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업계수 ([[營]][[業]][[係]][[數]])}}} {{{+1 Operating ratio, Operation ratio}}} {{{+1 営業係数 (えいぎょうけいすう)}}} [목차] == 개요 == 영업비율이라고도 불리는 영업계수(영업 수지 계수)는 영업비용÷영업수익×100으로 표시되며, 기업의 영업 활동 비용과 이익과의 비율, 영업의 채산, 능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다. 이 계수(100을 버는데 쓰는 비용)가 100 미만이면 [[흑자]]이고, 100 이상이면 [[적자]]를 나타낸다. 보통[[재무제표]]에서 사용되며, 유의어로 '영업 비율', '손익 계산서 비율', '재무 비율'이 있다. == 교통수단에서의 영업계수 == 흑자와 적자를 포함해 다양한 정보까지 한 번에 확인되기에 특히 철도와 버스 같은 대중교통사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수치 중 하나로,(비공개일 경우) 적자 발생시 [[JR 홋카이도/경영실태|지자체나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얻기 위해]] 공개하기도 한다. === 철도에서의 영업계수 === ||[[파일:철도통계연보 2004 - 국회도서관.png|width=300]]||[[파일:2009년 코레일 선별 영업실적.jpg|width=400]]|| || 철도청 2004년 철도통계연보 기준 || 코레일 2009년 국회 제출자료 기준 || 철도에서 총비용을 총수입으로 나눈 백분율을 말한다. 보통 철도회사에서 다양한 요소를 합산하여 수입, 지출을 계산하고 그 지출을 소득으로 나눈 영업 계수를 구하여 회계로 결산하며, 경영 상태의 판단의 자료로 이용된다. 한국에서는 과거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에서 운영했을 때에는 영업계수를 공개했지만 [[한국철도공사]] 출범 이후부터는 [[기업비밀]]이라고 영업계수를 [[대외비]] 취급하며 공식적으로 공개한 적은 없다. 다만, 국회나 언론에서 공개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적자]]가 너무 심해서 돈 좀 달라는 경우... [[일본]]의 경우도 비슷한데 [[일본국유철도]] 시절에는 매년 공개를 했으나, [[JR그룹]] 출범 직후부터는 민간에 공표하지 않는다. 그러나 [[JR 홋카이도]]가 2015년 중간결산에서 [[JR그룹]] 처음으로 적자노선 영업계수를 공개했으며, 2016년부터는 홋카이도 모든 --적자투성이--노선의 영업계수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코로나19]]를 맞아 모든 [[JR그룹]]이 실적 나쁜 로컬 철도의 영업계수를 공개하고 있다. === 산정근거 === >2004년 철도청 기준이며 당시에는 아래의 근거를 합산하여 영업계수를 산정하였다. 산정 근거는 현재도 유사할 것이라고 추정되나,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이 분리되었고, 다양한 [[코레일네트웍스|자]][[코레일관광개발|회]][[코레일유통|사]]들이 있기에 일부 수익과 지출을 이관했을 가능성이 있다. ==== 수익 ==== * 영업 수익 * 여객 수익 * 일반 여객 - [[새마을호|새마을]], [[무궁화호|무궁화]], [[통일호|통일]], [[광역전철]] * 건설 여객[* 군인 수송이나, [[경복호|대통령 열차]] 등 특수 여객] * 정기 여객[* 정기권] * 소화물 수익 * 화물 수익 * 기타수송 수익 * 지원 수익 * 영업외 수익 * 임대 수익 * 시설물 수익 * 광고 수익 * 이자 수익 * 기타 잡수익 * 경상외수익 * 자산처분이익 * 기타경상외수익 ==== 지출 ==== * 영업 비용 * 인건비 * 경비 * 사업운영비 * 복리후생비 * 보상금 * 지급이자 * 수용비기타 * 자산관련 경비 * 보수비 * 감가상각비 * 동력비 (연료,전력비) * 공공요금 * 유지비기타 * 경상 외 비용 * 자산처분손 * 자산제각손 * 기타경상외비용 ==== 자산 ==== * 유동자산 * 현금 * 유가증권 * 미수금 * 가지급금 * 선급금 * 재고자산 * 고정자산 * 투자 자산 * 출자금 * 투자유가증권 * 국고대여장학금 * 전화가입권 * 고속철도출연금 * 기타 * 유형고정 자산 (감가상각 고려) * 토지 * 건물 * 궤도노반 및 구축물 * 통신신호전력 시설 * 기계 및 장비 * 기관차 및 차량 * 사무용기구 * 기타 유형고정 자산 * 건설중인 자산 * 무형 자산 ==== 부채 ==== * 유동 부채 * 미불금 * 미지급이자 * 유동성장기부채 * 기타 * 고정 부채 * 장기차입금 * 재특차입금 * 기타차입금 * 금융리스 * [[국채]] === 버스에서의 영업계수 === 철도와 마찬가지로 시내버스회사나, 고속버스 회사에서도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역시 위와 비슷한 이유로 이용하며 비공개로 만들어 지고있다. == 기타 == == 외부 링크 == * [[https://m.cafe.daum.net/kicha/ANm/14480]] - (철도청 시절 영업계수) * [[http://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0418786_2&resultPage=|철도통계연보. 2004(제41회) / 철도청]]- (국회도서관) * [[https://www.jrhokkaido.co.jp/press/2016/160210-1.pdf|平成26年度 線区別の収支状況等について]] - (2016년 2월 10일 JR 홋카이도) * [[https://www.jrhokkaido.co.jp/corporate/mi/index.html#3|JR 홋카이도 선구별 수지 링크]] - (JR 홋카이도) [[분류:경제]][[분류:경영학]][[분류: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