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군]] [목차] == 개요 == [[조선]] 전기의 중앙군이다. 조선 초기 중앙군이었던 10위가 10사로 바뀌는 등 중구난방적 개편을 겪다가 [[세조(조선)|세조]]때 이르러서야 명칭을 '''오위'''로 확정하고 '''오위도총부'''에서 관할하게 하였다. == 역사 == [[이성계]]는 [[조선]]을 건국한 직후 병권을 장악하기 위해 기존에 중앙군을 통솔하던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1393년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편하였다. 의흥삼군부는 시위를 담당하는 10위(十衛)[* 의흥친군좌위, 의흥친군우위, 응양위, 좌우위, 금오위, 신호위, 비순위, 천우위, 감문위, 흥위위]의 상급기관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각 위의 절제사가 실무를 관장하였다.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는 [[정종(조선)|정종]] 때 '''삼군부'''(三軍府)로 개칭되었다가 [[태종(조선)|태종]] 1년(1401) 승정원(承政院)과 통합되어 '''승추부'''(承樞府)가 되었다. 이후 태종 5년(1405) 왕명 출납 기능과 군무 기능이 분리되면서 다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로 개칭되어 군정, 군령 업무를 관장하는 최고기구로 격상된다. 이후 군정권은 [[병조]]로 귀속되고, 기구 명칭도 '''의흥부'''(義興府), '''진무소'''(鎭撫所) 등으로 여러차례 바뀌다가 세조 12년(1466)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편되면서 조선 전기 중앙군 제도가 확립된다. 한편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예하 실질 전투 병력이었던 '''10위'''(十衛)는 [[이성계|태조]] 3년(1394) '''10사'''(十司)로 개편되었는데 10사는 4개의 시위사(侍衛司)와 6개의 순위사(巡衛司)로 나누어졌다. * 의흥친군좌위 → 의흥시위사(義興侍衛司) * 의흥친군우위 → 충좌시위사(忠佐侍衛司) * 응양위 → 웅무시위사(雄武侍衛司) * 금오위 → 신무시위사(神武侍衛司) * 좌우위 → 용양순위사(龍驤巡衛司) * 신호위 → 용기순위사(龍騎巡衛司) * 흥위위 → 용무순위사(龍武巡衛司) * 비순위 → 호분순위사(虎賁巡衛司) * 천우위 →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 * 감문위 → 호용순위사(虎勇巡衛司) 이후 [[이방원|태종]] 9년(1409) 신무시위사를 충무순금사로 개칭하고 나머지 순위사를 전부 시위사로 개편하여 9개의 시위사와 1개의 순위사로 개편되었다. [[이도|세종]] 1년(1418)에는 좌군에 용분사(龍奮司)를, 우군에 호아사(虎牙司)를 추가하여 '''12사'''로 확대되었다가 1424년에는 '''10사'''로 다시 축소되는 등 여러차례 개편을 겪었으며, [[문종(조선)|문종]] 1년(1451) '''오사'''(五司)로 정리되었다. 오사(五司)는 의흥사(義興司), 충좌사(忠佐司), 충무사(忠武司), 용양사(龍驤司), 호분사(虎賁司)를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오사(五司)에는 기존 12사(十二司)를 제외하고도 금군이었던 별시위(別侍衛), 총통위(銃筒衛)도 포함되었는데, 여기에는 오사(五司)를 번상 시에는 경군으로, 부방 시에는 지방군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담겨있었다. == 구성 == * '''의흥위'''(義興衛): '''중군'''(中軍)으로, 예하에 [[갑사(역사)|갑사]][* '취재'라는 전문시험을 보고 통과한 자원들로만 구성한 병력으로, 현대의 부사관과 유사하다.]와 보충대[* 천민이 일정기간 이곳에서 복무하면 양인이 될 수 있었다.]가 편성되었다. * '''용양위'''(龍驤衛): '''좌군'''(左軍)으로, 예하에 별시위[* 양반의 자제로 구성된 부대로, 주로 기병이었다.]와 대졸[* 천민들 중 힘이 센 사람들로 구성된 부대.]이 편성되었다. * '''호분위'''(虎賁衛): '''우군'''(右軍)으로, 예하에 족친위,[* 왕실과 혈연관계가 있는 종친들이 편성되는 부대.] 친군위,[* [[함경도]] 출신 군사들로 구성된 부대이다. 시위뿐만 아니라 정보수집 기능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팽배[* [[팽배수]]들로 편성된 부대로 초기에는 최정예 부대였으나, 성종 때는 이미 요역에 동원되는 등 잡병화되었다.]가 편성되었다.[* 사병 혁파 때 해체된 [[이성계]]의 사병이었던 [[가별초]]의 유산을 물려받은 부대다.] * '''충좌위'''(忠佐衛): '''전군'''(前軍)으로, 예하에 충의위,[* 공신 자손으로 이루어진 부대로, 실제로 시위 업무를 수행한다기보다는 공신 자제들이 벼슬길에 올라가기 전 밟는 단계로 여겨졌다. 당연히 전투력은 형편 없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충찬위,[* 앞서 서술된 충의위와 마찬가지로, 공신 자제들로 구성되었다.] 파적위[* 세조 때 보병이 부족하다고 해서 창설된 부대.]가 편성되었다. * '''충무위'''(忠武衛): '''후군'''(後軍)으로, 예하에 충순위,[* 고급관리의 자제 중 충의위나 충찬위에 들어갈 자격이 없는 자들로 편성된 부대.] 정병,[* 양인 출신 병사들로, 지방에서 번상하여 한양과 궁궐의 수비를 맡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번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입직 근무에 잘 투입되지 않았다. 기병과 보병으로 나뉘었다.] 장용위[* 천민들로 구성된 부대로, 후일 양인의 입대도 허락된다.]가 편성되었다. == 각 지역의 중앙군의 편성 == 각 지역에서 번상한 중앙군들은 소속 진관에 따라 오위 중 한 부대로 편성되었다. 단 한양 지역 군사들은 오위 전체에 골고루 편성되었다. * 의흥위(義興衛): 경기, 강원, 충청, 황해 * 용양위(龍驤衛): 경상 * 호분위(虎賁衛): 평안 * 충좌위(忠佐衛): 전라, 제주[* 당시 제주도는 전라도 소속이었다.] * 충무위(忠武衛): 함경 == 유명무실화 == 조선 초기까지 유지되었던 오위 체제는 중기에 들어가 '''방군수포'''(放軍受布)로 인해 흔들리기 시작했다. 군이 병역뿐만 아니라 요역에도 투입되는 일이 빈번해지자 군역 대상자인 농민들이 해당 관청이나 군 지휘관에게 포를 주고 군복무를 면제받은 것이다. 그 결과, [[임진왜란]] 당시 오위 소속 병력은 서류상으로는 수만 명에 이르렀지만 실제 있는 병력은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임진왜란이 끝나고 오위는 유명무실해졌고[* 실권은 없어졌지만 명목상 벼슬자리로 남아 있었다. 왕족이 맡는 명예직이 되었다.] 한양과 도성의 경비 임무는 [[오군영]]에게 넘어가게 된다. == 기타 == ||품계||관직||총원|| ||정2품||도총관(都摠管)||겸직|| ||종2품||부총관(副摠管)||겸직|| ||정3품 당상||'''장(將)'''||겸직|| ||정3품 당하||상호군(上護軍)||9명|| ||종3품||대호군(大護軍)||14명|| ||정4품||호군(護軍)||12명|| ||종4품||부호군(副護軍)||54명|| ||정5품||사직(司直)||14명|| ||종5품||부사직(副司直)||123명|| ||정6품||사과(司果)||15명|| ||종6품||'''부장(副將)'''||25명|| ||종6품||부사과(副司果)||176명|| ||정7품||사정(司正)||5명|| ||종7품||부사정(副司正)||309명|| ||정8품||사맹(司猛)||16명|| ||종8품||부사맹(副司猛)||483명|| ||정9품||사용(司勇)||42명|| ||종9품||부사용(副司勇)||1,939명|| * 인원 수는 만기요람에 따른 숫자이다. *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 5위의 옛 제도가 모두 없어지고 오직 관명(官名)만 남았다. 장(將)과 부장(部將)이 번을 나누어 입직(入直)ㆍ순경(巡更)하게 하고, 호군(護軍) 이하는 군함체아(軍銜遞兒)에 속하게 하여, 녹(祿)을 줄 자리를 비워놓고 여러 관아의 사람들이 승진하거나, 강등하여 전직(轉職)해 오는 것을 기다렸다. * 결국 조선 전기 무관직이던 오위가 [[임진왜란]] 이후 [[오군영]]이 생기고 문관들의 밥그릇 챙겨주기용 자리로 전락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오위도총부가 멀쩡히 돌아가던 조선 전기에도 문관들을 오위 도총부이 주요 직책에 임명한 사례들이 많다. 문관들 관직은 두고 병력만 빼버린 모양. * 오위의 부사과(종6품)에 있는 사람이 문반계 정3품 당상관 품계인 통정대부를 가자 받을 정도다.[[http://sillok.history.go.kr/id/kwa_11301003_004|실록]] 통정 가자를 받을 정도면 이미 정3품 당하 통훈대부 자급으로 종6품 부사과에 있었다는 말이 된다. 게다가 무반계 어모장군에 절충 가자를 받은 것도 아니다. * 이처럼 품계가 높은데 실직이 없는 자를 [[http://sillok.history.go.kr/id/kwa_12409022_002|행대호군]]에 임명하는 식으로 오위는 문관차지였다. 행(行)이란 품계보다 관직이 낮은 경우에 붙은 접두어이다. 대호군을 하다가 정승으로 뛰어오를 정도다. * [[임상옥]]이 등장하는 드라마 [[상도(드라마)|상도]] 속 순조의 외숙으로 나오는 [[http://sillok.history.go.kr/id/kwa_11112024_001|박종경]]도 실제로 행대호군을 역임했다. * 위(위장)-부(부장)-통(통장)-여(여수)-대(대정)-오(오장) 편제로 이루어졌다. 괄호 안의 명칭은 각 부대의 지휘관 명칭이다. == 같이 보기 == * [[조선군]] * [[오군영]] * [[갑사(역사)|갑사]] * [[유자광]][* [[갑사(역사)|갑사]] 출신이다.] * [[병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