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fff {{{+1 '''영동고속도로 [br]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2> '''{{{#ff0 발생일}}}''' || [[1990년]] [[9월 1일]] 14시 50분 경 || ||<-2> '''{{{#ff0 발생 위치}}}''' || [[경기도]] [[여주시|여주군]] [[강천면]] 강천리[br][[영동고속도로]] [[신갈JC|신갈]]방향 62km[* [[영동고속도로|신갈안산고속도로]]가 개통하기전 1년전이었고 당시 영동고속도로의 공식적인 종점은 [[신갈JC]]이었다.] 섬강교 인근(현 섬강로) [br][include(틀:지도, 장소=섬강교, 너비=100%, 높이=300px)] || ||<-2> '''{{{#ff0 유형}}}''' || [[기아 AM버스|버스]] 추락 || ||<-2> '''{{{#ff0 원인}}}''' || [[버스 기사]]의 무리한 [[과속]] 및 우천으로 인한 [[수막현상]] || ||<|2> '''{{{#ff0 인명피해}}}''' || '''{{{#ff0 사망}}}''' || 26명 || || '''{{{#ff0 부상}}}''' || 4명 || ||<-2> '''{{{#ff0 재산 피해}}}''' || -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imnews.imbc.com/replay/1990/nwdesk/article/1838194_30435.html|당시 MBC 뉴스 보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697402|당시 KBS 뉴스 보도]] [[https://www.yeoju.go.kr/history/jsp/Theme/Theme.jsp?BC_ID=f0029#zoomout|당시 경기일보 기사]] [[1990년]] [[9월 1일]] 14시 50분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에서 출발하고 [[동서울터미널]]으로 가던 [[강원여객]] 소속 [[시외버스]]가 경기도 여주군(현 [[여주시]]) 강천면 강천리 [[영동고속도로]] 신갈방향 62km 지점 [[섬강]]교 상에서 과속 및 추월을 하다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섬강교 다리 아래로 떨어져서 승객 29명과 버스기사 1명 포함 30명 중에서 단 4명만 살아남은 참사로 1981년 [[부산 버스 20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와 1985년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와 더불어 3번째로 대참사가 벌어졌던 버스 사고다. === 들어가기 전에 : [[왕복 2차로 고속도로]]의 악명 === [[1990년]] 당시에는 [[88올림픽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영동고속도로]][* 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신갈안산고속도로]]가 공사 중이었고 영동고속도로 공식적인 종점은 신갈JC까지였다. 현재의 영동고속도로는 2001년 8월 25일에 [[서창JC]]가 종점이 되었다.]는 신갈부터 원주까지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확장 공사하는 중이었고 그때까지는 영동고속도로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앙분리대도 없었고 터널도 거의 없었으며 [[https://nozomi7383.tistory.com/916?category=689174|산을 그대로 타고 가야]] 하는 불량한 선형 때문에 운전하는 사람들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경험이었다고 하며 그만큼 사고 위험도 더욱더 높았다. 이 같은 도로 상태와 비슷한 환경으로 발생한 대형사고로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2000년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대형참사]]가 있다. == 사고 경위 == 1990년 9월 1일 [[태풍]] 에이브의 북상으로 한반도 전 지역엔 큰 비가 쏟아지고 있었다. 같은 날 강원여객 소속 강릉 - 동서울간 시외버스가 운행하고 있었는데 버스 기사가 섬강교 인근에서 앞서가던 차가 느리게 주행하여 맞은편 차가 없어서 추월하는 순간 갑자기 버스가 [[수막현상|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중앙선을 침범하고 다리 난간을 들이받고 나서 20m 섬강 아래에 추락했다. 강으로 추락한 버스는 거센 물살에 휩쓸렸고 뒷좌석에 앉아 있던 승객 4명은 안전벨트를 풀고 버스 창문을 깨서 간신히 생존했다. 한편 버스에서 못 빠져나온 승객들은[* 대부분이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상태였다.] 급류에 휘말려 떠내려갔으며 사고 당일에는 강한 비로 인해 버스기사와 승객 2명의 시신을 수습하는 데 그쳤으나 이후 3일부터 수색 작업을 재개한 결과 21명이 사망한 상태로 발견됐고 사고 발생 14일후에 남은 실종 승객 한 명이 [[강화도]] 인근 한강에서 시신으로 발견되면서 총 26명이 사망하고 4명이 생존했다. == 사고 원인 == 사고 원인은 버스 기사의 무리한 과속과 추월으로 당시 해당 고속도로는 제한속도가 80km였는데 사고 버스는 고속도로 [[속도위반|제한속도를 어긴]] 시속 100km로 과속 및 추월을 하다가 [[수막현상]]으로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추락했다. 또한 도로상태가 [[왕복 2차로 고속도로]]라서 중앙분리대 없는 고속도로에서 맞은편 차량이 없을 경우 추월을 [[칼치기|빠르게 가능]]해서 운행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 사고 여파 == 이 사고의 여파로 당시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영동고속도로를 왕복 4차로 고속도로 확장공사를 빠르게 해서 사고 발생 [[1994년|4년 후]]에 [[신갈JC|신갈분기점]] - [[만종JC|만종분기점]]까지 왕복 4차로 확장공사 및 개량공사를 완료했으며 이후 남은 왕복 2차로 고속도로 구간들이 차례대로 왕복 4차로 고속도로로 확장 및 개량공사를 완료했고 2001년에 마지막까지 왕복 2차로 고속도로 구간이었던 [[대관령]] [[456번 지방도|구간도]] 왕복 4차로 고속도로 확장공사 및 이설을 끝으로 영동고속도로 전구간이 왕복 2차로에서 4차로까지 확장 공사를 완료했다. 또 사고 희생자 중 홍천 내면고등학교 소속 여교사가 아들과 해당 버스를 탔다가 참변을 당했는데 여교사의 남편이 유서를 남기고 사고 발생 15일 후에[* 아들의 시신을 찾은 다음날이었다.] [[자살|전신주에 스스로 목을 매 숨진 일도 있었는데]] 이 유서를 바탕으로 1991년에 '''섬강에서 하늘까지'''란 소설이 출간됐으며 출간 [[1992년|1년 후]]에 [[이경영(1960)|이경영]]이 주연을 맡은 동명의 영화가 개봉하기도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대형 참사)] [[분류:여주시의 사건사고]][[분류:1990년 교통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