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자)] || [[파일:2022 과이불개.jpg|width=100%]] || || [[2022년]]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 [목차] == 개요 == [[2001년]]부터 연말기획으로 교수신문에서 공표하는, 그 해를 상징하는 [[사자성어]]. 해당 연도에 [[대한민국]]에서 있었던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한국인의 입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교수신문 필진, 주요 일간지 칼럼 필진, 주요 학회장, 전국대학 교수(협의)회장 등 전국의 [[대학교]] [[교수]]들을 상대로 교수신문이 설문조사를 실시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를 해당 연도 [[12월]]에 발표한다. 2003년까지는 누구나 금방 이해할 수 있는 쉽고 유명한 사자성어를 선정했는데, 2004년부터 일반인에게 생소한 사자성어를 선정해 [[그들만의 리그]]라는 비판을 받는다. 선정된 사자성어에 내포된 의미는 시의적절하지만 해당 사자성어 자체가 일상 생활에서 보기 어렵다는 것.[[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8&aid=0002047299|사자성어 유감]], [[https://www.khan.co.kr/opinion/khan-column/article/201401062036535|그들만의 사자성어]] 하지만, 반대로 교수신문에서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가 이후에는 세간에서도 종종 쓰이는 점을 고려하면 유명하지 않던 사자성어를 발굴해주는 역할도 한다는 평가를 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 따른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2014년에는 그나마 대중적으로 종종 사용되는 [[지록위마]]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되었다. 2015년 말의 [[혼용무도]]는 일상에서 쓰이지 않는 말이긴 하지만 직관적으로 이해가 빠르다는 점 때문인지 2016년까지도 언론에서 계속 오르내렸다. 아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한 이래로,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의 사자성어만 선정됐다.''' 물론, 사자성어를 선정하는 이들이 지식인 계층인 교수들이며, 이들은 사회의 어두운 면을 직시하고 개선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겠지만 말이다. 다만 2017년의 사자성어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경우 2012년의 희망의 사자성어로 선정되었다가 다시 선정된 것으로, 연말에 선정되는 성어로서는 17년만에 처음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는 성어가 되었다. 2020년의 사자성어 [[아시타비]](我是他非)의 경우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내로남불]]을 한문으로 옮긴 성어로 사상 처음으로 신조어가 선정되었다.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9131|#]] == 역대 사자성어 == ||<:>'''연도''' ||<:>'''[[사자성어]]''' ||<:>'''뜻''' ||<:>'''출전''' ||<:>'''기사''' || ||<:>{{{-1 [[2001년|2001]]}}} ||<:>{{{-1 [[오리무중]][br](五里霧中)}}} ||{{{-1 어떠한 일의 진행에 대하여 예측할 수 없다}}} ||{{{-1 《[[후한서]]》[br]〈장해열전〉}}}||<:>{{{-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911|#]]}}} || ||<:>{{{-1 [[2002년|2002]]}}} ||<:>{{{-1 이합집산[br](離合集散)}}} ||{{{-1 일없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무위한 일을 하다}}}||<:>{{{-1 - }}}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420|#]]}}} || ||<:>{{{-1 [[2003년|2003]]}}} ||<:>{{{-1 [[우왕좌왕]][br](右往左往)}}} ||{{{-1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하다}}} ||<:>{{{-1 -}}}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213|#]]}}} || ||<:>{{{-1 [[2004년|2004]]}}} ||<:>{{{-1 당동벌이[br](黨同伐異)}}} ||{{{-1 (뜻이) 같은 자는 무리를 삼고 다른 자는 공격한다}}} ||{{{-1 《[[후한서]]》[br]〈[[당고의 금|당고]]열전〉}}}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6936|#]]}}} || ||<:>{{{-1 [[2005년|2005]]}}} ||<:>{{{-1 상화하택[br](上火下澤)}}} ||{{{-1 서로 이반하고 분열하다}}} ||{{{-1 《[[주역]]》[br]〈화택규〉}}}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877|#]]}}} || ||<:>{{{-1 [[2006년|2006]]}}} ||<:>{{{-1 밀운불우[br](密雲不雨)}}} ||{{{-1 구름은 빽빽한데 정작 비는 오지 않는 것처럼 여건은 조성되었으나 일이 성사되지 않아 답답함과 불만이 폭발할 것 같다}}} ||{{{-1 《[[주역]]》[br]〈풍천소축〉}}}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84|#]]}}} || ||<:>{{{-1 [[2007년|2007]]}}} ||<:>{{{-1 [[자기기인]][br](自欺欺人)}}} ||{{{-1 자신도 믿지 않는 말이나 행동으로 남까지 속이다}}} ||{{{-1 이도전[br]《[[주자]]어류》}}}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5375|#]]}}} || ||<:>{{{-2 [[2008년|2008]]}}} ||<:>{{{-1 [[호질기의]][br](護疾忌醫)}}} ||{{{-1 문제가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꺼려 듣지 않다}}} ||{{{-1 [[주돈이]][br]《통서》}}}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7455|#]]}}} || ||<:>{{{-1 [[2009년|2009]]}}} ||<:>{{{-1 방기곡경[br](旁岐曲逕)}}} ||{{{-1 일을 정당하고 순탄하게 하지 않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하다}}} ||{{{-1 [[이이(조선)|이이]][br]《동호문답》}}}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9481|#]]}}} || ||<:>{{{-1 [[2010년|2010]]}}} ||<:>{{{-1 [[장두노미]][br](藏頭露尾)}}} ||{{{-1 진실을 숨겨두려고 하지만 거짓의 실마리는 이미 드러나 있다}}} ||{{{-1 《[[맹자]]》[br]〈진심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4|#]]}}} || ||<:>{{{-1 [[2011년|2011]]}}} ||<:>{{{-1 [[엄이도령|엄이도종]][br](掩耳盜鐘)}}} ||{{{-1 나쁜 일을 하고 남의 비난을 듣기 싫어서 귀를 막지만 소용이 없다}}} ||{{{-1 《[[여불위|여씨]][[춘추]]》[br]〈자지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4434|#]]}}} || ||<:>{{{-1 [[2012년|2012]]}}} ||<:>{{{-1 거세개탁[br](擧世皆濁)}}} ||{{{-1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다}}} ||{{{-1 《[[사기]]》[br]〈[[굴원]]열전〉}}}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6462|#]]}}} || ||<:>{{{-1 [[2013년|2013]]}}} ||<:>{{{-1 [[도행역시]][br](倒行逆施)}}} ||{{{-1 잘못된 길을 고집하거나 [[시대착오적]]으로 나쁜 일을 꾀하다}}} ||{{{-1 《[[사기]]》[br]〈[[오자서]]열전〉}}}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8181|#]]}}} || ||<:>{{{-1 [[2014년|2014]]}}} ||<:>{{{-1 [[지록위마]][br](指鹿爲馬)}}} ||{{{-1 진실과 거짓을 제멋대로 조작하고 속이다}}} ||{{{-1 《[[사기]]》[br]〈[[진시황]]본기〉}}}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0141|#]]}}} || ||<:>{{{-1 [[2015년|2015]]}}} ||<:>{{{-1 [[혼용무도]][br](昏庸無道)}}} ||{{{-1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의 실정으로 나라가 암흑에 뒤덮인 것처럼 온통 어지럽다}}} ||{{{-1 《[[논어]]》[br]〈계씨편〉[* 계씨편에 나오는 '천하무도(天下無道)'에 암군을 의미하는 혼군(昏君)과 용군(庸君)을 합친 '혼용'을 합쳤다.]}}}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908|#]]}}} || ||<:>{{{-1 [[2016년|2016]]}}} ||<:>{{{-1 [[군주민수]][br](君舟民水)}}} ||{{{-1 백성은 물, 임금은 배이니, 강물의 힘으로 배를 뜨게 하지만 강물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 [[박근혜 탄핵 집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 《[[순자]]》[br]〈왕제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3271|#]]}}} || ||<:>{{{-1 [[2017년|2017]]}}} ||<:>{{{-1 파사현정[br](破邪顯正)}}} ||{{{-1 사악하고 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 ||{{{-1 길장 [br]《삼론현의》}}}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0421|#]]}}} || ||<:>{{{-1 [[2018년|2018]]}}} ||<:>{{{-1 [[임중도원]][br](任重道遠)}}} ||{{{-1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 ||{{{-1 《[[논어]]》[br]〈태백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514|#]]}}} || ||<:>{{{-2 [[2019년|2019]]}}} ||<:> {{{-1 [[공명지조]][br](共命之鳥)}}} ||{{{-1 목숨을 함께 하는 새}}} ||{{{-1 《[[아미타경]]》}}}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6533|#]]}}} || ||<:>{{{-2 [[2020년|2020]]}}} ||<:> {{{-1 [[아시타비]][br](我是他非)}}} ||{{{-1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 ||{{{-1 신조어 [[내로남불]][* 신조어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것은 사상 처음이다.]}}}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9131|#]]}}} || ||<:>{{{-2 [[2021년|2021]]}}} ||<:> {{{-1 [[묘서동처]][br](猫鼠同處)}}} ||{{{-1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 쥐를 잡아야 할 고양이가 쥐와 한 패가 되었다는 뜻으로, 관리·감독자와 범죄자가 부정 결탁해 나쁜 짓을 함께 저지르는 모습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다. LH 임직원의 부동산 투기 논란, 성남 대장동 특혜 의혹 등을 비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1 《[[구당서]]》}}} ||<:>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2212|#]]}}} || ||<:> {{{-2 [[2022년|2022]]}}} ||<:> {{{-1 과이불개[br](過而不改)}}} ||{{{-1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 ||{{{-1 《[[논어]]》[br] <위령공편> }}} ||<:>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7960|#]]}}} || ||<:> {{{-2 [[2023년|2023]]}}} ||<:>{{{-1 견리망의[br](見利忘義)}}} ||{{{-1 이로움을 보느라 의로움을 잊었다}}} ||{{{-1 《[[장자]]》[br] 산목편 }}} || == 희망의 사자성어·희망의 노래 == [[2006년]]부터 교수신문에서 해당 연도의 연초에 '희망의 사자성어'를 선정하기 시작했다. 새해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어 긍정적인 의미의 사자성어가 주로 선정된다. 연초에 선정된 희망의 사자성어와 연말에 선정된 올해의 사자성어를 비교하면 연초의 [[희망]]과 연말의 [[절망]]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2016년]]부터는 사자성어에서 '희망의 노래'로 바뀌었는데, 2018년부터는 선정하지 않았다. 2016년과 2017년 모두 [[용비어천가]] 2장의 이어지는 구절에서 따왔다가 바로 다음해부터 소재가 고갈된 셈이다. ||<:>'''연도''' ||<:>'''사자성어''' ||<:>'''뜻''' ||<:>'''출전''' ||<:>'''기사''' || ||<:>{{{-1 [[2006년|2006]]}}} ||<:>{{{-1 약팽소선[br](若烹小鮮)}}} ||{{{-1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이다}}} ||{{{-1 《[[노자]]》[br]60장}}}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937|#]]}}} || ||<:>{{{-1 [[2007년|2007]]}}} ||<:>{{{-1 반구저기[br](反求諸己)}}} ||{{{-1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남을 탓하지 않고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다}}} ||{{{-1 《[[맹자]]》[br]〈공손추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9|#]]}}} || ||<:>{{{-1 [[2008년|2008]]}}} ||<:>{{{-1 광풍제월[br](光風霽月)}}} ||{{{-1 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 ||{{{-1 《[[송사]]》[br]〈[[주돈이]]열전〉}}}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5457|#]]}}} || ||<:>{{{-1 [[2009년|2009]]}}} ||<:>{{{-1 화이부동[br](和而不同)}}} ||{{{-1 서로 조화를 이루나 같아지지는 않다}}} ||{{{-1 《[[논어]]》[br]〈[[자로]]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7501|#]]}}} || ||<:>{{{-1 [[2010년|2010]]}}} ||<:>{{{-1 강구연월[br](康衢煙月)}}} ||{{{-1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1 《[[열자]]》[br]〈[[공자|중니]]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9553|#]]}}} || ||<:>{{{-1 [[2011년|2011]]}}} ||<:>{{{-1 민귀군경[br](民貴君輕)}}} ||{{{-1 백성이 존귀하고, 사직은 그 다음이며, 임금은 가볍다}}} ||{{{-1 《[[맹자]]》[br]〈진심편〉}}}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2180|#]]}}} || ||<:>{{{-1 [[2012년|2012]]}}} ||<:>{{{-1 파사현정[br](破邪顯正)}}} ||{{{-1 그릇된 것을 깨뜨려 없애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 2017년 연말 올해의 사자성어와 일치한다!] ||{{{-1 길장[br]《삼론현의》}}}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4545|#]]}}} || ||<:>{{{-1 [[2013년|2013]]}}} ||<:>{{{-1 제구포신[br](除舊布新)}}} ||{{{-1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펼쳐낸다}}} ||{{{-1 《[[춘추좌씨전]]》[br]소공 17년}}}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6517|#]]}}} || ||<:>{{{-1 [[2014년|2014]]}}} ||<:>{{{-1 전미개오[br](轉迷開悟)}}} ||{{{-1 번뇌로 인한 미혹에서 벗어나 열반을 깨닫는 마음에 이르다}}} ||<:>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8213|#]] || ||<:>{{{-1 [[2015년|2015]]}}} ||<:>{{{-1 정본청원[br](正本淸源)}}} ||{{{-1 본을 바르게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 ||{{{-1 《[[한서]]》[br]〈형법지〉}}}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0217|#]]}}} || ||<:>{{{-1 [[2016년|2016]]}}} ||<:>{{{-1 곶 됴코 여름 하나니}}} ||{{{-1 뿌리가 깊게 내린 나무가 꽃과 열매를 풍성하게 거둔다}}} ||{{{-1 《[[용비어천가]]》[br]2장}}}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978|#]]}}} || ||<:>{{{-1 [[2017년|2017]]}}} ||<:>{{{-1 내히 이러 바라래 가나니}}} ||{{{-1 아무리 가물어도 시내를 이루고 바다를 이룬다}}} ||{{{-1 《[[용비어천가]]》[br]2장}}}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3296|#]]}}} || == 부록: 희망의 사자성어/말 → 올해의 사자성어 비교 == || '''연도''' || '''희망의 사자성어(연초)''' || → || '''올해의 사자성어(연말)''' || ||<:>{{{-2 [[2006년]]}}} ||{{{-2 '''약팽소선(若烹小鮮)'''[br]: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이다 }}} ||<:>{{{-2 →}}} ||{{{-2 '''밀운불우(密雲不雨)'''[br]: 여건은 조성되었으나 일이 성사되지 않아 답답함과 불만이 폭발할 것 같다}}} || ||<:>{{{-2 [[2007년]]}}} ||{{{-2 '''반구저기(反求諸己)'''[br]: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남을 탓하지 않고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다 }}} ||<:>{{{-2 →}}} ||{{{-2 '''자기기인(自欺欺人)'''[br]: 자신도 믿지 않는 말이나 행동으로 남까지 속이다}}} || ||<:>{{{-2 [[2008년]]}}} ||{{{-2 '''광풍제월(光風霽月)'''[br]: 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 }}} ||<:>{{{-2 →}}} ||{{{-2 '''호질기의(護疾忌醫)'''[br]: 문제가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꺼려 듣지 않다}}} || ||<:>{{{-2 [[2009년]]}}} ||{{{-2 '''화이부동(和而不同)'''[br]: 서로 조화를 이루나 같아지지는 않다 }}} ||<:>{{{-2 →}}} ||{{{-2 '''방기곡경(旁岐曲逕)'''[br]: 일을 정당하고 순탄하게 하지 않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하다}}} || ||<:>{{{-2 [[2010년]]}}} ||{{{-2 '''강구연월(康衢煙月)'''[br]: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 ||<:>{{{-2 →}}} ||{{{-2 '''장두노미(藏頭露尾)'''[br]: 진실을 숨겨두려고 하지만 거짓의 실마리는 이미 드러나 있다}}} || ||<:>{{{-2 [[2011년]]}}} ||{{{-2 '''민귀군경(民貴君輕)'''[br]: 백성이 존귀하고, 사직은 그 다음이며, 임금은 가볍다 }}} ||<:>{{{-2 →}}} ||{{{-2 '''엄이도종(掩耳盜鐘)'''[br] : 나쁜 일을 하고 남의 비난을 듣기 싫어서 귀를 막지만 소용이 없다}}} || ||<:>{{{-2 [[2012년]]}}} ||{{{-2 '''파사현정(破邪顯正)'''[br]: 그릇된 것을 깨뜨려 없애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 }}} ||<:>{{{-2 →}}} ||{{{-2 '''거세개탁(擧世皆濁)'''[br]: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다}}} || ||<:>{{{-2 [[2013년]]}}} ||{{{-2 '''제구포신(除舊布新)'''[br]: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펼쳐낸다 }}} ||<:>{{{-2 →}}} ||{{{-2 '''도행역시(倒行逆施)'''[br]: 잘못된 길을 고집하거나 시대착오적으로 나쁜 일을 꾀하다}}} || ||<:>{{{-2 [[2014년]]}}} ||{{{-2 '''전미개오(轉迷開悟)'''[br]: 번뇌로 인한 미혹에서 벗어나 열반을 깨닫는 마음에 이르다 }}} ||<:>{{{-2 →}}} ||{{{-2 '''[[지록위마]](指鹿爲馬)'''[br]: 진실과 거짓을 제멋대로 조작하고 속이다}}} || ||<:>{{{-2 [[2015년]]}}} ||{{{-2 '''정본청원(正本淸源)'''[br]: 본을 바르게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 }}} ||<:>{{{-2 →}}} ||{{{-2 '''[[혼용무도|혼용무도(昏庸無道)]]'''[br]: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의 실정으로 나라가 암흑에 뒤덮인 것처럼 온통 어지럽다}}} || ||<:>{{{-2 [[2016년]]}}} ||{{{-2 '''곶 됴코 여름 하나니'''[br]: 뿌리가 깊게 내린 나무가 꽃과 열매를 풍성하게 거둔다}}} ||<:>{{{-2 →}}} ||{{{-2 '''[[군주민수]](君舟民水)'''[br]: 백성은 물, 임금은 배이니, 강물의 힘으로 배를 뜨게 하지만[br]강물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 || ||<:>{{{-2 [[2017년]]}}} ||{{{-2 '''내히 이러 바라래 가나니'''[br]: 아무리 가물어도 시내를 이루고 바다를 이룬다}}} ||<:>{{{-2 →}}} ||{{{-2 '''파사현정(破邪顯正)'''[br]: 그릇된 것을 깨뜨려 없애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 || == 관련 문서 == * [[올해의 한자]] [[분류:고사성어]][[분류: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