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오렐 허샤이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오렐 허샤이저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1988년 월드 시리즈|{{{#ffffff 1988}}}]]'''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1988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88년 월드 시리즈 MVP}}}'''}}} || || [[프랭크 바이올라]][br]([[미네소타 트윈스]]) || → || '''오렐 허샤이저[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데이브 스튜어트]][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 || [[스티브 베드로시안]][br]([[필라델피아 필리스]]) || → || '''오렐 허샤이저[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마크 데이비스]][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 || [[제프리 레너드]][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오렐 허샤이저[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윌 클락]][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9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 || [[199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파업 사태|파업]]으로 열리지 않음 || → || '''오렐 허샤이저[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버니 윌리엄스]][br]([[뉴욕 양키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9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실버 슬러거}}}''' || || [[드와이트 구든]][br]([[뉴욕 메츠]]) || → || '''오렐 허샤이저[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마크 포르투갈[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골드 글러브}}}''' || || [[릭 러셸]][br]([[피츠버그 파이리츠]]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오렐 허샤이저[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론 달링[br]([[뉴욕 메츠]]) || ---- ||<-5>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파일:sportsillustrated_logo.png|width=100]]]][br] '''{{{#ffffff 1988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ffffff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ffffff 선정}}} [[올해의 스포츠 인물|{{{#88754a 올해의 스포츠맨}}}]]''' || ||<-5> [[파일:external/cdn-jpg.si.com/88_006273781.jpg|width=500]]|| || 사회에 봉사하는 선수들[* 야구의 데일 머피, 농구의 Rory Sparrow, 골프의 Patty Sheehan, College football의 Chip Rives, 하키의 Bob Bourne, 육상경기의 Judi Brown King와 Kip Keino, 미식축구의 Reggie Williams] || → || '''오렐 허샤이저''' || → || [[그렉 르몽]] || ---- ||<-2> {{{#ffffff 보유 기록}}} || || 연속 이닝 무실점 || 59이닝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rel Hershiser.jpg|width=100%]]}}} || ||<-2> '''Spectrum Sportsnet LA''' || ||<-2> '''{{{#005A9C,#62BCFF {{{+2 오렐 레너드 허샤이저 4세}}}[br]Orel Leonard Hershiser IV}}}''' || ||<|2> '''출생''' ||[[1958년]] [[9월 16일]] ([age(1958-09-16)]세) || ||[[뉴욕주|뉴욕 주]] [[버팔로(미국 도시)|버팔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신체''' ||190cm, 86kg || || '''종교''' ||[[기독교]]([[개신교]]) || || '''프로 입단''' ||1979년 드래프트 17라운드 전체 440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 구단'''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83~1994)''' [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5~1997) [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98) [br][[뉴욕 메츠]] (1999) [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0) || || '''기록''' ||'''59이닝 연속 무실점 (MLB 최고기록)''' || [목차] [clearfix] == 개요 == >'''열심히 노력하고 절대로 포기하지 않으면 보통사람에게도 놀라운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내가 바로 그 증거다.'''[* 데뷔 초반에 나온 그에 대한 미덥지 않은 시선, 그러한 시선에도 불구하고 그가 이루어낸 성과들을 생각해 본다면 정말 맞는 말이다.] >---- > 오렐 허샤이저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선발 투수. [[야구의 구질|스크류볼]]을 던지다 장렬히 산화한 [[페르난도 발렌수엘라]]의 뒤를 이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80년대 후반 ~ 90년대 초반의 계보를 이은 투수다.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투수코치로서 [[박찬호]]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별명은 불독(Bulldog). 통산 성적은 18시즌 동안 204승 150패, 3.48 ERA, 3130.1이닝, 2014K, K/9 5.79, BB/9 2.89, K/BB 2, HR/9 0.67, 68완투 25완봉을 기록했다. == 현역 시절 == === 초기 === > "제구가 전혀 되지 않으며, 패스트볼 구속도 수준 이하인데다, 커브도 제대로 던지지 못한다. 투구폼도 불규칙해서 폭투를 자주 만든다. 정신력도 의문스럽다. 이 선수를 보고 있으면 허전한 느낌마저 든다." >---- > 1979년, ESPN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오렐 허샤이저에 대해 쓴 내용[* 한편으로는 저렇게 못 던져도 "커브만큼은 발전 가능성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는데, 앞뒤 맥락을 따지면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뉘앙스가 커서 여기에 따로 적진 않았다.] [[뉴욕 주]] [[버팔로(미국 도시)|버펄로]] 출신으로 처음에는 [[아이스하키]] 선수였으나, 고등학교에 와서 [[야구]]를 시작한다. 그 후 볼링 그린 주립대학교에 진학해 투수로 활동했다.[* [[오하이오 주]] 볼링그린에 있는 학교로 광활한 면적으로 잘 알려져있다. 농구, 야구 등 다양한 체육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으며 간혹 프로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1979년에 드래프트로 다저스에 가게 되는데, 드래프트에서 뽑힌 라운드와 순위나, 위에 나와있는 당시 쓰인 스카우팅 리포트에서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그렇게 기대받는 유망주는 아니었다. === 다저스 시절 === 허샤이저는 마이너리그에서의 피나는 노력을 통해 1983년부터 메이저리그에 발을 들이게 된다. 하지만 그 놈의 [[새가슴]] 기질이 심해서 정면승부를 잘 하지 못하자, 당시 다저스의 감독이었던 [[토미 라소다]]가 허샤이저를 따로 불러 "타자들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사나운 불독이 되어라"는 뜻에서 허샤이저에게 '''불독'''이라는 별명을 붙여준다. 우리로 치자면 감독이 스트라이크를 잘 던지지 못하는 루키 투수에게 '싸움닭'이라는 별명을 지어준 셈이랄까. 라소다의 멘탈 관리 효과가 뛰어났는지, 허샤이저는 중간과 선발을 오간 1984년을 거쳐 1985년 붙박이 선발로 19승 3패를 거두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다. 이어 1986년에는 14승, 1987년에는 16승을 거두더니, 1988년에는 23승 8패와 2.26의 평균자책점으로 [[사이 영 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거기다 1988년에는 5경기 연속 완봉승을 포함한 메이저리그 신기록인 59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세운다. 종전 최다 기록자는 다저스의 선배 [[돈 드라이스데일]]로, 59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세우던 그 순간 중계부스에 해설로 나와있던 돈 드라이스데일은 기록 달성에 성공하자 바로 중계부스를 박차고 나와 후배 허샤이저를 안아주며 축하했다. 그리고 허샤이저를 비롯한 주축 선수들의 활약으로 다저스는 [[1988 월드 시리즈|월드시리즈]]에 진출하는데, 상대는 [[토니 라 루사|TLR]]이 이끄는, [[마크 맥과이어]]와 [[호세 칸세코]] 콤비 (일명 '''[[다이나믹 듀오]]''') + [[데니스 에커슬리]]를 주축으로 하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하지만 허샤이저는 그런 거 없다는 듯이 2차전과 5차전에서 완봉/완투승을 거두며 팀을 월드시리즈 챔피언으로 이끈다. 1988년에 사이영상, 골드 글러브, NLCS MVP, 그리고 월드 시리즈 MVP까지 싹슬이하였다. 그러나 1989년에는 옆동네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천사네]]만큼이나 타선이 취약해지면서 ERA 2.31을 기록했음에도 15승 15패의 초라한 성적을 냈고 1990년에는 어깨 부상으로 1991년 시즌 중반까지 1승밖에 거두지 못한다. 그 후 1992년 10승, 1993년 12승, 1994년 6승을 끝으로 허샤이저는 다저스를 떠나게 된다. === 부활과 은퇴 === 허샤이저는 그렇게 다저스를 떠나 1995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계약을 한다. 그 때 허샤이저의 나이는 벌써 36세였고, 그나마도 부상으로 26경기밖에 등판하지 못했는...데도 16승 6패의 성적을 거두면서 불꽃을 태운다. 게다가 90년대 후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누구나 아는 강팀. ~~단지 [[뉴욕 양키스]]가 더 무시무시해서 그렇지~~ 팀은 1995년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고 허샤이저는 여기서 MVP 타이틀을 따, 양대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타이틀을 획득하는데 성공한다. 이건 메이저리그 최초 기록. 클리블랜드에서 1996년에는 15승, 1997년에는 14승을 거둔 허샤이저는 1998년 [[배리 본즈]]가 있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이적하여 11승을 거둔다. 그리고 1999년에는 [[뉴욕 메츠]]로 팀을 옮겨 13승을 거두었고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1999년 시즌이 끝난 뒤, 허샤이저는 친정팀 다저스와 마이너리그 1년 계약을 맺고 돌아와, 2000년 41세의 나이로 은퇴하게 된다. == 은퇴 이후 == 롱런에 성공하며 한때 다저스 프랜차이즈의 상징격 인물로 여겨졌고 현재까지도 자주 회자되는 선수이지만 1980년대 명전급 선수 치고는 아쉬운 누적 성적을 기록했기에 명전 입성 전망이 밝지 않았다.[* 똑같이 명전 입성에 실패한 구든과는 달리 3000이닝과 200승을 모두 달성했다. 이 정도면 현대야구에서는 명전이 가능한 수치이지만 1980년대 선수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힘들다.]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는 2006년 11.2%를 득표했고, 이듬해 2007년에는 4.4%에 그쳐 후보 자격을 상실하였다. 은퇴 이후 [[텍사스 레인저스]]의 단장 보좌를 거쳐, 투수코치로 활동했다. 선수시절 드라마틱하게 오르막과 내리막을 걸었던 때문인지 은퇴 후에도 투수의 피칭 연구를 열심히 했던 허샤이저는 NPA(National Pitching Association)의 애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그의 연습방법이 그의 이름을 딴 [[http://www.youtube.com/watch?v=zu4vLOEthM4|허샤이저 훈련법]]으로 불릴만큼 투수 연구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FA로 텍사스에 왔다가 먹튀 위기에 놓인 후배 [[박찬호]]를 비롯해 여러 새싹들을 키웠다. 그러나 2005년 투수코치에서 물러났고, 2013년 현재 [[ESPN]]의 객원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한때 다저스 인수전에 뛰어들기도 했으나 첫 심사에서 탈락했다. 2007년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후보 자격을 얻었으나 여기서도 탈락했다. 2014년부터는 다저스 자체 중계 채널 '스포츠넷 LA'에서 원정 경기 해설 및 주요 방송 패널을 맡고 있다. 은퇴 이후 한때 [[포커]] 대회에 자주 나가곤 했다고 한다. == 피칭 스타일 == [[왈도체|힘세고 강한]] 이미지를 물씬 풍기는 '불독'이라는 별명과는 달리 파워피처는 아니었다. 대신 허샤이저는 투심과 정상급 [[싱커]]볼로 땅볼을 유도하는 스타일이었고, 텍사스에서 후배들에게 땅볼 유도에 주력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무척 더운 알링턴 구장의 특성상 플라이볼 타구가 쭉쭉 뻗어나가 장타로 연결되기 일수라서...) == 이야깃거리 == * [[한국프로야구]] 초창기였던 1985년, [[삼성 라이온즈]]는 한국 최초로 [[미국]](해외)에 전지훈련 캠프를 차리는데, 허샤이저는 자기 타석에서 한창 리즈시절을 달리던 [[김시진]]을 상대로 '''[[홈런]]'''을 때린다. 나중에 김시진이 삼성의 에이스라는 것을 알고는 미안해했다고. * [[스킵 슈마커]]와도 연이 있는데 [[스킵 슈마커]]가 야구를 시작하기 전인 4살 때 [[오렐 허샤이저]]가 퇴근을 하는 도중에 울고 있는 슈마커를 보며 왜 울고 있냐는 질문을 하기 위해 다가간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 당시 어린 슈마커는 선수들 중 아무도 사인을 해 주지 않아서 속상한 마음에 울고 있었던 것. 그 이야기를 들은 허샤이저는 당시 슈마커가 갖고 있던 글러브에 사인을 해 줬고, '''"스킵, 미래의 메이저리거에게."'''라는 문구를 함께 넣어주고 사진도 함께 찍어줬다고 한다. 이후 슈마커는 메이저리그 데뷔에 성공했는데, 슈마커가 선수 시절 내내 주로 55번을 달았던 이유도 이 당시에 울고 있던 자신에게 팬 서비스를 해 줬던 [[오렐 허샤이저]] 때문이라고 밝혔으며, 결국 이 둘은 [[2013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시구자와 시포자로 다시 한 번 연을 맺게 된다. 그리고 슈마커는 2023년부터 [[마이애미 말린스]]의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감독이 된 현재까지도 55번을 달고 있다. * [[한화 이글스]]의 에이스 투수였던 [[정민철]]이 선수시절의 대부분을 달았던 등번호 55번은 허샤이저를 본받겠다는 의미에서 달았다. * [[톰 글래빈]] 만큼은 아니었지만 타격에 일가견이 있었다. 위에서 김시진의 볼을 홈런으로 친 것도 그렇고, 1993년에는 무려 0.356의 타율 (다저스 투수들 중에선 최고타율)을 기록하며 실버슬러거 상을 탄다. * 샌프란시스코에 있을 때이던 1998년, [[배리 본즈]]가 친 400호 홈런볼을 관중이 낚아채 본즈한테 사인을 받으려고 갔는데, 본즈는 없었고 허샤이저가 대신 관중에게 갔다. 허샤이저는 그 홈런볼을 관중한테 '''돈을 주고 사서''' 본즈에게 넘겨주었고, 본즈는 감동한 나머지 400호 홈런을 칠 때 낀 장갑을 허샤이저 아들에게 주었다. * 2013년 10월 16일 NLCS 5차전에서 시구를 하였다. ~~그리고 시구 버프 받은 다저스는 그날 승리했다.~~ 시구때 공을 받아준 선수가 스킵 슈마커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훈훈한 뒷사연이 있었다.[[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mlbtown&mbsIdx=135567&cpage=&mbsW=search&select=stt&opt=1&keyword=%BD%B4%B8%B6%C4%BF|#]] * 중계 파트너인 [[조 데이비스]]와의 일화가 있는데, 셋째 출산이 다가왔을 때 그의 퍼스트 네임인 Orel을 자신의 셋째 아들 미들네임으로 사용해도 되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허샤이저는 "뭘 이런 것 가지고 허락을 구하냐"며 껄껄 웃었고, 흔쾌히 수락했다. --우리 막내 투수 시키려고요 히히-- === [[박찬호]]와의 인연 === 90년대 초반에 다저스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비슷한 시기에 다저스로 온 박찬호와 여러가지로 인연이 있던 선수였다. 1994년 박찬호 입단식 때 선수 대표로 박찬호를 맞이했으며, 박찬호가 허샤이저를 단짝친구처럼 따랐다고 한다. 다만 허샤이저는 박찬호가 입단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다저스를 떠났기 때문에 팀원으로선 오래 함께하지는 못했다. 이후 둘은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선수와 코치 신분으로 재회하게 된다. 이 당시 박찬호는 부상과 구위 저하로 인해 먹튀로 전락한 상황이었는데, 타자친화적인 구장을 홈으로 쓰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투구 방식을 이어가면 답이 없다고 판단한 허샤이저는 박찬호를 투심 패스트볼을 바탕으로 한 땅볼 유도형 투수로 전향시키려 했다. 허샤이저는 텍사스의 전임 투수코치였던 "독재자" 오스카 아코스타[* 국내에서는 박찬호의 투구폼과 훈련 방식을 무리하게 바꾸려다가 박찬호를 몰락시킨 주범 중 하나로 알려진 코치지만, 정작 박찬호와 아코스타의 관계는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아코스타가 해임된 이후 박찬호는 그의 지도 방식을 긍정하는 말을 하기도 했다.]보다 능력이 있다는 평을 받고 있는 코치였고, 박찬호 역시 재기를 위해 허샤이저의 지시를 이행하려 노력했다. 하지만 허리 부상으로 인해 끝내 박찬호는 재기하지 못한 채 텍사스를 떠나고 만다. 단 이때 배웠던 투심은 말년에 요긴하게 써먹었을 정도로 발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 연도별 기록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오렐 허샤이저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83 ||<|1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8 || 0 || 0 || 1 || 0 || 8 || 3.38 || 7 || 1 || 6 || 0 || 5 || 1.625 || 112 || -0.1 || -0.1 || || 1984 || 45 || 11 || 8 || 2 || 0 || 189⅔ || 2.66 || 160 || 9 || 50 || 4 || 150 || 1.107 || 133 || 4.0 || 4.3 || || 1985 || 36 || 19 || 3 || 0 || 0 || 239⅔ || 2.03 || 179 || 8 || 68 || 6 || 157 || 1.031 || 171 || 5.4 || 5.9 || || 1986 || 35 || 14 || 14 || 0 || 0 || 231⅓ || 3.85 || 213 || 13 || 86 || 5 || 153 || 1.293 || 90 || 3.6 || 2.2 || || 1987 || 37 || 16 || 16 || 1 || 0 || '''264⅔''' || 3.06 || 247 || 17 || 74 || 9 || 190 || 1.213 || 131 || 5.6 || 6.4 || || 1988 || 35 || '''23''' || 8 || 1 || 0 || '''267''' || 2.26 || 208 || 18 || 73 || 4 || 178 || 1.052 || 149 || 4.0 || 7.2 || || 1989 || 35 || 15 || '''15''' || 0 || 0 || '''252⅔''' || 2.31 || 226 || 9 || 77 || 3 || 178 || 1.181 || '''149''' || 5.6 || 7.0 || || 1990 || 4 || 1 || 1 || 0 || 0 || 25⅓ || 4.26 || 26 || 1 || 4 || 1 || 16 || 1.184 || 88 || 0.7 || 0.0 || || 1991 || 21 || 7 || 2 || 0 || 0 || 112 || 3.46 || 112 || 3 || 32 || 5 || 73 || 1.286 || 104 || 2.5 || 2.0 || || 1992 || 33 || 10 || '''15''' || 0 || 0 || 210⅔ || 3.67 || 209 || 15 || 69 || 8 || 130 || 1.320 || 95 || 2.3 || 2.1 || || 1993 || 33 || 12 || 14 || 0 || 0 || 215⅔ || 3.59 || 201 || 17 || 72 || 7 || 141 || 1.266 || 106 || 3.0 || 2.7 || || 1994 || 21 || 6 || 6 || 0 || 0 || 135⅓ || 3.79 || 146 || 15 || 42 || 2 || 72 || 1.389 || 104 || 1.1 || 1.8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95 ||<|3>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26 || 16 || 6 || 0 || 0 || 167⅓ || 3.87 || 151 || 21 || 51 || 5 || 111 || 1.207 || 121 || 2.5 || 3.7 || || 1996 || 33 || 15 || 9 || 0 || 0 || 206 || 4.24 || 238 || 21 || 58 || 12 || 125 || 1.437 || 115 || 3.8 || 2.6 || || 1997 || 32 || 14 || 6 || 0 || 0 || 195⅓ || 4.47 || 199 || 26 || 69 || 11 || 107 || 1.372 || 105 || 1.4 || 2.3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98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34 || 11 || 10 || 0 || 0 || 202 || 4.41 || 200 || 22 || 85 || 13 || 126 || 1.411 || 91 || 1.3 || 1.2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99 || [[뉴욕 메츠|NYM]] || 32 || 13 || 12 || 0 || 0 || 179 || 4.58 || 175 || 14 || 77 || 11 || 89 || 1.408 || 97 || 1.9 || 1.9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00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10 || 1 || 5 || 0 || 1 || 24⅔ || 13.14 || 42 || 5 || 14 || 11 || 13 || 2.270 || 33 || -0.5 || -2.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8시즌)''' || 510 || 204 || 150 || 5 || 1 || 3130⅓ || 3.48 || 2939 || 235 || 1007 || 117 || 2014 || 1.261 || 112 || 48.0 || 51.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독일의 야구 선수]][[분류:사이 영 상 수상자]][[분류:버팔로(뉴욕)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복수국적자]][[분류:1979년 데뷔]][[분류:2000년 은퇴]][[분류:볼링그린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월드 시리즈 MVP]][[분류:챔피언십 시리즈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