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오금역'''}}}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경찰병원역|경찰병원]][br]← 0.8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52)
}}}]] || {{{#!html
시종착}}}[* 2030년 [[하남시청역]] 방향으로 [[감일역]] 개통예정] || || [[방화역|{{{#!html
방화 방면}}}]][[방이역|방 이]][br]← 0.9 ㎞ || [[수도권 전철 5호선|{{{#!html
5호선
(P552)
}}}]] || [[마천역|{{{#!html
마천 방면}}}]][[개롱역|개 롱]][br]0.9 ㎞ → || ||<-3>{{{#!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오금역,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Ogeum || || [[한자]] ||<-2><|2> 梧琴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梧琴, ruby=オグム)]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321([[오금동(서울)|오금동]] 44-2)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2> [[서울교통공사]]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1996년 3월 30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2010년 2월 1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br]지하 4층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심도: 3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br]([[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 ||<-3> '''열차거리표''' || || [[하남시청역|{{{-1 {{{#585858,#a7a7a7 하남시청 방면}}}}}}]]--[br][[감일역|감 일]]--[br]← -.- ㎞ || --'''[[송파하남선]]'''[br]오 금--[br]{{{#red (미개통)}}} || 종착역 → || [목차] [clearfix] == 개요 == * [[수도권 전철 3호선]] 352번, [[수도권 전철 5호선]] P552번[* 개정 전 557번. 557번은 현재 [[하남시청역]]이 쓰고 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321 ([[오금동(서울)|오금동]] 44-2)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오금역 안내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ef7c1c 50%, #996cac 50%)" {{{#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오금역 3호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오금역 5호선.jpg|width=100%]]}}} || || '''{{{#ffffff 3호선 대합실}}}''' || '''{{{#ffffff 5호선 대합실}}}''' || 2010년 2월 18일부터 [[수도권 전철 3호선]]이 개업하여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 승강장의 경우 기존 3호선과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채용해서 완전히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역명판도 9호선 스타일로 돼있어서 [[환승띠]]라고 당연히 있을 리가 없는데 정확히 말하자면 9호선에서 앞뒤역 영어역명을 뺀 것이다. 하지만 2020년 9월에 역명판을 주황색 띠가 있는 역명판으로 바꾸었다. 이는 [[가락시장역]], [[경찰병원역]]도 마찬가지다. 이 역은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이름과 달리]] [[오금동(서울)|오금동]]이 아닌 [[가락동(서울)|가락동]]에 있다. 오히려 이상하게도 다음 역인 [[개롱역]]이 오금동에 있다. 다만 경계에 있기도 해서 매우 애매하다. 5호선 계획 당시 오금역의 가칭 역명은 [[삼학사]]역이었고, 대신 개롱역의 가칭이 오금역이었다. 정식 역명도 본래 '삼학사역'이었다가 1993년 12월에 오금역으로 바뀌었고, 당시 정식 역명이 오금역이었던 역은 개농역을 거쳐 개롱역으로 개명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21900209121005&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2-19&officeId=00020&pageNo=21&printNo=22376&publishType=00010|삼학사驛「오금역」으로 改名(동아일보)]]] 전체적으로 보면 환승동선 자체는 그다지 어려운 편이 아닌데 이는 5호선을 지을 때부터 [[3기 지하철 계획]]상에 3호선 송파연장구간이 포함된 터라 환승동선 짜기가 수월했기 때문이다. 환승동선만 구상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3호선 환승통로층과 본선 구조물[* 5호선과 교차하는 부분의 2련 터널박스]까지 통째로 만들어 두었다'''. 3기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물거품이 될 뻔 했지만 9호선과 3호선 송파 연장은 원안대로 개통되었다. 2010년 3호선이 개통하면서 5호선 역과 함께 관리 주체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서 [[서울메트로]]로 넘어갔다. 외주화 및 직영화로 인하여 역사를 운영하는 업체가 달라지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 역은 외주화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하철]] 사상 최초로 영업 도중에 운영사가 바뀐 역이다. 물론 지금은 [[서울교통공사|두 운영사가 통합해서]] 그 의미를 상실했다. 5호선 오금역은 [[하남검단산역]] 방면으로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다. [[강동역]]까지 가서 갈아타야 하는데, 희한하게도 이 역에는 3호선 구역에서는 하남검단산 방면도 갈아탈 수 있는 것처럼 안내되고 있다. 5호선 승강장에선 상일동 or 하남검단산 표기를 찾을 수 없다. 9호선 3단계 연장개통과 함께 [[올림픽공원역]]이 환승역이 되기 전 까지는 이 역의 5호선 마천지선의 유일한 환승역이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평범한 주거지역과 근린공원인 오금공원이 있고, 송파우체국과 [[서울송파경찰서]]가 있어서 관공서 이용이 용이하다. 주변의 가락동에 [[서울특별시경찰청]] 소속 제2기동단과 성동구치소가 있었다. 다만 역 앞 대로변 사거리 중 2개가 관공서에 점유당하고 한쪽은 구치소, 남은 한쪽은 공원이 차지하고 있어 상권 형성은 교통의 편의성에 비해 상당히 빈약한 편이다. 주변 주민들은 빨리 성동구치소를 이전하고 [[특수목적고등학교]] [[핌피현상|세우자고 벼르고 있었는데]], 성동구치소는 [[서울동부구치소]]로 개명하고 2017년 6월 26일 [[문정역]] 서쪽의 [[자곡동]] 방향에 새로 조성된 문정[[법조타운]] 내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건너편으로 이전했다. 서울특별시경찰청 제2기동단 역시 2015년 7월 동대문구 장안동의 신청사로 이전했다. 그리고 이 텅빈 부지는 주민들의 바람과는 다르게 업무시설와 주거시설이 혼재된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3012000004?input=1195m|신혼희망타운]]이 지어질 예정이다. 이 역은 서울에서 동남쪽 구석에 있는 것 치고는 숨겨진 교통의 요지이다. 비단 지하철에 의존하지 않아도 약 10~13분에 [[잠실역]]에 도착하는 버스들이 3분 간격으로 배차되어 있고, 과거 3호선의 종점이었던 [[수서역]]으로 이동하는 [[서울 버스 3416|3416번]] 등의 버스가 근처에 있지만 이제는 3호선이 오금역까지 오게 되어서 이 버스들 안 타고 수서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그나마 단거리 구간 수요가 드문드문 있는 3416번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대치동까지 노선이 상당부분 겹치던 [[서울 버스 3426|3219번]]은 아예 노선이 변경됐다. 서울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는 5호선, 서울을 서북-동남으로 관통하는 3호선, 순환선 2호선 잠실역으로 이어지는 편한 역이다. 다만 잠실역으로 가려면 지하철 타고 가는 것보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버스로 환승해서 가는 게 훨씬 빠르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0]] 오금역 출구 정보}}} || ||{{{#ffffff 1}}}||오금중학교[br]오금고등학교[br]오금동주민센터|| ||{{{#ffffff 2}}}||오금공원|| ||{{{#ffffff 3}}}||가동초등학교|| ||{{{#ffffff 4}}}||가락2동주민센터(키움센터)[br]가주초등학교|| ||{{{#ffffff 5}}}||송파경찰서[br]가락근린공원[br]국립경찰병원 방면|| ||{{{#ffffff 6}}}||석촌중학교[br]신가초등학교|| ||{{{#ffffff 7}}}||송파우체국[br]오금동주민센터[br]현대아파트||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10> {{{#fff,#1f2023 13,396명}}} || 8,157명 ||<|10> {{{#fff,#1f2023 20,555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8,855명 || || || 2002년 || 8,918명 || || || 2003년 || 9,013명 || || || 2004년 || 9,366명 || || || 2005년 || 9,364명 || || || 2006년 || 9,219명 || || || 2007년 || 9,169명 || || || 2008년 || 9,335명 || || || 2009년 || {{{#996cac 9,480명}}} || ||}}}}}}}}} || || 2010년 || 8,089명 || 8,392명 || 16,481명 || [* 3호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1년 || 11,295명 || 8,280명 || 19,575명 || || || 2012년 || 12,173명 || 8,292명 || 20,465명 || || || 2013년 || 12,922명 || 8,107명 || 21,029명 || || || 2014년 || 13,096명 || 8,071명 || {{{#red 21,167명}}} || || || 2015년 || 12,708명 || 7,847명 || 20,555명 || || || 2016년 || 12,915명 || 7,518명 || 20,433명 || || || 2017년 || 13,104명 || 7,292명 || 20,396명 || || || 2018년 || {{{#ef7c1c 13,396명}}} || 7,109명 || 20,505명 || || || 2019년 || 12,797명 || 7,368명 || 20,165명 || || || 2020년 || 9,647명 || 5,878명 || 15,525명 || || || 2021년 || 9,605명 || 6,064명 || 15,669명 || || || 2022년 || 10,465명 || 6,450명 || 16,915명 || || ||<-5> {{{#ffffff '''출처'''}}} || ||<-5>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 두 노선의 이용객 수 총합은 '''16,915'''명(2022년 기준)이다. * 5호선 오금역은 5호선이 지나는 56개 역을 통틀어 세 번째로 승하차객이 적은 역이다[* 이보다 적은 곳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과 [[강일역]]이다.]. * 더 놀라운 것은 역 바로 앞에 송파경찰서, 송파우체국 등의 관공서와 [[삼성생명]]빌딩 등의 업무지구까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인즉슨, [[방이역#s-4]] 문서에 설명된 대로 배차 간격이 나쁘고 강남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 때문이다. 5호선 [[강동역]] 동쪽 구간은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둔촌동역]], [[상일동역]] 정도를 제외하면 수요가 적은 편이다. 분담률이 낮다는 사실은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연장 구간이 개통되고 나서 바로 통계로 입증되었다. * 3호선이 연장 개통한 2010년 첫 해부터 이미 3호선의 하루 평균 이용객이 5호선 턱밑에서 시작하더니, '''5호선 오금역이 한 번도 넘지 못했던 1만 명 고지를 다음 해에 곧바로 돌파해버렸다.''' 그리고는 2013년에 13,000여 명까지 올라간 뒤로 쭉 이 정도의 수요를 유지하고 있는데, 5호선 측은 3호선 개통 전에도 9,000명 선에서 정체되어 있다가 3호선 개통 이후 7,000여 명 선까지 떨어져 대략 두 배의 이용객 차이가 난다. 서울 도심으로 연결되는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이 십수 년 동안 못 넘던 1만 명의 벽을 곧바로 깨버린 3호선을 보면, 강남 접근성 문제가 얼마나 발목을 잡았는지 알 수 있다. * 2018년 12월 인접한 거리에 강남접근성이 뛰어난 9호선 [[올림픽공원역]]이 개통하였기 때문에 3호선의 전망이 어두울 것으로 전망된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강남권 내에서도 3호선은 남부, 9호선은 중북부로 지나는 곳이 확실히 갈리기 때문에 확신할 수 없다. 2016년 12월 이후 SRT라는 광역교통기능을 가지게 된 후로 역세권의 규모가 점점 커지는 [[수서역|]]을 지남과 동시에 현재까지는 착공일자가 불분명하지만, 3호선이 [[송파하남선]]으로 연장될 경우, 신규 수요를 창출해 낼 것으로 예상된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금역 승강장(수도권 전철 3호선).jpg|width=100%]]}}}|| || '''{{{#fff 3호선 승강장 }}}''' || ||<-4> [[경찰병원역|경찰병원]]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 당역종착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도곡역|도곡]]·[[충무로역|충무로]]·[[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당역 종착|| || '''노선 및 방면''' || '''출입문''' ||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3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 9-3 || 여담으로 오금역에서 종착하는 3호선 열차의 9-3에서 바로 앞에있는 5호선 환승 에스컬레이터가 있어서 하차할때 유독 이 곳만 몰린다. 그것도 할머니들이 5호선 열차 놓친다고 에스컬레이터를 역방향까지 타는거 보면 보면 상당히 흠좀무하다. 출근시간을 빼고 지하철을 놓치면 평균 12분 정도를 기다려야 하니까 그렇다.[* 하지만 3호선도 출퇴근시간을 빼면 배차간격이 길어지는데 어떨 때는 10분을 넘길 때도 있을 정도로 긴 편이다.] 심야 시간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1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 후 첫차시간대에 다시 운행 한다. -평일 #K3401->(다음날)#K3040 -주말 및 공휴일 #K3343->(다음날)#K3018 === [[수도권 전철 5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금역 승강장(수도권 전철 5호선).jpg|width=100%]]}}}|| || '''{{{#fff 5호선 승강장 }}}''' || ||<-4> [[방이역|방이]]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개롱역|개롱]]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역|강동]]·[[왕십리역|왕십리]]·[[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 {{{#ffffff 하}}} ||[[개롱역|개롱]]·[[거여역|거여]]·[[마천역|마천]] 방면|| || '''노선 및 방면''' || '''출입문''' || ||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마천 방면)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3호선 || 1-3 || ||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방화 방면)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3호선 || 8-2 || == 연계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동현대아파트(24249)'''}}}}}}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311|{{{#ffffff 2311(중랑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3|{{{#ffffff 3313(잠실리센츠아파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4|{{{#ffffff 3314(종합운동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5|{{{#ffffff 3315(삼전사회복지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8|{{{#ffffff 3318(강동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7|{{{#ffffff 3417(삼성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331|{{{#ffffff 8331(잠실역)}}}]]}}}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송파01|{{{#ffffff 송파01(석촌동한솔아파트)}}}]]}}}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구산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송파경찰서.오금역(24369)'''}}}}}}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311|{{{#ffffff 2311(문정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3|{{{#ffffff 3313(복정역환승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4|{{{#ffffff 3314(장지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5|{{{#ffffff 3315(장지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8|{{{#ffffff 3318(마천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7|{{{#ffffff 3417(장지공영차고지)}}}]]}}}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송파01|{{{#ffffff 송파01(오금동)}}}]]}}}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복정역환승센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2번출구(24338)'''}}}}}}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4|{{{#ffffff 3414(개포동)}}}]]}}} || || [[경기도 시내버스|{{{#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89|{{{#ffffff 89(미사고등학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3번출구(24339)'''}}}}}}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314|{{{#ffffff 3314(장지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4|{{{#ffffff 3414(오금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오금고교(24515)'''}}}}}}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송파01|{{{#ffffff 송파01(석촌동한솔아파트)}}}]]}}} || || [[경기도 시내버스|{{{#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87|{{{#ffffff 87(수서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오금고교(24523)'''}}}}}}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송파01|{{{#ffffff 송파01(오금동)}}}]]}}} || || [[경기도 시내버스|{{{#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하남 버스 87|{{{#ffffff 87(하남BRT환승센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24766)'''}}}}}}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300|{{{#ffffff 6300(고덕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오금역(24767)'''}}}}}}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300|{{{#ffffff 6300(인천공항)}}}]]}}} ||}}} == 기타 == * 미국 영화 [[본 레거시]]에서 오금역에 도착하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짤막하게 등장한다. 다만 열차가 출발할 때 등장하는 역은 이곳이 아니라 [[가락시장역]]이다.[* 자세히 보면 8호선 환승안내 표지판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 마천지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송파구의 도시철도역]][[분류:송파구]][[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