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 [목차] == 고유명사 == === [[로마자]] [[Y]]의 영어식 이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 == 단어 == === [[영어]] 의문사 [[Wh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hy)] === 일본어 === ==== 감탄사 ==== [[일본어]]의 기쁠 때 사용하는 감탄사. [[한국어]]로 굳이 번역하자면, "[[와]]~!" 혹은 "야~!" 정도가 되겠다. 표준 표기는 'わい'이다. 주로 [[천연]] 속성, [[로리]] 속성 캐릭터들의 감탄사/말버릇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わぁい!]]와도 관련이 있다. [[후타바 채널]]의 [[여장남자]] or [[쇼타]] 스레드에서 곧잘 사용되던 감탄사이다. 사실 인물 등이 아닌 [[자지|남성기]] 자체에 대한 감탄사인지라 [[후타나리]]를 대상으로도 쓰였다. 또한 남성향 [[모에]] 장르에 한정된 표현인지라 남성적인 부분이 많이 표현된 대상에게는 쓰이지 않는다. '오[[칭칭]] 랜드 시작이야~(おちんちんランド[* '오친친랜드' 어휘 자체는 [[니닌가 시노부전]]의 온소쿠마루의 대사인 "즉 여기는 남자투성이인, 오칭칭랜드인 것이드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はじまるよー!」)'라는 글로 누군가 스레드를 세우면 '와아이!(わぁい!)'라며 달려대는 형식.[* '[[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여자일리 없잖아|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여자일리 없어]](こんなにかわいい子が女の子のはずがない)'라는 문장도 이곳에서 유래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わぁい!, version=69, paragraph=1)] ==== 1인칭 대명사 ==== わい. 유래는 와시(わし)에서 변형된 것으로 과거엔 주로 남자가 사용했다. 요즘엔 넷상에서 주로 여자가 사용한다. ==== 기타 ==== [[일본의 상용한자]] 가운데 'ワイ'로 읽는 것은 賄(뇌물 회)뿐이다. 그래서 '뇌물'을 일어로 賄賂(わいろ, 와이로)라고 한다. [[도라에몽]]에서 이걸 말장난으로 써먹어서 뇌물 양초 모양이 'Y' 모양으로 생겼다. '왜곡(歪曲)'이라는 한자어로 유명한 歪 역시 ワイ로 읽지만 상용한자 외이다. === 태국의 인사 ไหว้ === ไหว้ (와이) [[파일:external/www.globalretaildaily.com.au/traditional-thai-greeting-682x1024.jpg|width=240]] [youtube(IxGRvMf9BeI)] 태국의 독특한 인사 방법이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드문 인사 방법이라는 점에서 [[프랑스]]의 [[비쥬]]와 유사한 면이 있다.] [[태국]]의 인사 방법으로 [[합장]]을 사용한다. [[합장]]없이 간단한 인사로 했을 때는 간단한 인사로 답해주면 된다. 그러나 와이로 인사 했을 때 와이 없이 답해주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다. 보통 사왓디 카(여)/사왓디 크랍(혹은 캅)(남)을 동작과 함께 말해주면 된다. 주의할 점으로 합장한 손의 위치가 높을수록 그 의미가 달라진다. * 엄지손가락을 눈 위로 합장: 국왕이나 부처 수준의 매우 존경스러운 대상에게만 한다. * 엄지손가락을 코 위로 합장: 자신보다 높은 어른이나 부모 등에게만 한다. * 엄지손가락을 턱 언저리 혹은 가슴 높이로 합장: 일반적인 와이로 다양한 상황에서 쓴다. === [[하와이어]]/[[마오리어]] Wai === '[[물]]'을 의미한다. 그래서 해당 언어에서 [[호수]]나 [[강]] 이름에는 '와이'가 꽤 많이 들어간다. 일례로 [[문명 6/지명과 인명]]에서 'wai'를 찾아보면 거의 다 마오리어 지명이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뉴질랜드)|오클랜드]]의 와이테마타(Waitemata)가 지명으로 유명하다. == 기타 == === [[세미와 매직큐브]]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와이(세미와 매직큐브))]