. 1대대는 [[제2차 이프르 전투]] 이후 중동 전선으로 재배치되었고 조금 더 빨리 프랑스에 도착한 2대대는 끝까지 서부전선에 남아있었다. 이 두 대대 외에도 수많은 전시 대대가 편성되어 전투에 투입되었다. 전쟁 후 두 정규군 대대는 다시 식민지 및 점령지 주둔 임무로 돌아갔는데, 2대대는 [[아르한겔스크]]에 상륙해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 편으로 싸우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대대는 서부전선에서[* [[프랑스 침공]] 때 철수했다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다시 돌아왔다.], 2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다. 1959년 왕립 하이랜드 퓨질리어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71(하이랜드)보병연대(경보병) ===== 71st (Highland) Regiment of Foot (Light Infantry) 1777년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ackenzie,_Lord_MacLeod|매클라우드 남작 존 매켄지(John Mackenzie, Lord MacLeod)]] 소장이 기존에 있던 중대를 바탕으로 창설한 연대. 18세기에는 [[마이소르 왕국]]과의 전쟁에서 싸웠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 때도 [[인도 반도]]에서 [[프랑스 제1공화국]]과 [[바타비아 공화국]]을 상대로 싸웠다. 1798년 영국 본토로 귀환해 2대대를 창설했으나 2대대는 1815년 해체될 때까지 해외 파병을 나가지 않았다. 그 동안 1대대는 1806년 바타비아 공화국에게서 [[희망봉]]을 빼앗고 같은 해 스페인령 [[라플라타#남미의 지명|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을 공격하다 포로로 잡혔으며 본국 송환 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보내졌다. 1808년 연대가 경보병 부대로 개편된 후, 다시 1대대가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과 다시 이베리아 반도 전쟁, 그리고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에는 캐나다 주둔군으로 있다가 [[https://ko.wikipedia.org/wiki/1837년~1838년 반란|반란도 진압해보고]] [[서인도|서인도 제도]]와 [[이오니아#그리스의 제도|이오니아 제도]]에 주둔하기도 했다. [[크림 전쟁]] 및 [[세포이 항쟁]] 진압에 투입되기도 했으며 1863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Ambela_campaign|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의 원주민들을 진압하는 원정]]에 참가했다. 1881년 하이랜드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74(하이랜드)보병연대 ===== 74th (Highland) Regiment of Foot 프랑스와 영국이 인도에서 이권다툼을 벌이던 1787년에 [[https://en.wikipedia.org/wiki/Archibald_Campbell_(British_Army_officer,_born_1739)|아치볼드 캠벨(Archibald Campbell)]] 소장이 인도 내 작전을 위해 창설한 연대. 본래 [[영국 동인도 회사]]의 요청으로 만들어졌으나 분쟁이 흐지부지 끝나자 동인도 회사는 창설 및 운송 비용 지불을 거부했고, 결국 연대는 영국 육군에게 넘어갔다. 초기에는 [[마이소르 왕국]]이나 [[마라타 제국]]과 같은 인도 국가들과의 전쟁에 투입되었는데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Assaye|아사예 전투]]에서 모든 장교가 전사해 연대 [[선임하사]]가 부대를 지휘해야 했던 적도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 때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서 주로 싸웠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캐나다]]와 [[서인도|서인도 제도]] 주둔군으로 있다가 1851년 [[코사족]]과의 전쟁을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케이프 식민지]]로 보내졌는데 이때 있었던 [[버큰헤드호 침몰 사고]]의 피해 연대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1854년 인도로 귀환해 1857년 벌어진 [[세포이 항쟁]] 진압에 참가했으며 이후 영국 본토, [[아일랜드 왕국]], 지중해, [[홍콩]] 등을 돌아다녔다. 1881년 하이랜드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스코틀랜드 퓨질리어대 ==== Royal Scots Fusiliers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Erskine,_Earl_of_Mar|마르 백작 찰스 어스킨(Charles Erskine, Earl of Mar)]]이 스코틀랜드 내에서 [[찰스 2세]]에 대항하는 반란분자들을 진압하기 위헤 1678년 창설한 연대. 1685년 [[플린트락]] [[머스킷]]을 사용하는 정예 부대인 [[퓨질리어]]로 재편되었다. 1688년 [[명예혁명]]이 일어나자 혁명에 동참하지 않았으며 [[제임스 2세]]가 망명한 뒤에야 [[윌리엄 3세]]에게 충성을 바쳤다. 이후 [[9년 전쟁]]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 [[7년 전쟁]]에 투입된다. 이후 캐나다 식민지에 주둔하다 마침 발발한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가하는데, [[새러토가 전투|새러토가에서 항복해]]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 신세로 있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때는 1대대가 [[서인도|서인도 제도]]와 [[https://en.wikipedia.org/wiki/Irish_rebellion_of_1803|아일랜드]], 이탈리아, 이집트, 이후 [[미영전쟁]]에서 싸웠다. 이 시기 2대대가 창설되어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참전했으며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해체되었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 1857년 2대대가 창설되어 [[줄루 전쟁]], [[제3차 영국-버마 전쟁]], [[https://en.wikipedia.org/wiki/Hazara_Expedition_of_1888|하자라 원정]], [[보어 전쟁|두 차례의 보어 전쟁]], 등에 참전했다. 1881년 개혁 때 스코틀랜드 퓨질리어대 이미 대대가 2개였기에 다른 대대와 합병하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2개 상비군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되었으며 8개의 지방군 대대와 4개의 신육군 대대를 추가로 양성에 전쟁에 투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2대대가 [[프랑스 침공]]을 몇몇 지방군 대대와 함께 막기 위해 투입되었다가 패배해 철수했으며 이후 두 상비군 대대가 [[마다가스카르 전투]]에 참가했다. 이후 1대대는 인도와 버마에서, 2대대는 [[페르시아 침공|페르시아]], 중동, [[이탈리아 전선|이탈리아]], 유럽 북서부에서 전투를 벌였다. 전후에는 1개 대대로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서독, [[말라야 비상사태|말라야]], 키프로스에 배치되었다. 1959년 왕립 하이랜드 퓨질리어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블랙와치|블랙와치(왕립 하이랜더)]] === Black Watch (Royal Highlanders)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 당시 [[윌리엄 3세]]에 충성하는 [[클랜]]들이 [[자코바이트]]에 맞서 양성한 부대들이 시초로 1739년 이 부대들이 하나의 연대로 통합되며 만들어졌다. 블랙와치(검은 감시원)이라는 유명한 이름은 이 부대가 입었던 [[킬트]]가 검녹색 타탄 무늬였던 것에서 유래했으며 각 연대마다 번호가 매겨져 있던 시절 번호인 [[42]]로도 알려져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 [[7년 전쟁|프랑스-인디언 전쟁]], [[미국 독립 전쟁]], [[이집트 원정]], [[이베리아 반도 전쟁]], [[워털루 전투]] 등에 참전했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 [[세포이 항쟁]] 진압,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등에 동원되었다. 1881년 편제 개혁에 따른 연대 모병지는 파이프셔, 퍼스셔, 포퍼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개 상비군 대대가 [[서부전선]]으로 보내졌으며 1개 특별 예비군 대대와 4개 지방군 대대, 3개 신육군 대대를 추가로 양성했다. 이후 2대대는 중동전선으로 보내져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싸웠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주요 대대의 행보는 다음과 같다. * 1대대: 상비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철수에 실패해 [[https://en.wikipedia.org/wiki/Saint-Valery-en-Caux|생발레리엥코]]에서 독일군에게 항복. 1940년 재창설되어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엘 알라메인 전투|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등에 참가. 1943년 [[이탈리아 전선]] 투입. 이후 본국으로 귀환한 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참가. 서구 연합국 최초로 독일 본토 진입. * 2대대: 상비군 대대. 1940년 [[소말릴란드|영국령 소말릴란드]] 방어전 참전, 1941년 [[크레타 섬 전투]] 참전,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어 [[https://ko.wikipedia.org/wiki/투브루크_공방전|토브룩 공방전]] 등에 참가. 이후 동남아시아 전선으로 재배치. * 4대대: 지방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 * 5대대: 지방군 대대.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엘 알라메인 전투|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등에 참가. 1943년 [[이탈리아 전선]] 투입. 이후 본국으로 귀환한 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참가. * 6대대: 지방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1943년 [[이탈리아 전선]] 투입, [[몬테카시노 전투]] 등에 참전. 1944년 [[그리스 내전|그리스 내 공산주의자 저항조직 토벌작전]] 투입. * 7대대: 지방군 대대.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엘 알라메인 전투|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등에 참가. 1943년 [[이탈리아 전선]] 투입. 이후 본국으로 귀환한 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참가. 전후 2대대는 [[인도]], [[홍콩]] 등에 주둔군으로 있으면서 1948년 [[파키스탄]]에서 마지막으로 떠난 영국군 부대가 되었으며 1956년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한편 1대대가 [[6.25 전쟁]]에 참전해 [[https://ko.wikipedia.org/wiki/제2차 후크고지 전투|제2차 후크고지 전투]] 등에서 싸웠으며 이후 [[https://ko.wikipedia.org/wiki/마우_마우|마우 마우 봉기 진압]],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임무, [[북아일랜드 분쟁]] 등에 참가했다. [[홍콩 반환]] 당시 홍콩 주둔군으로 있으면서 1997년 홍콩에서 마지막으로 떠난 영국군 부대가 되기도 했다. 그 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가했다. 2006년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제73(퍼스셔)보병연대 ==== 73rd (Perthshire) Regiment of Foot 1786년 [[마이소르 왕국]]과의 전쟁에 참가하던 블랙와치 2대대가 독립해서 만들어진 연대. [[인도 반도]]에서 마이소르 왕국, [[마라타 제국]], [[프랑스 제1공화국]]을 상대로 싸우며 18세기 후반기를 보냈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에는 1대대가 유럽에서 먼 [[뉴사우스웨일스]]나 [[스리랑카|실론]]에 있었고, 1808년 창설된 2대대가 막바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2대대는 해체되고 1대대가 제국의 여러 식민지를 돌아다니며 주둔 및 반란 진압 임무를 수행했다. 그중 [[호주]]에 주둔하고 있을 때는 [[시드니]]에서 열린 호주의 공식적인 첫번째 [[경마]] 경기에서 장병들이 기수 역할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1846년부터 [[코사족]]과의 전쟁에 투입되었는데 연대 소속 장병 56명이 [[버큰헤드호 침몰 사고]]로 목숨을 잃는 일도 있었다. 1858년에는 [[세포이 항쟁]] 진압에 참가했으며 이후 대영제국의 여러 곳에서 주둔군으로 있었다. 1881년 블랙와치에 다시 흡수되었다. === 하이랜더대(시포스, 고든 및 카메론) === Highlanders (Seaforth, Gordons and Camerons) 1994년 여왕 하이랜더대(시포스 및 카메론)와 고든 하이랜더대를 통합한 연대. 1995년 [[북아일랜드 분쟁]], 2002년 [[코소보 전쟁|코소보]] 및 [[보스니아 전쟁|보스니아]] 평화유지군 활동, 2005년 [[이라크 전쟁]] 등에 참가했다. 2006년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4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Cuidich 'n Righ(왕을 도우라). 13세기에 스코틀랜드 국왕인 [[https://ko.wikipedia.org/wiki/알락산다르_3세_막_알락산다르|알렉산더 3세]]가 사냥을 나갔다가 [[사슴]]의 반격으로 위기에 처하자 함께 사냥을 나왔던 매켄지 클랜의 수장이 알렉산더 3세를 도우며 외친 말이라고 전해진다. ==== 여왕 하이랜더대(시포스 및 카메론) ==== Queen’s Own Highlanders (Seaforth and Camerons) 1961년 시포스 하이랜더대와 여왕 카메론 하이랜더대를 통합한 연대. 주 모병지는 [[https://ko.wikipedia.org/wiki/네언|네언]] [[https://ko.wikipedia.org/wiki/로스크로마티|로스 및 크로마티]], [[https://ko.wikipedia.org/wiki/머리_(의회_구역)|모레이]], [[서덜랜드]], [[오크니 제도]], [[인버네스]], [[https://ko.wikipedia.org/wiki/갈리브주|케이스네스]]였다고 한다. 창설 후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_대치|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에 투입되어 [[브루나이]]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브루나이_인민당|북칼리만탄 국민군]]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이후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 주둔군]]과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 주둔군]]를 오가며 [[벨리즈]], [[지브롤터]], [[홍콩]]에 주둔하였다. 냉전이 끝난 후에는 1991년 [[걸프 전쟁]]에 참가했으며 1994년에는 하이랜더대(시포스, 고든 및 카메론) 1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Cuidich 'n Righ(왕을 도우라). ===== 시포스 하이랜더대(로스셔 버프, 올버니 공) ===== Seaforth Highlanders (Ross-shire Buffs, The Duke of Albany's) 1881년 제72보병연대(올버니 공 하이랜더대)와 제78(하이랜더)보병연대(로스셔 버프)를 통합한 스코틀랜드 북부 일곱 카운티의 연대. 두 연대는 각각 시포스 하이랜더대의 1대대와 2대대가 되었다. 1대대는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 이집트 전쟁]], 1898년 [[마흐디 운동]] 진압에 참가했으며 2대대는 [[인도 반도]] 내에서 벌어진 몇몇 원정과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서포스 하이랜더대는 두 상비군 대대를 [[서부전선]]으로 보내는 한편 13개의 추가적인 대대를 양성해 전장으로 보냈다. 상비군 대대 중 1대대는 1916년 중동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두 상비군 대대 중 2대대가 [[프랑스 침공]]을 막기 위해 프랑스로 보내졌다가 [[https://en.wikipedia.org/wiki/Saint-Valery-en-Caux|생발레리엥코]]에서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힌다. 그 뒤 새로운 2대대가 창설되어 [[엘 알라메인 전투|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를 비롯한 [[북아프리카 전역]],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을 포함한 [[이탈리아 전선]],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같은 [[서부전선]]에서 전투를 벌였다. 한편 전쟁이 발발할 때 [[상하이]]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1940년 말 영국령 말레이로 재배치되었고 [[싱가포르 전투]]를 벌인 뒤 [[인도 제국]]으로 빠져나가 1942년부터 [[영국령 버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이외에 여러 지방군 대대가 창설되어 전투에 참가하였다. 전후 1대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2대대는 독일 본토에 주둔하다 1948년 한 개 대대로 통합되어 [[말라야 비상사태]]에 투입되었다. 이후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 [[수에즈 운하]], [[아덴(도시)|아덴]], [[지브롤터]]를 돌아다니며 주둔군 임무를 수행하다 1961년 여왕 하이랜더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Cuidich 'n Righ(왕을 도우라). ====== 제72보병연대(올버니 공 하이랜더대) ====== 72nd Regiment of Foot (Duke of Albany's Own Highlanders) [[미국 독립 전쟁]] 중인 [[https://en.wikipedia.org/wiki/Kenneth_Mackenzie,_1st_Earl_of_Seaforth|1778년 1대 시포스 백작 케네스 매켄지(Kenneth Mackenzie, 1st Earl of Seaforth)]]가 창설한 연대. 매켄지는 할아버지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Mackenzie,_5th_Earl_of_Seaforth|5대 시포스 백작 윌리엄 매켄지(William Mackenzie, 5th Earl of Seaforth)]]가 1715년 [[자코바이트]]에 가담했을 때 몰수당한 작위를 왕실에게서 되돌려 받았는데, 이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이 연대를 만들었다고 한다. 미국 독립 전쟁 중 만들어된 연대지만 북미에서 대륙군을 상대로 싸우지는 않았고 [[카보베르데]]의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Porto_Praya|프라이아 항구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배에 탄 채 [[해병대]] 역할을 하는 정도의 일만 하다 [[인도 반도]]로 보내졌다. 이후 여기서 [[마이소르 왕국]], [[프랑스 제1공화국]], [[바타비아 공화국]]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에는 [[아프리카]]로 보내져 18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점령과 1810년 [[모리셔스|프랑스 섬]] 점령에 참가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아프리카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때 주 상대는 [[코사족]]이었다. 이 시기 당시 영국 육군 총사령관이었던 [[프레더릭 어거스터스|올버니 공]]의 이름이 붙게된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제국 각지의 주둔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크림 전쟁]]과 [[세포이 항쟁]] 진압,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시포스 하이랜더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78(하이랜더)보병연대(로스셔 버프) ====== 78th (Highlanders) Regiment of Foot (Ross-shire Buffs)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https://en.wikipedia.org/wiki/Francis_Mackenzie,_1st_Baron_Seaforth|1대 시포스 남작 프랜시스 매켄지(Francis Mackenzie, 1st Baron Seaforth)]]가 창설한 연대. 특이하게도 창설 때부터 대대가 2개였으나 2대대가 179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점령 작전에 정도에만 참가하고 1796년 1대대에 통합되어버렸다. 한편 1대대는 유럽 본토로 파병되어 [[프랑스 제1공화국]]을 상대로 싸우다 1797년 [[인도 반도]]로 보내져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뒤이은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2대대가 재창설되어 1806년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과 1807년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ria_expedition_of_1807|알렉산드리아 원정]],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참가했다. 그 동안 1대대는 계속 인도에 배치되어 있었다. 2대대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인 1816년 해체된다. 나폴레옹 전쟁 후에는 1856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Persian_War|영국-페르시아 전쟁]],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 187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참가했다. 1881년 시포스 하이랜더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Cuidich 'n Righ(왕을 도우라). ===== 여왕 카메론 하이랜더대 =====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https://en.wikipedia.org/wiki/Alan_Cameron_of_Erracht|앨런 카메론 경(Sir Alan Cameron of Erracht)]]이 [[인버네스|인버네스셔]]에서 창설한 연대. 창설 당시 연대 구성원 대부분이 카메론 클랜의 일원이었다. 혁명 전쟁 중에는 [[저지대 국가|유럽 저지대]]와 [[이집트 원정|이집트]]에서 주로 싸웠다. [[나폴레옹 전쟁]] 때는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제2차 코펜하겐 해전|제2차 코펜하겐 해전]], [[이베리아 반도 전쟁]],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1854년 [[크림 전쟁]],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 1898년 [[마흐디 운동]] 진압,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투입되었다. 또한 1873년에 [[빅토리아 여왕]]이 연대명에 "여왕"을 추가해주었다. 1881년 개혁에 따른 부대 모병지는 인버네스셔.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두 개 상비군 대대를 [[서부전선]]으로 보내는 한편 11개 전시 대대를 양성해 제공했다. 서부전선으로 보내진 두 상비군 대대 중 2대대는 1915년 발칸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1대대는 [[프랑스 침공]], 버마 전선에서 싸웠으며 2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싸우다 [[토브룩]]에서 항복했다. 이후 신생 4대대[* 원래 4대대는 지방군 대대였는데 프랑스에서 철수하지 못하고 [[https://en.wikipedia.org/wiki/Saint-Valery-en-Caux|생발레리엥코]]에서 독일군에게 항복했다.]가 2대대로 재편되어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 그리스에서 싸웠다. 이외에 여러 대대가 만들어져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에 참가했다. 전후 세계 각지에서 주둔군 임무를 수행했는데, [[6.25 전쟁]]에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1955년 [[대한민국]]에 [[주한영연방군]]으로 오기도 했다. 1961년 여왕 하이랜더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고든 하이랜더대 ==== Gordon Highlanders 1881년 제75(스털링셔)보병연대와 제92(고든 하이랜더)보병연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두 부대는 각각 고든 하이랜더대의 1대대와 2대대가 되었다. 모병지는 [[https://en.wikipedia.org/wiki/Banffshire|밴프셔]], [[셰틀랜드 제도]], [[https://ko.wikipedia.org/wiki/애버딘셔|애버딘셔]] [[https://en.wikipedia.org/wiki/Kincardineshire|킨카딘셔]]였다고 한다. 1대대는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 이집트 전쟁]], 1884년 [[마흐디 운동]] 진압에 참가했으며 이후에는 [[인도 반도]]에서 싸웠다. 1899년 발발한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서는 두 대대 남아프리카로 가 [[보어인]]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연대는 2개 상비군 연대를 [[서부전선]]에 파견하는 한편 21개의 추가 연대를 양성해 제공했다. 고든 하이랜더 출신 대대들은 [[국경 전투|몽스]], [[제1차 이프르 전투|이프르]], [[솜 전투|솜]], [[파스샹달 전투|파스샹달]], [[아라스 전투(1917년)|아라스]] 등에서 싸웠다. 이 중 2대대는 1917년부터 [[이탈리아 전선]]에 재배치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를 상대로 싸우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 후, 1대대와 지방군이었던 5대대는 [[프랑스 침공]]을 막는데 투입되었다. 이 두 대대는 철수하지 못하고 제51(하이랜더)사단 소속의 다른 부대들과 함께 1940년 [[https://en.wikipedia.org/wiki/Saint-Valery-en-Caux|생발레리엥코]]에서 독일군에게 항복했다. 한편 [[싱가포르]] 주둔군으로 있던 1대대도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했다. 영국군은 1대대와 2대대를 재창설했는데, 이 중 1대대는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보내져 [[엘 알라메인 전투|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를 치루고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시칠리아 침공]]을 포함한 [[이탈리아 전선]]에서도 싸웠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는 1대대와 2대대, 그리고 기타 지방군 대대들이 투입되었다. 이외에 여러 대대들이 이탈리아 전선과 서부전선에서 싸웠는데 8대대와 9대대는 각각 대전차연대와 기갑연대로 개편되어 버마 전선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전후에는 1948년 [[말라야 비상사태]]에 참가했으며 [[서독]], [[팔레스타인]], [[키프로스]], [[케냐]], [[잔지바르]], [[에스와티니|스와질란드]], [[싱가포르]], [[벨리즈]],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 등에 주둔했다. 1994년 하이랜더대(시포스, 고든 및 카메론) 2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Bydand(변함없이). ===== 제75(스털링셔)보병연대 ===== 75th (Stirlingshire) Regiment of Foot 1787년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Abercromby_of_Airthrey|로버트 애버크롬비(Robert Abercromby)]] 대령이 [[영국 동인도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창설한 연대. 본래 동인도 회사가 분쟁 대비를 위해 요청했으나 분쟁이 흐지부지 끝나자 동인도 회사는 창설 및 운송 비용 지불을 거부했고, 결국 연대는 영국 육군에게 넘어갔다. [[인도 반도]]에서 [[마이소르 왕국]]과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싸웠고, 그 공로 연대 마크에 [[벵골호랑이]]가 그려졌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주로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1849년 다시 인도로 돌아와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에 투입되었고 이후에는 제국의 각지를 돌아다니며 주둔군 임무를 수행했다. 1881년 고든 하이랜더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92(고든 하이랜더)보병연대 ===== 92nd (Gordon Highlanders)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4년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er_Gordon,_4th_Duke_of_Gordon|4대 고든 공작 알렉산더 고든(Alexander Gordon, 4th Duke of Gordon)]]이 창설한 연대. 1798년 [[https://ko.wikipedia.org/wiki/1798년_아일랜드_반란|아일랜드 반란]] 진압과 [[프랑스 혁명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의 네덜란드 침공에 투입되었다. 이후 1801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을 막기 위해 동원되었고, 그 공으로 연대 마크에 [[스핑크스]]가 새겨진다. 이후에도 1807년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제2차 코펜하겐 해전|제2차 코펜하겐 해전]]과 1809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 1815년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1855년 [[크림 전쟁]]에 투입되었지만 실질적으로 벌인 전투는 없으며 1857년 [[세포이 항쟁]]이 벌어지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인도 반도]]로 보내졌다. 이후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참가했다. 1881년 고든 하이랜더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아가일 및 서덜랜드 하이랜더대(루이즈 공주) === Argyll and Sutherland Highlanders (Princess Louise’s) 1881년 제91(루이즈 공주 아가일셔 하이랜더)보병연대와 제93(서덜랜드 하이랜더)보병연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두 대대는 각각 1대대와 2대대가 되었다. 모병지는 [[https://en.wikipedia.org/wiki/Dunbartonshire|덤바턴셔]], [[https://ko.wikipedia.org/wiki/클라크매넌셔|렌프루셔]], [[https://en.wikipedia.org/wiki/County_of_Bute|뷰트셔]], [[https://en.wikipedia.org/wiki/Stirlingshire|스털링셔]], [[https://en.wikipedia.org/wiki/Argyll|아가일셔]], [[https://ko.wikipedia.org/wiki/클라크매넌셔|클라크매넌셔]], [[https://en.wikipedia.org/wiki/Kinross-shire|킨로스셔]]였다고 한다. 1대대는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 동안 2대대는 [[인도 제국]] 주둔 임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연대는 2개 상비군 연대를 [[서부전선]]에 파견하는 한편 14개의 추가 연대를 양성해 제공했다. 이 중 몇몇 대대는 서부전선이 아니라 [[갈리폴리 전투]]나 발칸전선에 배치되었다. 전후 2대대가 독립전쟁이 벌어지던 [[아일랜드 왕국]]에 배치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대대가 [[북아프리카 전역]], [[크레타 섬 전투]], 동아프리카 전선, 다시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다. 한편 2대대는 [[싱가포르 전투|말라야와 싱가포르]]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분투했으나[* 사상자를 보충하기 위해 [[말레이 해전|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HMS 리펄스에서 구조된 해병대원들]]을 편입하기도 했다.] 결국 항복한다. 이후 15대대가 2대대가 되어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되었다. 그 외 여러 대대 중에는 [[프랑스 침공]] 때 프랑스로 보내졌다가 [[됭케르크 철수작전|철수에 성공한]] 몇몇 대대도 있었다. 이들은 아프리카와 서유럽에서 다시 독일군에 맞서 싸우게된다. [[6.25 전쟁]] 당시에는 제일 먼저 도착한 영국군 부대 중 하나로 낙동강 방어선부터 싸웠다. 이후 제국의 여러 식민지나 [[서독]]에 주둔하거나 [[북아일랜드 분쟁]]에 참가하는 등의 활동을 해왔으며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2006년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5대대로 재편되었으나 2013년 중대 규모로 축소되어 발라클라바 중대가 되었다. ==== 제91(루이즈 공주 아가일셔 하이랜더)보병연대 ==== 91st (Princess Louise's Argyllshire Highlanders)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4년 [[https://en.wikipedia.org/wiki/Duncan_Campbell_(British_Army_officer,_died_1837)|던컨 캠벨(Duncan Campbell)]]이 창설한 연대. 1795년 [[https://en.wikipedia.org/wiki/Invasion_of_the_Cape_Colony|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점령]], 1805년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808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다.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인 1809년 네덜란드에 상륙한 적도 있었는데, 별 재미는 보지 못했다. 한편 1804년부터 1815년까지 2대대가 있었는데, 이들은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 저지대에서 복무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1840년에도 연대 소속 장병들이 프랑스로 귀환하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유골을 호위하기도 했다. 1846년 [[코사족]]과의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1858년에는 [[세포이 항쟁]] 진압에 동원되었다. 1871년 루이즈 공주의 결혼식에서 의장대 역할을 한 공로로 1872년 연대명에 "루이즈 공주"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1879년에는 [[줄루 전쟁]]에 투입되었다. 1881년 아가일 및 서덜랜드 하이랜더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엉겅퀴|Nemo me impune lacessit(누구도 나를 공격하고도 무사할 수 없다)]]. ==== 제93(서덜랜드 하이랜더)보병연대 ==== 93rd (Sutherland Highlanders) Regiment of Foot 1799년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Wemyss|윌리엄 웨미스(William Wemyss)]] 소장이 창설한 연대. 서덜랜드 국방병(Sutherland Fencibles)이라는 일종의 민병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나폴레옹 전쟁]] 중에는 1806년 남아프리카로 보내져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Blaauwberg|블라우베르흐 전투]]를 치뤘으며 [[미영전쟁]] 중에는 1815년 [[뉴올리언스 전투]]에 참전했다. [[크림 전쟁]]에도 참전했는데, 1854년 [[발라클라바 전투]]에서 러시아군 기병대의 계속되는 돌격을 저지해 [[씬 레드 라인]]이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이 공로로 군기에 적힌 승전지 목록에 발라클라바를 추가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는데, 덕분에 보병 연대 중 유일하게 군기에 발라클라바가 적혀있었다. 1857년에는 [[세포이 항쟁]] 진압에 투입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인도 반도]]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881년 아가일 및 서덜랜드 하이랜더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웨일스 왕세자비 연대 == [[파일:BA_PWRR.png]] >The Princess of Wales's Royal Regiment, also known as the Tigers, are a flexible, fighting Regiment – we thrive and deliver excellence on complex, tough operations. We are forward looking, yet fiercely proud of our forebear Regiments whose fighting spirit, values and traditions thrive in today’s Regiment. Princess of Wales's Royal Regiment, PWRR 1992년 왕비 연대와 왕립 햄프셔 연대를 합쳐서 만들었다. 연대 이름의 웨일스 왕세자비는 차기 왕위 계승자인 왕자의 아내(왕의 맏며느리)에게 부여되는 작위(관직명)이다. 현재는 네 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둘은 현역 대대고 둘은 비상근예비역 대대다. 1대대는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참전한 [[기계화보병]] 부대이며, 2대대는 경보병 부대로 마지막까지 북아일랜드에 남아있던 영국 주둔군 대대이기도 했다. 부대 구호는 Honi soit qui mal y pense(악한 것을 생각하는 이들은 부끄러우리). === 왕비 연대 === Queen’s Regiment 1966년 창설. [[서독]]과 제국의 각 식민지, 그리고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에 주둔하며 지내다가 1992년 웨일스 왕세자비 연대의 일부가 되었다. 부대 구호는 Honi soit qui mal y pense(악한 것을 생각하는 이들은 부끄러우리). ==== 왕비 왕립 서리 연대 ==== Queen's Royal Surrey Regiment 1959년 창설. [[아덴(도시)|아덴]], [[홍콩]],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에 돌아가며 주둔군으로 있다가 1966년 왕비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Honi soit qui mal y pense(악한 것을 생각하는 이들은 부끄러우리). ===== 왕비 왕립 연대(웨스트서리) ===== Queen’s Royal Regiment (West Surrey) 1661년 [[찰스 2세]]가 [[브라간사의 카타리나]]와 결혼하며 [[탕헤르]]와 [[뭄바이]]를 갖게되자 [[https://en.wikipedia.org/wiki/Henry_Mordaunt,_2nd_Earl_of_Peterborough|2대 피터버러 백작 헨리 모돈트(Henry Mordaunt, 2nd Earl of Peterborough)]]가 탕헤르 주둔군으로 양성한 연대. [[영국 육군]]의 (보병근위대나 소총대를 제외한) 전열보병대 중 제일 오래되었다고 한다.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에서는 [[제임스 2세]]의 편에 섰지만 1688년 [[명예혁명]]이 일어나 [[윌리엄 3세]]가 즉위한 후에는 [[아일랜드 왕국]]에서 제임스 2세의 편을 드는 [[자코바이트]]에 맞서 싸웠다. 이후 [[9년 전쟁]]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했는데, 1703년 프랑스군에게 항복했으나 공로를 인정 받아 "왕립" 칭호를 하사받았다. 한편, 1685년 과부가 된 캐서린 왕대비를 기리기 위해 왕대비 보병연대로 개명했다. 1727년 [[안스바흐의 카롤리네]]를 기려 왕비 보병연대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1780년 [[https://en.wikipedia.org/wiki/Gordon_Riots|고든 폭동]] 진압에 동원되었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이 벌어지자 1794년 [[https://ko.wikipedia.org/wiki/영광스러운_6월_1일|영광스러운 6월 1일 해전]] (해병대로 복무), [[서인도|서인도 제도]] 작전, 1798년 [[https://en.wikipedia.org/wiki/Irish_Rebellion_of_1798|아일랜드 반란]] 진압, 1799년 [[프랑스 혁명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의 네덜란드 침공, 1801년 [[이집트 원정]], [[이베리아 반도 전쟁]] 등에 투입되었다. 19세기에는 183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가했고 1851년에는 [[코사족]]과의 전쟁에 투입되었는데 이때 있었던 [[버큰헤드호 침몰 사고]]로 52명을 잃었다. 1856년에는 [[제2차 아편전쟁]]에 참가했고 이후 [[인도 반도]]에서의 원정 작전에도 동원되었다. 한편, 1857년 2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1886년 [[제3차 영국-버마 전쟁]]과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개혁에 따른 연대 모병지는 웨스트서리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두 상비군 대대를 [[서부전선]]에 투입했는데 2대대는 1917년 [[이탈리아 전선]]으로 보내졌다. 이외에도 23개 대대를 추가 동원해 제공했다. [[전간기]]에는 2대대가 [[https://ko.wikipedia.org/wiki/와지리스탄|와지리스탄]]으로 원정을 나가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1대대는 [[임팔 전투]]를 포함한 동남아 전선에서 싸웠으며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싸우던 2대대 역시 1942년 동남아 전선으로 넘어갔다. 이외에 여섯 지방군 대대가 동원되어 서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 등에 투입되었다. 전후에는 1954년 [[말라야 비상사태]]에 투입되었다. 연대 상징은 [[유월절]]의 어린 [[양(동물)|양]]. ===== 이스트서리 연대 ===== East Surrey Regiment 1881년 창설. 모병지는 [[서리주|서리]] 동쪽에 있는 이스트서리였다. 창설 직후에는 두 대대가 대영제국의 각지를 돌아다니며 주둔했는데 2대대는 1884년 [[마흐디 운동]] 진압과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는 1대대가 [[서부전선]]으로 가 [[국경 전투|몽스]], [[솜 전투|솜]], [[아라스 전투(1917년)|아라스]], [[파스샹달 전투|파스샹달]]에서 싸웠으며 1917년 [[이탈리아 전선]]에 갔다가 다시 1918년 서부전선으로 돌아와 [[백일 전투]]에 참가했다. 한편 [[인도 제국]]에 있던 2대대는 1915년 프랑스에서 전투를 치른 다음 발칸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이외에 17개 연대가 추가 창설되어 제공되었는데, 그 중 8대대는 [[솜 전투]] 첫날에 [[축구공]]을 차며 돌격했으며, 9대대의 장교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R._C._Sherriff|R. C. 셰리프]]는 1928년 [[저니스 엔드]]라는 희곡을 쓰게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2개 상비군 대대와 9개 전시 대대를 제공했다. 이중 상비군인 1대대와 지방군인 1/6대대 및 2/6대대는 1940년 [[프랑스 침공]]에 투입되었는데 2/6대대가 독일군에게 항복했지만 나머지 두 대대는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성공적으로 철수한다.]] 이후 1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 등에서 복무한다. 한편 2대대는 1941년 [[싱가포르 전투|말라야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이때 사상자가 너무 많아 레스터셔 연대 1대대와 함께 영국 대대로 개편되어 싸웠으나 결국에는 일본군에게 항복한다. 전후 [[그리스 내전]]에 투입되었으며 이외 제국의 여러 식민지에 주둔군으로 있었다. ====== 제31(헌팅던셔)보병연대 ====== 31st (Huntingdonshire)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2년 조지 빌리에(George Villier) 대령이 [[해병대]]로 창설한 연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난 1714년에 전열보병 연대로 개편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 1743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했는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너무 큰 피해를 입어서 1745년 영국으로 귀환한다. 이 때문에 본국에서 일어난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도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가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서인도|서인도 제도]]에서 프랑스 식민지를 공격하다 1799년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네덜란드 침공군. 1807년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ria_expedition_of_1807|알렉산드리아 원정]]에 참가했다. 또한 1805년 2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서 싸우다 1814년 해체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영국-시크 전쟁|제1차 영국-시크 전쟁]], [[크림 전쟁]], [[제2차 아편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이스트서리 연대의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70(서리)보병연대 ====== 70th (Surrey)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제31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해 만들어진 연대. 7년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고, 그 후에 벌어진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서인도|서인도 제도]]에서 활동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세포이 항쟁]] 진압과 [[마오리족]]과의 전쟁,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이스트서리 연대의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비 버프, 왕립 켄트 연대 ==== Queen's Own Buffs, The Royal Kent Regiment 1961년 창설. 명예 연대장은 켄트 공작부인인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였다. 5년 동안 [[케냐]]와 [[홍콩]] 같은 제국의 여러 식민지에 주둔하였으며 1966년에는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_대치|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에 투입되었다. 1966년 왕비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버프(왕립 이스트켄트 연대) ===== Buffs (Royal East Kent Regiment) [[네덜란드 독립전쟁]] 당시 [[엘리자베스 1세]]가 [[네덜란드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보낸 자원병에 뿌리를 둔 연대. 이들로 인해 네덜란드군 내에는 잉글랜드인 연대가 세 개 있었는데, 시간이 꽤 지난 1665년 [[영국-네덜란드 전쟁|제2차 영란전쟁]]이 터지자 이 병사들이 네덜란드군을 그만두고 잉글랜드로 돌아와 만든 네덜란드 연대가 시초이다. 창설 직후 제2차 영란전쟁과 제3차 영란전쟁에 참가해 과거의 전우들을 공격했는데, 이때 연대 군복에 담황색(buff) 포인트가 들어가 있어 버프라는 별명이 생겼다. 이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9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가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싸웠으며 [[나폴레옹 전쟁]] 때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크림 전쟁]]과 [[제2차 아편전쟁]]에서 참전했다. 이후 2대대가 새로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줄루 전쟁]]과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개혁에서 [[켄트주|이스트켄트]]가 모병지로 지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두 상비군 대대 모두 차례차례 전쟁에 투입되었는데, 1대대가 1914년 [[서부전선]]에 투입된 반면 [[인도 제국]]에 있던 2대대는 서부전선을 거쳐 발칸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연대는 두 상비군 대대 외에도 12개 대대를 추가 양성해 제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이집트 왕국]]에 주둔하던 1대대가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고 2대대는 [[프랑스 침공]], 중동 전선, 버마 전선에서 싸웠다. 이외에 많은 대대를 추가로 양성했는데 그 중 7대대는 왕립기갑군단 141연대로 재편되어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전하기도 했다. ===== 왕비 왕립 웨스트켄트 연대 ===== Queen's Own Royal West Kent Regiment 1881년 창설. 모병지는 [[켄트주|웨스트켄트]]. 1대대는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 이집트 전쟁]], 1898년 [[마흐디 운동]] 진압에 참가했으며 2대대는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1대대는 1914년 [[서부전선]]으로 보내졌고 1917년 [[이탈리아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가 다시 1918년 서부전선으로 돌아왔다. 한편 2대대는 1915년 중동전선에 배치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싸웠다. 이외에 연대는 14개 대대를 추가 양성해 제공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191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대대가 1940년 [[프랑스 침공]]을 막는데 투입되었다가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했으며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배치된다. 1대대는 1944년 [[이탈리아 전선]]을 거쳐 [[그리스 왕국]]에서 전쟁을 끝냈다. 한편 [[몰타]]에 주둔하고 있던 2대대는 [[몰타 항공전|몰타 봉쇄]]를 겪었으며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을 거쳐 [[도데카니사 전투|도데카니사 제도에 상륙했으나]] 독일군에게 항복한다. 이후 7대대가 2대대로 개편되었지만 전쟁에 투입되지는 않았다. 한편 상비군 대대 외에도 여러 대대가 추가 양성되었는데, 이 중 4대대는 1940년 프랑스 침공 방어전과 1944년 [[임팔 전투]]에 참전했다. 전후에는 1951년 [[말라야 비상사태]], 1956년 [[제2차 중동전쟁]]에 참전했다. ====== 제50(왕비)보병연대 ====== 50th (Queen's Own) Regiment of Foot 1755년 창설.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에는 1794년 [[앵글로 코르시카 왕국|코르시카 침공]], 1801년 [[이집트 원정]], 1807년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제2차 코펜하겐 해전|제2차 코펜하겐 해전]]에 참전했으며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있었던 [[저지대 국가|저지대]] 침공 작전에 참가했다. 1827년 클래런스 공작의 호칭을 연대에 쓸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는데, 1830년 클래런스 공이 왕위를 계승받아 [[윌리엄 4세]]가 되자 그 배우자인 [[작센마이닝겐의 아델하이트]]를 기리며 연대명에 "왕비"를 넣게 되었다. 이후 [[인도 반도]]에서 [[마라타 제국]]과 [[시크 왕국]]을 상대로 싸웠고 그 뒤에는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을 상대로 싸웠으며 [[뉴질랜드]]에서는 [[마오리족]]을 상대로 싸웠다. 1881년 왕비 왕립 웨스트켄트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97(얼스터 백)보병연대 ====== 97th (Earl of Ulster's) Regiment of Foot 1824년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Frederick_Lyon|제임스 라이언(James Lyon)]] 소장에 의해 창설되었다. 부대명의 얼스터 백은 [[조지 4세]]의 동생이자 육군 총사령관이며 얼스터 백작[* 아일랜드 왕국 귀족 작위다.]이기도 한 [[프레더릭 어거스터스]]를 의미한다. 여담으로 창설된 곳은 [[윈체스터]]지만 병사 대부분이 [[아일랜드인]]이라 아일랜드 부대로 여겨졌다고 한다. 1855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으며 1857년에는 [[세포이 항쟁]] 진압에 동원되었다. 1881년 왕비 왕립 웨스트켄트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서식스 연대 ==== Royal Sussex Regiment 1881년 [[서식스]] 카운티 연대로 창설되었다. 1대대는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 이집트 전쟁]]과 1900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2대대는 1888년 하자라 지역 원정에 동원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1대대는 [[인도 제국]] 주둔 임무를 계속 수행했으나 2대대는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이외 19개 전시 대대가 양성되어 영국군에게 제공되었다. [[전간기]]에는 그 전시 대대 중 하나인 2/6대대가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과 [[https://ko.wikipedia.org/wiki/와지리스탄|와지리스탄]] 반란 진압에 투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졌을 때, [[이집트 왕국]]에 있던 1대대는 동아프리카 전선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싸운 뒤 [[이탈리아 전선]]을 거쳐 [[그리스 왕국]]까지 갔다. 한편 2대대는 [[프랑스 침공]]을 막는데 투입되었다가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했으며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1943년 낙하산연대 10대대로 개편되어 1944년 [[마켓 가든 작전]]에 투입된다. 이외에 14개 전시 대대가 새로 양성되었는데 그 중 6대대와 7대대는 1940년 프랑스에서, 9대대는 버마 전선에서 싸웠다. 1956년 [[주한영연방군]]으로 [[대한민국]]에 오기도 했다. 1966년 왕비 연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35(왕립 서식스)보병연대 ===== 35th (Royal Sussex)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1년 [[https://en.wikipedia.org/wiki/Arthur_Chichester,_3rd_Earl_of_Donegall|3대 도니골 백작 아서 치체스터(Arthur Chichester, 3rd Earl of Donegal)]]가 창설하였다. 이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해 여러 전투에서 싸웠지만 1707년 [[알만사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본국으로 귀환한다. 1756년에는 [[7년 전쟁|프랑스-인디언 전쟁]]에 참전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 때도 1775년 [[벙커힐 전투]]를 포함한 여러 전투에서 참가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서인도|서인도 제도]]에서 싸우다가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인 1799년 [[저지대 국가|저지대]] 침공에 투입되었고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서는 이탈리아에서 싸웠다. 1807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ria_expedition_of_1807|알렉산드리아 원정]]에 참가하였다.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는 2대대가 네덜란드에 상륙하기도 했으며 이 2대대는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과 [[워털루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 1857년 [[세포이 항쟁]]을 진압했다. 1881년 왕립 서식스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107보병연대(벵갈 경보병대) ===== 107th Regiment of Foot (Bengal Light Infantry) 1854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창설한 제3벵갈(유럽인)경보병대가 시초. 좀 더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1765년 창설된 벵갈 유럽인 연대가 있다.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동인도 회사가 청산되며 영국 육군에 편입되었다. 1881년 왕립 서식스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미들섹스 연대(케임브리지 공) ==== Middlesex Regiment (Duke of Cambridge's Own) 1881년 [[미들섹스]] 카운티 연대로 창설되었다. 2대대가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으며 1900년에 대대 두 개를 더 창설해 상비군 대대가 네 개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네 개 대대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했는데, 그 중 3대대는 1915년 발칸전선으로 재배치된다. 한편 연대는 36개 대대[* 자발적 예비군인 지방군 대대가 16개, 개전 이후 [[허버트 키치너]]가 모병한 신 육군 대대가 18개, 그리고 노역만 하는 대대가 4개. 이 중 신 육군 대대인 17대대와 23대대는 [[레이턴 오리엔트 FC|클랩튼 오리엔트]]나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홋스퍼]]와 같은 축구팀 선수, 스태프, 팬들을 모아 만든 대대였다. 1차 대전 당시에는 이렇게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을 한 대대에 몰아넣은 대대가 창설되곤 했는데 이런 대대를 팔스(pals) 대대, 즉 친구 대대라고 불렀다.]를 추가로 양성해 제공했다. [[전간기]]에 3대대와 4대대가 해체되어 평범한 2대대 구조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두 상비군 대대 모두 기관총대대로 재편되었다. 이 중 1대대는 1937년 [[홍콩]]에 배치되었다가 1941년 [[홍콩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했고, 2대대는 1940년 [[프랑스 침공]]을 막기 위해 투입되었다가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후퇴한다. 이후 사라진 1대대를 대신해 1대대로 개편된 2/8대대[* 당시 양성된 수많은 전시 대대 중 하나였다.]와 2대대는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서부전선]]에 발을 디디게 된다. 전쟁이 끝나자 당시 연대들이 다 그렇듯 두 대대를 합쳐 한 대대로 감축시켰으며 기관총대대를 다시 보병대대로 개편했다.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1966년 왕비 연대 4대대로 재편되었으나 1973년 해체되었다. 부대 구호는 Ich Dien(나는 봉사하노라). ===== 제57(웨스트미들섹스)보병연대 ===== 57th (West Middlesex) Regiment of Foot 1755년 창설.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1793년 [[저지대 국가|저지대]]와 1796년 [[서인도|서인도 제도]]에서 싸웠다. 이후 1대대가[* 2대대는 1803년 창설되었으나 영국에만 머무르다가 1815년 해체되었다.]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는데 1811년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Albuera|알부에라 전투]]에서 장교의 88%와 병사의 75%가 부상을 입거나 전사하는 일도 있었다. [[미영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과 [[세포이 항쟁]] 진압에 투입되었으며 [[뉴질랜드]]에서 [[마오리족]]을 상대로 벌어진 [[https://en.wikipedia.org/wiki/Second_Taranaki_War|제2차 타라나키 전쟁]]이나 남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줄루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미들섹스 연대(케임브리지 공)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77(이스트미들섹스)보병연대(케임브리지 공) ===== 77th (East Middlesex) Regiment of Foot (Duke of Cambridge's Own) 영국과 프랑스가 인도를 두고 충돌하던 1787년 인도 지방의 이권 수호를 위해 창설된 연대. 당시에는 제77(힌두스탄)연대였다. 본래 [[영국 동인도 회사]]의 요청으로 만들어졌으나 분쟁이 흐지부지 끝나자 동인도 회사는 창설 및 운송 비용 지불을 거부했고, 결국 연대는 영국 육군에게 넘어갔다. [[인도 반도]]에서 [[마이소르 왕국]]과 [[바타비아 공화국]]을 상대로 싸웠으며 그 공로로 1810년 [[조지 4세|웨일스 공]]에게서 그를 상징하는 깃털 문장과 웨일스 공의 구호 "Ich Dien(나는 봉사하노라)"을 쓸 수 있는 권리를 하사받았다.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있었던 [[저지대 국가|저지대]] 침공에 참가했으며 1811년부터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투입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크림 전쟁]], [[세포이 항쟁]] 진압에 동원되었으며 1876년 육군 총사령관인 [[https://ko.wikipedia.org/wiki/케임브리지_공작_조지|케임브리지 공작 조지 왕자]]에게서 연대명에 "케임브리지 공"을 쓸 수 있는 권리를 하사받았다. 1881년 미들섹스 연대(케임브리지 공)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햄프셔 연대 === Royal Hampshire Regiment 1881년 [[햄프셔]] 카운티 연대로 창설되었다. 대전쟁 전 1대대는 식민지 주둔군 임무만을 수행했지만 2대대는 [[제3차 영국-버마 전쟁]],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1대대는 바로 [[서부전선]]에 투입되었고 2대대는 중동과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를 거쳐 1916년 서부전선에 도착했다. 이외에 연대는 31개 대대를 추가 양성해 제공했다. [[전간기]]에는 2대대가 [[러시아 내전]] 개입과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동에 있던 1대대는 1941년 [[몰타]]로 보내져 [[몰타 항공전|몰타 공방전]]을 치뤘으며 봉쇄가 끝난 뒤인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시칠리아 침공]]을 포함한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었다. 1944년에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영국군 선봉으로 참가했다.[* 이때 독일군 [[그레이트 피레니즈]] 한 마리를 노획해 프리츠라고 이름 붙이고는 1946년 죽을 때까지 연대 마스코트로 키웠다.] 2대대는 1940년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에 보내졌으나 [[프랑스 침공]] 때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했으며]] 1942년 [[횃불 작전]]을 통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다. 이후 이탈리아와 그리스를 거쳐 [[오스트리아]]에서 전쟁을 마친다. 이외에 많은 전시 대대를 양성 및 제공했는데 [[몬테카시노 전투]]나 [[마켓 가든 작전]]에 참가한 대대도 있었다. 1946년 "왕립" 칭호를 하사받았으며 1954년에는 [[말라야 비상사태]]에 투입되었다. 이후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를 포함한 제국의 여러 식민지와 서독을 오가며 주둔군 임무를 맡았다. ==== 제37(노스햄프셔)보병연대 ==== 37th (North Hampshire)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2년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Meredyth|토머스 메레디스(Thomas Meredith)]] 대령이 [[아일랜드 왕국]]에서 창설한 연대. 창설 이후 유럽 본토로 가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가했다. 1711년에는 [[퀘벡주|프랑스 북미 식민지]]를 공격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세인트로렌스 강]]을 지나던 수송 함대가 사고를 당해 260여명의 장병이 사망하는 일이 일어나 아무 소득 없이 영국으로 귀환해야했다. 이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 그리고 [[민덴 전투]]를 포함한 [[7년 전쟁]], 그리고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지브롤터]]나 [[서인도|서인도 제도]]에 머물렀으며 [[빅토리아 시대]]에는 [[세포이 항쟁]]을 진압하는데 동원되었다. 1881년 왕립 햄프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67(사우스햄프셔)보병연대 ==== 67th (South Hampshire) Regiment of Foot 본래 제20보병연대[* 이후 랭커서 퓨질리어대가 된다.] 2대대였으나 [[7년 전쟁]] 중인 1758년 독립했다. 1761년 [[https://en.wikipedia.org/wiki/Capture_of_Belle_Île|벨일 섬 정복]]을 시작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 때까지 여러 바다 냄새 나는 작전에 투입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1대대는 [[아일랜드 왕국]], 그리고 [[인도 반도]]에 주둔하며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싸웠다. 이 공로로 67연대는 1826년 부대 문양에 [[호랑이]]를 새겨넣을 수 있게된다. 한편 1803년 창설된 2대대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으며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뒤 1817년에 해체된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제2차 아편전쟁]]에 참가해 [[베이징시|북경]]에도 입성했고 [[사쓰에이 전쟁]]과 [[시모노세키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1864년에는 [[에도 막부]] 시기 [[일본]]으로 파견되어 영국 공사관을 지켰다. 이후에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는 등 여러 활동을 했다. 1881년 왕립 햄프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랭커스터 공 연대 == [[파일:BA_LANCS.png]] >The Duke of Lancaster's Regiment is the Infantry Regiment of the North West of England. We have one Regular battalion, one Reserve battalion and one affiliated battalion. Fierce, strong and courageous, we are known as The Lions of England. > >랭커스터 공 연대는 북서부 잉글랜드의 보병연대입니다. 우리는 상비군 대대 한 개와 예비군 대대 한 개, 연계된 대대 한 개가 있습니다. 맹렬하고 강인하며 용감한 우리들은 잉글랜드의 사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Duke of Lancaster's Regiment 2006년 여러 연대를 통합해 만들었으며 [[이라크 전쟁]]과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연대 기념일은 [[4월 23일|성 게오르기우스 축일]], [[6월 18일|워털루의 날]], [[10월 28일|아로요의 날]][* [[이베리아 반도 전쟁]]의 아로요도스몰리노스 전투를 기념함.], [[2월 28일|레이디스미스의 날]][*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중 보어인에게 포위된 레이디스미스가 구원된 것을 기념함.]이 있다. 현재 보병연대로 정규군 1대대와 지방군으로 이루어진 예비군 대대 4대대가 있다. 부대 구호는 Nec aspera terrent(역경에 굴하지 않으리). === 국왕 왕립 국경 연대 === King’s Own Royal Border Regiment 1959년 창설. [[냉전]] 기간 동안 [[카메룬|영국령 카메룬]], [[영국 라인 주둔군|서독]], [[가이아나|영국령 기아나]], [[아덴(도시)|아덴]], [[키프로스]], [[북아일랜드 분쟁|북아일랜드]] 등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주둔군 활동을 했으며 2005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2006년 랭커스터 공 연대 1대대로 개편되었다. ==== 국왕 왕립 연대(랭커스터) ==== King’s Own Royal Regiment (Lancaster) 1680년 [[알라위 왕조]]가 영국령 [[탕헤르]]를 포위하자 제2 탕헤르 보병연대(2nd Tangier Regiment of Foot)라는 이름으로 창설된 연대. 1684년 영국이 탕헤르를 포기할 때까지 탕헤르 주둔군으로 있었다.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을 진압했지만 1688년 [[명예혁명]]에서는 제일 먼저 [[제임스 3세]]의 편에 선 연대가 되어 [[9년 전쟁]]에서 새 국왕을 위해 싸웠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1704년 [[지브롤터]] 점령과 같은 바다 짠내 나는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도 참전했다. [[7년 전쟁]] 중에는 [[서인도|서인도 제도]]에서 활동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 때도 1775년 [[렉싱턴-콩코드 전투]] 등에 참가했다. 이후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와 북독일 등지,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 전쟁|이베리아]]에서 싸웠으며 잠시 [[미영전쟁|아메리카로 파병]]되었다가. 1815년 유럽으로 돌아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크림 전쟁]], [[세포이 항쟁]] 진압에 참가했으며 2대대를 창설했다. 이후 1대대는 1867년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expedition_to_Abyssinia|아비니시아 원정]]에, 2대대는 1879년 [[줄루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칠더스 군제개혁 때는 이미 대대가 2개였기에 다른 연대와 합쳐지는 일은 없었지만 주 모병지가 [[랭커스터]]가 됐다. 이후 2대대는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도 참가한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1대대는 바로 [[서부전선]]에 투입되었고 2대대는 1915년 프랑스를 거쳐 발칸전선으로 보내졌다. 이외에 연대는 14개 대대를 추가 양성해 제공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는데, 1921년에 [[아일랜드 자유국]]이 될 땅에서 마지막으로 떠난 영국군 부대 중 하나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1941년 [[https://ko.wikipedia.org/wiki/영국-이라크_전쟁|영국-이라크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에 참가한다. 그러다가 1943년 [[도데카니사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괴멸적인 피해를 입어 함께 큰 피해를 입은 8대대의 생존자를 흡수해야 했다. 1대대는 이후 [[이탈리아 전선]]으로 보내져 전쟁이 끝날 때 까지 쭉 거기 있게된다. 한편 개전 당시 [[팔레스타인]]에 주둔하고 있던 2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복무했으며 1942년에는 동남아시아 전선으로 재배치된다. 이외에도 연대는 많은 전시 대대를 양성 및 제공했다. 전후에는 몇몇 식민지의 주둔군으로 있거나, [[6.25 전쟁]]이 끝난 직후 [[대한민국]]에 1년 정도 주둔하거나. [[케냐]]에서 벌어진 마우 마우 봉기를 진압하거나 했다. ==== 국경 연대 ==== Border Regiment 1881년 창설. 현재는 [[컴브리아]]라고 불리는 [[잉글랜드]]의 [[스코틀랜드]] 접경 카운티들이 모병지였다. 1대대가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종군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영국에 있던 2대대가 먼저 [[서부전선]]으로 보내졌고 [[영국령 버마]]에 주둔 중이던 1대대도 신속히 영국으로 귀환해 1915년 [[갈리폴리 전투]]에 투입되었다. 1대대는 1916년 갈리폴리에서 철수해 서부전선에 투입되었으며 2대대는 1917년 [[이탈리아 전선]]으로 재배치된다. 이외에 연대는 13개 대대를 추가 양성해 제공했다. [[전간기]]에는 1919년 2대대가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고, 1922년에는 1대대가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에서 벌어진 토벌 작전에 참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주요 대대의 행보는 다음과 같다. * 1대대: 상비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 글라이더 공수부대로 개되어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시칠리아에 착륙]], 이후 [[이탈리아 전선]] 복무. 1944년 [[마켓 가든 작전]] 참가. * 2대대: 상비군 대대. 1943년 버마 전역에 참전. * 4대대: 지방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이후 철수. 1941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1944년 특수부대 [[친디트]]로 개편되어 버마 전역으로 재배치. * 5대대: 지방군 대대.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했으나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 기갑 부대로 개편. 전후에는 구 추축국 영토 내 점령군 활동을 하거나 제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치안 유지 활동을 했다. ===== 제34(컴벌랜드)보병연대 ===== 34th (Cumberland)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중이던 1702년 셰필드의 로버트 루카스 남작^^Lord Robert Lucas^^이 [[동앵글리아]]에서 양성한 연대가 시초. 시기가 시기인 만큼 스페인으로 보내져 전투를 치루었다. 1713년 해체되었지만 1715년 재창설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사국_동맹_전쟁|사국 동맹 전쟁]], [[https://en.wikipedia.org/wiki/Anglo-Spanish_War_(1727–1729)|영국-스페인 전쟁]]에서는 스페인과 지브롤터에서 싸웠고 [[https://ko.wikipedia.org/wiki/젱킨스의_귀_전쟁|젱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서인도 제도에서 싸우다가 1742년 영국으로 귀환한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1745년에 벌어진 [[자코바이트]] 반란 진압에도 동원되었다. 1751년 제34보병연대^^34th Regiment of Foot^^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얻게된다. 1752년부터 [[지중해]]에 있는 메노르카 섬에 주둔했는데, [[7년 전쟁]] 당시인 1756년 프랑스군에게 패배해 섬을 빼앗겼다. 이후 서인도 제도로 보내져 [[아바나]] 점령에 참가하는 등의 공을 세운다. 이후 플로리다와 아일랜드에서 주둔군으로 있다가 1776년부터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한다. 이때 참전한 전투 중 하나가 [[새러토가 전투]]. 1782년 쯤 명칭에 "컴벌랜드"가 추가된다. 1786년 영국으로 귀환했다가 1796년 서인도 제도에 배치되었으며 1800년는 [[희망봉]]으로 보내진다. 1802년에는 인도로 보내져 거기 있다가 1817년 일어난 제3차 마라타 전쟁에서 싸운다. 1804년 [[켄트(잉글랜드)|켄트]], [[요크셔]], [[랭커셔]], [[링컨셔]] 지방 출신자들로 만들어진 2대대가 창설된다. 이들은 1809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로요도스몰리노스 전투에서 프랑스군 제34전열보병연대의 북과 그 연대 군악대 지휘관의 지휘봉을 노획하는 공을 세우기도 했다. 이후 북상해 [[보르도]]까지 간 2대대는 아일랜드로 재배치되었으며 1817년 해체될 때까지 그 곳에 있었다. 1대대는 1823년 인도에서 돌아와 영국과 아일랜드에 주둔한다. 1830년 캐나다로 보내졌으며 1837년 어퍼캐나다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 이후 영국, 아일랜드, 이오니아 제도, 서인도에서 복무했으며 1855년 [[크림 전쟁]]에도 투입된다. 그 뒤에는 인도에서 복무하며 [[세포이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 1881년 제55(웨스트모얼랜드)보병연대와 통합해 국경 연대 1대대가 되었다. ===== 제55(웨스트모얼랜드)보병연대 ===== 55th (Westmorland) Regiment of Foot 영국과 프랑스 간의 긴장이 고조되던 1755년 조지 페리^^George Perry^^가 스털링에서 창설했다. [[7년 전쟁]] 중인 1757년 북아메리카에 투입되었다.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는데, 미 대륙에서 싸우다가 서인도제도로 넘어간다. 1778년 [[세인트루시아]] 점령에 참가해 공을 세웠지만, 1782년 세인트키츠가 프랑스군에게 함락되며 연대원 대부분이 포로로 잡히게 된다. 이 시기 부대명에 "웨스트모얼랜드"가 추가되었다. 1791년 아일랜드에 주둔했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베네룩스 지역과 서인도에서 작전을 치루었다. 1821년 [[케이프타운|케이프 식민지]]를 거쳐 1830년 인도로 보내졌다. 1834년에는 쿠르그 전쟁에 참전했다. 1840년에는 [[제1차 아편전쟁]]에 참전. 이때 황실을 상징하는 용이 그려진 청나라 군기를 노획했는데, 그 공로로 군기에 용이 그려지게 되었다. 1854년 발발한 [[크림 전쟁]]에도 참전해 알마 강, 세바스토폴, 인커만에서 싸웠다. 1864년에는 [[부탄]]과의 전쟁에도 투입되었다. 1881년 제43(컴벌랜드)보병연대와 통합해 국경 연대 2대대가 되었다. === 국왕 연대 === King's Regiment 1958년 국왕 연대(맨체스터 및 리버풀)(King's Regiment (Manchester and Liverpool))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으나 1968년 그냥 국왕 연대가 되었다. 1959년 [[케냐]]에서 거의 끝나가던 마우 마우 봉기 진압에 참가했으며 이후 북아일랜드, 홍콩, 서독을 포함한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주둔군 활동을 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과 2004년 코소보 평화유지군에 병력을 보내기도 했다. 2006년 랭커스터 공 연대 2대대로 개편되었으며 2021년 말 [[특수전]] 부대인 [[레인저#유럽 국가|레인저연대]]로 옮겨갔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https://youtu.be/0M-Y2vbgCro|국왕의 사람(The Kingsman)]][* 국왕 연대(리버풀)의 속보 행진곡인 [[https://youtu.be/nnoKVM4P7NQ|처녀를 위하여(Here's to the Maiden)]]와 맨체스터 연대의 속보 행진곡인 맨체스터(The Manchester)를 합친 곡이라고 한다.]을, 느린 행진 때는 페러스 행진곡(Lord Ferrars' March)을 썼다. ==== 국왕 연대(리버풀) ==== King's Regiment (Liverpool)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Shirley,_1st_Earl_Ferrers|1대 페러스 백작 로버트 셜리]]가 [[앤 여왕|덴마크의 앤 공주]] 보병연대라는 이름으로 창설한 연대. 1688년 [[명예혁명]] 이후 [[윌리엄 3세]]의 편에 서서 [[아일랜드 왕국]]에서 [[자코바이트]]를 진압했으며 [[9년 전쟁]] 때는 [[플란데런(역사적 지명)|플란데런]]에서 복무했다. 1702년 앤 공주가 여왕이 되자 여왕 연대로 개명하고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해 플란데런과 [[바이에른 선제후국|바이에른]], [[브라반트 공국|브라반트]] 등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을 진압했다. 새로 즉위한 [[조지 1세]]에 의해 국왕 연대로 명칭이 또 개명된 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7년 전쟁]] 때도 살짝 동원되었다. 1768년 [[캐나다]]로 주둔군으로 보내졌고 그 결과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이 벌어지자 몇 개 중대를 [[서인도]]에 남긴채 유럽으로 귀환, [[저지대 국가|저지대]]를 거쳐 [[이집트 원정|이집트를 포함한]] 지중해 지역에서 전투를 벌이고는 이후의 [[나폴레옹 전쟁]]에서도 계속 참전했고, 이후에는 [[미영전쟁|아메리카로 보내져 미군을 상대로 싸웠다.]] 한편 1804년 창설된 2대대는 이들은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저지대로 보내진 것 외에는 캐나다에 주둔군으로 있다가 미영전쟁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제국의 각지를 주둔군으로 떠돌아다니다가 인도 주둔군으로 있던 1857년에 [[세포이 항쟁]]이 발생해 진압에 투입되었다. 한편 이 때 세번째 2대대가 창설되어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과 1885년 [[제3차 영국-버마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칠더스 군제개혁으로 주 모병지가 [[리버풀]]이 되었으며 연대명에도 리버풀이 붙어 국왕(리버풀)연대가 된다. 이후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도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는 [[영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서부전선]]에 파견되어 종전까지 그곳에서 싸운다. 한편 1908년부터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에 배치되어 있던 2대대는 계속 거기 있다가 종전 후인 191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연대는 두 개의 정규군 대대뿐만 아니라 41개의 전시 대대를 추가로 양성했는데, 이들은 영국, 프랑스, 발칸 반도, [[러시아 내전|러시아]]에서 복무했다. 그리고 1921년 마침내 국왕연대(리버풀)로 개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1943년 이후 버마 전선에 투입되어 [[일본 제국]]을 상대로 싸웠다. 한편, [[지브롤터]] 주둔군으로 있었던 2대대는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재배치되었으며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로 올라간 뒤]] [[그리스 왕국|그리스]]에서 종전을 맞았다. 이외에 10개의 전시 대대가 있었는데 이중 5대대와 8대대는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했다. 종전 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 [[6.25 전쟁]] 파병, [[홍콩]] 주둔군 임무를 수행했으며 1958년 맨체스터 연대와 통합해 국왕 연대(맨체스터 및 리버풀)을 이루었다. ==== 맨체스터 연대 ==== Manchester Regiment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63(웨스트서퍽)보병연대와 제96보병연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주 모병지는 [[맨체스터]]. 1882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영국-이집트 전쟁]]에 두 대대를 모두 투입했으며 1897년에는 2대대가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의 원주민 반란을 진압했다. 1899년 발발한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때도 두 대대가 참전했는데 이때는 1대대와 2대대가 돌아가면서 남아프리카에 있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에 있던 2대대가 즉시 [[서부전선]]으로 보내졌다. 한편 [[인도 제국]] 주둔군으로 있던 1대대는 1914년 9월에 프랑스에 도착했으나 1915년 말 중동 전선으로 재배치된다. 이외에 35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발칸 반도, 서부전선, 영국 등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영국 주둔군이던 2대대가 지방군인 1/9대대와 5대대와 같이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한편 [[싱가포르]]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하며 전멸했고 6대대가 그 자리를 대신해 1대대가 된다. 이 신생 1대대는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했으며 [[함부르크]]에서 종전을 맞는다. 이외에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에 참전한 8대대와 9대대, 독일에서 싸운 7대대가 있었다. 전후에는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했고, 1951년 [[말라야 비상사태]]에 투입되었으며 1958년에 국왕 연대(리버풀)와 통합해 국왕 연대(맨체스터 및 리버풀)을 이루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 연대의 사상자 중에는 2대대에서 복무하던 시인 [[윌프레드 오언]]도 있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광인 [[잭 처칠]]이 [[코만도(영국)|코만도]]에 들어가기 전 이 연대에서 복무했다. ===== 제63(웨스트서퍽)보병연대 ===== 63rd (West Suffolk)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제8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하며 만들어진 연대. 7년 전쟁 중에는 프랑스 해안가와 [[서인도]]를 들쑤시며 다녔고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벙커힐 전투]]부터 [[캠던 전투]]까지 여러 전투를 치뤘다.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에는 저지대에서 싸웠으며 이후 서인도로 옮겨간다. 1804년 2대대가 창설되었으나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저지대로 보내졌을 뿐 1814년 해체할 때까지 별다른 해외 파병 기록은 없다. 1854년 [[크림 전쟁]]과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제96보병연대와 통합해 맨체스터 연대 1대대가 되었다. ===== 제96보병연대 ===== 96th Regiment of Foot 1821년 [[맨체스터]]에서 창설되었다. 창설 즉시 [[대서양]] 너머 [[핼리팩스]]에 주둔군으로 보내졌으며 제국 각지를 돌아다니다 1845년 [[https://en.wikipedia.org/wiki/Flagstaff_War|깃대 전쟁]]에서 [[마오리족]]을 상대로 싸웠다. 1874년 과거 존재했던 제96보병연대(왕비 독일인대)(96th Regiment of Foot (Queen’s Own Germans))[* [[나폴레옹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인 1798년에 포로로 잡힌 [[스위스 용병]]들로 만든 부대로 [[이집트 원정]], [[이베리아 반도 전쟁]], [[미영전쟁]]에 참전했으며 1818년 해체했다.]를 계승하는 부대로 정해졌다. 1881년 제63(웨스트서퍽)보병연대와 통합해 맨체스터 연대 2대대가 되었다. 부대 구호는 Honi soit qui mal y pense(악한 것을 생각하는 이들은 부끄러우리). === 여왕 랭커셔 연대 === Queen’s Lancashire Regiment 1970년 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와 충성스러운 연대(노스랭커셔)를 통합해 만들었다. [[영국 라인 주둔군]]에서 복무하고 [[북아일랜드 분쟁]]에 참가했으며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활동도 했다. 1994년에는 [[베를린]]에서 마지막으로 철수한 영국군 부대가 되었다. 이후 [[보스니아]] 평화유지군으로 있기도 했으며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참가했다. 2006년 랭커스터 공 연대 3대대로 개편되었으나 얼마 못 가 1대대에 흡수되었다. 부대 구호는 Loyally I serve(나는 충직하게 봉사한다). ==== 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 ==== Lancashire Regiment (Prince of Wales's Volunteers) 1958년 이스트랭커셔 연대와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주둔군 임무를 하다 1970년 여왕 랭커셔 연대의 일부로 통합되었다. 부대 구호는 Ich Dien(나는 봉사하노라). ===== 이스트랭커셔 연대 ===== East Lancashire Regiment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30(케임브리지셔)보병연대와 제59(제2 노팅엄셔)보병연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주 모병지는 [[번리]]와 [[블랙번]]을 포함한 [[랭커셔]] 동부. 1대대는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다가 1895년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지대에서 벌어진 원정에 참가했으며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도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1대대와 2대대 모두 [[서부전선]]으로 보내졌다. 이외에 15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와 서부전선을 포함해 곳곳에서 복무했는데 그 중 [[솜 전투]] 첫날 720명 중 584명이 사상자가 되어 모병지였던 아크링턴과 그 일대에 충격을 안겨준 11(복무)대대, 일명 아크링턴 팔즈가 유명하다. [[전간기]]에는 2대대가 아일랜드 독립전쟁에 참가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지방군 4대대와 함께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있던 2대대는 황급히 영국으로 귀환했는데 1942년 [[마다가스카르 전투]]에 참가했으며 1943년에는 버마 전역으로 보내진다. 1944년이 되자 1대대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다시 서부전선에 복귀한다. 이외에 앞서 언급한 4대대를 포함해 7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었는데 그 중 5대대와 기갑부대로 전환된 8대대가 유럽에서 독일군을 상대로 싸웠다. 1958년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와 합쳐져 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를 이루었다. ====== 제30(케임브리지셔)보병연대 ====== 30th (Cambridgeshire) Regiment of Foot 1689년 [[9년 전쟁]] 때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_Saunderson,_5th_Viscount_Castleton|5대 캐슬턴 자작 조지 손더슨]]이 창설한 연대. 종전과 함께 1698년 해체했으나 1702년 마지막 연대장 토머스 손더슨이 창설한 해병연대가 이를 이어받았다. 1702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 [[스페인 제국|스페인]] 본토에서 [[지브롤터]] 정복에 참가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Anglo-Spanish_War_(1727–1729)|1727년 영국-스페인 전쟁]]에도 참전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에서는 [[프랑스 왕국]]의 해안 지방을 습격했다. [[미국 독립 전쟁]]에도 1781년 뒤늦게 참전해 [[미국 남부|남부]]와 [[서인도]]에서 싸웠다. [[프랑스 혁명 전쟁]]이 벌어지자 [[유럽]]으로 복귀, [[제2차 이탈리아 원정]]과 [[이집트 원정]]을 포함한 지중해 일대 전역에 참가했다.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서는 독일에서 전투를 치뤘으며 이후 [[인도반도]]로 보내져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벌어진 1817년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참전했다. 한편, 1803년에 2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1809년부터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고 1812년 살라망카 전투에서 프랑스군 제22전열보병연대의 독수리 상징을 빼앗는 공을 세웠으며[* 현재 이 독수리는 랭커셔 보병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815년 [[워털루 전투]]에도 참가한 뒤 1817년 해체했다. 1854년에는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이스트랭커셔 연대 1대대로 개편했다. ====== 제59(제2 노팅엄셔)보병연대 ====== 59th (2nd Nottinghamshire) Regiment of Foot [[프랑스 왕국]]과의 전쟁 가능성이 보이던 1755년에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Montagu_(British_Army_officer)|찰스 몬태규 중장]]이 창설한 연대. 1763년 아메리카 대륙으로 보내져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나 극심한 인명 피해로 인해 1776년에 영국으로 귀환했다. 이후 1782년에 벌어진 [[https://ko.wikipedia.org/wiki/지브롤터_대공방전|지브롤터 대공방전]]에도 참가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싸우다 [[서인도]], 남아프리카, 프랑스령 [[모리셔스|프랑스 섬]],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을 오갔다. 한편 1804년 창설한 2대대는 1808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으며 1816년 해체했다. 1815년 [[인도반도]]에 파병되어 1817년에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1826년에는 바랏푸르의 [[자트족]]을 상대로 싸웠다. [[제1차 아편전쟁]] 때는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청나라]]가 [[난징 조약]]을 지키도록 압박하기 위해 1849년 [[홍콩]]으로 보내졌으며 실제로 [[제2차 아편전쟁]]때 [[광저우시|광저우]] 점령에 참가했다. 이후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가했다. 1881년 이스트랭커셔 연대 2대대로 개편했다. =====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 ===== South Lancashire Regiment (Prince of Wales’s Volunteers)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40(제2 서머싯셔)보병연대와 제82보병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주 모병지는 [[워링턴]][* 1974년에 [[체셔주|체셔]] 관할이 되었다.]을 포함한 [[랭커셔]] 남부. 1899년 1대대가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인도 제국]]에 주둔하던 1대대는 그곳에 눌러앉고 2대대가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이외에 19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중동, 서부전선, 영국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191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있던 2대대는 황급히 영국으로 귀환했는데 1942년 [[마다가스카르 전투]]에 참가했으며 1944년에는 버마 전역으로 보내진다. 1944년이 되자 1대대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통해 다시 서부전선에 복귀한다. 이외에 7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었다. 1958년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와 합쳐져 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를 이루었다. ====== 제40(제2 서머싯셔)보병연대 ====== 40th (2nd Somersetshire) Regiment of Foot 1717년 [[노바스코샤]] 총독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Philipps|리처드 필립스]]가 [[https://en.wikipedia.org/wiki/Annapolis_Royal|아나폴리스 로열]] 주둔군 중 여덟 대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1744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1756년 [[7년 전쟁]] 때 [[루이스버그 전투]]와 같은 아메리카 식민지 전투에서 참가했으며 누벨프랑스의 프랑스계 정착민들을 [[13개 식민지]]나 [[루이지애나]] 같은 따뜻한 남쪽 땅으로 강제 퇴거시켰다.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해 [[롱아일랜드 전투]] 등에 참전했으며 1783년 대서양을 건너가 [[서머싯]]을 새 모병지로 삼는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와 [[서인도]], [[이집트 원정|이집트]] 등에서 활동했다. 1799년 2대대가 만들어져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과 이집트 원정에 참가했으나 1802년 해체했다. 연대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처음부터 끝까지 참가했으며 이후 [[미영전쟁]]을 위해 캐나다로 보내졌다가 [[백일천하|나폴레옹이 엘바섬에서 탈출하며]] 다시 유럽으로 돌아와 [[워털루 전투]]에 참가했다. 1840년 [[인도반도]]로 재배치되어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과 1843년 [[마라타 제국]]과의 전쟁에 참전했다. 1854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Eureka_Rebellion|호주 광부들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는데 참가했으며 1860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First_Taranaki_War|제1차 타라니키 전쟁]]에서 [[마오리족]]을 상대로 싸웠다. 1881년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 1대대로 개편했다. ====== 제82보병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 ====== 82nd Regiment of Foot (Prince of Wales’s Volunteers) 1793년 [[프랑스 혁명 전쟁]] 때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Leigh_(British_Army_officer)|찰스 리 소장]]이 창설한 연대. 리 소장은 [[조지 4세|웨일스 공]]의 측근이었기에 "웨일스 공 의용병대"라는 명칭이나 부대 구호와 같은 왕세자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쓸 수 있었다. 창설 후 [[서인도]]에 배치되었으나 피해가 너무 커서 1798년 영국 본토로 귀환했다. 이후 1807년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제2차 코펜하겐 해전|제2차 코펜하겐 해전]]과 1808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저지대 원정을 나가기도 했다. 1814년에는 잠시 캐나다로 보내져 [[미영전쟁]]에 참전했다. 1855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싱가포르]] 주둔군으로 있다가 1857년 [[세포이 항쟁]]이 벌어지자 이를 진압하기도 했다. 1881년 사우스랭커셔 연대(웨일스 공 의용병대) 2대대로 개편했다. 부대 구호는 Ich Dien(나는 봉사하노라). ==== 충성스러운 연대(노스랭커셔) ==== Loyal Regiment (North Lancashire)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47(랭커셔)보병연대와 제81보병연대(충성스러운 링컨 의용병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당시에는 충성스러운 노스랭커셔 연대(Loyal North Lancashire Regiment)라는 이름이었으며 주 모병지는 [[프레스턴]]을 포함한 [[랭커셔]] 중부였다. 1899년 1대대가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서부전선]]에 즉시 투입되었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던 2대대는 [[제1차 세계 대전/아프리카 전선|아프리카]]와 중동을 거쳐 1918년 서부전선에 도착했다. 이외에 15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영국, 중동, 발칸 반도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인 1921년에 충성스러운 연대(노스랭커셔)로 개명되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한편 [[싱가포르]]에 주둔하고있던 2대대는 1942년 [[싱가포르 전투]]로 포로가 된다. 영국군은 1대대를 재무장시키는 한편 지방군 10대대를 새로운 2대대로 개편한다. 1대대는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을 거쳐 2대대와 함게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된다. 이외에 10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었다. 전후에는 1957년 [[말라야 비상사태]]에 동원되거나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하거나 하다가 1970년 여왕 랭커셔 연대의 일부로 통합되었다. ===== 제47(랭커셔)보병연대 ===== 47th (The Lancashire) Regiment of Foot 1741년 [[https://ko.wikipedia.org/wiki/존_모던트_경|존 모던트 경]]이 [[스코틀랜드]]에서 창설한 연대.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 참전했으며 1750년 캐나다로 보내져 [[7년 전쟁]]에 당시에는 [[루이스버그 전투]]와 같은 북아메리카 대륙 전투에 참가했다. 이후 다시 유럽으로 갔다가 아메리카로 돌아와 [[렉싱턴-콩코드 전투]]를 포함한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며 1777년 [[새러토가 전투]]에서 항복해 연대 전체가 다음해 종전될 때까지 억류된다. 억류 기간 동안 [[랭커셔]]가 새 모병지로 정해졌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1803년 창설한 2대대가 1809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한 후 1814년 해체했다. 한편 1대대는 실패로 끝난 1807년 [[라플라타]] 원정이나 1809년 [[라스 알카이마]]와의 전쟁에 참가했으며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뒤에도 1817년 [[마라타 제국]], 1824년 [[꼰바웅 왕조]]를 상대로 싸웠다. 1854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으며 1866년 [[https://en.wikipedia.org/wiki/Fenian_raids|캐나다를 침공한 아일랜드인들]]을 격퇴했다. 1881년 충성스러운 노스랭커셔 연대 1대대로 개편했다. ===== 제81보병연대(충성스러운 링컨 의용병대) ===== 81st Regiment of Foot (Loyal Lincoln Volunteers) 1793년 [[프랑스 혁명 전쟁]] 때 [[https://en.wikipedia.org/wiki/Albemarle_Bertie,_9th_Earl_of_Lindsey|앨버말 버티 소장]]이 링컨에서 창설한 연대. 병사 대부분이 이미 [[링컨셔]] 민병대원이었기에 "충성스러운 링컨 의용병대"라는 이름이 붙었다. 1795년 [[서인도]]를 거쳐 1798년 남아프리카에 배치되었고 그곳에서 [[코사족]]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에 [[나폴리 왕국]]에서 싸웠으며 1812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미영전쟁]]을 위해 아메리카로 보내졌다. 한편 1802년 창설된 2대대는 1808년부터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가했으며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과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저지대 국가|저지대]]에 투입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2대대는 해체했다. 1857년 인도 주둔군 중 하나로 [[세포이 항쟁]]을 진압했으며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가했다. 1881년 충성스러운 노스랭커셔 연대 2대대로 개편했다. == 왕립 퓨질리어연대 == [[파일:BA_RRF.png]] >The Fusiliers have regular and reserve armoured infantry Battalions in the reactive role. We are respected as tough partners in combat, no-nonsense soldiers who take on any challenge. Our Fusilier family is known for our strong bonds and lifelong support. Royal Regiment of Fusiliers 1968년 왕립 노섬벌랜드 퓨질리어대, 왕립 워릭셔 퓨질리어대, 왕립 퓨질리어대(시티 오브 런던 연대), 랭커셔 퓨질리어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상징은 왕립 노섬벌랜드 퓨질리어연대의 상징인 [[게오르기우스]]다. 본래 4개 연대가 각각 하나의 대대가 되어 4개 대대가 있었으나 1년 만에 랭커셔 퓨질리어대의 후신인 4대대가 해체되고 왕립 퓨질리어대(시티 오브 런던 연대)의 후신인 3대대는 [[걸프 전쟁]] 파병 이후 해체되어서 2개 연대가 남아있다. 현재는 [[FV510 워리어]]를 운용하는 기갑보병 대대로 현역인 1대대와 예비역인 5대대가 있다. 그리고 연대 본부가 [[런던 탑]]에 있다. 연대 행진곡은 속보 행진 때는 [[영국 척탄병 행진곡]]을, 느린 행진 때는 [[Rule, Britannia!]]를 쓴다. === 왕립 노섬벌랜드 퓨질리어대 === Royal Northumberland Fusiliers 본래 [[영국-네덜란드 전쟁|제3차 영란전쟁]]의 결과로 창설된 네덜란드군 내 잉글랜드인 부대였으나 [[명예혁명]] 당시 [[윌리엄 3세]]가 잉글랜드로 데리고 왔다. [[9년 전쟁]] 때는 [[아일랜드 왕국]] 내 [[자코바이트]]를 진압하는 것으로 시작해 1692년 유럽 본토의 [[저지대 국가|저지대]]로 가서 전투를 벌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는 스페인 본토에서 활동했으며 [[7년 전쟁]]에서는 프랑스 해안 지대를 습격하거나 독일 땅에서 싸웠다. 1774년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13개 식민지]]로 파견되어 [[렉싱턴-콩코드 전투]]나 [[벙커힐 전투]] 등에 참전했다. 1788년에는 [[서인도]]에서 해병대로 활동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모병지가 [[노섬벌랜드]]로 정해진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때는 기존의 1대대와 1799년 창설한 2대대 모두 [[이베리아 반도 전쟁]]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반도 전쟁 당시의 활약으로 싸우는 5연대(The Fighting Fifth)[* 당시 연대 명칭은 제5(노섬벌랜드)보병연대였다.]나 [[아서 웰즐리|웰링턴]] 친위대(Wellington's Bodyguard)라는 별명을 얻었다. 1836년 [[퓨질리어]] 부대로 개편되며 부대 상징이 정예병의 상징인 불 붙은 [[수류탄]] 문양이 되었다. 1857년에는 [[세포이 항쟁]]을 진압했고 1866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나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 원주민 토벌 원정에 참가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1857년에 2대대를 다시 만들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지만 노섬벌랜드 퓨질리어대로 개명되었다. 1895년에는 [[아샨티 제국]]을 상대로 싸웠으며 1898년에는 [[마흐디]]를 상대로, 1899년에는 [[보어인]]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서부전선]]에 즉시 투입되었다. [[인도 제국]]에 주둔하던 2대대는 1915년 서부전선에 도착했으나 1916년 중동과 발칸 반도로 재배치되었다. 이외에 자그마치 50개나 되는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발칸 반도,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이탈리아 전선(제1차 세계 대전)|이탈리아]]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인 1921년에는 1대대가 독립을 요구하는 [[https://ko.wikipedia.org/wiki/아일랜드_독립_전쟁|아일랜드인]]과 [[https://ko.wikipedia.org/wiki/팔레스타인_독립_전쟁|팔레스타인인]]을 진압하는 일을 맡았다. 1930년에 전시 공로를 인정 받아 왕립 접두사가 붙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한편 중동에 주둔하고있던 1대대는 1940년 [[북아프리카 전역]]이 시작되며 [[엘 알라메인 전투]]를 포함한 여러 전투에 참가했다. 1943년이 되자 2대대가 튀니지에 상륙하였고, 두 대대는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까지 올라갔다. 이외에 8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었다. 전후에는 1950년부터 1951년까지 [[6.25 전쟁]]에 파병되었으며 이후 [[홍콩]] 주둔군 활동, [[https://ko.wikipedia.org/wiki/마우_마우|마우 마우 봉기]] 진압,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 [[https://ko.wikipedia.org/wiki/아덴만_비상사태|남아라비아 파병]] 등을 했다. 1968년 왕립 퓨질리어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부대 구호는 Quo Fata Vocant(운명이 부르는 곳으로). === 왕립 워릭셔 퓨질리어대 === Royal Warwickshire Fusiliers 본래 [[영국-네덜란드 전쟁|제3차 영란전쟁]]의 결과로 창설된 네덜란드군 내 잉글랜드인 부대였으나 [[명예혁명]] 당시 [[윌리엄 3세]]가 잉글랜드로 데리고 왔다. [[9년 전쟁]] 때는 [[아일랜드 왕국]] 내 [[자코바이트]]를 진압하는 것으로 시작해 1692년 유럽 본토의 [[저지대 국가|저지대]]로 가서 전투를 벌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는 스페인 본토에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서인도]]에서 활동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서 스코틀랜드 자코바이트들을 상대로 싸웠고 1770년대에 [[세인트빈센트 섬]]의 [[가리푸나인]]을 상대로 싸우다 [[미국 독립 전쟁]]에 투입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모병지가 워릭셔로 정해진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때는 [[마르티니크]]나 [[과들루프]]와 같은 [[서인도]]의 프랑스 식민지를 공격했고 1798년 [[https://ko.wikipedia.org/wiki/1798년_아일랜드_반란|아일랜드 반란]]이 벌어지자 이를 진압하기도 했다. 이후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미영전쟁]]에도 참전했다. 1832년 연대명에 왕립 접두사가 붙었다.1840년대와 1850년대에는 남아프리카에서 [[코사족]]을 상대로 싸웠는데, 증원오던 병력이 [[버큰헤드호 침몰 사고]]로 익사하는 일도 있었다. 1857년에는 [[세포이 항쟁]]을 진압했으며 이후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로 원정을 나가기도 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1857년에 2대대를 다시 만들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지만 왕립 워릭셔 연대(Royal Warwickshire Regiment)로 개명되었다. 1896년에는 [[마흐디]]를 상대로 싸웠고 1899년에는 [[보어인]]을 상대로 싸웠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기존 2개 정규군 대대 이외에 31개 전시 대대를 추가로 제공했다. 이들은 영국, 서부전선, 중동,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이탈리아 전선(제1차 세계 대전)|이탈리아]]에서 복무했다. 연대는 약 11,000명의 사망자를 냈는데 1대대의 [[버나드 로 몽고메리]]라는 젊은 장교도 네덜란드에서 입은 중상으로 그 중 하나가 될 뻔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전시 대대인 1/7대대 및 8대대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때 포로로 잡힌 장병들이 보름호우트에서 학살당하는 일도 있었다. 이렇게 유럽 본토를 떠난 2대대는 후에 1/7대대와 함께 [[노르망디 상륙작전|1944년에 다시 돌아온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있던 1대대는 전쟁 막바지에야 버마 전선에 참가했다. 2개 정규군 대대 외에도 9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여러가지 임무를 수행했다. 전후에는 1953년에 [[6.25 전쟁]]에 파병되었고 1954년까지 [[주한영연방군]]으로 있었으며 이후 [[수에즈 운하]] 주둔, [[키프로스]] 주둔, [[아덴(도시)|아덴]] 주둔, [[홍콩]] 주둔 등의 활동을 하다 1962년 퓨질리어 여단(Fusilier Brigade) 소속 연대가 되며 다음해 왕립 워릭셔 퓨질리어대로 개명한다. 이후 [[서독]]에 [[영국 라인 주둔군]]으로 있었다. 1968년 왕립 퓨질리어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퓨질리어대(시티 오브 런던 연대) === Royal Fusiliers (City of London Regiment) 1685년 [[런던 탑]]의 대포를 지키던 두 개 중대로 만든 연대. 창설 당시에는 화기연대(Ordnance Regiment)라고 불렸다. 1688년 [[명예혁명]]으로 [[윌리엄 3세]]가 즉위하고 난 후 일반 보병연대처럼 굴려지기 시작했다. [[9년 전쟁]] 때는 유럽 본토의 [[저지대 국가|저지대]]로 보내졌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는 스페인으로 파병되었다. 1773년 캐나다로 보내져 1775년 발발한 [[미국 독립 전쟁]]에서 싸웠다. 그런데 1775년 대륙군이 캐나다를 침공했을 때 많은 병력이 포로로 잡혀서 1776년 [[뉴욕시|뉴욕]]에서 교환을 통해 돌려받은 포로들로 재편해야 했다고 한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때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미영전쟁]]에 참전했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 [[세포이 항쟁]], [[https://en.wikipedia.org/wiki/Fenian_raids|페니언 습격]],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1850년대에 2대대를 다시 만들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으며 모병지가 [[런던]]으로 정해진다. 1904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expedition_to_Tibet|티베트 원정]]에도 참가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43개 전시 대대를 추가로 제공했다. 이들은 영국, 서부전선 [[제1차 세계 대전/아프리카 전선|아프리카]], 중동,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러시아 내전|러시아]]에서 복무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후 연대는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 [[그리스 내전]]에 참가했다. 전후에는 [[6.25 전쟁]]에 파병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68년 왕립 퓨질리어연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 랭커셔 퓨질리어대 === Lancashire Fusiliers 1688년 [[명예혁명]] 당시 로버트 페이턴(Robert Payten)이 [[윌리엄 3세]]를 지원하기 위해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때는 [[아일랜드 왕국]] 내 [[자코바이트]]를 진압하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는 스페인 본토에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데팅겐 전투]] 등에 참전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서 스코틀랜드 자코바이트들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7년 전쟁]]에서는 프랑스 해안 지대를 습격하는 일을 했다.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는데 [[새러토가 전투]]에서 항복해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 신세로 억류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모병지가 [[데번|이스트데번셔]]로 정해지며 제20(이스트데번셔)보병연대가 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이 벌어지자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바타비아 공화국]]을 침공했고, 1801년에는 [[이집트 원정|이집트도 가봤다]],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에는 이탈리아에서 싸웠으며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도 참전했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과 [[세포이 항쟁]]에 참전했으며 1783년에는 모병소를 버리로 옮겼다. 버리는 현재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일부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랭커셔]]였기에 1881년 칠더스 개혁 때 랭커셔 퓨질리어대로 개명되었다. 이미 1856년에 2대대를 다시 만들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다. 이후 1898년과 1899년에 각각 [[마흐디]]와 [[보어인]]을 상대로 싸웠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28개 전시 대대를 추가로 제공했다. 한편 1대대는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했는데 전투 첫날 상륙 과정에서 보인 무공으로 6명이 "아침 먹기도 전에"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을 받기도 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후 1943년 [[북아프리카 전역]]을 거쳐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으로 올라간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있던 1대대는 버마 전선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우다 [[친디트]]로 개편된다. 2개 정규군 대대 외에도 15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여러가지 임무를 수행했다. 전후 제국의 각지에서 주둔군 활동을 하다 1968년 왕립 퓨질리어연대 4대대로 재편되었으나 1969년 해체되었다. [[반지의 제왕]]을 쓴 [[J. R. R. 톨킨]]이 [[제1차 세계 대전]] 때 이 연대에서 복무했다. == 왕립 앵글리아 연대 == Royal Anglian Regiment 1964년 이스트앵글리아 여단(East Anglian Brigade)을 이루던 네 연대[* 제1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왕립 노퍽 및 서퍽), 제2 이스트앵글리아 연대(글로스터 공작부인 왕립 링컨셔 및 노샘프턴셔), 제3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제16/44보병대), 왕립 레스터셔 연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주 모병지는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전체와 [[이스트 미들랜즈]] 일부다. [[북아일랜드 분쟁]]에 참전했으며 [[보스니아]] 평화유지군 활동, [[시에라리온 내전]] 개입,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및 [[이라크 전쟁]] 참전, [[말리 내전]] 개입 및 [[남수단]] 평화유지군 활동 등을 했다. 현재는 세 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둘은 현역 대대고 하나는 비상근예비역 대대다. 1대대 바이킹은 [[경보병]] 부대고 2대대 포처는 [[https://en.wikipedia.org/wiki/Ocelot_(vehicle)|폭스하운드 장갑차]]와 [[수파캇 자칼|자칼 장갑차]]를 운용하는 경기계화보병 부대다. 3대대 스틸백은 예비역 경보병 부대. === 제1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왕립 노퍽 및 서퍽) === 1st East Anglian Regiment (Royal Norfolk and Suffolk) 1959년 창설. 1964년 왕립 앵글리아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노퍽 연대 ==== Royal Norfolk Regiment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https://en.wikipedia.org/wiki/Henry_Cornewall_(MP_for_Weobley)|헨리 콘월(Henry Cornewall)]]이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때는 [[아일랜드 왕국]] 내 [[자코바이트]]를 진압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때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와 [[스페인 제국]] 본토에서 활동했다. 1776년에는 [[대서양]] 너머로 보내져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는데 [[새러토가 전투]]에서 항복해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 신세로 억류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모병지가 [[노퍽주|이스트노퍽]]으로 정해졌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마침 [[서인도]]에 배치되어 있어서 프랑스령 서인도 식민지를 공격했으며 [[나폴레옹 전쟁]]의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는 [[바타비아 공화국]]을 침공했다. 1804년 2대대를 창설했지만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인 1805년에 1대대가 독일로 파견되다 수송선이 프랑스 해안에서 좌초해 생존자 전원이 포로가 되는 일이 일어났다. 이후 두 대대 모두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서 싸웠으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이 엘바섬으로 유대된 후에는 1대대가 [[미영전쟁]]이 벌어지는 아메리카로 파견되었다. 이후 2대대는 나폴레옹 전쟁 당시 창설한 2대대들이 그렇듯 해체했다. 19세기에는 183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과 1845년 [[영국-시크 전쟁|제1차 영국-시크 전쟁]]에 참전했으며 1854년 [[크림전쟁]]에서도 복무했다. 이후 2대대를 창설했는데 이 부대는 1877년 있었던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지대 원정이나 1878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복무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2대대가 있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지만 [[노퍽주|노퍽]] 전체가 모병지로 배정되며 노퍽 연대(Norfolk Regiment)로 개명한다. 이후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도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서부전선]]에 즉시 투입되었으며 [[인도 제국]]에 주둔하던 2대대는 중동전선으로 보내진다. 중동전선에서 큰 피해를 입은 2대대는 1916년 같은 처지의 도셋셔 연대 2대대와 통합, 잉글랜드 대대(English Battalion)가 되지만 1916년 [[쿠트]]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항복한다. 이후 새로운 2대대가 창설되어 중동으로 파견되었다. 이외에 18개 전시 대대가 창설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에서 복무했다. 전후인 1935년 연대 창설 250주년과 [[조지 5세]] 즉위 25주년을 맞아 왕립 접두사가 붙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 과정에서 97명의 장병이 [[르 파라디 학살]]에 희생되었다. 이후 2대대는 1942년 동남아시아로 보내져 [[일본 제국]]을 상대로 싸웠다. 반대로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있던 1대대는 1940년 본토로 귀환해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되었다. 이외에 7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다. 지방군 부대인 7대대는 2대대와 함께 프랑스로 갔는데 하필이면 제51(하이랜드)사단에 배속되는 바람에 제때 후퇴하지 못하고 [[마지노선]]에 있다가 대부분이 포로로 잡혔다. 또다른 지방군 대대인 4대대, 5대대, 6대대는 1941년 중동을 거쳐 동아시아로 파병되었다가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했다. 전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했으며 [[6.25 전쟁]]이나 [[https://en.wikipedia.org/wiki/Cyprus_Emergency|키프로스 비상사태]]에 참전했다. 1959년 제1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왕립 노퍽 및 서퍽)으로 통합되었다. ==== 서퍽 연대 ==== Suffolk Regiment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https://en.wikipedia.org/wiki/Henry_Howard,_7th_Duke_of_Norfolk|7대 노퍽 공작 헨리 하워드(Henry Howard, 7th Duke of Norfolk)]]가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때는 [[아일랜드 왕국]] 내 [[자코바이트]]를 진압하고 이후 유럽 본토에서 싸웠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때는 [[데팅겐 전투]]에서, [[7년 전쟁]]에서는 [[민덴 전투]]에서 활약했다. [[미국 독립 전쟁]] 때는 [[지브롤터]] 주둔군으로 있었는데 1782년에 벌어진 [[https://ko.wikipedia.org/wiki/지브롤터_대공방전|지브롤터 대공방전]]에서 활약해 지브롤터의 휘장을 연대의 상징으로 쓰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서인도]], [[저지대 국가|저지대]], [[마이소르 왕국]] 등에서 전투를 벌였다. 19세기에는 1850년 [[코사족]]을 상대로 벌이는 전쟁에 예비대를 투입했는데 증원오던 병력 57명이 [[버큰헤드호 침몰 사고]]으로 수장되는 사고도 있었다. 이 예비대가 1858년 영국으로 돌아와 2대대가 된다. 한편 1대대는 1854년에 [[오스트랄라시아]]로 보내져 [[https://en.wikipedia.org/wiki/Eureka_Rebellion|광부들의 반란]]과 [[마오리족]]의 저항을 진압했으며 이후 [[인도 제국]]으로 가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고 세기말에는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투입되었다. 한편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2대대가 있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지만 기존의 이스트서퍽 대신 [[서퍽]] 전체가 모병지로 배정되며 서퍽 연대(Suffolk Regiment)로 개명한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서부전선]]에 즉시 투입되었다. [[앵글로-이집트 수단]]에 주둔하던 1대대는 1915년 프랑스에 도착했지만 1916년 발칸 반도로 재배치된다. 이외에 20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에서 복무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후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다시 유럽 땅을 밟았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던 2대대는 버마 전역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이외에 7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이 중 지방군인 4대대와 5대대는 극동으로 보내졌다가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죽음의 철도|동남아에서 철도나 까는 신세]]가 되었다. 또한 또다른 지방군인 7대대는 전차 부대인 왕립기갑군단 142연대(142nd Regiment Royal Armoured Corps)로 개편되어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다. 전후인 1949년 [[말라야 비상사태]]에 투입되었고 이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하거나 [[https://en.wikipedia.org/wiki/Cyprus_Emergency|키프로스 비상사태]]에 참가했으며 1959년에 제1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왕립 노퍽 및 서퍽)으로 통합되었다. 부대 구호는 Stabilis(확고히). === 제2 이스트앵글리아 연대(글로스터 공작부인 왕립 링컨셔 및 노샘프턴셔) === 2nd East Anglian Regiment (Duchess of Gloucester's Own Royal Lincolnshire and Northamptonshire) 1960년 창설. 1964년 왕립 앵글리아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링컨셔 연대 ==== Royal Lincolnshire Regiment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https://en.wikipedia.org/wiki/John_Granville,_1st_Earl_of_Bath|초대 배스 백작 존 그랜빌(John Granville, 1st Earl of Bath)]]이 [[더비셔]]와 [[노팅엄셔]]에서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때는 [[블레넘 전투]]의 경우 처럼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싸웠다. 이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주둔하다가 캐나다에 주둔하고 있을 때 [[미국 독립 전쟁]]이 일어나 [[렉싱턴-콩코드 전투]]를 시작으로 여러 전투에 동원되다 1779년에 손실이 누적되어 연대로써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모병지가 [[링컨셔]] 북부로 지정된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이집트 원정]]에 참가했는데, 그 공으로 연대 상징이 [[스핑크스]]가 된다. 뒤이어 벌어진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지중해 연안이나 [[이베리아 반도 전쟁|이베리아 반도]]에서 복무했다. 한편, 1804년 2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 부대도 유럽의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다가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뒤인 1816년에 해체한다. 19세기에는 1845년 벌어진 [[영국-시크 전쟁|제1차 영국-시크 전쟁]]에 참전해 1846년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Sobraon|소바론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이후 1848년 제2차 영국-시크 전쟁과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에도 참가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1859년 창설한 2대대가 있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지만 기존의 링컨셔 전체가 모병지로 배정되며 링컨셔 연대(Lincolnshire Regiment)로 개명한다. 이후 1대대는 1898년 [[마흐디]] 진압 작전에 참가했으며 2대대는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가 [[서부전선]]에 즉시 투입되었다. 이외에 17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인도 제국]]에서 복무했다. 전후 1대대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투입되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후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다시 유럽 땅을 밟았다. 한편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버마 전역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이외에 4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지방군 4대대는 1940년 [[노르웨이 침공]]과 전쟁 말 독일 본토에서 전투에 참가했으며 또다른 지방군 6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 [[그리스 내전]]에 참전했다. 전후 전공을 기리는 의미로 왕립 접두사가 붙었으며 [[수에즈 운하]] 주둔,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 [[말라야 비상사태]] 투입 등을 하다가 1960년 제2 이스트앵글리아 연대(글로스터 공작부인 왕립 링컨셔 및 노샘프턴셔)로 통합되었다. ==== 노샘프턴셔 연대 ==== Northamptonshire Regiment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48(노샘프턴셔)보병연대와 제58(러틀랜드셔)보병연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당시에는 충성스러운 노스랭커셔 연대(Loyal North Lancashire Regiment)라는 이름이었으며 주 모병지는 [[노샘프턴셔]]였다. [[인도 제국]]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1897년 인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의 원주민 저항을 진압했으며 2대대는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가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이외에 11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갈리폴리 전투|갈리폴리]], 발칸 반도 등에서 복무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후 1942년 [[마다가스카르 전투]]를 벌이고 1943년 [[팔라비 왕조|페르시아]] 점령군 활동한데가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에 참전했으며 최종적으로는 독일 본토에서 전쟁을 마쳤다. 한편 인도 제국에 있던 1대대는 버마 전선에서 싸웠다. 이외에 지방군 5대대가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에서 복무했다. 전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 [[주한영연방군]] 활동, 홍콩 및 아덴 주둔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60년 제2 이스트앵글리아 연대(글로스터 공작부인 왕립 링컨셔 및 노샘프턴셔)로 통합되었다. ===== 제48(노샘프턴셔)보병연대 ===== 48th (Northamptonshire) Regiment of Foot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41년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Cholmondeley|제임스 첨리(James Cholmondeley)]]가 창설한 연대. 창설 직후 [[저지대 국가|저지대]]로 파병되었다가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으로 귀국, [[스코틀랜드]] 내 [[자코바이트]]를 때려잡았다. 1755년에는 아메리카 식민지로 보내져 다음해 발발한 [[7년 전쟁]]에서 [[퀘벡 전투]]나 [[서인도]] 등지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전했다. [[미국 독립 전쟁]] 때도 서인도에서 활동했는데 1778년 [[도미니카 연방|도미니카]]에서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혀 1780년에 송환된다. 전후 모병지가 [[노샘프턴셔]]로 정해진다. [[나폴레옹 전쟁]] 때는 1803년 창설한 2대대와 함께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서 싸웠는데 1809년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Talavera|탈라베라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하지만 2대대는 피해가 누적되어 1811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3년 후 해체된다. 19세기에는 1834년 [[https://en.wikipedia.org/wiki/Coorg_War|쿠르그 전쟁]], 1854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노샘프턴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58(러틀랜드셔)보병연대 ===== 58th (Rutlandshire)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직전인 1755년 로버트 앤스트러더(Robert Anstruther)가 창설한 연대. 전쟁이 벌어지자 아메리카로 보내져 1759년 [[퀘벡 전투]]나 1762년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Havana|아바나 공방전]]에 참전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 때는 [[지브롤터]] 주둔군으로 1782년 [[https://ko.wikipedia.org/wiki/지브롤터_대공방전|지브롤터 대공방전]]을 버텨내 지브롤터 휘장이 연대 상징이 된다. 1782년 모병지가 [[러틀랜드|러틀랜드셔]]로 지정된다. [[프랑스 혁명 전쟁]] 때는 [[이집트 원정]]에 참가했으며 뒤이어 벌어진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 이탈리아에서 복무했다. 한편 1804년 창설한 2대대도 1809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한다. 1812년이 되자 1대대도 이베리아로 재배치되지만 곧 [[미영전쟁]]을 치르러 캐나다로 보내진다. 2대대는 1815년 해체한다. 1843년 죄수 호송선을 호위하며 [[오스트랄라시아]]로 재배치. 1846년 [[https://en.wikipedia.org/wiki/Flagstaff_War|깃대 전쟁]]이나 [[https://en.wikipedia.org/wiki/Hutt_Valley_campaign|허트 밸리 전역]] 같은 [[마오리족]]과의 전투에 투입되었고 1859년 영국 본토로 귀환한다. 이후 1879년 다시 남아프리카로 파병되어 [[줄루 전쟁]]과 [[보어 전쟁|제1차 보어 전쟁]]에서 싸웠다. 1881년 노샘프턴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3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제16/44보병대) === 3rd East Anglian Regiment (16th/44th Foot) 1958년 창설. 1964년 왕립 앵글리아 연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 베드퍼드셔 및 하트퍼드셔 연대 ==== Bedfordshire and Hertfordshire Regiment 1688년 [[명예혁명]] 직전 아치볼드 더글러스(Archibald Douglas)가 [[윌리엄 3세]]를 막기 위해 창설한 연대. 하지만 명예혁명이 일어나자 연대가 연대장을 버리고 윌리엄 3세에게 붙어버렸다. [[9년 전쟁]] 당시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저지대로 돌아왔다. [[https://ko.wikipedia.org/wiki/젱킨스의_귀_전쟁|젱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싸웠다. 이후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 참전한 뒤 제16보병연대로 지정되었다. 1762년 다시 아메리카로 보내져 1775년 발발한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한다. 종전 후 [[버킹엄셔]]가 모병지로 지정되었으나 약 25년 후 [[베드퍼드셔]]로 바뀌었다. 이후 1814년 [[미영전쟁]]에 뒤늦게 참전했다. 이후 연대 규모가 두 개 대대로 증편되었다. 1대대는 [[캐나다 자치령]]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Fenian_raids|페니언 형제단]]의 침공을 막았으며 2대대는 1895년 [[https://en.wikipedia.org/wiki/Chitral_Expedition|치트랄 원정]]과 1900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가했다. 1881년 베드퍼드셔 연대(Bedfordshire Regiment)로 개명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가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이 중 1대대는 1917년 [[이탈리아 전선(제1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이외에 19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인도 등에서 복무했다. 1919년 이 연대 소속으로 싸워온 허트퍼드셔 출신 병사들을 기려 베드퍼드셔 및 하트퍼드셔 연대로 개명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철수한다. 재무장 및 재훈련 후 1942년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을 거쳐 [[그리스 내전]]에도 참전했다. 한편 1대대는 전쟁 초기 중동에서 활동하다 1942년 인도로 보내져 버마 전역에 참전했다. 이외에 여러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그 중 지방군인 5대대는 동남아시아에서 일본군의 [[남방작전]]을 막다가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항복했다. 전후 세계 각지에서 주둔군 활동을 하다가 1958년 제3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제16/44보병대)로 통합되었다. ==== 에식스 연대 ==== Essex Regiment 1881년 칠더스 개혁으로 제44(이스트에식스)보병연대와 제56(웨식스에식스)보병연대를 통합해 창설했다. 당연히 주 모병지는 [[에식스주|에식스]]. 두 대대 모두 번갈아가며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 했으며 2대대는 1884년 [[수단]]에서 [[마흐디]]를 상대로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남아프리카 연방]]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영국으로 복귀해 1915년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한 후 1916년 서부전선에 배치되었다. 이외에 28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갈리폴리, 중동 등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https://ko.wikipedia.org/wiki/아일랜드_독립_전쟁|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대대가 [[영국 원정군]]으로 프랑스로 보내졌지만 1940년 [[프랑스 침공]]으로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에서 철수]]한다. 이들은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다시 유럽 땅을 밟는다. 한편 중동에 주둔하고 있던 1대대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이라크 왕국]], [[북아프리카 전역]]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친디트]] 부대로 종전을 맞는다. 이외에 여러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그 중에는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 [[그리스 내전]]에 참가한 지방군 1/4대대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한 지방군 5대대도 있었다. 전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하거나 [[6.25 전쟁]] 막바지에 참전하기도 했으며 1958년 제3 이스트앵글리아 연대(제16/44보병대)로 통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아일랜드 독립 전쟁 때 [[아서 퍼시벌]]이 이 연대에서 장교 생활을 했다. 특히 아일랜드 독립 전쟁 때 정보 장교로 복무하며 [[IRA]]가 이를 가는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고. ===== 제44(이스트에식스)보병연대 ===== 44th (East Essex) Regiment of Foot 1741년 제임스 롱(James Long)이 잉글랜드 남부에서 창설한 연대.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서 박살나는 것을 시작으로 실전 경험을 시작했으며 174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막바지에 [[저지대 국가|저지대]]로 보내졌다. [[7년 전쟁]]에서는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복무했고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다. 전후 [[에식스주|에식스]] 동부로 모병지가 정해진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주로 [[서인도]]에서 활동했으며 1801년 [[이집트 원정]]에서도 활동해 연대 상징이 [[스핑크스]]가 된다. 이후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1대대가 [[미영전쟁]]에 참전했다. 1803년 신설한 2대대는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워털루 전투]]에 참전하고는 전쟁이 끝난 뒤인 1816년 해체되었다. 19세기에는 1824년 [[영국-버마 전쟁|제1차 영국-버마 전쟁]]에 참전한 후 1841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 1842년 [[카불]]에서 [[잘랄라바드]]로 후퇴하는 재앙 같은 영국 행렬의 유일한 영국인 연대가 되었으나 결국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Gandamak|간다마크에서 나머지 행렬과 함께 몰살]]당했다.[* 이때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Alexander_Souter|토머스 A. 수터]] 중위가 연대기(Regimental Colour)를 노획당하는 수모를 막기 위해 창에서 뜯어내 품에 숨겼는데 아프가니스탄인들이 수터를 가치 있는 고위 장교로 오인하고 포로로 잡은 덕에 목숨과 연대기를 건질 수 있었다. 물론 또다른 연대 군기인 여왕기(Queen's Colour)는 그대로 소실되었다. 어쨌든 이 연대기는 현재 월리(Warley)에 있는 에식스 연대 예배당에서 보관 중이다.] 이후 다시 재편 과정을 거친 뒤 1854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으며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에도 참가했다. 1881년 에식스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56(웨스트에식스)보병연대 ===== 56th (West Essex) Regiment of Foot 1755년 프랑스와의 전쟁에 대비해 [[https://ko.wikipedia.org/wiki/게이츠헤드|게이츠헤드]]와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창설한 연대. [[7년 전쟁]] 중인 1762년 [[아바나]]에서 첫 전투를 벌였으며 [[미국 독립 전쟁]] 때는 [[지브롤터]] 주둔군으로 1782년 [[https://ko.wikipedia.org/wiki/지브롤터_대공방전|지브롤터 대공방전]]을 버텨내 지브롤터 휘장이 연대 상징이 된다. 전후 [[에식스주|에식스]] 서부로 모병지가 정해진다. [[프랑스 혁명 전쟁]] 초기에 [[서인도]]에서 활동했으며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다. 이후 [[인도양]] 일대에서 활동하며 [[레위니옹|보나파르트 섬]]이나 [[모리셔스|프랑스 섬]] 점령에 참가했다. 1804년 2대대를 창설했는데 이들도 인도양에서 활동했다. 1813년부터 1815년까지 있었던 3대대는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 저지대에서 전투를 치뤘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인 1817년 2대대가 해체하며 다시 1대대만 남는다. 19세기에는 1855년 [[크림 전쟁]]과 1857년 [[세포이 항쟁]] 진압에 참가했다. 1881년 에식스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레스터셔 연대 === Royal Leicestershire Regiment 1688년 [[https://en.wikipedia.org/wiki/Solomon_Richards_(soldier)|솔로몬 리처즈(Solomon Richards)]]가 [[런던]]에서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당시 [[아일랜드 왕국]]과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저지대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후 [[스페인 제국]] 본토로 재배치되었으나 1707년 [[알만사 전투]]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도 참가했으며 [[7년 전쟁]] 당시에는 북아메리카에서 복무하며 누벨프랑스와 [[서인도]]를 휘저었다.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가해 1777년 [[프린스턴 전투]]에서 분전했으나 결국 1781년 [[요크타운 전투]]에서 항복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억류되었다. 전후 모병지가 [[레스터셔]]로 정해졌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때 [[저지대 국가|저지대]]에 파병되었다. 이후 [[인도반도]]로 보내져 [[구르카]]와 [[마라타 제국]]을 상대로 싸우고 1823년 영국으로 귀환했다. 이 공을 기려 1825년 [[호랑이]]가 연대 상징이 되었다. 1836년 인도로 다시 보내져 1838년 [[신드]] 정복에 참가했으며 다음해에는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1854년에는 [[크림 전쟁]]에 동원되었다. 1858년 2대대를 신설했는데, 이들은 [[캐나다 자치령]]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Fenian_raids|페니언 형제단]]의 침공을 막았다. 1878년에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이 벌어지자 [[인도 제국]]에 주둔 중이던 1대대가 다시 아프가니스탄으로 갔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는 이미 2대대가 있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는 일은 없었지만 레스터셔 연대(Leicestershire Regiment)로 개명했다. 이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1대대가 참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1915년 2대대가 중동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이외에 19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등에서 복무했다. [[전간기]]에는 1대대가 [[https://ko.wikipedia.org/wiki/아일랜드_독립_전쟁|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중동에 있던 2대대가 [[북아프리카 전역]], [[크레타 섬 전투]], 동남아시아 전역에 투입되었다. 1대대는 1941년 일본군을 막기 위해 극동으로 파견되었는데 사상자가 너무 많아 이스트서리 연대 2대대와 함께 영국 대대로 개편되어 싸웠으나 결국에는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한다. 이후 전시 대대인 8대대가 1대대로 재편성되어 전쟁 말 유럽 본토에서 싸웠다. 이외에 여러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그 중에는 [[노르웨이 침공]]에 참가한 지방군 1/5대대와 [[프랑스 침공]](과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에 참가한 지방군 2/5대대도 있었다. 전후 공로를 기리며 왕립 접두사를 받았다. 이후 [[영국 라인 주둔군]] 활동을 하거나 [[6.25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Cyprus_Emergency|키프로스 비상사태]]와 [[말라야 비상사태]]에도 투입되었다. 1964년 왕립 앵글리아 연대 4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요크셔 연대 == >We are The Royal Yorkshire Regiment. Brave and Decisive, with over 330 years of history behind us and driven by a relentless will to succeed in everything we do: harnessing battle-winning innovation for the Army of tomorrow; and providing a highly deployable force to train and fight alongside allies and partner nations across the world, today. > >Ready for anything, anytime, anywhere. County-Proud. Combat-Ready. Royal Yorkshire Regiment 2006년 요크셔 웨일스 공 연대, 그린 하워즈대(알렉산드라 웨일스 왕세자비 요크셔 연대), 웰링턴 공 연대(웨스트라이딩)를 통합해 만든 연대. 본래 그냥 요크셔 연대였으나 2023년 4월 23일 "왕립"을 수여받았다. 약자는 YORKS. [[이라크 전쟁]]과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으며, [[코소보]]와 [[키프로스]]에 평화유지군 활동을 가기도 했다. 현재는 정규군 대대는 1대대와 2대대인데, 1대대는 [[https://en.wikipedia.org/wiki/Ocelot_(vehicle)|폭스하운드 장갑차]]와 [[수파캇 자칼|자칼 장갑차]]를 운용하는 경기계화보병 부대며, 2대대는 경보병 부대인데 새로운 장비나 전술을 시험하는 실험대 역할도 하고있다. 또한 예비역 경보병 부대인 4대대도 있다. 연대 행진곡으로는 속보 행진시 [[https://youtu.be/vWWqgzPfRlM|잘 될거야(Ça Ira)]]를, 느린 행진시 [[https://youtu.be/8NSBCfJSkUE|요크 공작(The Duke of York)]]을 연주한다. 이 중 잘 될거야는 본래 [[프랑스 혁명]] 당시 불린 [[https://youtu.be/kks4O7ytKS4|혁명가]]였는데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있었던 파마르 전투에서 웨스트요크셔 연대가 [[사면초가|이 노래를 연주하며 프랑스군을 공격]]한 후 연대 행진곡이 되어버린게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 요크셔 웨일스 공 연대 === Prince of Wales’s Own Regiment of Yorkshire 1958년 웨스트요크셔 연대(웨일스 공)과 이스트요크셔 연대(요크 공)을 합쳐서 만든 연대. [[https://ko.wikipedia.org/wiki/아덴만_비상사태|아덴만 비상사태]], [[북아일랜드 분쟁]], [[걸프 전쟁]] 등에 개입했으며 [[영국 라인 주둔군]], [[레바논]], [[키프로스]] 및 [[보스니아]] 평화유지군 활동을 했다. 2006년 요크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웨스트요크셔 연대(웨일스 공) ==== West Yorkshire Regiment (The Prince of Wales’s Own)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https://en.wikipedia.org/wiki/Sir_Edward_Hales,_3rd_Baronet|에드워드 헤일스 경(Sir Edward Hales)]]이 [[캔터베리]]에서 창설한 연대. [[9년 전쟁]] 당시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15|1715년 자코바이트 전쟁]]과 [[https://en.wikipedia.org/wiki/Jacobite_rising_of_1745|1745년 자코바이트 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북아메리카 식민지로 배치되어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가했다. 전후 모병지가 [[베드퍼드셔]]로 정해졌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활동했다. 1804년 2대대가 만들어져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있었던 저지대 원정에 참전했다. 한편 1대대는 1807년 [[인도반도]]로 재배치되어 프랑스와 [[마라타 제국|마라타]]를 상대로 싸웠다. 1813년에는 3대대도 만들었는데 이들은 1815년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1809년 연대 모병지가 [[버킹엄셔]]로 바뀌었으며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뒤인 1816년 2대대와 3대대가 해체한다. 19세기에는 1855년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 1858년 2대대가 다시 창설되었는데 이들은 1895년 [[아샨티족]]과의 전쟁과 1899년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876년 [[에드워드 7세|에드워드 왕세자]]에게 [[웨일스 공]] 호칭을 받고 1881년 칠더스 개혁 때 모병지가 [[웨스트요크셔]]로 바뀌며 웨일스 공 부대(웨스트요크셔 연대)(Prince of Wales's Own (West Yorkshire Regiment))로 개명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1917년 1대대가 [[이탈리아 전선(제1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 이외에 35개 전시 대대가 동원되어 영국, 서부전선, 중동 등에서 복무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중동에 있던 2대대가 동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전역]], 중동에서 복무하다 1943년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보내졌다. 한편 [[인도 제국]]에 있던 1대대도 1942년부터 동남아시아에서 싸웠다. 이외에 여러 전시 대대가 동원되었는데 그 중에는 전차 부대로 개편된 대대들도 있었다. 전후에는 [[말라야 비상사태]]와 [[제2차 중동전쟁]]에 참전했으며 1958년 요크셔 웨일스 공 연대의 일부로 개편되었다. ==== 이스트요크셔 연대(요크 공) ==== East Yorkshire Regiment (Duke of York’s Own)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윌리엄 클리프턴 경(Sir William Clifton)이 창설한 연대. === 그린 하워즈대(알렉산드라 웨일스 왕세자비 요크셔 연대) === Green Howards (Alexandra, Princess of Wales’s Own Yorkshire Regiment) 1688년 [[명예혁명]] 당시 프랜시스 러트렐(Frnacis Luttrell)이 [[윌리엄 3세]]를 돕기 위해 창설한 연대. === 웰링턴 공 연대(웨스트라이딩) === Duke of Wellington’s Regiment (West Riding) 1881년 제33(웰링턴 공)보병연대와 제76보병연대를 합쳐서 만들었다. 제33(웰링턴 공작)보병연대는 1대대가 되었고 제76보병연대는 2대대가 되었다. 1대대는 [[보어전쟁]]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아일랜드에 있던 2대대만 서부전선로 보내졌다. 인도에 있던 1대대는 계속 인도에 남아있었다. 연대는 두 개의 정규군 대대뿐만 아니라 19개의 대대를 추가로 창설했는데, 이들은 영국, 프랑스, 갈리폴리에서 복무했다. 전간기 동안 1대대는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s-2.2.1|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2대대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에 있던 1대대가 프랑스로 파병되었다. [[프랑스 침공]]에서 연합군이 패배하며, 이 연대는 [[됭케르크 철수작전|됭케르크를 통해 철수]]한다. 이들은 1943년 북아프리카로 보내져 [[이탈리아 전선]]에도 참가한다. [[인도 제국]]에 있던 2대대는 1942년 이후 버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웠다. 이외에 연대의 두 지역군 대대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전후 [[6.25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도 참가했다. 2006년 그린 하워즈대, 요크셔 웨일스 공 연대와 통합해 요크셔연대가 되었다. ==== 제33(웰링턴 공)보병연대 ==== 33rd (The Duke of Wellington’s)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1년에 8대 헌팅던 공작 조지 헤이스팅스(George Hastings, 8th Earl of Huntingdon)가 창설한 연대. ==== 제76보병연대 ==== 76th Regiment of Foot 영국과 프랑스가 인도를 두고 충돌하던 1787년 인도 지방의 이권 수호를 위해 창설된 연대. == 머시아 연대(체셔, 우스터와 삼림관리원, 스태퍼드) == [[파일:BA_MERCIAN.png]] >Composed of one regular and one reserve battalion, The Mercian Regiment utilises the devastating power and speed of the armoured role to fearsome effect on exercise and operations. > >한 개 상비군 대대와 한 개 예비군 대대로 구성된 머시아 연대는 훈련과 작전에서 기갑부대의 파괴적인 힘과 속도를 이용합니다. Mercian Regiment (Cheshire, Worcesters and Foresters, and Staffords) 2007년 체셔 연대, 우스터와 셔우드 삼림관리원 연대(제29/45보병연대), (웨일스 공)스태퍼드셔 연대를 통합해 만들었다. 이름은 고대 왕국 [[머시아]]에서 따왔으며 병사도 주로 미들랜즈 지역에서 모집한다. 현재는 [[FV510 워리어]]를 운용하는 기갑보병 연대로 [[이라크 전쟁|이라크]],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가니스탄]] 등에 파견되었다. === 체셔 연대 === Cheshire Regiment [[명예혁명]] 직후인 1689년, [[아일랜드 왕국]]에서 [[체셔주|체셔]]로 상륙해 올 수도 있는 [[자코바이트]]를 막기 위해 7대 노퍽 공작 헨리 하워드(Henry Howard, 7th Duke of Norfolk)가 창설한 연대. 2007년 머시아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우스터와 셔우드 삼림관리원 연대(제29/45보병) === Worcestershire and Sherwood Foresters Regiment (29th/45th Foot) 1970년 창설. 2007년 머시아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우스터셔 연대 ==== Worcestershire Regiment 1881년 창설. ===== 제29(우스터셔)보병연대 ===== 29th (Worcestershire) Regiment of Foot [[9년 전쟁]] 중인 1694년 토머스 패링턴(Thomas Farrington)이 창설한 연대. 1881년 우스터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36(헤리퍼드셔)보병연대 ===== 36th (Herefordshire)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1년 2대 찰러몬트 자작 윌리엄 콜필드(William Caulfeild, 2nd Viscount Charlemont)가 창설한 연대. 1881년 우스터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셔우드 삼림관리원 연대(노팅엄셔 및 더비셔 연대) ==== Sherwood Foresters (Nottinghamshire and Derbyshire Regiment) 1881년 창설. ===== 제45(노팅엄셔)(셔우드 삼림관리원)보병연대 ===== 45th (Nottinghamshire) (Sherwood Foresters) Regiment of Foot [[https://ko.wikipedia.org/wiki/젱킨스의_귀_전쟁|젱킨스의 귀 전쟁]] 중인 1741년 대니얼 호턴(Daniel Houghton)이 창설했다. 1881년 셔우드 삼림관리원 연대(노팅엄셔 및 더비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95(더비셔)보병연대 ===== 95th (Derbyshire) Regiment of Foot 1823년 만들어졌다. 1881년 셔우드 삼림관리원 연대(노팅엄셔 및 더비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스태퍼드셔 연대(웨일스 공) === Staffordshire Regiment (The Prince of Wales's) 1959년 창설. 2007년 머시아 연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 노스스태퍼드셔 연대(웨일스 공) ==== North Staffordshire Regiment (Prince of Wales's) 1881년 창설. ===== 제64(제2 스태퍼드셔)보병연대 ===== 64th (2nd Staffordshire)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11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해서 만들어졌다. 1881년 노스스태퍼드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98(웨일스 공)보병연대 ===== 98th (Prince of Wales's) Regiment of Foot 1824년 마일드메이 페인(Mildmay Fane) 중령이 창설했다. 1881년 노스스태퍼드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사우스스태퍼드셔 연대 ==== South Staffordshire Regiment 1881년 창설. ===== 제38(제1 스태퍼드셔)보병연대 ===== 38th (1st Staffordshire) Regiment of Foot 1705년 루크 릴링스턴(Luke Lillingston) 대령이 창설했다. 1881년 사우스스태퍼드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80보병연대(스태퍼드셔 의용대) ===== 80th Regiment of Foot (Staffordshire Volunteers)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스태퍼드셔]]의 민병대를 합쳐서 만든 연대. 1881년 사우스스태퍼드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웨일스대 == >We are The Royal Welsh, loyal to our Royal Welsh family and proud of our history. >We live by our motto, Gwell Angau na Chywilydd: Death rather than Dishonour. >We are selfless in spirit, inspiring each other to achieve the extraordinary. >We are determined to succeed, courageous in adversity, never failing in our duty. >We are ferocious in battle, always ready to stand up, step forward and serve our nation. >We are Welsh Warriors. Royal Welsh 2006년 창설. === 왕립 웨일스 연대(제24/41보병대) === Royal Regiment of Wales (24th/41st Foot) 1969년 창설. ==== 사우스웨일스 국경대 ==== South Wales Borderers [[9년 전쟁]] 중인 1689년 에드워드 데링 경(Sir Edward Dering)이 창설한 연대. ==== 웨일스 연대 ==== Welch Regiment 1881년 창설. ===== 제41(웨일스)보병연대 ===== 41st (Welch) Regiment of Foot 1719년 에드먼드 필딩(Edmund Fielding)이 사람들을 긁어모아 창설한 연대. ===== 제69(사우스링컨셔)보병연대 ===== 69th (South Lincolnshire) Regiment of Foot 1758년 제24연대 2대대가 독립해 만들어진 연대. === 왕립 웨일스 퓨질리어대 === Royal Welch Fusiliers [[명예혁명]] 직후인 1689년, 4대 처버리의 허버트 남작 헨리 허버트(Henry Herbert, 4th Baron Herbert of Chirbury)가 [[윌리엄 3세]]를 돕기 위해 창설했다. == 왕립 아일랜드 연대 == Royal Irish Regiment 1992년 창설. === 왕립 아일랜드 레인저대(제27(이니스킬린), 제83 및 제87) === Royal Irish Rangers (27th (Inniskilling), 83rd and 87th) 1968년 창설. ==== 왕립 이니스킬린 퓨질리어대 ==== Royal Inniskilling Fusiliers 1881년 창설. ===== 제27(이니스킬린)보병연대 ===== 27th (Inniskilling) Regiment of Foot 1881년 왕립 이니스킬린 퓨질리어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108보병연대(마드라스 보병대) ===== 108th Regiment of Foot (Madras Infantry) 1854년 [[영국 동인도 회사]] 마드라스군의 조지 코니시 휘틀록(George Cornish Whitlock) 대령이 제3 마드라스(유럽인)보병대(3rd Madras (European) Infantry)라는 이름으로 창설한 연대. ==== 왕립 아일랜드 퓨질리어대 (빅토리아 공주) ==== Royal Irish Fusiliers (Princess Victoria's) 1881년 창설. ===== 제87(왕립 아일랜드 퓨질리어)보병연대 ===== 87th (Royal Irish Fusiliers)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존 도일(John Doyle) 대장이 창설한 연대. 1881년 왕립 아일랜드 퓨질리어대 (빅토리아 공주)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89(빅토리아 공주)보병연대 ===== 89th (Princess Victoria’s)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윌리엄 크로즈비(William Crosbie) 소장이 창설한 연대. 1881년 왕립 아일랜드 퓨질리어대 (빅토리아 공주)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얼스터 소총대 ==== Royal Ulster Rifles 1881년 창설. ===== 제83(더블린 카운티)보병연대 ===== 83rd (County of Dublin)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윌리엄 피치(William Fitch) 소령이 창설한 연대. 1881년 왕립 얼스터 소총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86(왕립 다운 카운티)보병연대 ===== 86th (Royal County Down) Regiment of Foot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코닐리어스 카일러(Cornelius Cuyler) 소장이 창설한 연대. 1881년 왕립 얼스터 소총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얼스터 방위연대 === Ulster Defence Regiment [[북아일랜드 분쟁]] 중인 1970년 가톨릭교도들에게 악명이 높았던 얼스터 특별경찰[* 일명 B 스페셜.]을 대체하는 한편 왕립 얼스터 경찰대를 비군사화시키기 위해 창설된 연대. == 낙하산연대 == [[파일:BA_PARA.png]] >The Parachute Regiment leads from the front as airborne Infantry. Of the four battalions, one is permanently at High Readiness for world wide intervention operations. 1 PARA is in role as the Special Forces Support Group Parachute Regiment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영국군 내 낙하산대대를 모아 창설한 연대. == 소총대 == [[파일:BA_RIFLES.png]] The Rifles, 약자는 RIFLES. 2007년 왕립 그린재킷 연대, 데본셔 및 도셋 연대, 왕립 글로스터셔, 버크셔 및 윌트셔 연대, 경보병대를 통합한 연대. 현재 영국 육군 내에서 제일 큰 연대다. 4개 상비군 대대로 이루어졌는데 1대대와 2대대는 경보병 부대고 3대대는 [[MRAP|마스티프 방호정찰차]]를 운용하는 기계화보병 부대이며 5대대는 [[FV510 워리어]]를 운용하는 기계화보병 부대다. 4대대는 2021년 말 [[특수전]] 부대인 [[레인저#유럽 국가|레인저연대]]로 옮겨갔다. 이 외에 세 개의 예비군 대대가 있다. === 왕립 그린재킷대 === Royal Green Jackets 1966년 그린재킷 여단을 이루던 세 개 연대를 통합해 창설한 연대. 냉전 기간 동안 [[서독]]과 [[북아일랜드]]에 꾸준히 파견되었으며 [[지브롤터]]와 [[홍콩]]에도 대대를 보낸 적이 있다. 냉전 후에는 [[보스니아]], [[시에라리온]], [[이라크]], [[코소보]]에 파견된 적이 있다. ==== 옥스퍼드셔 및 버킹엄셔 경보병대 ==== Oxfordshire and Buckinghamshire Light Infantry, 줄여서 Ox and Bucks. 1881년 버마에 있던 제43(몬머스셔 경보병)연대와 아일랜드에 있던 제52([[옥스퍼드셔]])보병연대(경보병)을 합쳐서 만들었다. 이때 제43(몬머스셔 경보병)연대는 1대대가 되었고 제52(옥스퍼드셔)보병연대(경보병)는 2대대가 되었다. 창설 당시 명칭은 옥스퍼드셔 경보병연대(Oxfordshire Light Infantry)였지만 [[버킹엄셔]]와도 관계가 있었기에 1908년 명칭에 버킹엄셔가 추가되었다. 이후 1대대는 1893년 아일랜드로 이동해 1899년까지 주둔하다 [[보어전쟁]]에 투입되었다. 한편, 2대대는 인도, 지브롤터, 이집트에서 차례대로 배치되다가 1897년 [[카이베르파크툰크와]]에 [[파슈툰족]]을 상대로 투입되었다(티라 전역^^Tirah Campaign^^). 이후 1903년 1대대가 [[인도 제국]]에 배치되고, 2대대는 영국으로 돌아간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영국에 있던 2대대는 바로 인도에 있던 1대대는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투입되었지만 1916년 쿠트알아마라 전투에서 오스만군에게 항복한다. 영국군은 1대대한테 보냈지만 도착하지 못한 증원군을 편성해 임시대대를 만든 다음, 훗날 그 대대를 1대대로 재명명한다. 이외에도 1차 대전 동안 일곱 개의 지방군^^Territorial^^ 대대와 다섯 개의 신 육군^^New Army^^ 대대를 양성해 영국 본토, [[테살로니키|살로니카]], 이집트, 서부전선에 투입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대대는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였고, 2대대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투입되었다. 1920년에는 1대대 역시 아일랜드에 배치된다. 두 대대 모두 1922년까지 아일랜드에 주둔하다 1대대는 영국으로, 2대대는 인도로 보내진다. 이때 1대대는 독일 점령군으로 잠시 있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영국에 있던 1대대는 [[프랑스 침공|프랑스로 보내졌지만]] [[됭케르크 철수작전|패배해 다시 영국으로 돌아온다.]] 영국은 [[바다사자 작전|본토 침공 가능성]]을 우려해 인도에 있던 2대대를 귀환시켰다. 1944년 벌어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두 대대 모두 작전에 동원된다. 1대대는 배를 통해 상륙했으며 2대대는 글라이더를 통해 상륙했다. 이후 1대대는 [[마켓 가든 작전]]에 지상군으로 참가했으며, 2대대는 1945년 [[Operation Varsity|라인 강 도하작전]]에서 글라이더를 타고 강하했다. 이외에 연대 소속 지방군 대대들이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역]], [[태평양 전쟁]]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종전 후 1대대는 독일 점령군이 되었고, 2대대는 팔레스타인에 보내졌다가 1947년 영국으로 귀환한다. 1948년 2개 대대는 통합된다. 이후 1951년 수에즈 운하, 1954년 서독, 1956년 키프로스에 배치되었다. 1958년 경보병여단에서 그린재킷여단으로 전속되었다. 1963년에는 제1 그린재킷연대(제43 및 52)^^1st Green Jackets (43rd and 52nd)^^로 재명명된다. 이후로도 1962년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_대치|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에 투입되었고 1965년 다시 독일 주둔군을 하였다. 1966년 1월 1일 왕립 그린재킷 연대에 통합되었다. ===== 제43(몬머스셔 경보병)보병연대 ===== 43rd (Monmouthshire Light Infantry) Regiment of Foot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41년 토머스 포크^^Thomas Fowke^^가 창설했다. 본래는 54번이었으나 1751년 43번으로 재명명되었다. [[7년 전쟁]] 당시에는 캐나다에 있었는데, 퀘벡 점령에도 참가했다. [[미국 독립 전쟁]]이 벌어질 때는 보스턴에 있었는데, [[렉싱턴-콩코드 전투|렉싱턴 전투]], [[벙커힐 전투]]에 참전했지만 [[요크타운 전투]]에서 항복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억류되었다. 이후 영국으로 귀환해 [[몬머스셔]]와 연계된다. 1804년, 1대대가 경보병 훈련을 받는다. 이후 [[나폴레옹 전쟁]]과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1대대는 [[미영전쟁]] 당시 [[뉴올리언스 전투]]에도 참전하였다. 1851년 코사 전쟁에 투입되었다. 이때 신병 중 일부가 HMT 버큰헤드 침몰 당시 수장되기도 하였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선장은 배와 운명을 함께한다]] 문서의 실제 사례 문단 참조.] 코사 전쟁 이후에는 [[세포이 반란]] 진압, 마오리 전쟁에 참가하였다. 1881년 제52(옥스퍼드셔)보병연대(경보병)와 통합해 옥스퍼드셔 경보병연대가 되었다. ===== 제52(옥스퍼드셔)보병연대(경보병) ===== 52nd (Oxfordshire) Regiment of Foot (Light Infantry) 1755년 제54보병연대^^54th Regiment of Foot.^^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지만 몇 년 안가 제52보병연대^^52nd Regiment of Foot.^^로 재명명되었다. 1776년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할 때는 [[보스턴]]에 있었다. 이 전쟁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어서 1778년 연대를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했기도 하였다. 1782년 부대 명칭에 "[[옥스퍼드셔]]"가 추가되었다. 그 이후에는 [[https://ko.wikipedia.org/wiki/제2차_영국-마이소르_전쟁|제2차 영국-마이소르 전쟁]], 제3차 영국-마이소르 전쟁과 같은 인도 정복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스페인과의 전쟁에도 동원되었다. 1801년 연대장으로 존 무어 경^^Sir John Moore^^이 연대장으로 취임한다. 무어는 옥스퍼드셔연대 1대대를 전열보병 역할 뿐만 아니라 경보병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킨다. 옥스퍼드셔연대의 두 대대는 [[나폴레옹 전쟁]]과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도 참가했으며 1대대는 [[워털루 전투]]에서 활약하기도 하였다. 이후 1857년 [[세포이 반란]] 진압에도 참가하였다. 1881년 제43(몬머스셔 경보병)연대와 통합되어 옥스퍼드셔 경보병연대가 되었다. ==== 왕립 국왕 소총군단 ==== King’s Royal Rifle Corps [[7년 전쟁]] 중인 1756년 북아메리카 식민지에서 벌어진 게릴라 전술에 적응하기 위해 창설한 연대. ==== 소총여단(부군) ==== Rifle Brigade (Prince Consort's Own) 1800년 새로 도입한 [[베이커 라이플]]을 실험하기 위해 창설한 연대. [[샤프 시리즈]]로 유명한 제95소총연대가 바로 이 연대다. === 데본셔 및 도셋 연대 === Devonshire and Dorset Regiment 1958년 창설. ==== 데본셔 연대 ==== Devonshire Regiment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3대 우스터 후작 헨리 서머싯(Henry Somerset, 3rd Marquess of Worcester)이 창설한 연대. ==== 도셋셔 연대 ==== Dorsetshire Regiment 1881년 인도에 있던 제39(도셋셔)보병연대와 제54(웨스트노퍽)보병연대를 합쳐서 만들었다. 제39(도셋셔)보병연대는 1대대가 되었고 제54(웨스트노퍽)보병연대는 2대대가 되었다. 1대대는 1897년 티라 전역^^Tirah Campaign^^에 투입되었으며 2대대는 [[보어전쟁]]에 투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영국에 있던 1대대는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이 부대는 1915년 60고지 전투에서 최초로 가스 공격을 받은 영국군 부대가 되었다. 한편, 인도에 있던 2대대는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투입되었다가 심각한 피해를 입어 1916년 노퍽연대 2대대와 통합되기도 하였다. 두 연대 외에도 여러 개의 지방군^^Territorial^^ 대대와 다섯 개의 신 육군^^New Army^^ 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들 중 5대대는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하였다. 2대대는 1921년 [[케랄라|말라바르]]에서 일어난 반란 진압에 동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몰타]]에 있던 1대대는 1943년까지 그 곳에 있다가 튀니지로 재배치,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 참가했다. 이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도 참가했다. 한편, 영국에 있던 2대대는 프랑스로 보내졌다가 [[프랑스 침공]]당시 탈출에 성공했다. 1942년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보내져 전쟁이 끝날 때까지 그곳에서 싸웠다. 4대대와 5대대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마켓 가든 작전]], 라인강 도하에도 참가하였다. 종전 후 두 정규군 대대 모두 독일 점령군으로 활동했다. 1대대는 오스트리아에 있었고, 2대대는 독일에 있었다. 이 두 대대는 1948년 통합된다. 1951년에는 도셋연대^^Dorset Regiment^^로 재명명되었다. 또한 1954년 [[주한영연방군]]으로 한국에 오기도 하였다. 1958년 데본셔연대와 통합되어 데본셔 및 도셋 연대가 되었다. ===== 제39(도셋셔)보병연대 ===== 39th (Dorsetshire) Regiment of Foot [[명예혁명]] 직후인 1689년 웨일스 귀족 존 본(John Vaughan)이 [[제임스 2세]]에 맞서 [[윌리엄 3세]]를 돕기 위해 창설한 연대. 이 공로로 존 본은 [[아일랜드 왕국]] 귀족 작위인 리즈번 자작(Viscount of Lisburne)을 수여받았다. 1881년 제54(웨스트노퍽)보병연대와 통합해 도셋셔연대가 되었다. ===== 제54(웨스트노퍽)보병연대 ===== 54th (West Norfolk) Regiment of Foot 1755년 론 후작 존 캠벨^^John Campbell, Marquess of Lorne^^이 [[솔즈베리]]에서 창설했다. 본래 56번이었으나 1756년 54번으로 재명명되었다. 1881년 제39(도셋셔)보병연대와 통합해 도셋셔연대가 되었다. === 왕립 글로스터셔, 버크셔 및 윌트셔 연대 === Royal Gloucestershire, Berkshire and Wiltshire Regiment 1994년 창설. ==== 글로스터셔 연대 ==== Gloucestershire Regiment 1881년 창설. ===== 제28(노스글로스터셔)보병연대 ===== 28th (North Gloucestershire) Regiment of Foot [[9년 전쟁]] 중인 1694년 존 깁슨 경(Sir John Gibson)이 창설한 연대. 1881년 글로스터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61(사우스글로스터셔)보병연대 ===== 61st (South Gloucestershire)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3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한 연대. 1881년 글로스터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에든버러 공 왕립 연대(버크셔 및 윌트셔) ==== Duke of Edinburgh's Royal Regiment (Berkshire and Wiltshire) 1959년 창설. ===== 왕립 버크셔 연대(샬럿 웨일스 공녀) ===== Royal Berkshire Regiment (Princess Charlotte of Wales's) 1881년 창설. ====== 제49(샬럿 웨일스 공녀)(하트퍼드셔)보병연대 ====== 49th (Princess Charlotte of Wales's) (Hertfordshire) Regiment of Foot 1743년 [[자메이카]] 총독 에드워드 트렐로니(Edward Trelawny)가 자메이카에 있던 주둔군 중 8개 중대를 통합해 만든 연대. 1881년 왕립 버크셔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66(버크셔)보병연대 ====== 66th (Berkshire)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19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한 연대. 1881년 왕립 버크셔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에든버러 공 연대(윌트셔 연대) ===== Duke of Edinburgh's (Wiltshire Regiment) 1881년 창설. ====== 제62(윌트셔)보병연대 ====== 62nd (Wiltshire) Regiment of Foot [[7년 전쟁]] 중인 1758년 4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한 연대. 1881년 에든버러 공 연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99 에든버러 공(래넉셔)보병연대 ====== 99th Duke of Edinburgh's (Lanarkshire) Regiment of Foot 1824년 [[모리셔스]] 주둔군 보강을 위해 [[글래스고]]에서 창설된 연대. 1881년 에든버러 공 연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경보병대 === The Light Infantry 1968년 창설. ==== 서머싯 및 콘월 경보병대 ==== Somerset and Cornwall Light Infantry 1959년 창설. 1968년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서머싯 경보병대(앨버트 공) ===== Somerset Light Infantry (Prince Albert’s) 1685년 [[제임스 스콧|몬머스의 난]] 때 7대 헌팅던 백작 시어필러스 헤이스팅스(Theophilus Hastings, 7th Earl of Huntingdon)가 창설한 연대. ===== 콘월 공 경보병대 ===== Duke of Cornwall’s Light Infantry 1881년 창설. ====== 제32(콘월 경보병)보병연대 ====== 32nd (Cornwall Light Infantry) Regiment of Foo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인 1702년 에드워드 폭스(Edward Fox) 대령이 창설했다. 1881년 콘월 공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46(사우스데본셔)보병연대 ====== 46th (South Devonshire) Regiment of Foot 1741년 존 프라이스(John Price) 대령이 창설했다. 1881년 콘월 공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국왕 요크셔 경보병대 ==== King’s Own Yorkshire Light Infantry 1881년 창설. 1968년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51(제2 요크셔 웨스트라이딩) 혹은 국왕 경보병 연대 ===== 51st (2nd Yorkshire West Riding), or The King’s Own Light Infantry Regiment [[7년 전쟁]] 직전인 1755년 [[리즈(도시)|리즈]]에서 창설되었다. 1881년 국왕 요크셔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105보병연대(마드라스 경보병대) ===== 105th Regiment of Foot (Madras Light Infantry) 1839년 [[영국 동인도회사]] 마드라스군의 아치볼드 다이스(Archibald Dyce) 중령이 제2 마드라스(유럽인)연대(3rd Madras (European) Regiment)라는 이름으로 창설한 연대. 1881년 국왕 요크셔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국왕 슈롭셔 경보병대 ==== King’s Shropshire Light Infantry 1881년 창설. 1968년 경보병대 3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53(슈롭셔)보병연대 ===== 53rd (Shropshire) Regiment of Foot 1755년 창설. 1881년 국왕 슈롭셔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85 혹은 국왕 경보병연대(벅스 의용대) ===== 85th, or The King’s Regiment of Light Infantry (Bucks Volunteers)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버킹엄셔]]에서 창설. 1881년 국왕 슈롭셔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더럼 경보병대 ==== Durham Light Infantry 1881년 창설. 1968년 경보병대 4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68(더럼)보병연대(경보병대) ===== 68th (Durham) Regiment of Foot (Light Infantry) [[7년 전쟁]] 중인 1758년 23보병연대 2대대가 독립한 연대. 1881년 더럼 경보병대 1대대로 재편되었다. ===== 제106보병연대(봄베이 경보병대) ===== 106th Regiment of Foot (Bombay Light Infantry) 1839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푸네]]에서 제2 봄베이(유럽인)연대라는 이름으로 창설했다. 1881년 더럼 경보병대 2대대로 재편되었다. == 왕립 구르카 소총대 == [[파일:BA_RGR.png]] Royal Gurkha Rifles 1994년 제2 에드워드 7세 국왕 구르카 소총대(시르무르 소총대), 제6 엘리자베스 여왕 구르카 소총대, 제7 에든버러 공 구르카 소총대, 제10 메리 공주 구르카 소총 연대를 통합해 만들었다. 초기에는 세 개 대대 중 두 개 대대는 [[홍콩]]에 주둔하고 나머지 한 개 대대는 [[잉글랜드]]에 주둔했으나 [[홍콩 반환]]으로 두 개 대대로 크기가 축소되었다. 현재는 두 개 대대가 각각 영국과 [[부르나이]]에 주둔 중이다. [[구르카]] 부대이니만큼 대부분이 [[네팔]] 출신이며 모든 장교들이 [[네팔어]]에 능통하다. === 제2 에드워드 7세 국왕 구르카 소총대(시르무르 소총대) === 2nd King Edward VII’s Own Gurkha Rifles (Sirmoor Rifles) 1815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창설한 시르무르 대대(The Sirmoor Battalion)가 시초로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가 해체되고 영국군에 편입되며 제2 구르카 연대가 되었다. === 제6 엘리자베스 여왕 구르카 소총대 === 6th Queen Elizabeth’s Own Gurkha Rifles 1817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쿠타크 군단(Cuttack Legion)이라는 이름으로 창설한 연대. === 제7 에든버러 공 구르카 소총대 === 7th Duke of Edinburgh’s Own Gurkha Rifles 1902년 [[인도 제국군]] 제8 구르카 소총연대로 창설했으며 1903년 제10 구르카 소총연대 휘하 대대가 되었다가 1907년 제7 구르카 소총연대로 재명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중동 전역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싸웠으며 종전 후에는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1919)|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투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1대대는 [[남방작전|버마]]와 [[임팔 전투|인도]]에서 싸웠고 2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다. 또한 2개 대대를 추가로 양성하기도 했다. [[인도]]가 독립한 뒤 [[인도군]]에 넘겨지지 않고 영국군에 남은 네 구르카 연대 중 하나로 [[말라야 비상사태]]와 [[https://ko.wikipedia.org/wiki/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_대치|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때 투입되었다. 이 시기에 연대명에 "에든버러 공작"이 붙었다. 이후 [[홍콩]] 주둔군 활동과 [[포클랜드 전쟁]] 등을 하다 1994년 왕립 구르카 소총연대로 통합되었다. === 제10 메리 공주 구르카 소총대 === 10th Princess Mary’s Own Gurkha Rifles 1890년 상미얀마에서 [[인도 제국군]] 마드라스 보병 10연대로 창설되었다. == 해체된 연대들 == 후계 없이 해체되어서 현재는 명맥이 끊긴 연대들. === 왕립 아일랜드 연대 === Royal Irish Regiment 1684년 [[https://en.wikipedia.org/wiki/Arthur_Forbes,_1st_Earl_of_Granard|초대 그라나드 백작 아서 포브스]]가 [[아일랜드 왕국]] 내 여러 중대를 합쳐 창설한 연대. [[9년 전쟁]]에서는 [[저지대 국가|저지대]]에서 복무했고 1767년 북아메리카로 보내져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지중해]], [[이집트 원정|이집트]], [[서인도]]에서 활동했다. 19세기에는 1840년 [[제1차 아편전쟁]]과 1852년 [[영국-버마 전쟁|제2차 영국-버마 전쟁]], 1855년 [[크림 전쟁]], 1878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칠더스 개혁 때 1857년에 2대대를 다시 만들었기에 다른 연대랑 통합하지 않았으며 왕립 아일랜드 연대라는 이름을 받았다. 개혁에 따른 모병지는 킬케니, 웩스퍼드, 워터퍼드, 티퍼레리. 이후 [[https://en.wikipedia.org/wiki/Anglo-Egyptian_War|1882년 영국-이집트 전쟁]]에 두 대대 모두가 참전했으며 1대대는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도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두 대대 모두 [[서부전선]]으로 보내졌다. 이외에 8개 전시 대대가 창설해 서부전선, 발칸 반도, 중동에서 복무했다. 한편 예비역 대대인 3대대는 1916년 [[부활절 봉기]]를 진압하는데 동원되었다.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과 함께 해체했으며 현재의 왕립 아일랜드 연대와는 관련이 없다. === 코넛 레인저대 === Connaught Rangers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과 함께 해체. ==== 제88보병연대 (코넛 레인저대) ==== 88th Regiment of Foot (Connaught Rangers) ==== 제94보병연대 ==== 94th Regiment of Foot === 웨일스 공 렌스터 연대 (왕립 캐나다인대) === The Prince of Wales’s Leinster Regiment (Royal Canadians)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과 함께 해체. ==== 제100(웨일스 공 왕립 캐나다인대)보병연대 ==== 100th (Prince of Wales’s Royal Canadian) Regiment of Foot ==== 제109보병연대 (봄베이 보병대) ==== 109th Regiment of Foot (Bombay Infantry) === 왕립 먼스터 퓨질리어대 === Royal Munster Fusiliers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과 함께 해체. ==== 제101보병연대(왕립 벵갈 퓨질리어대) ==== 101st Regiment of Foot (Royal Bengal Fusiliers) ==== 제104보병연대(벵갈 퓨질리어대) ==== 104th Regiment of Foot (Bengal Fusiliers) === 왕립 더블린 퓨질리어대 === Royal Dublin Fusiliers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과 함께 해체. ==== 제102보병연대 (왕립 마드라스 퓨질리어대) ==== 102nd Regiment of Foot (Royal Madras Fusiliers) ==== 제103보병연대 (왕립 봄베이 퓨질리어대) ==== 103rd Regiment of Foot (Royal Bombay Fusiliers) === 요크 및 랭커스터 연대 === York and Lancaster Regiment ==== 제65(제2 요크셔 노스라이딩)보병연대 ==== 65th (2nd Yorkshire North Riding) Regiment of Foot ==== 제84(요크 및 랭커스터)보병연대 ==== 84th (York and Lancaster) Regiment of Foot === 카메로니안 (스코틀랜드 소총대) === Cameronians (Scottish Rifles) ==== 제26(카메로니안)보병연대 ==== 26th (Cameronians) Regiment of Foot ==== 제90보병연대 (퍼스셔 의용병대) (경보병) ==== 90th Regiment of Foot (Perthshire Volunteers) (Light Infantry) === 영국령 서인도 연대 === British West Indies Regiment === 서인도 연대 === West India Regiment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국 육군/연대, version=9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국 육군/연대, version=95)] [[분류:영국 육군]][[분류:연대(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