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오스트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E31F2B 15%, #E31F2B 85%, #FFF 85%)"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E31F2B 15%, #E31F2B 85%, #FFF 85%)" {{{#ffffff '''{{{+2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 ||<-2> {{{#333333 '''Österreichische Fußballnationalmannschaft'''}}} || || {{{-1 [[FIFA 코드|{{{#ffffff '''FIFA 코드''' }}}]] }}} ||'''AUT'''|| || {{{#ffffff '''축구 협회''' }}} ||[[오스트리아 축구 연맹]] || || {{{#ffffff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 {{{#ffffff '''홈 경기장'''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br] {{{-1 (Ernst-Happel-Stadion / 53,008석) }}} || || {{{#ffffff '''별명'''}}} ||Das Team (팀) || || {{{#ffffff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랄프 랑닉]] {{{-2 (Ralf Rangnick)}}} || ||<|4> {{{#ffffff '''주장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5em" {{{#ffffff '''C'''}}}}}} [[데이비드 알라바]] {{{-2 (David Alaba)}}}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5em" {{{#ffffff '''VC'''}}}}}} [[율리안 바움가르틀링거]] {{{-2 (Julian Baumgartlinger)}}}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5em" {{{#ffffff '''3C'''}}}}}}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2 (Marko Arnautović)}}}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5em" {{{#ffffff '''4C'''}}}}}} [[안드레아스 울머]] {{{-2 (Andreas Ulmer)}}} || || {{{#ffffff '''라이벌'''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 [[FIFA 랭킹|{{{#ffffff '''FIFA 랭킹'''}}}]] ||'''25위''' (2023년 10월 26일 기준 / [[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AUT|#]]) || || [[Elo 레이팅|{{{#ffffff '''Elo 랭킹'''}}}]] ||'''18위''' (2023년 11월 29일 기준[*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 [[https://www.eloratings.net/|#]]) || ||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oefb_190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fff ''' A매치 최다 출전 '''}}}}}}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2 (Marko Arnautović)}}} [br] - '''110경기''' / 36골 || || {{{-2 {{{#ffffff ''' A매치 최다 득점 ''' }}}}}} ||[[토니 폴스터]] {{{-2 (Toni Polster)}}} [br] - 95경기 / '''44골''' || || {{{-2 {{{#ffffff ''' 첫 국제경기 출전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 vs [[파일:헝가리 국기.svg|height=15]]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5:0 '''{{{#0000ff 승}}}'''[br]{{{-1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 / [[1902년]] [[10월 12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승리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 vs [[파일:몰타 국기.svg|height=15]]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몰타]] 9:0 '''{{{#0000ff 승}}}'''[br]{{{-1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1977년]] [[4월 30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패배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 v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5]]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1:11 '''{{{#ff0000 패}}}'''[br]{{{-1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 / [[1908년]] [[6월 8일]])}}} || }}}}}}}}}}}}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fff '''세계대회'''}}} || || {{{-2 [[FIFA 월드컵|{{{#ffffff ''' 월드컵 ''' }}}]]}}} ||'''[진출]''' 7회 [br]'''[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width=20]] {{{-1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 || || {{{-2 [[올림픽 축구|{{{#ffffff ''' 올림픽 ''' }}}]]}}} ||'''[진출]''' 4회 [br]'''[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20]] {{{-1 ([[1936 베를린 올림픽|1936]])}}} || ||<-2> {{{#ffffff '''대륙대회'''}}} || || {{{-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fff ''' 유로 ''' }}}]]}}} ||'''[진출]''' 3회[br]'''[최고]''' 16강 {{{-1 ([[UEFA 유로 2020|2020]])}}} || }}}}}}}}}}}} || ---- ||
{{{#ffffff ''' 유니폼 컬러 ''' }}} || {{{#ffffff ''' 홈 ''' }}} || {{{#ffffff ''' 어웨이 ''' }}} || || {{{#c8ab37 '''상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E31F2B 15%, #E31F2B 85%, #FFF 85%)" [[푸마(브랜드)|[[파일:Puma Gray logo.png|align=left&width=15]]]][[오스트리아 축구 연맹|[[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5]]]][br]'''[[데이비드 알라바|{{{+1 {{{#ffffff 8}}}}}}]]'''[br][br]}}} || [[푸마(브랜드)|[[파일:Puma Senegal Blue Logo.png|align=left&width=15]]]][[오스트리아 축구 연맹|[[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5]]]][br]'''[[마르셀 자비처|{{{+1 {{{#0CC 9}}}}}}]]'''[br][br] || || {{{#c8ab37 '''하의'''}}} || '''[[데이비드 알라바|{{{#e31f2b ,,8,,}}}]]'''|| '''[[마르셀 자비처|{{{#000 ,,9,,}}}]]'''|| || {{{#c8ab37 '''양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E31F2B 2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iVgbpd9k6E)] }}} || [[오스트리아]]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 감독은 랄프 랑닉이다. 팀(Das Team)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월드컵 극초기인 30년대에는 가장 강한 팀 중 하나였다. 그러나 서서히 몰락하여 지금은 강팀 반열에 절대 끼지 못하며, 아예 하위권으로 엄청나게 밀려날 정도로 전력이 약해지기도 했다. 그나마 2010년대 들어서부터 [[데이비드 알라바]]를 필두로 재능있는 선수들이 등장하기 시작해 지금은 유럽 중위~중상위 수준까지는 올라왔다는 평.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축구/나라별 스타일, version=617, paragraph=3.2)] == 특징 == 위에서 서술했듯 오스트리아는 [[1930년대]] 연방국 시절에는 알아주는 강호였다. [[마티아스 신델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강팀으로 분더팀[* Wunderteam, 영어의 Wonder Team과 의미가 같다.]이라고 불리는 30년대 최강팀으로 손꼽히는 팀이었다.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월드컵]]에서 신델라가 개최국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루이스 몬티]]에게 거친 태클을 당하면서 부상을 입었고, 그렇게 에이스가 제대로 된 플레이를 하지 못하면서 패배, 4위에 머무르게 된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그 다음 월드컵]]에서는 지역예선을 통과하여 본선 진출권을 가졌지만 [[독일]]과 [[안슐루스|합병]]되면서 오스트리아 대표팀 역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대표팀]]과 통합되었다.[* 오스트리아는 기권 처리했다.] 오스트리아의 주요 선수들은 통합 독일 대표팀으로 월드컵에 출전했지만 대회를 목전에 두고 갑자기 통합된지라 팀웍이 맞지 않았고, 통합 독일 대표팀은 훗날 암흑기 이전에 가장 좋지 못한 성적 1라운드 16강 10위 탈락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 군정하에서 독일의 분할을 원했던 연합군의 유도하에 오스트리아는 다시 독일에서 갈라져 제 갈길을 가기로 결정했고, 오스트리아 대표팀 역시 독일 대표팀에서 갈라져 나왔다.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월드컵]] 16개국 본선에서는 개최국이였던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 준결승에서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에게 1:6으로 참패하였지만 3위 결정전에서 디펜딩 챔피언인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서 최종적으로 3위를 기록했다. 이것이 월드컵 최고성적. 그러나 지금은 유럽에서 중하위권으로 밀려난 지 오래되었다. 1982년 FIFA 월드컵 24강 본선에서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에게 패하고 24강 조별리그에서 탈락할 위기에 놓인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을 12강 조별리그[*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니라 12강 조별리그였다.]에 진출시켜주기 위해서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0-1의 점수로 고의로 패해준 좋지 않은 과거가 있었다. 그 결과 알제리가 억울하게 2승 1패 13위[* 알제리의 역대 월드컵 최고 성적, 그 다음이 2014년 브라질 월드컵 1승 1무 2패 16강 14위]로 12강 진출에 실패했지만 오스트리아와 서독은 무난하게 12강에 동반 진출하는 데에 성공했다. [[히혼의 수치|이 사건]]으로 인하여 FIFA측은 그 다음 월드컵인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부터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를 동시에 진행하도록 규정을 변경했다. 그런데 월드컵은 이렇게 가끔 성적을 좋게 냈지만 유로는 2008년 스위스와 공동 개최로 자동진출할 때까지 줄줄이 탈락했다. 그것도 [[유로 1992]] 지역예선에서는 유럽 최약체급인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페로 제도]]에게 원정에서 0-1로 졌다! 홈에서 3-0으로 이기며 설욕은 했지만 페로 제도와 똑같은 1승 1무 6패 성적을 거두며 유로1992 8개국(8강) 본선에 진출 실패 정도로 유로 성적은 참혹했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32개국 본선에선 이탈리아, 칠레, 카메룬 등과 같은 조가 되었지만 2무 1패 23위로 허무하게 탈락했다. 그래도 이때까지만 해도 유럽 중위권은 한다는 평이었지만, 오래가지 않아 [[1999년]]에 가진 [[유로 2000]] 지역예선 당시 [[스페인]]에게 원정경기에서 '''0:9''' 라는 악몽같은 점수차로 대패당했다. 순식간에 중위권에서 하위권으로 떨어진 셈이다. 덕분에 오스트리아 여론이 엄청 분노했다.[* 지금이야 월드컵, 유로 우승으로 세계적 강호로 알아주는 스페인 축구이지만 2000년대 초반만 해도 [[라리가]]는 끝내주는데 월드컵은 8강권이 평균 수준이라고 알아주던 시절이었다.][* 점유율은 항상 끝장나지만 그거 말고는 볼 게 없던 스페인 특성상 대파 하는데는 달인들이니 가능한 점수차이다. 스페인이 허약하던 시절이라 해도 1라운드 조별리그에선 대승을 거두는 팀 이란걸 상기해보자. 반면 어느 정도 올라가면 점유율은 상대가 차지하고 골은 우리가 넣을게요 이러고 탈락했으니...] 복수를 노리던 안방경기에서도 스페인에게 1:3으로 또 패했다. 그러나 그걸로 끝난 게 아니었다. [[이스라엘]]에게도 원정에서 0-5로 대패를 당했고, 안방에서도 1-1로 겨우 비겼다. 이스라엘과 똑같은 4승 1무 3패를 거뒀지만 이런 대패가 타격이 되어 이스라엘에 상대전적에서 뒤지며 3위로 탈락했다.[* 득실로 따져도 19득점 20실점의 -1인 오스트리아가 25득점 9실점의 +16인 이스라엘에게 밀렸다.] 나머지 조 상대들이 당시만 해도 약체인 키프로스와 유럽 최약체인 산마리노였던 걸 생각하면 이들을 상대로 거둔 4승도 잘했다고 보기도 어려웠다.[* 헌데, 2위로 플레이오프로 올라간 이스라엘은 [[덴마크]]에게 5-0, 3-0으로 대패를 당하며 탈락(안방에서 5:0으로 완패하자 이스라엘 선수들은 [[포기하면 편해]]라면서 원정 경기 전날, 덴마크 술집에 가서 다같이 마셔라 부어라~ 그렇게 3:0으로 졌다. 여론이 격분했지만 이스라엘 축구협회는 경고만 내리고 별다른 징계도 내리지 않았다.)했고, 그 [[덴마크]]는 유로 2000 대회에 나가서 [[체코]], [[프랑스]], [[네덜란드]] 등과 같은 조를 이뤘으나 이들들에게 무참히 패배를 당하며 0득점 8실점을 기록했다.] 그런데 2001년 이 오스트리아가 [[이란]]과 친선경기를 가졌는데, 이란을 압도하면서 5:1로 대파한적이 있다. 하지만, 또다시 그 뒤로는 별다른 국제대회 성적도 없었고 프로축구에서도 이웃 독일 분데스리가에게 압도적으로 밀리는 터에 이웃 스위스와 [[유로 2008]] 공동개최를 하게 될 때도 [[스위스]]와 더불어 꼴찌 후보로 언급될 정도로 단단히 무시당했다. 그나마도 스위스는 2006 월드컵에서 16강이라도 올라가서 예상 순위가 오스트리아보단 더 좋았기에 오스트리아가 자타 공인(?) 유로 2008 꼴찌 예상나라였던 셈. 그리고 예상대로 두 나라 모두 일찌감치 16개국 본선 조별리그에서 [[광탈]]해 버렸지만, 스위스는 1승 2패 9위, 오스트리아는 승점 1점 1무 2패 13위로 선전했다. 그나마 [[지네딘 지단|지단]]의 은퇴 후 [[막장]]이었던 [[프랑스]]와, 3패로 몰락한 디펜딩 챔피언 [[그리스]] 덕에 꼴지는 면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지역예선|2010 월드컵 유럽예선]]에선 프랑스를 3-1로 이기면서 모처럼 부활하나 했더니만 이 뒤로는 다시 예전과 같은 꼴이 되어 버렸다. 축구론 약체급인 [[리투아니아]]에게도 져버리고 유럽에서도 승점 선물팀인 최약체 [[페로 제도]]에게까지 비겨버리는 굴욕 끝에 감독이 중도 사임하기까지 했고 결국 월드컵도 예선탈락했다. [[유로 2012]] 지역예선에서는 하필이면 [[독일]] - [[터키]]와 만나 버렸다. 둘 다 [[2000년대]]에 유로나 월드컵 예선에서 만나서 오스트리아를 대파한 팀들이다. 2002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오스트리아는 터키 원정에선 0:5로 처참히도 패한적도 있다(안방에선 0:1 패). 결국 독일에게 2패(6:2 대패를 포함), 터키와 [[벨기에]]에게 1무 1패씩을 기록하며 조 4위로 16개국 본선 진출 실패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유럽예선에서 또 독일과 만났다. 거기에 [[스웨덴]], [[아일랜드]], [[카자흐스탄]], 페로 제도 등과 같은 조를 이뤘는데, 척 봐도 4위를 거둘 거란 전망이 압도적이다. 안방에서 독일에게 1:2로 졌으며 예선 3차전까지 성적은 역시나 4위... 그나마 5차전까지 1승 1무를 올리면서 2위로 뛰어올랐으나... 일찌감치 5승 1무, 16점으로 거의 예선진출을 이뤄낸 독일과 아득히 떨어진 3승 2무 1패로 승점 11점이다. 하지만 스웨덴과 아일랜드도 똑같이 3승 2무 1패로 11점이라서 이 2위 자리를 두고 아주 혈투를 벌일 판국이다. 그래도 이전 유럽 동네북급에서 이번 월드컵 예선은 오스트리아가 선전한 셈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래도 오랫만에 선전했지만 결국 2위 스웨덴을 넘지 못하고 5승 2무 3패로 조 3위로 탈락했다. 6승 2무 2패인 스웨덴에 아쉬운 3점차였지만 반대로 아일랜드도 오스트리아와 3점차였다. 그런 가운데 [[유로 2016]] 24강 본선에서 또 스웨덴과 만났다. G조에 속하면서 [[러시아]], [[몰도바]], 스웨덴, [[몬테네그로]], [[리히텐슈타인]] 등과 격돌하게 되었는데 몰도바나 리히텐슈타인은 그렇다 쳐도 몬테네그로도 무시할 상대는 아닌지라... 러시아와 스웨덴의 조 1위 싸움에 몬테네그로와 2위 쟁탈전(?)을 벌일 듯. 의외로 유로 2016 지역예선 초반부터 조 1위로 올라서 있다. 스웨덴을 안방에서 1-1로 비긴 거 빼고 몰도바를 원정에서 2-1, 몬테네그로를 안방에서 1-0으로 이겼기 때문인데 이후 안방에서 러시아를 1-0으로 이기며 3승 1무로 선두를 지켰다! 러시아와 몬테네그로가 1승 2무 1패,스웨덴이 1승 3무로 물고 물리며 부진한 상황에 이뤄진 1위...라는 식의 아마추어의 평과는 달리, [[한준희]]나 [[장지현]] 같은 전문해설가들의 팀 평가는 좋다. [[원투펀치]] 184회 2부에서 팀의 에이스인 [[데이비드 알라바]]가 공격부터 수비까지 다 가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격진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며 우승후보까지는 아니더라도 우승후보를 위협할 가장 강력한 다크호스라고 평했다. 결국 9승 1무 무패 행진을 달리며 조 1위로 쉽게 [[유로 2016]] 24강 본선에 오르며 개최국으로 오른 2008년에 이어 2번째이자, 사상 처음으로 자기 실력으로 유로2012 24강 본선에 진출했다. 이에 유로 2016의 [[다크호스]]로까지 떠올랐으나[* 조도 당시에 유리했다. 일단 [[포르투갈]]은 넘어가고 [[헝가리]]는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월드컵]] 출전 후 30년만에, [[아이슬란드]]는 상대적으로 메이저대회가 처음이었는지라... 하지만 헝가리와 아이슬란드가 16강에 당당히 진출하리라고는 아무도 예상치 못했다.] '''24강 본선에서는 0승 1무 2패 22위로 광탈했다'''. 게다가 득실차도 -3, 단 1득점에 그쳤다. 참고로 이 팀, 광탈이 확정된 6월 시점에서 [[피파랭킹]] 10위다(...). 그리고 오스트리아가 예선에서 조 1위를 달릴 수 있었던 비결도 공개됐는데, 함께 [[UEFA 유로 2016/예선/G조|24강 G조]]에 편성됐고 오스트리아에 눌려 2위, 3위를 기록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은 '''유로2016 24강 조별리그 B조, E조에서 모두 조 최하위를 기록하여 탈락하였다.'''(스웨덴 20위, 러시아 23위)[* 그런데 이 두 팀은 [[2018 러시아 월드컵|2년 뒤 열린 월드컵]]에서 브라질과 나란히 8강에 오르며 선전을 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1차예선에서는 초반에는 [[조지아]]를 이긴 후 [[웨일스]]와 비기고 웨일스, [[세르비아]] 등에 이어 조 3위를 하고 있'''었'''다. 득실차에서는 세르비아, 웨일스 등을 제외해도 나머지가 [[몰도바]], 조지아, [[아일랜드]] 등인 만큼 희망이 보일듯 했으나... 결과는 이번에도 본선 진출 [[실패]]였다. 공용어가 같고 이웃 나라인 독일에서 뛰는 선수들이 유독 많다. 과거엔 오스트리아 국적 해외파 선수 다수가 분데스리가 출신이었다면 2010년대 후반 황금 세대 도래 이후로 분데스리가 자체에 오스트리아 국적 선수들이 엄청나게 많아졌다. 독일 유망주보다 오스트리아 유망주가 많아보일 정도로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엄청나게 정착해있다. 2022년 5월 기준 독일 분데스리가에 등록된 선수만 23명이다. 2부, 3부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훨씬 많을 정도이다. 2000년대 중반 부터 2010년대 초까지 암흑기의 에이스 [[안드레아스 이반시츠]] 그리고 2010년대 초반 갑툭튀한 [[다비드 알라바]]를 제외하면 유명하거나 뛰어난 선수가 거의 없었다.하지만 축구선수 발굴의 황금어장 유럽답게 2010년대 후반 즉, 최근에는 팀을 이끄는 선수들이 자주 발굴되고 있기는 하다. 이름값만 따지면 유럽 강호급은 아니여도 바로 아랫급에서 충분히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릴만한 면면들이다. 가히 오스트리아 축구 황금 세대라고 불릴만 하다. 심지어 최근에는 골짜기 세대로 불리는 독일의 유망주풀보다 좋아 보인다는 이야기도 있다. 실제로 많은 오스트리아 유망주들이 분데스리가에 진출했으며 이들이 기존 독일 유망주들보다 우선적으로 기용되거나 밀어내 주전으로 뛰고 있는 케이스가 많다. [[제바스티안 프뢰들]],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 [[율리안 바움가르틀링거]],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 등 기존 주전들이 30줄을 넘겨가고 있는 대신,[[크사버 슐라거]]. [[슈테판 라이너]], [[콘라트 라이머]], [[슈테판 포슈]], [[발렌티노 라자로]], [[플로리안 그릴리치]], [[미하엘 그레고리치]] , [[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 , [[막시밀리안 뵈버]], [[하네스 볼프]], [[사샤 칼라이지치]] 같은 새로운 재능들이 계속 발굴되고 있는 상황이라 미래는 밝은 편. 물론 [[다비드 알라바]], [[알레산드로 쇠프]], [[마르틴 힌테레거]], [[마르셀 자비처]] 같은 한창 전성기의 선수들도 건재하다. 심지어 국가대표에는 거론이 못되지만 [[플로리안 카인츠]] [[크리스토퍼 트리멜]] 같은 선수들도 오랫동안 분데스리가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선수들이다. [[손흥민]] 베프 [[케빈 비머]]는 살짝 밀린 상태. 과거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토니 폴스터]] 세대 이후 24년만의 월드컵 본선을 노리기엔 충분하다는 평가다. 우습게도 이런 반면에 평가전에선 종종 저력을 보이는데, 2018년 6월 2일, 러시아 월드컵을 앞두고 가진 평가전에서 우승후보 1순위인 독일을 상대로 2-1로 역전승을 거두기도 했다.---그리고 그 독일은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조 최하위로 광탈]]--- 그리고 유로 2020 예선에서 또 꿀조에 속했다. 다행히 이번엔 기회를 확실히 잡았고, [[UEFA 유로 2020/예선/G조|G조]]에 속한 다른 팀들이 폴란드, 북마케도니아,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라트비아인데, 폴란드를 제외하면 [[핫바지]]나 다름없는 팀들이고, 그나마 강하다는 폴란드도 그렇게까지 강한 편은 아니어서 본선 진출은 손쉬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예상대로 폴란드에 이어 조 2위로 본선 진출에 성공해 유로컵에 2회 연속 진출에 성공했다.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북마케도니아, 라트비아라는 나머지 네 팀들을 충실하게 잘 잡아냈다. 다만 원정에서 이스라엘과 라트비아에게 패한 것은 여전한 오스트리아의 불안 요소를 그대로 보여줬다. 2020년에 유니폼 엠블럼을 변경했다.[* 이전 로고는 이거였다. [[파일:Austria ÖFB.png|width=250]]] 유로 24강 본선에서는 네덜란드, 북마케도니아, 우크라이나와 함께 [[UEFA 유로 2020/C조|C조]]에 속했다. 1인자인 네덜란드를 제외하면 그나마 할 만한 팀들이라 괜찮은 조에 속한 셈. 첫 상대 북마케도니아에 3:1로 승리하면서 역사적인 오스트리아의 유로 대회 첫 승을 거두었고, 두번째 상대 네덜란드한테 2:0으로 완패하긴 했지만, 네덜란드는 오스트리아에 비하면 훨씬 강호여서 오스트리아의 힘으로는 이길 수 있는 상대가 아니니 그럴 수 있었고, 이어 최종전에서 우크라이나도 이기면서 2승 1패, 조 2위로 사상 첫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에서는 바로 아래 이웃나라 이탈리아와 싸우게 되었는데, 오스트리아가 상대적으로 약체이니만큼 이탈리아의 손쉬운 승리가 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이탈리아도 꽤나 고전한 명승부로, 비록 연장 접전까지 간 끝에 2대1로 아깝게 패하면서 16강에서 12위로 대회를 마치긴 했지만, 그 강호 이탈리아 조차도 고전시킬 정도로 오스트리아는 [[졌지만 잘 싸웠다]]가 무엇인지를 증명하면서 아름답게 퇴장했다. 최악이었던 유로 2016 때의 모습을 완벽히 씻어낸건 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푸마(브랜드)|푸마]]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오스트리아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현재 선수 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1 {{{#ffffff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br]{{{+1 {{{#ffffff '''스쿼드'''}}}}}}|| }}} || || {{{#!wiki style="color: #1A284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 #000000"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골'''||'''소속 클럽'''|| ||<|3> '''GK''' || 1 || [[알렉산더 슐라거]] [br](Alexander Schlager) || 1996년 2월 1일 ([age(1996-02-01)]세) || 6 || 0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 12 || [[파바오 페르반]][br](Pavao Pervan) || 1987년 11월 13일 ([age(1987-11-13)]세) || 7 || 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VfL 볼프스부르크]] || || 13 || [[다니엘 바흐만]][br](Daniel Bachmann) || 1994년 7월 9일 ([age(1994-07-09)]세) || 13 || 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왓포드 FC]] || ||<|8> '''DF''' || 2 || [[막시밀리안 뵈버]][br](Maximilian Wöber) || 1998년 2월 4일 ([age(1998-02-04)]세) || 17 || 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3 ||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br](Aleksandar Dragović) || 1991년 3월 6일 ([age(1991-03-06)]세) || 100 || 2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 5 || [[슈테판 포슈]][br](Stefan Posch) || 1997년 5월 14일 ([age(1997-05-14)]세) || 16 || 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볼로냐 FC 1909]] || || 8 || [[데이비드 알라바]] [[파일:captainarmband3.png|width=25]][br](David Alaba) || 1992년 6월 24일 ([age(1992-06-24)]세) || 94 || 14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CF]] || || 15 || [[필리프 린하르트]][br](Philipp Lienhart) || 1996년 7월 11일 ([age(1996-07-11)]세) || 9 || 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SC 프라이부르크]] || || 16 || [[크리스토퍼 트리멜]] [br](Christopher Trimmel) || 1987년 2월 24일 ([age(1987-02-24)]세) || 23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1. FC 우니온 베를린]] || || 21 || [[슈테판 라이너]][br](Stefan Lainer) || 1992년 8월 27일 ([age(1992-08-27)]세) || 37 || 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26 || [[마르코 프리들]][br](Marco Friedl) || 1998년 3월 16일 ([age(1998-03-16)]세) || 5 || 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SV 베르더 브레멘]] || ||<|8> '''MF''' || 6 || [[슈테판 일장커]][br](Stefan Ilsanker) || 1989년 5월 18일 ([age(1989-05-18)]세) || 61 || 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제노아 CFC]] || || 10 || [[플로리안 그릴리치]][br](Florian Grillitsch) || 1995년 8월 7일 ([age(1995-08-07)]세) || 33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TSG 호펜하임]] || || 14 || [[율리안 바움가르틀링거]][br](Julian Baumgartlinger) || 1988년 1월 2일 ([age(1988-01-02)]세) || 84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FC 아우크스부르크]] || || 17 || [[루이스 샤우프]][br](Louis Schaub) || 1994년 12월 29일 ([age(1994-12-29)]세) || 29 || 8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하노버 96]] || || 19 || [[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br](Christoph Baumgartner) || 1999년 8월 1일 ([age(1999-08-01)]세) || 21 || 6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RB 라이프치히]] || || 22 || [[발렌티노 라자로]][br](Valentino Lazaro) || 1996년 3월 24일 ([age(1996-03-24)]세) || 36 || 3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토리노 FC]] || || 23 || [[크사버 슐라거]][br](Xaver Schlager) || 1997년 9월 28일([age(1997-09-28)]세) || 29 || 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RB 라이프치히]] || || 24 || [[콘라트 라이머]][br](Konrad Laimer) || 1997년 5월 27일([age(1997-05-27)]세) || 24 || 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FC 바이에른 뮌헨]] || ||<|5> '''FW''' || 7 ||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br](Marko Arnautović) || 1989년 4월 19일 ([age(1989-04-19)]세) || 102 || 33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9 || [[마르셀 자비처]][br](Marcel Sabitzer) || 1994년 3월 17일 ([age(1994-03-17)]세) || 64 || 1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1 || [[미하엘 그레고리치]][br](Michael Gregoritsch) || 1994년 4월 18일 ([age(1994-04-18)]세) || 39 || 7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SC 프라이부르크]] || || 20 || [[카림 오니지보]][br](Karim Onisiwo) || 1992년 3월 17일 ([age(1992-03-17)]세) || 18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1. FSV 마인츠 05]] || || 25 || [[사샤 칼라이지치]][br](Saša Kalajdžić) || 1997년 7월 7일 ([age(1997-07-07)]세) || 15 || 4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7> '''{{{#c5a77c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Austria_national_football_team|{{{#c5a77c 영문 위키피디아}}}]] / {{{#c5a77c 마지막 수정 일자: }}} {{{#c5a77c 2022년 9월 16일}}}''' || }}}}}}}}} || == 역대 전적 == === [[FIFA 월드컵]] === '''월드컵 역대 통산 랭킹 : 21위''' '''③④'''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년 우루과이]] ||<-9> {{{#F0C420 불참}}} || ||<-10> [[오스트리아 연방국]]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br]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2> '''4위'''[*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 6 || 4 || 2 || 0 || 2 || 7 || 7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프랑스]] ||<-9> 독일에 합병[* 유럽예선을 통과하여 16개국 본선 1라운드 16강전에서 스웨덴과 붙기로 되어 있었는데, 월드컵을 몇 달 앞두고 나치독일과 합병하여 오스트리아 선수들은 독일 대표팀으로 출전했다. 그 때문에 스웨덴은 단 한경기도 치르지 않고 8강에 진출, 체력과 객관적 전력에서 우위를 보이며 쿠바를 8:0으로 학살하고 한 경기만에 4강에 갈 수 있었다.] || ||<-10>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30]][br]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년 브라질]] ||<-9> {{{#C8A2C8 기권}}}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스위스]] ||<:><-2> '''3위'''[*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 || 12 || 5 || 4 || 0 || 1 || 17 || 12 || ||<-10> 오스트리아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스웨덴]] || 조별리그 || 15위 || 1 || 3 || 0 || 1 || 2 || 2 || 7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칠레]] ||<-9> {{{#C8A2C8 기권}}}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잉글랜드]] ||<-9><|3>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아르헨티나]] || 8강[* 당시 8강 토너먼트가 아닌 8강 조별리그 방식이었고 조 1위만 결승 진출, 조 2위는 3,4위전으로 갔다.] || 7위 || 9 || 6 || 3 || 0 || 3 || 7 || 10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 '''12강'''[* 당시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닌 '''12강 조별리그''' 방식이었고 조 1위만 4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4강 조별리그에서 서독과의 암묵적 승부조작으로 큰 물의를 빚었던 대회. 자세한 내용은 [[히혼의 수치]] 참조] || '''8위''' || '''7''' || 5 || 2 || 1 || 2 || 5 || 4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 조별리그 || 18위 || 3 || 3 || 1 || 0 || 2 || 2 || 3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 조별리그 || 23위 || 2 || 3 || 0 || 2 || 1 || 3 || 4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9><|6>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br]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년 러시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FIFA 월드컵|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c63 3위 1회}}} || 7/22[*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40 || 29 || 12 || 4 || 13 || 43 || 47 || 총 성적은 '''12승 4무 13패 승점 40점'''으로 월드컵 랭킹 '''21위'''를 기록하고 있다. 헝가리, 체코 등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대회마다 순위가 하락하고 있는 팀이다. 칠레도 승점이 40점이어서 두 나라가 동률을 이루지만 평균 점수[*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에서 오스트리아 1.38(승점 40점 / 29경기), 칠레 1.21(승점 40점 / 33경기)으로 앞서서 21위를 지키고 있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브라질 2패(1958, 1978), 독일 1승 3패(1934, 1954, 1978, 1982), 이탈리아 4패(1934, 1978, 1990, 1998), 잉글랜드 1무(1958), 스페인 1승(1978), 프랑스 1승 1패(1934, 1982), 네덜란드 1패(1978), 우루과이 1승(1954), 스웨덴 1승(1978), 러시아 1패(1958), 헝가리 1승(1934), 체코 1승 1패(1954, 1990), 칠레 1승 1무(1982, 1998), 스위스 1승(1954), 미국 1승(1990), 스코틀랜드 1승(1954), 카메룬 1무(1998), 북아일랜드 1무(1982), 알제리 1승(1982)이다. 대륙별 상대전적은 유럽 8승 2무 11패, 남미 2승 1무 2패, 북중미 1승, 아프리카 1승 1무이다. 아직까지 아시아와 경기를 해보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에 패배를 안긴 팀들은 '''이탈리아(4패), 독일(3패), 브라질(2패), 러시아(1패), 네덜란드(1패), 프랑스(1패), 체코(1패)'''로 총 7개팀으로, 이들 중에 '''독일, 프랑스, 체코'''를 제외한 나머지 네 팀을 상대로는 전패를 기록중이다. 오스트리아가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은 '''칠레'''로서 2경기 4점을 획득했다. 상대전적이 앞서는 팀들은 '''스페인, 우루과이, 스웨덴, 헝가리, 칠레, 스위스, 미국, 스코틀랜드, 알제리'''로 총 9개국이며, 동률을 이루는 팀들은 '''잉글랜드, 프랑스, 체코, 카메룬, 북아일랜드'''이며 나머지 국가에는 상대전적이 밀린다. 한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54년 8강 스위스전 7:5 승으로, 이는 월드컵 역사상 한경기 최다골 기록으로 남아있다. 오스트리아가 7득점을 기록했고, 스위스는 이 경기에서 다섯 골을 넣고도 졌다. 최다 점수차 경기는 같은 대회 16강 조별리그 체코슬로바키아전 5:0 승이다. 한경기 최다실점 기록 역시 같은대회 4강전 서독전에서 1:6으로 패한 경기로 여섯 골을 허용했다.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순위 : 24위'''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1960년 프랑스]] ||<-9><|5> {{{#f00 본선 진출 실패}}}[*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br][[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1964년 스페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68|1968년 이탈리아]]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2|1972년 벨기에]]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6|1976년 유고슬라비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0|1980년 이탈리아]] ||<-9><|4> {{{#f00 본선 진출 실패}}}[*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4|1984년 프랑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8| 1988년 서독]]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2|1992년 스웨덴]]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6|1996년 잉글랜드]] ||<-9><|3> {{{#f00 본선 진출 실패}}}[*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0|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4|2004년 포르투갈]]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8|,,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조별리그 || '''13위''' || 1 || 3 || 0 || 1 || 2 || 1 || 3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2|,,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6|2016년 프랑스]] || 조별리그 || 22위 || 1 || 3 || 0 || 1 || 2 || 1 || 4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30]] [br][[유로 2020|2020년 분산개최]] || 16강 || '''12위''' || 6 || 4 || 2 || 0 || 2 || 5 || 5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2024|2024년 독일]] || 본선 진출 || '''''' || 0 || 0 || 0 || 0 || 0 || 0 || 0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br] [[유로 2028|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4회 || 4/17 || 8 || 10 || 2 || 2 || 6 || 7 || 12 || 월드컵은 그래도 좋은 성적을 거두던 것과 달리 줄줄이 예선 탈락하고 페로 제도같은 약체에게 덜미를 잡히고 스페인에게 0-9로 대패당하는 등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다가 스위스와 공동 개최한 2008 대회에 진출했지만 1무 2패로 허무하게 탈락했다. 그나마 폴란드와 똑같은 1무 2패지만 골득실 차에서 1골 앞서 꼴찌를 면했다... 그러다가 유로 2016에서 사상 첫 조 1위 성적으로 자력으로 유로 24강 본선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같은 조에서 러시아와 스웨덴에게 밀려 3위로 예상하던 게 압도적이었는데 반대로 1위로 올랐다! 유로 예선에서의 호성적으로 피파 랭킹이 무려 '''10위'''까지 뛰어올랐고, 더군다나 본선 F조(포르투갈, 헝가리, 아이슬란드)에 들어가면서 유로 최고의 꿀조라는 평가와 더불어 다수의 전문가들이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할 것을 예상했었다. 그러나 첫 경기에서 역사적인 라이벌 헝가리에게 시종일관 지배당하며 아무것도 못하고 0:2로 참패를 당하더니[* 다만 중요한 상황에서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가 퇴장 당해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의 골이 인정되지 않는 악재가 있었다.] , 포르투갈과 수면축구 2.0의 지루한 경기를 보여주며 0:0으로 무재배, 이겨야 16강 진출이 가능한 상황에 놓였다. 상대는 기세가 오를대로 오른 아이슬란드. 이 경기에서 점유율 63%, 슈팅 23개를 기록하며 아이슬란드를 지배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심지어 페널티킥까지 얻어냈음에도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가 놓치고 말았다.] 카운터 펀치는 아이슬란드가 날렸다. 경기 종료 직전 아이슬란드의 버저비터 결승골이 터지면서 1:2로 패배, 또다시 1무 2패 조 최하위 유로 22등으로 짐을 싸게 됐다. 하지만, 그 다음 대회인 유로 2020 24강 본선에선 북마케도니아를 3-1, 우크라이나를 1-0으로 이기면서 사상 첫 16강에 올랐다. 16강전에서 무패 우승 후보인 이탈리아와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아쉬운 1-2로 졌으나, 그야말로 [[졌지만 잘 싸웠다]]를 보여줬고 16강 12위로 유로2008 13위 이후 유로 최고성적을 갱신했다. === [[올림픽 축구|올림픽]] === * 1936 베를린 올림픽 : 은메달 == 연령별 대표팀 == === U-23 대표팀 === ==== 올림픽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1992 바르셀로나]] ||<-9><|8>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 [[1996 애틀랜타 올림픽/축구(남자)|1996 애틀란타]]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 [[2000 시드니 올림픽/축구(남자)|2000 시드니]] ||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br] [[2004 아테네 올림픽/축구(남자)|2004 아테네]]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 [[2008 베이징 올림픽/축구(남자)|2008 베이징]]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br]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2012 런던]]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남자)|2016 리우데자네이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2020 도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2024 파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2028 로스엔젤레스 || || || || || || || || ||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2032 브리즈번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9[* 올림픽 본선 진출 비율(1992년 이후)] || '''''' || '''''' || '''''' || '''''' || '''''' || '''''' || '''''' || [각주] [[분류: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